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헤이세이 시대 제4차 아베 신조 내각 第4次安倍晋三内閣/Abe Cabinet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2017년 11월 1일~2018년 10월 2일 | ||
| 출범 이전 | 이후 | ||
|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3차 개조내각) | 제4차 아베 신조 내각 (제1차 개조내각) | }}} | |
| <colbgcolor=#D7003A> 내각총리대신 | 아베 신조 / 제98대 | ||
| 부총리 | 아소 다로[재무][특명담당] | ||
| 여당 | |||
| 연립여당 | |||
| |
| ▲ 제4차 아베 신조 내각 출범 기념 사진 |
1. 국회 총리 지명 선거
- 참의원 득표수는 회파별 득표수 결과로, 실제 소속 정당의 득표수와 다를 수도 있음.
||<-4><tablebordercolor=#D7003A><tablealign=center><width=400><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373a3c,#ddd><rowbgcolor=#D7003A><rowcolor=#000>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
중의원 ||
중의원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 아베 신조 | 312표[3] | 1위 |
| | 67.1% | 지명 | |
| | 에다노 유키오 | 60표[4] | 2위 |
| | 12.9% | 낙선 | |
| | 와타나베 슈 | 51표[5] | 3위 |
| | 11.0% | 낙선 | |
| | 오쓰카 고헤이 | 16표[6] | 4위 |
| | 3.4% | 낙선 | |
| | 시이 가즈오 | 12표[7] | 5위 |
| 2.6% | 낙선 | ||
| | 가타야마 도라노스케 | 11표[8] | 6위 |
| | 2.4% | 낙선 | |
| 無 | 마에하라 세이지 | 1표[9] | 7위 |
| | 0.2% | 낙선 | |
| 無 | 와시오 에이이치로 | 1표[10] | 7위 |
| | 0.2% | 낙선 |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수 | 465표 | 과반 232표 |
| <rowcolor=#373a3c,#dddddd> 유효표 | 464표 | ||
||<-4><tablebordercolor=#D7003A><tablealign=center><width=400><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373a3c,#ddd><rowbgcolor=#D7003A><rowcolor=#000>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
참의원 ||
참의원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 아베 신조 | 151표[11] | 1위 |
| | 62.4% | 지명 | |
| | 오쓰카 고헤이 | 48표[12] | 2위 |
| | 19.8% | 낙선 | |
| | 시이 가즈오 | 14표[13] | 3위 |
| 5.8% | 낙선 | ||
| | 가타야마 도라노스케 | 11표[14] | 4위 |
| | 4.5% | 낙선 | |
| | 에다노 유키오 | 9표[15] | 5위 |
| | 3.7% | 낙선 | |
| | 와타나베 슈 | 3표[16] | 6위 |
| | 1.2% | 낙선 | |
| 国 | 후지스에 겐조 | 2표[17] | 7위 |
| | 0.8% | 낙선 |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수 | 239표 | 과반 119표 |
| <rowcolor=#373a3c,#dddddd> 유효표 | 238표 | ||
2. 각료 목록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e50038; border-right: 10px solid #f95580;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 직위 | 명단 |
| <colcolor=#fff> 부총리 | <colbgcolor=#ffffff,#1f2024> 아소 다로 | |
| 재무대신 | ||
| 총무대신 | 노다 세이코 | |
| 법무대신 | 가미카와 요코 | |
| 외무대신 | 고노 다로 | |
| 문부과학대신 | 하야시 요시마사 | |
| 후생노동대신 | 가토 가쓰노부 | |
| 농림수산대신 | 사이토 겐 | |
| 경제산업대신 | 세코 히로시게 | |
| 국토교통대신 | 이시이 게이이치 | |
| 환경대신 | 나카가와 마사하루 | |
| 방위대신 | 오노데라 이쓰노리 | |
| 부흥대신 | 요시노 마사요시 | |
| 국가공안위원장 | 오코노기 하치로 | |
| 내각관방장관 | 스가 요시히데 | |
|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 ||
| <colbgcolor=#007A60> 금융담당 | 아소 다로 | |
| 오키나와 및 북방담당* | 에사키 데쓰마 → 후쿠이 데루 | |
| 소비자식품안전담당 | ||
| 해양정책담당 | ||
| 납치문제담당 | 가토 가쓰노부 | |
| 원자력지원기구담당 | 세코 히로시게 | |
| 원자력방재담당 | 나카가와 마사하루 | |
| 방재담당 | 오코노기 하치로 | |
| 저출산대책담당 | 마쓰야마 마사지 | |
| 쿨재팬전략담당 | ||
| 지적재산전략담당 | ||
| 과학기술정책담당 | ||
| 우주정책담당 | ||
| 경제재정정책담당 | 모테기 도시미쓰 | |
| 지방창생담당 | 가지야마 히로시 | |
| 규제개혁담당 | ||
| 도쿄올림픽·패럴림픽담당 | 스즈키 슌이치 | |
* 내각부설치법상 의무적으로 임명.
}}}}}}}}} ||3.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D7003A><tablebgcolor=#D7003A> | 아베 신조 관련 문서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D7003A,#D7003A> 생애 및 활동 | 생애 · 평가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총리 전격 사의 표명) · 사망 | ||
| 가족 | 외조부 기시 노부스케 · 종조부 사토 에이사쿠 · 조부 아베 간 · 아버지 아베 신타로 · 아내 아베 아키에 · 형 아베 히로노부 · 남동생 기시 노부오 · 친조카 기시 노부치요 | |||
| 역대 선거 | 제40회 중의원 · 제41회 중의원 · 제42회 중의원 · 제43회 중의원 · 제44회 중의원 · 제45회 중의원 · 제46회 중의원 · 제47회 중의원 · 제48회 중의원 · 제49회 중의원 | |||
| 역대 내각 | 아베 신조 내각 (제1차 내각 (개) · 제2차 내각 (개) · 제3차 내각 (1개, 2개, 3개) · 제4차 내각 (1개, 2개)) | |||
| 비판 및 논란 | 비판 및 논란 아베 신조 한국 비하 발언 논란 · 모리토모 학교 비리 사건 · 2019년 벚꽃을 보는 모임 논란 · 아베노마스크 | |||
| 경제 정책 | 아베노믹스 | |||
| 외교 정책 |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 (인도-태평양) · 2015년 한일 위안부 문제 협상 합의 · 한국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금지 조치와 관련한 WTO 분쟁 · 한일 무역 분쟁 · 한일 군사정보포괄보호협정 | |||
| 소속 | 자유민주당 · 세이와 정책연구회 | |||
| 저서 | 아름다운 나라로 | |||
| | }}}}}}}}} | |||
[재무] 재무대신 겸임.[특명담당] 내각부 특명담당대신(금융담당) 겸임.[3] 자유민주당 282표, 공명당 29표, 의장 1표[4] 입헌민주당 55표, 자유당 2표, 사회민주당 2표, 부의장 1표[5] 희망의 당 51표[6] 무소속(민진당) 16표[7] 일본공산당 12표[8] 일본 유신회 11표[9] 무소속 1표[10] 무소속 1표[11] 자유민주당·일본의 마음을 소중히 하는 당 124표, 공명당 24표, 무소속 클럽 2표, 무소속 1표[12] 민진당 47표, 부의장 1표[13] 일본공산당 14표[14] 일본 유신회 11표[15] 희망연합(자유당·사회민주당) 6표, 오키나와의 바람 2표, 무소속(입헌민주당) 1표[16] 희망의 당 3표[17] 국민의 목소리 2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