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31 21:03:31

야마가타 이사부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기 체신대신 (1885년~1943년)
초대
에노모토 다케아키
2대
고토 쇼지로
3대
구로다 기요타카
4대
와타나베 구니타케
5대
시라네 센이치
6대
노무라 야스시
7대
스에마츠 겐초
8대
하야시 유조
9·12대
요시카와 아키마사
10대
호시 토오루
11·16대
하라 다카시
9·12대
요시카와 아키마사
13대
소네 아라스케
14대
오우라 카네타케
15대
야마가타 이사부로
11·16대
하라 다카시
17대
홋타 마사야스
18·20대
고토 신페이
19대
하야시 타다스
18·20대
고토 신페이
21대
모토다 하지메
22대
다케토미 도키토시
23대
미노우라 카츤도
24대
덴 겐지로
25대
노다 우타로
26대
마에다 토시사다
27·29대
이누카이 쓰요시
28대
후지무라 요시로
27·29대
이누카이 쓰요시
30대
아다치 켄조
30대
아다치 켄조
31·38대
모치즈키 케이스케
32대
쿠하라 후사노스케
33대
고이즈미 마타지로
34대
미츠치 추조
35대
미나미 히로시
36대
도코나미 다케지로
37대
오카다 게이스케
31·38대
모치즈키 케이스케
39대
타노모기 케이키치
40대
야마자키 타츠노스케
41대
코다마 히데오
42·45대
나가이 류타로
43대
시오노 스에히코
44대
타나베 하루미치
42·45대
나가이 류타로
46대
카츠 마사미치
47대
무라타 쇼조
48대
데라시마 겐
49대
핫타 요시아키
운수통신대신 (1943년~1945년)
초대
핫타 요시아키
2대
고토 케이타
3대
마에다 요네조
4대
토요다 테이지로
5대
고비야마 나오토
체신원총재 (내각) (1945년~1946년)
초대
시오바라 도키사부로
2대
마츠마에 시게요시
제2기 체신대신 (1946년~1949년)
50대
히토츠마츠 사다요시
-
가타야마 데쓰
51대
미키 다케오
52대
도미요시 에이지
임시대리
요시다 시게루
우정대신, 운수대신으로 승계
53대
후루하타 도쿠야
54대
오자와 사에키
}}}}}}}}}
조선총독부 초대 정무총감
일본 제국 제15대 체신대신
야마가타 이사부로
山縣 伊三郎 | Yamagata Isaburō
파일:야마가타 이사부로 2.png
<colbgcolor=#CD351A><colcolor=#fff> 출생 1858년(안세이 5) 2월 6일
사망 1927년(쇼와 2) 9월 24일
부모 양부: 야마가타 아리토모(山縣 有朋)
양모: 야마가타 도모코(山縣 友子)
생부: 가츠 가네스케(勝津 兼亮)
생모: 가츠 도시코(勝津 壽子)
위계 정2위
훈등 훈1등
작위 공작

1. 개요2. 생애3. 여담4. 둘러보기

1. 개요

일본 제국의 고위관료, 정치가. 한국 부통감, 조선총독부 정무총감, 일본 제국 체신대신, 귀족원 의원 등을 역임했다.

2. 생애

조슈번 번사 가츠 가네스케(勝津 兼亮)와 야마가타 아리토모(山縣 有朋)의 누나 도시코(壽子)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메이지 유신의 원훈이었던 아리토모는 3남 4녀를 두었으나 차녀를 제외하고 모두 요절하여 야마가타 가문을 이어갈 자손이 없었기 때문에 조카인 이사부로를 양자로 들였다.

1871년(메이지 4) 이와쿠라 사절단을 따라 독일에 유학했다. 외무성 번역 견습으로 시작해 독일 주재 공사관 근무를 거쳐 1883년(메이지 16) 태정관에 들어가 에히메현 서기관, 내무성 서기관을 역임했다. 1896년(메이지 29) 도쿠시마현지사가 되었고, 이후 미에현지사가 되었다. 1901년(메이지 34) 내무성 지방국장이 되었고, 총무장관·차관을 거쳐 제1차 가쓰라 다로(桂 太郎) 내각에서 내무 행정을 총괄했다.

1906년(메이지 39) 제1차 사이온지 내각에서 체신대신으로 입각하여 철도 국유법을 성립했으나, 철도건설 예산 문제로 재무대신 사카타니 요시로(阪谷 芳郎)와 갈등하여 1908년(메이지 41) 1월 체신대신을 사임했다. 동년 7월 귀족원 의원에 칙선되었다.

1910년(메이지 43) 6월 한국부통감으로 부임해 한일합병을 진행했다. 이후 초대 조선총독부 정무총감 및 중추원 의장을 역임했다. 정무총감으로 있으면서 언론·출판 통제를 강화하고 일진회 등 한국 정치 단체를 모두 해산시켰다. 또한 해수구제사업을 주도했는데, 이것이 한반도에서 호랑이가 멸종하게 되는 결정적인 원인이 된다. 각종 제도 정비와 토지 제도 조사 등 식민 정책 전반을 지휘했다. 1916년(다이쇼 5) 하세가와 요시미치(長谷川 好道) 조선총독 밑에서 조선신궁(朝鮮神宮) 건립에 참여했다.

하라 다카시 총리의 강력한 의지로 1919년 3.1 운동 이후 문관 조선총독에 임명될 예정이었으나, 실제로는 해군 대장 사이토 마코토가 임명되었다. 이후 관동장관을 지냈고, 1922년(다이쇼 11) 추밀원 고문관에 임명되었으며, 같은 해 양부 야마가타 아리토모가 사망하여 공작 작위를 계승했다. 1925년(다이쇼 14) 1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총독 방문에 대한 답례사(答禮使)로 파견되었다.

야마가타 공작 가문은 아들 아리미치(有道)가 이어받았으며, 아리미치는 궁중에 출사하여 시종(侍従), 식부관(式部官) 등을 역임했다. 양자 아리미츠(有光)는 분가하여 야마가타 남작가(男爵家)를 세웠다.

3. 여담

파일:이사부로 및 신페이.png
이사부로·신페이
1996년부터 2020년까지 JR규슈(JR九州)[1]가 구마모토역(熊本駅)·히토요시역(人吉駅) - 요시마츠역(吉松駅) 구간을 가고시마 본선(鹿児島本線)·히사츠선(肥薩線) 경유로 운행했던 임시 특별급행열차 및 보통열차의 애칭이 '이사부로·신페이'였다. 해당 철도 구간 완공 또는 개통 당시에 체신대신이었던 야마가타 이사부로, 철도원 총재였던 고토 신페이(後藤 新平)의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다.

야타케(矢岳) 제1터널의 야타케 방면 입구에는 이사부로가 쓴 천험약이(天険若夷, 텐켄자쿠이), 요시마츠 방면 입구에는 신페이가 쓴 인중치원(引重致遠, 인초치엔)이라는 편액이 남아 있다.[2] 즉 이사부로 호와 신페이 호는 각각 그 이름의 유래가 된 인물이 휘호(揮毫)를 쓴 편액을 향해 달리는 형태가 되도록 한 것이다.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61041, #062861 20%, #062861 80%, #06104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ECCD7A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ECCD7A>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야마가타 이사부로 미즈노 렌타로 아리요시 주이치 시모오카 주지
<rowcolor=#ECCD7A>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유아사 구라헤이 이케가미 시로 고다마 히데오 이마이다 기요노리
<rowcolor=#ECCD7A> 제9대 제10대 제11대
오노 로쿠이치로 다나카 다케오 엔도 류사쿠
<nopad> ※ 조선총독부 정무총감이 중추원 의장을 예겸
조선총독 · 조선총독부 정무총감
조선총독부 중추원 (의장 · 부의장 · 간부) }}}}}}}}}}}}}}}
파일:고시치노기리 황색.svg
야마가타 공작가 당주
야마가타 아리토모 <keepall> 야마가타 이사부로 야마가타 아리미치

[1] 규슈여객철도.[2] 천험약이(天険若夷)는 '하늘이 준 험한 지형이 평지와 같다', 인중치원(引重致遠)은 '무거운 것을 끌어 먼 곳에 이르게 한다'라는 뜻이다. 연결하여 해석할 수 있는데, 험한 산에 터널을 뚫고 철도를 깔아 평지처럼 만들었으므로, 물자를 멀리까지 운송할 수 있게 되었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