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메이지 시대| 메이지 시대 ]]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이토 히로부미 | 구로다 기요타카 | 야마가타 아리토모 | 마쓰카타 마사요시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이토 히로부미 | 마쓰카타 마사요시 | 이토 히로부미 | 오쿠마 시게노부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야마가타 아리토모 | 이토 히로부미 | 가쓰라 다로 | 사이온지 긴모치 | |
제13대 | 제14대 | |||
가쓰라 다로 | 사이온지 긴모치 | |||
[[다이쇼 시대| 다이쇼 시대 ]] | ||||
제15대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
가쓰라 다로 | 야마모토 곤노효에 | 오쿠마 시게노부 | 데라우치 마사타케 | |
제19대 | 제20대 | 제21대 | 제22대 | |
하라 다카시 | 다카하시 고레키요 | 가토 도모사부로 | 야마모토 곤노효에 | |
제23대 | 제24대 | 제25대 | ||
기요우라 게이고 | 가토 다카아키 | 와카쓰키 레이지로 | ||
[[쇼와 시대| 쇼와 시대 ]] |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제29대 | |
다나카 기이치 | 하마구치 오사치 | 와카쓰키 레이지로 | 이누카이 쓰요시 | |
제30대 | 제31대 | 제32대 | 제33대 | |
사이토 마코토 | 오카다 게이스케 | 히로타 고키 | 하야시 센주로 | |
제34대 | 제35대 | 제36대 | 제37대 | |
고노에 후미마로 | 히라누마 기이치로 | 아베 노부유키 | 요나이 미쓰마사 | |
제38·39대 | 제40대 | 제41대 | 제42대 | |
고노에 후미마로 | 도조 히데키 | 고이소 구니아키 | 스즈키 간타로 | |
[[쇼와 시대| 쇼와 시대 ]] | ||||
제43대 | 제44대 | 제45대 | 제46대 | |
시데하라 기주로 | 요시다 시게루 | 가타야마 데쓰 | ||
제47대 | 제48-51대 | 제52-54대 | 제55대 | |
아시다 히토시 | 요시다 시게루 | 하토야마 이치로 | 이시바시 단잔 | |
제56·57대 | 제58-60대 | 제61-63대 | 제64·65대 | |
기시 노부스케 | 이케다 하야토 | 사토 에이사쿠 | 다나카 가쿠에이 | |
제66대 | 제67대 | 제68·69대 | 제70대 | |
미키 다케오 | 후쿠다 다케오 | 오히라 마사요시 | 스즈키 젠코 | |
제71-73대 | 제74대 | |||
나카소네 야스히로 | 다케시타 노보루 | |||
[[헤이세이 시대| 헤이세이 시대 ]] | ||||
제75대 | 제76·77대 | 제78대 | 제79대 | |
우노 소스케 | 가이후 도시키 | 미야자와 기이치 | 호소카와 모리히로 | |
제80대 | 제81대 | 제82·83대 | 제84대 | |
하타 쓰토무 | 무라야마 도미이치 | 하시모토 류타로 | 오부치 게이조 | |
제85·86대 | 제87-89대 | 제90대 | 제91대 | |
모리 요시로 | 고이즈미 준이치로 | 아베 신조 | 후쿠다 야스오 | |
제92대 | 제93대 | 제94대 | 제95대 | |
아소 다로 | 하토야마 유키오 | 간 나오토 | 노다 요시히코 | |
제96-98대 | ||||
아베 신조 | ||||
[[레이와 시대| 레이와 시대 ]] | ||||
제99대 | 제100·101대 | 제102·103대 | 제104대 | |
스가 요시히데 | 기시다 후미오 | 이시바 시게루 | ||
← 태정대신 섭관 · 원정 · 헤이케 · 가마쿠라 · 무로마치 오다 · 도요토미 · 에도 · 내무경 · 총리 | }}}}}}}}} |
'''일본국 제46대 내각총리대신 가타야마 데쓰''' | |||
| |||
<colbgcolor=#0230AE><colcolor=#c3c965> 출생 | 1887년 7월 28일 | ||
와카야마현 타나베시 | |||
사망 | 1978년 5월 30일 (향년 90세) | ||
가나가와현 후지사와시 | |||
재임기간 | 제46대 내각총리대신 | ||
1947년 5월 24일 ~ 1948년 3월 10일 | |||
서명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230AE><colcolor=#c3c965> 학력 | 와카야마 현립 타나베 중학교 (졸업) 제3고등학교[1] (졸업) 도쿄제국대학 법학부 (독일법학 / 학사) | |
종교 | 개신교 | ||
정당 | [[사회대중당(일본)| 사회대중당 ]]동교회 [2] | ||
파벌 | |||
지역구 | 가나가와 3구 | ||
의원 선수 | 10 (중) | ||
의원 대수 | 17, 19, 20, 22, 23, 25, 26, 27, 28, 29 | ||
약력 | 간이법률상담소 변호사 중의원 의원 사회민중당 서기장 사회대중당 중앙집행위원회 위원 초대 일본사회당 집행부 서기장 초대 일본사회당 중앙집행위원장 제46대 내각총리대신 | }}}}}}}}} |
1. 개요
일본의 정치인이자 제46대 내각총리대신이다.불과 소수 연립 내각으로 집권했으나, 최초의 일본사회당 소속 내각총리대신이다. 두 번째이자 현재까지 마지막 총리는 무라야마 도미이치.[3] 또한 일본에서 몇 안 되는 기독교 신자 총리[4]이기도 하다. 전후의 혼란 속에 겨우 9개월 보름간 집권했다.
2. 생애
2.1. 초기
와카야마현 출생. 도쿄제국대학 법학부에 들어가지만 아는 사람이 없어서 동향 사람이었던 군함행진곡의 작사가 도리야마 히라쿠(鳥山啓, 1837-1914)의 집에서 하숙했다고 한다. 대학 졸업 후에는 YMCA의 기숙사 일부를 빌려서 일본농민총동맹의 변호사로 활동했다.당시 점점 군국화되어 가는 일본을 보며 사회 개혁파로 젊어서부터 정치 참여를 시도했는데, 1926년 아베 이소오와 사회민중당을 결성했고 1930년에는 사회대중당 소속으로 중의원에 당선된 뒤 1942년까지 계속 당선되며 중의원 활동을 했지만, 1941년 도조 히데키의 집권 이후 비판 세력을 제거, 숙청하던 도조에게 말 그대로 찍혔다. 이후 사회대중당은 반국가단체로 몰려 강제 해산 당했고, 가타야마는 도조 내각과 태평양 전쟁을 반대하는 지하 활동에 참가했다가 잡혀가기도 했다. 이 시절 하토야마 이치로가 反군부, 反도조 내각의 기치를 내걸고 설립한 원내회파인 동교회[5]에 소속되어 활동했다.
2.2. 정치 경력
1945년 전쟁이 끝나자 일본사회당을 결성해 초대 서기장에 올랐고, 이듬해에는 일본사회당 초대 중앙집행위원장에 선출되어 정치 활동을 재개했다. 1947년 요시다 내각이 연합군과 노동조합에 끌려다니다가 지지도를 잃고 총선거에서 2당으로 내려앉았고, 가타야마가 속한 일본사회당이 1당이 되었다.1947년 당시 사회당의 의석 점유율은 미묘한 수준이었는데, 사회당이 1당이 되었지만 단독 내각을 꾸리고 유지할 만한 수준에는 크게 못 미쳤다.[6] 그리고 3당이었던 일본민주당의 아시다 히토시가 우파였기 때문에, 가타야마는 요시다가 아시다와 연합해 연립 내각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했고 자신이 총리직에 오를 거라고 예상하지 않았다. 그러나 가타야마의 예상과 달리 요시다와 아시다의 연합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요시다가 오히려 총사퇴하고 물러나 버리자 총리 자리가 사회당 중앙집행위원장이던 그에게 돌아갔다.
가타야마는 뒤늦게 자신이 총리가 되었다는 소식을 듣자, 옆에 있던 당 간부에게 매우 당황해하며 말했다고 한다. "이거 큰일 났네."
2.3. 총리 시절
|
46대 총리 취임 후 |
우파와 연합했지만 일단은 좌파 성향이었던 가타야마 내각은 집권 후 여러 가지 개혁을 주도했다. 일본제국 시절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둘렀던 일본 내무성을 해체했고, 국가공무원법을 제정해 국가 공무원의 단체 교섭권과 쟁의권을 보장했으며[7], 후생노동성의 전신인 노동성을 설치해 노동자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노력했다. 또 실업급여 제도를 제정했으며 제국 시대의 봉건적인 가족제도를 담은 민법을 대거 현대적으로 뜯어고쳤다. 또 사회주의적 경제채제를 수립하기 위해 일본사회당의 주도로 탄광 국유화 정책을 추진했는데, 처음에는 반발이 심했지만 결과적으로는 꽤 긍정적으로까지 평가될 만한 업적이었다. 그러나 가타야마가 오랫동안 정권을 유지하지 못한 이유는 자신이 속한 집권 사회당의 분열에서 초래되었다.
연립 정권이었으나 일단 최대 정당을 형성한 일본사회당은 가타야마의 집권 이후 분열되기 시작했다. 사회당 안에서 좌우파로 갈라진 계파가 대장성에서 제출한 세금 인상안을 놓고 격돌했고[8], 결국 원래부터 우파였던 민주당이 연립 정권을 깨고 나가버렸다. 순식간에 일어난 참상에 가타야마는 책임을 지고 사임을 했고 민주당이 사회당 우파와 손을 잡아 새로운 연립 정권을 수립하게 되었고 아시다 히토시가 총리직을[9] 받으며 다시 연립 정권이 시작되었다.
이후 사회당은 결국 좌우로 분열되어 자기들끼리 치고받고 싸웠다. 그러나 1955년 우파인 자유당과 일본민주당이 자유민주당으로 합당하여 보수 대연합을 실현시키자, 이에 자극받아 다시 통합하여 집권 자민당 vs 제1야당 사회당의 일명 55년 체제가 성립되었다. 그러나 사회당 내 노선 투쟁이 다시 벌어져서 결국 사회당 내 우파 일부 계파가 1959년에 민사당으로 떨어져 나갔다.
여담이지만 가타야마 데쓰도 민사당 창당에 나섰지만 1963년 총선에서 낙선하고 그대로 정계 은퇴를 하였다. 이후 1978년 5월 30일에 향년 90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사인은 노환. 고별식은 이틀 뒤인 동년 6월 1일 그가 사망한 가나가와현 후지사와시의 자택에서 기독교식으로 거행되었다.
2.4. 정계 은퇴 이후
|
말년의 가타야마 |
그래도 총리직 사퇴 후에도 전직 총리로서 원로로는 대우받은 것인지 1960년 기시 노부스케 총리가 안보투쟁으로 인해 궁지에 몰리자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왕, 이시바시 단잔 전 총리와 함께 사퇴를 권고하는 등 활동을 펼치기도 했다.
3. 선거 이력
연도 | 선거 종류 | 지역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30 | 제17회 일본 중의원 총선거 | 가나가와 2구 | ''' 사회민중당 ''' | - | 당선 (4위) | 초선 |
1936 | 제19회 일본 중의원 총선거 | [[사회대중당(일본)| 사회대중당 ]] | - | 당선 (2위) | 재선 | |
1937 | 제20회 일본 중의원 총선거 | - | 3선 | |||
1946 | 제22회 일본 중의원 총선거 | 가나가와 전현구 | | - | 당선 (1위) | 4선 |
1947 | 제23회 일본 중의원 총선거 | 가나가와 3구 | 55,515 (20.34%) | 당선 (1위) | 5선 | |
1949 | 제24회 일본 중의원 총선거 | 31,214 (9.71%) | 낙선 (6위) | |||
1952 | 제25회 일본 중의원 총선거 | 102,838 (28.10%) | 당선 (1위) | 6선[a] | ||
1953 | 제26회 일본 중의원 총선거 | 81,402 (23.58%) | 7선[a] | |||
1955 | 제27회 일본 중의원 총선거 | 58,923 (15.22%) | 당선 (2위) | 8선[a] | ||
1958 | 제28회 일본 중의원 총선거 | 60,589 (14.67%) | 당선 (4위) | 9선 | ||
1960 | 제29회 일본 중의원 총선거 | | 48,541 (11.71%) | 당선 (5위) | 10선 | |
1963 | 제30회 일본 중의원 총선거 | 51,525 (10.90%) | 낙선 (6위) |
4. 매체에서
Hearts of Iron IV에서는 일본이 문민 정부 강화 루트를 타서 민주주의 내전이 시작하면 민주주의 측 지도자로 등장한다. 일본 민주 내전이 발발하면 한국, 만주국이 독립한다.[13] 이후 서양 열강으로부터 동남아 식민지의 관리 권한을 넘겨받을 수 있다. 여담으로 국내에서는 왠지 모르게 초상화가 하정우를 닮았다는 소리를 듣고 있다.5. 기타
오늘날 가타야마 데쓰라는 사람은 성품 자체는 상당히 훌륭한, '사람 좋은 사람'이었다고 평가되지만, 그의 성품과 지도력으로는 사회당 내부의 분열을 막기가 힘들었고 총리 재직 시기도 사회당 내부에 이리저리 끌려다닌 면이 있다. 우연찮게도 그의 뒤를 이어 일본사회당의 두번째 총리이자 마지막 총리가 된 무라야마 도미이치도 유사한 평가를 받았다.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000,#e5e5e5 | 전전 농림대신 (1925~1943) | |||||||||
초대 다카하시 고레키요 | 2대 오카자키 쿠니스케 | 3대 하야미 세이지 | 4·6대 마치다 추지 | |||||||
5·7대 야마모토 테이지로 | 4·6대 마치다 추지 | 5·7대 야마모토 테이지로 | 8대 고토 후미오 | |||||||
9·11·20대 야마자키 타츠노스케 | 10·16대 시마다 토시오 | 9·11·20대 야마자키 타츠노스케 | 12대 아리마 요리야스 | 13대 사쿠라우치 유키오 | ||||||
14·16대 고도 타쿠오 | 15대 사카이 타다마사 | 10·16대 시마다 토시오 | 17대 고노에 후미마로 | 18대 이시구로 타다아츠 | ||||||
19대 이노 히로야 | 9·11·20대 야마자키 타츠노스케 | |||||||||
전후 농림대신 (1945~1978) | ||||||||||
초대 센고쿠 고타로 | 2대 마츠무라 켄조 | 3대 소에지마 센파치 | 4대 와다 히로오 | 5대 요시다 시게루 | ||||||
임시대리 가타야마 데쓰 | 6대 히라노 리키조 | 7대 하타노 카나에 | 8대 나가에 가즈오 | 임시대리 요시다 시게루 | ||||||
9대 스토 히데오 | 10대 모리 고타로 | 12·14·16대 히로카와 고젠 | 13대 네모토 류타로 | 15대 오가사와라 산쿠로 | ||||||
12·14·16대 히로카와 고젠 | 17대 타코 이치민 | 18대 우치다 나오야 | 19대 호리 시게루 | |||||||
20-21·22대 고노 이치로 | 23·24대 이데 이치타로 | |||||||||
25대 아카기 무네노리 | 26대 미우라 쿠니오 | |||||||||
27대 후쿠다 다케오 | 28대 난조 도쿠오 | 29대 스토 히데오 | 30대 고노 이치로 | |||||||
31대 시게마사 세이지 | 32·33·34대 아카기 무네노리 | |||||||||
35대 사카타 에이치 | 36대 마쓰노 라이조 | 37·38대 쿠라이시 타다오 | 39대 니시무라 나오미 | |||||||
40대 하세가와 시로 | 41대 쿠라이시 타다오 | 42대 아카기 무네노리 | 43대 아다치 도쿠조 | 44대 사쿠라우치 요시오 | ||||||
45대 쿠라이시 타다오 | 46대 아베 신타로 | 47대 오이시 부이치 | 48대 스즈키 젠코 | |||||||
49대 나카가와 이치로 | ||||||||||
농림수산대신(1978년~현재)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초대 나카가와 이치로 | 2대 와타나베 미치오 | 3대 무토 가분 | 4대 가메오카 다카오 | 5대 다자와 기치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6대 가네코 이와조 | 7대 야마무라 신지로 | 8대 사토 모리요시 | 9·12대 하타 쓰토무 | 10대 가토 무쓰키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1대 사토 다카시 | 9·12대 하타 쓰토무 | 13대 호리노우치 히사오 | 14·51·52대 카노 미치히코 | 15대 야마모토 도미오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6대 곤도 모토지 | 17대 다나부 마사미 | 18대 미야자와 기이치 | 19대 하타 에이지로 | 20대 가토 무쓰키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21대 오가와라 다이치로 | 22대 노로타 호세이 | 23대 오하라 이치조 | 24대 후지모토 다카오 | 25대 오치 이헤이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26대 시마무라 요시노부 | 27·40대 나카가와 쇼이치 | 28·29대 다마자와 도쿠이치로 | 30대 다니 요이치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31대 야쓰 요시오 | 32대 다케베 쓰토무 | 33대 오시마 다다모리 | 34·35대 가메이 요시유키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36대 시마무라 요시노부 | 37대 고이즈미 준이치로 | 38·39대 이와나가 미네이치 | 27·40대 나카가와 쇼이치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41대 마쓰오카 도시카쓰 | 42대 아카기 노리히코 | 43·45·46대 와카바야시 마사토시 | 44대 엔도 다케히코 | 43·45·46대 와카바야시 마사토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43·45·46대 와카바야시 마사토시 | 47대 오타 세이이치 | 48대 이시바 시게루 | 49대 아카마츠 히로타카 | 50대 야마다 마사히코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4·51·52대 카노 미치히코 | 53대 군지 아키라 | 54·57대 하야시 요시마사 | 55·56대 니시카와 고야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55·56대 니시카와 고야 | 54·57대 하야시 요시마사 | 58대 모리야마 히로시 | 59대 야마모토 유지 | 60·61대 사이토 겐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60·61대 사이토 겐 | 62대 요시카와 다카모리 | 63·71대 에토 다쿠 | 64대 노가미 고타로 | 65·66대 가네코 겐지로 | ||||||
65·66대 가네코 겐지로 | 67대 노무라 데쓰로 | 68대 미야시타 이치로 | 69대 사카모토 데쓰시 | 70대 오자토 야스히로 | ||||||
63·71대 에토 다쿠 | 72대 고이즈미 신지로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000,#e5e5e5 | 외무경 (1869년~1879년) · 외무사무총재 (1873년) | |||||||||||
초대 사와 노부요시 | 2대 이와쿠라 도모미 | 3대 소에지마 다네오미 | 4대 데라시마 무네노리 | 5대 이노우에 가오루 | ||||||||
전전 외무대신 (1885년~1945년)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5대 이노우에 가오루 | 6대 이토 히로부미 | 7대 오쿠마 시게노부 | 8대 아오키 슈조 | 9대 에노모토 다케아키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0대 무쓰 무네미쓰 | 11대 사이온지 긴모치 | 12대 오쿠마 시게노부 | 13대 니시 토쿠지로 | 14대 오쿠마 시게노부 | ||||||||
15대 아오키 슈조 | 16대 가토 다카아키 | 17대 소네 아라스케 | 18대 코무라 주타로 | 19대 가토 다카아키 | ||||||||
20대 사이온지 긴모치 | 21대 하야시 타다스 | 22대 데라우치 마사타케 | 23대 코무라 주타로 | 24대 우치다 고사이 | ||||||||
25대 가쓰라 다로 | 26대 가토 다카아키 | 27대 마키노 노부아키 | 28대 가토 다카아키 | 29대 오쿠마 시게노부 | ||||||||
30대 이시이 키쿠지로 | 31대 데라우치 마사타케 | 32대 모토노 이치로 | 33대 고토 신페이 | 34대 우치다 고사이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34대 우치다 고사이 | 35대 야마모토 곤노효에 | 36대 이주인 히코키치 | 37대 마츠이 케이시로 | 38대 시데하라 기주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39대 다나카 기이치 | 40대 시데하라 기주로 | 41대 이누카이 쓰요시 | 42대 요시자와 겐키치 | 43대 사이토 마코토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44대 우치다 고사이 | 45대 히로타 고키 | 46대 아리타 하치로 | 47대 하야시 센주로 | 48대 사토 나오타케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49대 히로타 고키 | 50대 우가키 가즈시게 | 51대 고노에 후미마로 | 52대 아리타 하치로 | 53대 아베 노부유키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54대 노무라 기치사부로 | 55대 아리타 하치로 | 56대 마츠오카 요스케 | 57대 토요다 테이지로 | 58대 도고 시게노리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59대 도조 히데키 | 60대 타니 마사유키 | 61대 시게미쓰 마모루 | 62대 스즈키 간타로 | 63대 도고 시게노리 | ||||||||
전후 외무대신 (1945년~현재)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64대 시게미쓰 마모루 | 65대 요시다 시게루 | 66대 가타야마 데쓰 | 67·68대 아시다 히토시 | 69·70·71대 요시다 시게루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72·73·74대 오카자키 카츠오 | 75·76·77대 시게미쓰 마모루 | 78대 이시바시 단잔 | 79·80대 기시 노부스케 | 81·82대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83·84대 고사카 젠타로 | 85·86대 오히라 마사요시 | 87·88대 시이나 에쓰사부로 | 89·90대 미키 다케오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91대 사토 에이사쿠 | 92·93대 아이치 기이치 | 94대 후쿠다 다케오 | 95·96대 오히라 마사요시 | 97대 키무라 토시오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98대 미야자와 기이치 | 99대 고사카 젠타로 | 100대 하토야마 이이치로 | 101·102대 소노다 스나오 | 103대 오키타 사부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04대 이토 마사요시 | 105대 소노다 스나오 | 106대 사쿠라우치 요시오 | 107·108대 아베 신타로 | 109대 쿠라나리 타다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10대 우노 소스케 | 111대 미쓰즈카 히로시 | 112대 나카야마 타로 | 113·114대 와타나베 미치오 | 115대 무토 카분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16대 하타 쓰토무 | 117대 가키자와 고지 | 118대 고노 요헤이 | 119·120대 이케다 유키히코 | 121대 오부치 게이조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22대 고무라 마사히코 | 123·124·125대 고노 요헤이 | 126대 다나카 마키코 | 127대 고이즈미 준이치로 | 128·129대 카와구치 요리코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30·131대 마치무라 노부타카 | 132·133대 아소 다로 | 134대 마치무라 노부타카 | 135대 고무라 마사히코 | 136대 나카소네 히로후미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37·138대 오카다 가쓰야 | 139대 마에하라 세이지 | 140대 에다노 유키오 | 141대 마쓰모토 다케아키 | 142대 겐바 고이치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43·144대 기시다 후미오 | 145·146대 고노 다로 | 147-149대 모테기 도시미쓰 | 150대 기시다 후미오 | 151대 하야시 요시마사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52대 가미카와 요코 | 153·154대 이와야 다케시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1기 체신대신 (1885년~1943년) | ||||
초대 에노모토 다케아키 | 2대 고토 쇼지로 | ||||
3대 구로다 기요타카 | 4대 와타나베 구니타케 | 5대 시라네 센이치 | 6대 노무라 야스시 | ||
7대 스에마츠 겐초 | 8대 하야시 유조 | 9·12대 요시카와 아키마사 | 10대 호시 토오루 | 11·16대 하라 다카시 | |
9·12대 요시카와 아키마사 | 13대 소네 아라스케 | 14대 오우라 카네타케 | 15대 야마가타 이사부로 | 11·16대 하라 다카시 | |
17대 홋타 마사야스 | 18·20대 고토 신페이 | 19대 하야시 타다스 | 18·20대 고토 신페이 | 21대 모토다 하지메 | |
22대 다케토미 도키토시 | 23대 미노우라 카츤도 | 24대 덴 겐지로 | 25대 노다 우타로 | ||
26대 마에다 토시사다 | 27·29대 이누카이 쓰요시 | 28대 후지무라 요시로 | 27·29대 이누카이 쓰요시 | 30대 아다치 켄조 | |
30대 아다치 켄조 | 31·38대 모치즈키 케이스케 | 32대 쿠하라 후사노스케 | 33대 고이즈미 마타지로 | ||
34대 미츠치 추조 | 35대 미나미 히로시 | 36대 도코나미 다케지로 | 37대 오카다 게이스케 | 31·38대 모치즈키 케이스케 | |
39대 타노모기 케이키치 | 40대 야마자키 타츠노스케 | 41대 코다마 히데오 | 42·45대 나가이 류타로 | 43대 시오노 스에히코 | |
44대 타나베 하루미치 | 42·45대 나가이 류타로 | 46대 카츠 마사미치 | 47대 무라타 쇼조 | 48대 데라시마 겐 | |
49대 핫타 요시아키 | |||||
운수통신대신 (1943년~1945년) | |||||
초대 핫타 요시아키 | 2대 고토 케이타 | 3대 마에다 요네조 | 4대 토요다 테이지로 | 5대 고비야마 나오토 | |
체신원총재 (내각) (1945년~1946년) | |||||
초대 시오바라 도키사부로 | 2대 마츠마에 시게요시 | ||||
제2기 체신대신 (1946년~1949년) | |||||
50대 히토츠마츠 사다요시 | - 가타야마 데쓰 | 51대 미키 다케오 | 52대 도미요시 에이지 | 임시대리 요시다 시게루 | |
우정대신, 운수대신으로 승계 | |||||
53대 후루하타 도쿠야 | 54대 오자와 사에키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FFF> 내무경 (1873년~1885년) | |||||||
초대 오쿠보 도시미치 | 제2대 기도 다카요시 | 제3대 오쿠보 도시미치 | ||||||
제4대 이토 히로부미 | 제5대 오쿠보 도시미치 | 제6대 이토 히로부미 | ||||||
제7대 마쓰카타 마사요시 | 제8대 야마다 아키요시 | 제9대 야마가타 아리토모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FFF> 내무대신 (1885년~1947년) | ||||
초대 야마가타 아리토모 | 제임시대리 마쓰카타 마사요시 | 초대 야마가타 아리토모 | ||||||
제2대 사이고 주도 | 제3대 시나가와 야지로 | 제4대 소에지마 다네오미 | 5대 마쓰카타 마사요시 | 제6대 고노 도가마 | ||||
제7대 이노우에 가오루 | 제8대 노무랴 야스시 | 제9대 요시카와 아키마사 | 제10대 이타가키 다이스케 | 제11대 가바야마 스케노리 | ||||
제12대 요시카와 아키마사 | 제13대 이타가키 다이스케 | 제14대 사이고 주도 | 제15대 스에마쓰 겐초 | 제16대 우츠미 타다카츠 | ||||
제17대 고다마 겐타로 | 제18대 가쓰라 다로 | 제19대 요시카와 아키마사 | 제20대 기요우라 게이고 | 제21대 하라 다카시 | ||||
제22대 히라타 도스케 | 제23대 하라 다카시 | 제24대 오우라 가네타케 | 제25대 하라 다카시 | 제26대 오쿠마 시게노부 | ||||
제27대 오우라 가네타케 | 제28대 오쿠마 시게노부 | 제29대 이치키 기토쿠로 | 제30대 고토 신페이 | 제31대 미즈노 렌타로 | ||||
제32대 도코나미 다케지로 | 제33대 미즈노 렌타로 | 제34대 고토 신페이 | 제35대 미즈노 렌타로 | |||||
제36대 와카쓰키 레이지로 | 제37대 하마구치 오사치 | 제38대 스즈키 기사부로 | 제39대 다나카 기이치 | |||||
제40대 모치즈키 게이스케 | 41대 아다치 겐조 | 제42대 나카하시 토쿠고로 | 제43대 이누카이 쓰요시 | |||||
제44대 스즈키 기사부로 | 제45대 야마모토 타츠오 | 제46대 고토 후미오 | 제47대 우시오 시게노스케 | 제48대 카와라다 카키치 | ||||
제49대 바바 에이이치 | 제50대 스에츠구 노부마사 | 제51대 기도 고이치 | 제52대 오하라 나오시 | 제53대 코다마 히데오 | ||||
제54대 야스이 에이지 | 제55대 히라누마 기이치로 | 제56대 타나베 하루미치 | 제57대 도조 히데키 | 제58대 우자와 미치오 | ||||
제59대 안도 기사부로 | 제60대 오다치 시게오 | 제61대 아베 겐키 | 제62대 야마자키 이와오 | 제63대 호리키리 젠지로 | ||||
제64대 미츠치 추조 | 제65대 오무라 세이이치 | 제66대 우에하라 에츠지로 | 제임시대리 가타야마 데쓰 | 제67대 키무라 코자에몬 | ||||
폐지 | ||||||||
섭관 · 원정 · 헤이케 · 가마쿠라 · 무로마치 오다 · 도요토미 · 에도 · 내무경 · 총리 | }}}}}}}}} |
일본사회당 중앙집행위원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초대 가타야마 데츠 | 제2대 스즈키 모사부로 | ||
제3대 스즈키 모사부로 | 제4대 아사누마 이네지로 | 대행 에다 사부로 | 제5대 가와카미 조타로 | |
제6대 사사키 고조 | 제7대 가쓰마타 세이이치 | 제8대 나리타 도모미 | 제9대 아스카타 이치오 | |
제10대 이시바시 마사시 | 제11대 도이 다카코 | 제12대 타나베 마코토 | 제13대 야마하나 사다오 | |
제14대 무라야마 도미이치 | ||||
| }}}}}}}}}}}} |
일본사회당 집행부서기장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초대 가타야마 데츠 | 제2대 니시오 스에히로 | 제3대 아사누마 이네지로 | 제4대 스즈키 모사부로 |
제5대 아사누마 이네지로 | 제6대 노미조 마사루 | 제7대 와다 히로오 | 제8대 아사누마 이네지로 | |
제9대 에다 사부로 | 제10대 나리타 도모미 | 제11대 야마모토 고이치 | 제12대 이시바시 마사시 | |
제13대 에다 사부로 | 제14대 이시바시 마사시 | 제15대 다가야 신넨 | 제16대 바바 노보루 | |
제17대 히라바야시 다케시 | 제18대 타나베 마코토 | 제19대 야마구치 츠루오 | 제20대 야마하나 사다오 | |
제21대 아카마츠 히로타카 | 제22대 구보 와타루 | |||
사회민주주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colbgcolor=#ff3f9f><colcolor=#fff,#eee> 주요 개념 | 경제적 개입주의 · 공동체주의 · 공정무역 · 국가사회주의 · 국유화ㆍ국제주의 · 노동운동 · 노동조합 · 민주주의(경제민주주의 · 대의민주주의 · 자유민주주의) · 복지국가 · 시민자유 · 자유무역 · 사회개량주의 · 사회 정의 · 사회주의 · 자유주의 · 제3의 길 · 협동조합주의 · 혼합경제 |
연관 이념 | 21세기 사회주의 (일부) · 민주사회주의 ㆍ 사회자유주의 · 윤리적 사회주의 · 자유사회주의 · 좌익 내셔널리즘 (일부) · 진보주의(경제적 진보주의) | |
대표적 인물 |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 · 가타야마 데츠 · 넬슨 만델라 · 다비드 벤구리온 · 라사로 카르데나스 ·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룰라주의) · 무라야마 도미이치 · 버니 샌더스 · 버트런드 러셀 · 브루노 크라이스키 · 빌리 브란트 · 알렉산드르 케렌스키 · 에다 사부로(구조개혁론) · 에이나르 게르하르센 · 올로프 팔메 · 유진 V. 데브스 · 자와할랄 네루 · 제러미 코빈 · 존 커틴 · 타게 엘란데르 · 존 러스킨 · 클레멘트 애틀리 · 토니 블레어(블레어주의) · 페르 알빈 한손 ·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 해럴드 윌슨 | |
단체 | 국제 노동조합 연맹 · 사회당(유럽 사회당) · 사회민주당 ·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 진보동맹 ·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재단 | |
관련 문서 | 노동 시오니즘 · 삼민주의(삼균주의) · 인터내셔널가 · 지도주의 · 키르치네르주의 · 핑크 타이드 · 황색 사회주의 · 국민의 집 | }}}}}}}}} |
[1] 1949년 신학제 개편 때 교토대학에 통합되었다.[2] 1960년 일본사회당에서 탈당하여 결성. 민주사회당은 훗날 신진당으로 흡수된다.[3] 즉 사회당이 다시 여당이 되기까지는 46년이 걸렸다.[4] 전임자 요시다 시게루와 그의 외손자 아소 다로가 가톨릭 신자였고, 하토야마 이치로와 그의 손자 하토야마 유키오, 그리고 오히라 마사요시, 이시바 시게루가 가타야마와 같은 개신교 신자다.[5] 일본자유당의 직접적인 전신이 되는 정당이다.[6] 총 466석 가운데 144석, 30%를 조금 넘는 수준이다.[7] 다만 GHQ가 공무원의 단체 교섭권과 쟁의권에 대해 부정적이어서, 이 부분은 삭제되었다.[8] 사회당 우파와 민주당이 인상안을 찬성하는 가운데, 사회당 좌파가 날치기로 부결을 시켜버렸다. 그걸 안 사회당 우파와 민주당이 빡쳐서 중의원에서 몸싸움을 벌이며 의사봉 레이드를 뛰었다.[9] 요시다 시게루의 자유당과 불과 몇 석 차이로 총리직을 받을 수 있었다.[a]
[a]
[a] [13] 사실 이는 고증오류로 볼 수 있는게, 일본공산당은 식민지 독립을 주장했기 때문에 공산 내전 시 독립하는 건 자연스럽지만 민주주의는 식민지 독립에 별 관심이 없었다. 당장 게임 내 지도에서 아프리카를 보면 대다수 지역이 민주 국가 영국, 프랑스의 식민지다. 게임 내에서 공산 내전시 일본 제국의 식민지로 남아있는 건 일본공산당의 세력이 약해서 그렇다 쳐도 민주 내전 시 독립하는 건 서사적으로 설명하기 어렵다. 내전의 혼란기에 떨어져 나왔다고 하면, 만주국은 강덕제의 지휘 아래 관동군만 어떻게 하면 되지만 한국은 미나미 지로의 조선총독부가 아니면 국내에 지배적인 파벌은 전무했다. 당장 독립군도 국내에 없었다. 게다가 한국은 당시 국내에서 독립운동을 하던 여운형도 아닌 이승만이 집권한다.
[a]
[a] [13] 사실 이는 고증오류로 볼 수 있는게, 일본공산당은 식민지 독립을 주장했기 때문에 공산 내전 시 독립하는 건 자연스럽지만 민주주의는 식민지 독립에 별 관심이 없었다. 당장 게임 내 지도에서 아프리카를 보면 대다수 지역이 민주 국가 영국, 프랑스의 식민지다. 게임 내에서 공산 내전시 일본 제국의 식민지로 남아있는 건 일본공산당의 세력이 약해서 그렇다 쳐도 민주 내전 시 독립하는 건 서사적으로 설명하기 어렵다. 내전의 혼란기에 떨어져 나왔다고 하면, 만주국은 강덕제의 지휘 아래 관동군만 어떻게 하면 되지만 한국은 미나미 지로의 조선총독부가 아니면 국내에 지배적인 파벌은 전무했다. 당장 독립군도 국내에 없었다. 게다가 한국은 당시 국내에서 독립운동을 하던 여운형도 아닌 이승만이 집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