근로자가 노동의 대가로 사용자에게 받는 보수에 대한 내용은 임금(경제학) 문서 참고하십시오.
한국사 군주의 칭호 | ||||||
{{{#!wiki style="min-height: 20px; 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공통 | |||||
임금 | 왕 | ||||||
고조선 | 진국 · 삼한 | 백제 | 고구려· 신라 | |||
단군 | 한왕, 신지, 읍차 | 대왕, 태왕 | ||||
신라 | ||||||
거서간 | 차차웅 | 이사금 | 마립간 | |||
신라· 가야 | 탐라 | 발해 | 고려 | |||
간지, 한기 | 성주, 왕자 | 가독부 | 대왕, 황제, 성황 | |||
조선 | 대한제국 | |||||
왕, 대군주 | 황제, 대황제 | }}}}}}}}} |
황실 및 왕실의 구성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구분 | 직계 남성 | 배우자 | 직계 여성 | 기타 |
퇴위한 명예군주 | 태상황/태상왕 | 태상황후/태상왕비 | - | 태황태후/대왕대비 | |
퇴위한 군주 | 상황/상왕 | 상황후/상왕비 | - | - | |
군주 | 황제/왕 | 황후/왕비 | 여제/여왕 | 황태후/왕대비 (국장/국구),국태부인 국서 | |
군주의 궁인 | 환관/내시 | 후궁 | 상궁 | 남총 | |
군주의 후계자(자녀) | 황태자/왕세자 | 황태자비/왕세자빈 | 황태녀/왕세녀 | 부마 | |
군주의 자녀 | 황자/왕자 | 황자비/왕자비 | (공주,황녀)/(공주,옹주) | 부마/의빈 | |
군주의 후계자(형제) 군주의 후계자(손자) 군주의 형제 군주의 장남,장손 군주의 친부 군주의 숙부모 | 황태제/왕세제 황태손/왕세손 황제(皇弟)/왕제(王弟) 원자,원손 대원왕/대원군 황숙(皇叔)/왕숙(王叔) | 대원비/부대부인 | 장공주 대장공주 | - | |
● 중국(-3C ~ 20C 초) | 황제 황태자 친왕,군왕 | 황후 황태자비 친왕비,군왕비 | 공주,군주,현주 | 황태후 부마 | |
왕->국왕 태자->세자 공(公),군(君) | 왕후->왕비 태자비->세자비 공비(公妃),군비(君妃) | 왕녀->공주 | 태후 부마 | ||
● 조선 | 임금 세자 대군,군(君) | 왕비 세자비 부부인,군부인 | 공주,옹주 | 왕대비 부원군,부부인 부마->의빈 | |
● 일본 | 천황 황태자 친왕,왕 | 황후 황태자비 친왕비,왕비 | 여성 천황 내친왕,여왕 | 황태후 | |
● 영국 | 왕 웨일스 공 HRH Prince | 왕비 웨일스 공비 공작부인 | 여왕 HRH Princess | Queen+이름 Prince+이름 | |
각 항목에는 가장 대표적인 용어 하나만 표기하며, 황실과 왕실에서 사용하는 용어가 다를 경우 '/' 기호로 구분한다. 두 단어가 밀접한 관계에 있거나 각기 다른 서열과 지위를 가질 경우 ',' 기호로 구분하여 표기한다. | |||||
-기호 또는 빈칸은 동아시아 황실/왕실 체제에서 해당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가 없거나 관련 문헌에서 확인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다. 당시에는 이러한 경우 특별한 호칭 없이 이름이나 관직명을 사용했다. 그러나 본 틀에서는 문헌 기록이 없더라도, '왕세녀', '국서'처럼 근현대에 새롭게 자리잡은 번역어의 경우 포함해 기재한다. | |||||
별칭이나 그 외 나라의 용어는 황실/왕실 용어 및 별칭 표를 참고. |
1. 개요
군주를 의미하는 순우리말로 '군주국에서 나라를 다스리는 우두머리'이다.본 항목에서는 일반적인 군주 및 관련 개념을 설명하지 않고 고유어로써 임금이라는 단어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정치학적 내용은 군주 항목을 참조하고, 의례나 서열이나 호칭 등 작위로써 관련 개념은 왕 항목을 참조할 것.
같은 의미의 고유어로 '나라님'이 있다. 의미가 같은 것 외에는 아무 관계 없지만 나라님이라는 단어에 별도 항목이 없는 관계로 나라님 관련 내용도 이곳에 서술한다.
2. 상세
그 어원에 대해서는 신라 시대에 군주를 나타내는 고유명칭 중 하나인 '이사금'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이사금은 두음법칙 미적용 시 '니사금'으로, 실제로는 '닛금(niskum)\' 정도의 발음에 가까웠을 것이며 잇자국이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삼국유사에서 이사금을 다른 말로 '이질금(尼叱今)'이나 '치질금(齒叱今)'이라고 한다고도 썼는데, 질(叱) 자는 진짜로 질 발음이 아니라 한글을 만들기 전까지 전통적으로 ㅅ 발음을 나타내는 기호로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즉, 닛금이 님금, 임금으로 시대가 지나면서 발음이 변형되었을 거라는 설이다. 치질금의 치는 이를 뜻하는 '니'의 훈차(訓借)이다.단군 왕검처럼 고조선에서 지도자를 뜻하는 표현이던 '왕검'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는 설도 있다. '왕검(王儉)'의 왕(王)자가 임(壬)자와 비슷한 것에서 유추하여 '임검(壬儉)', 즉 '임금'의 음차(音借)로 보는 해석도 있다.
태양신 니마와 태음신 고마의 합성어로 보는 설(니마+고마→님곰→임금)도 있다.
용비어천가에 임금이 '님금'으로 적힌 것으로 보아 군주를 뜻하는 '금'(검[神, 皇帝])에 높임말 '님'이 결합한 것으로 보는 설 등이 있다.
《삼국유사》에서는 김대문의 글을 인용해 이사금의 어원을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남해왕이 죽은 후, 그의 아들 유리는 석탈해가 어질다 하여 왕위를 그에게 양보하려고 했다. 탈해는 이를 여러 번 사양했으나 유리가 연이어 청하자 말하기를,
"옛날부터 덕이 있는 사람은 이의 수가 많다고 하니, 떡을 깨물어서 잇금이 많은 사람이 왕이 되도록 합시다."
결국 이빨 자국이 많은 유리왕이 먼저 왕위에 올랐고, 석탈해는 유리의 뒤를 이어 군주가 되었다. 이 때부터 신라에서는 군주를 이사금이라고 부르게 되었는데, 이사금이란 잇금(잇자국)이 많은 분이란 뜻이라고 한다.
옛날에는 이의 수가 많은 사람이 똑똑하다고 생각하는 관념이 있었다. 중국이나 서양에서도 비슷한 관념이 있었다. 송나라 시대에 쓰여진 관상학 서적 마의상법(麻衣相法)에서는 '치아가 38개면 군주나 제후이고, 36개면 상층의 부유한 부류들인 관료나 갑부, 32개면 중인(中人), 30개면 서민, 28개면 하층의 가난한 부류들인 천민이나 노비다.'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신라와 시대 차이가 상당히 나지만, 치아가 많을수록 현명하고 존귀하다는 인식이 하루아침에 튀어나왔을리는 없으니 참고할 만하다. 참고로 따로 치아질환이 없다면 일반인의 치아 갯수는 사랑니까지 포함해 32개다. 서양의 아리스토텔레스 역시 남성이 여성보다 우월함을 전제로 하고 남성의 이빨이 여성보다 많을 것이라 주장한 바가 있다고. (출처 : 아리스토텔레스, 《동물지》 2권 1장)."옛날부터 덕이 있는 사람은 이의 수가 많다고 하니, 떡을 깨물어서 잇금이 많은 사람이 왕이 되도록 합시다."
결국 이빨 자국이 많은 유리왕이 먼저 왕위에 올랐고, 석탈해는 유리의 뒤를 이어 군주가 되었다. 이 때부터 신라에서는 군주를 이사금이라고 부르게 되었는데, 이사금이란 잇금(잇자국)이 많은 분이란 뜻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 유래담은 ‘이가 많으면 현명하다’는 김대문 당대(통일 신라 시기)의 속설에 기대어 용어의 의미를 풀이한 일종의 민간어원에 가깝다. 즉, 그 어원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고유어의 유래를 정치적 일화와 관련시켜 재미있게 꾸며낸 이야기로 보는 편이 옳을 것이다.
한편, 승정원일기 등 한자로 기록된 공식 기록에서는 인군(人君)이라는 표기되어 있으며 고려사 등의 고려 기록 역시 인군(人君)으로 쓰고 있다. 일단 인군이란 단어 자체는 춘추좌씨전에도 나올 정도로 군주를 일컫는 오랜 표현 중 하나로, 청나라 시대에도 황제를 일컬을 때 쓰이는 등 오랫동안 제법 자주 쓰인 단어였다. 다만 유독 조선, 고려 등 한국에서 많이 쓰였는데, 마침 뜻이 유사한 한자어가 발음마저 유사한 탓에 임금을 한자로 표기할 때 인군(人君)으로 대체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일각에서는 오히려 인군(人君)에서 우리말 임금이 유래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하지만 중세 한국어 어형인 '님금'부터가 '인군'의 당시 한자음인 'ᅀᅵᆫ군'과는 거리가 있을뿐더러 신라시대의 어형인 '닛금'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음운적 유사성은 더욱 떨어지기 때문에 학계에서는 이러한 설을 정설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가 펴낸 조선어 홍보물이나 친일 조선인 인사들의 글에서는 천황을 가리켜 '임금님'이나 '나라님'이라고 일컫기도 했었다.
3. 용례
- 한자로 '林檎'(임금)이라 쓰인 말이 있다면 이는 사과 혹은 더 정확히 능금을 뜻하는 말로, 우리가 아는 '임금님'의 뜻으로 쓰인 게 아니다. 두음법칙 때문에 '임금'이 되었을 뿐 '수풀 림(林)'자가 쓰인 '림금'이다. 현재 한국에서는 한의학적 성질을 얘기하거나 사과 품종을 설명하다가 나오는 게 아닌 이상 쓰이는 일이 없는 단어지만, 일본에서는 아직도 사과를 [ruby(林檎, ruby=りんご)]라고 한다. 한글로 발음을 옮겨 적으면 링-고에 가깝다.
- "가난은 나라님도 못 구한다."라는 속담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