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20 23:52:23

하라 내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메이지 시대|
메이지 시대
]]
이토 (1) 구로다 산조 잠정 야마가타 (1) 마쓰카타 (1)
이토 (2) 마쓰카타 (2) 이토 (3) 오쿠마 (1) 야마가타 (2)
이토 (4) 가쓰라 (1) 사이온지 (1) 가쓰라 (2) 사이온지 (2)
[[다이쇼 시대|
다이쇼 시대
]]
가쓰라 (3) 야마모토 (1) 오쿠마 (2) 데라우치 하라
다카하시 가토 도모사부로 야마모토 (2) 기요우라 가토 다카아키
와카쓰키 (1)
[[쇼와 시대|
쇼와 시대파일:1px 투명.svg전전
]]
다나카 기이치 하마구치 와카쓰키 (2) 이누카이 사이토
오카다 히로타 하야시
[[쇼와 시대|
쇼와 시대파일:1px 투명.svg전시
]]
고노에 (1) 히라누마 아베 노부유키 요나이 고노에 (2)
고노에 (3) 도조 고이소 스즈키 간타로
[[쇼와 시대|
쇼와 시대파일:1px 투명.svg전후
]]
히가시쿠니노미야 시데하라 요시다 (1)
(개, 개헌 전) / (개, 개헌 후)
가타야마 아시다
요시다 (2) 요시다 (3)
(1개, 2개, 3개)
요시다 (4) 요시다 (5) 하토야마 이치로 (1)
하토야마 이치로 (2) 하토야마 이치로 (3) 이시바시 기시 (1)
()
기시 (2)
이케다 (1) 이케다 (2)
(1개, 2개, 3개)
이케다 (3)
()
사토 (1)
(1개, 2개, 3개)
사토 (2)
(1개, 2개)
사토 (3) 다나카 가쿠에이 (1) 다나카 가쿠에이 (2)
(1개, 2개)
미키
()
후쿠다 다케오
()
오히라 (1) 오히라 (2) 스즈키 젠코
()
나카소네 (1) 나카소네 (2)
(1개, 2개)
나카소네 (3) 다케시타
()
[[헤이세이 시대|
헤이세이 시대
]]
우노 가이후 (1) 가이후 (2)
()
미야자와
()
호소카와
하타 무라야마
()
하시모토 (1) 하시모토 (2)
()
오부치
(1개, 2개)
모리 (1) 모리 (2)
(개, 개편 전) / (개, 개편 후)
고이즈미 (1)
(1개, 2개)
고이즈미 (2)
()
고이즈미 (3)
()
아베 신조 (1)
()
후쿠다 야스오
()
아소 하토야마 유키오
(1개, 2개)
노다
(1개, 2개, 3개)
아베 신조 (2)
()
아베 신조 (3)
(1개, 2개, 3개)
아베 신조 (4)
(1개)
[[레이와 시대|
레이와 시대
]]
아베 신조 (4)
(2개)
스가 기시다 (1) 기시다 (2)
(1개, 2개)
이시바 (1)
이시바 (2)
<colcolor=#fff>* 총리 성명 옆 (1, 2...) 표시는 총리의 중임으로 조성된 내각의 회차를 말한다.
* (개, 1개, 2개...) 표시는 총리가 국무대신의 교체를 목적으로 다시 조성한 개조내각(개각)을 말한다. }}}}}}}}}
다이쇼 시대
하라 내각

原內閣 | Hara Cabinet
{{{#!wiki style="margin: -16px -11px" 1918년 9월 29일~1921년 11월 13일
출범 이전 이후
데라우치 내각 다카하시 내각 }}}
<colbgcolor=#ff0000> 내각총리대신 하라 다카시 / 제19대
여당
중의원 해산일 1920년 2월 26일
1. 개요2. 각료 목록
2.1. 국무대신2.2. 내각서기관장·법제국장관
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1918년 9월 29일, 데라우치 내각쌀 폭동의 여파로 총사퇴하자 입헌정우회 총재 겸 중의원 의원 하라 다카시가 제19대 내각총리대신으로 임명되면서 설립된 내각이다.

이전까지 설립된 정우회 내각들[1]은 말이 정당 내각이지, 야마가타 아리토모, 가쓰라 다로 등 번벌 원로 세력의 입김이 너무 강해서 사실상 정우회와 번벌 세력의 연립내각에 가까웠다.

그러나 하라 내각에서는 내각총리대신인 하라 다카시 본인부터 중의원 의원이었고, 군부대신 무관제[2]에 근거해 무조건 육해군 장성만이 임명될 수 있는 육군대신, 해군대신[3]과 현역 외교관을 임명하는 게 관례인 외무대신을 제외한 국무대신 전원을 입헌정우회 소속 국회의원으로 임명했다.

거기다가 문민통제를 일부나마 실현한 걸 넘어 하라 총리 본인도 죽을 때까지 화족 작위 수여를 거부해 평민 재상(平民宰相)이라고 불렸지만, 1921년 11월 4일 하라가 도쿄역에서 암살당하면서 우치다 고사이 외무대신이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로서 11월 13일까지 맡다가 내각총사퇴를 의결하면서 해산되었고, 다카하시 고레키요 대장대신이 후임 내각총리대신 + 입헌정우회 총재로 임명되면서 다카하시 내각이 설립되었다.

참고로 하라 내각 이전까지 일본에서 대학들은 제국대학[4]들 밖에 없었고, 그 외에 대학이라는 이름을 사용한 다른 사립학교들[5]은 전부 정식 대학이 아닌 구제전문학교였지만, 1918년(다이쇼 7년) 12월 6일 칙령 제388호 대학령(원문) 공표하면서 제국대학 이외의 관립대학/사립대학 설립이 가능하게 만들었다.

2. 각료 목록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ff0000; border-right: 10px solid #ff0000;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직위 명단
<colcolor=#ffffff> 외무대신 <colbgcolor=#ffffff,#000000> 우치다 고사이
내무대신 도코나미 다케지로
대장대신 다카하시 고레키요
육군대신 다나카 기이치야마나시 한조
해군대신 가토 도모사부로
사법대신 하라 다카시오키 엔키치
문부대신 나카하시 토쿠고로
농상무대신 야마모토 타츠오
체신대신 노다 우타로
철도대신 미설치모토다 하지메
친임관
내각서기관장 타카하시 미츠타케
법제국장관 요코타 센노스케 }}}
}}}}}}}}}

2.1. 국무대신

  • 비고란에 쓰여진 것을 제외하고는 1918년 9월 29일 임명
직책 대수 성명 소속 특이 사항 비고
내각총리대신 제19대 하라 다카시 중의원
입헌정우회
사법대신 겸임 재입각
입헌정우회 총재
(1921년 11월 4일 사망)
- 우치다 고사이 외무성
무소속
백작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
(외무대신 겸임)
1921년 11월 4일 겸임
1921년 11월 13일 겸임 해제
외무대신 제34대 우치다 고사이 외무성
무소속
자작백작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 겸임 재기용
내무대신 제32대 도코나미 다케지로 중의원
입헌정우회
내각철도원 총재 겸임 첫 입각
대장대신 제21대 다카하시 고레키요 귀족원
입헌정우회
(교우구락부)
남작
재기용
육군대신 제14대 다나카 기이치 군인
(육군 중장 →)
육군 대장
(육군대학 8기)
남작
첫 입각
1921년 6월 9일 면직[협심증]
제15대 야마나시 한조 군인
(육군 중장 →)
육군 대장
(육군대학 8기)
첫 입각
1921년 6월 9일 임명
해군대신 제8대 가토 도모사부로 군인
해군 대장
(해군병학교 7기)
남작[7]
유임
사법대신 제22대 하라 다카시 중의원
입헌정우회
내각총리대신 겸임 1920년 5월 15일 면직
제23대 오키 엔키치 귀족원
입헌정우회
(연구회)
백작
첫 입각
1920년 5월 15일 임명
문부대신 29대 나카하시 토쿠고로 중의원
입헌정우회
첫 입각
농상무대신 제28대 야마모토 타츠오 귀족원
입헌정우회
(교우구락부)
재기용
체신대신 제25대 노다 우타로 중의원
입헌정우회
첫 입각
철도대신 초대 모토다 하지메 중의원
입헌정우회
재입각
1920년 5월 15일 임명

2.2. 내각서기관장·법제국장관

  • 비고란에 쓰여진 것을 제외하고는 1918년 9월 29일 임명
직책 대수 성명 소속 특이 사항 비고
내각서기관장 21대 타카하시 미츠타케 중의원
입헌정우회
1908년 1월 4일 면직
법제국장관 19대 요코타 센노스케 중의원
입헌정우회
내각은급국장 겸임

3. 둘러보기


[1] 지멘스 사건으로 붕괴된 제1차 야마모토 내각도 여기에 포함한다.[2] 군부대신 현역무관제는 제1차 야마모토 내각 시기에 폐지되고 일반 무관제로 바뀌었다. 그래서 퇴역 및 예비역 장성도 임명될 수 있게 되어 약간의 유연성이 생겼다.[3] 이 둘을 묶어서 보통 군부대신이라 지칭한다.[4] 도쿄제국대학, 교토제국대학, 도호쿠제국대학, 규슈제국대학, 홋카이도제국대학.[5] 와세다대학, 게이오기주쿠대학(당시 명칭은 게이오기주쿠 대학부) 등[협심증] 지병으로 앓고 있던 협심증이 심해지면서 사임했다.[7] 1920년 9월 7일 남작으로 서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