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중의원 (야마구치 2구) | ||||
제44·45회 히라오카 히데오 | → | 제46-49회 기시 노부오 | → | 제49회 기시 노부치요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D7003A; border-right: 10px solid #f95580;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 직위 | 명단 |
<colcolor=#fff> 총무대신 | <colbgcolor=#ffffff,#1f2024> 가네코 야스시 | |
법무대신 | 후루카와 요시히사 | |
외무대신 | 모테기 도시미쓰 → 기시다 후미오 | |
재무대신 | 스즈키 슌이치 | |
문부과학대신 | 스에마쓰 신스케 | |
후생노동대신 | 고토 시게유키 | |
농림수산대신 | 가네코 겐지로 | |
경제산업대신 | 하기우다 고이치 | |
국토교통대신 | 사이토 데쓰오 | |
환경대신 | 야마구치 쓰요시 | |
방위대신 | 기시 노부오 | |
부흥대신 | 니시메 고사부로 | |
국가공안위원장 | 니노유 사토시 | |
디지털대신 | 마키시마 카렌 | |
내각관방장관 | 마쓰노 히로카즈 | |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 ||
<colbgcolor=#007A60> 오키나와 및 북방담당* | 니시메 고사부로 | |
국제박람회담당 | 와카미야 겐지 | |
저출산담당 | 노다 세이코 | |
경제안전보장담당 | 고바야시 다카유키 | |
경제재생담당 | 야마기와 다이시로 | |
백신접종담당 | 호리우치 노리코 |
* 내각부설치법상 의무적으로 임명.
}}}}}}}}}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e50038; border-right: 10px solid #f95580;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 직위 | 명단 |
<colcolor=#fff> 총무대신 | <colbgcolor=#ffffff,#1f2024> 가네코 야스시 | |
법무대신 | 후루카와 요시히사 | |
외무대신 | 하야시 요시마사 | |
재무대신 | 스즈키 슌이치 | |
문부과학대신 | 스에마쓰 신스케 | |
후생노동대신 | 고토 시게유키 | |
농림수산대신 | 가네코 겐지로 | |
경제산업대신 | 하기우다 고이치 | |
국토교통대신 | 사이토 데쓰오 | |
환경대신 | 야마구치 쓰요시 | |
방위대신 | 기시 노부오 | |
부흥대신 | 니시메 고사부로 | |
국가공안위원장 | 니노유 사토시 | |
디지털대신 | 마키시마 카렌 | |
내각관방장관 | 마쓰노 히로카즈 | |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 ||
<colbgcolor=#007A60> 오키나와 및 북방담당* | 니시메 고사부로 | |
국제박람회담당 | 와카미야 겐지 | |
저출산담당 | 노다 세이코 | |
경제안전보장담당 | 고바야시 다카유키 | |
경제재생담당 | 야마기와 다이시로 |
* 내각부설치법상 의무적으로 임명.
}}}}}}}}} ||참의원 (야마구치현 (2022년 개선)) | ||||
제18회 마쓰오카 마스오 | → | 제20-22회 기시 노부오 | → | 제22-26회 에지마 기요시 |
}}} ||
<colbgcolor=#005bac> 일본국 제21-23대 방위대신 기시 노부오 岸信夫 | Kishi Nobuo | |||
출생 | 1959년 4월 1일[1] ([age(1959-04-01)]세) | ||
도쿄도 신주쿠구 | |||
재임기간 | 제21-23대 방위대신 | ||
2020년 9월 16일 - 2022년 8월 10일 | |||
링크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5bac><colcolor=#fff> 학력 | 게이오기주쿠유치사 (졸업) 게이오기주쿠보통부 (졸업) 게이오기주쿠고등학교 (졸업) 게이오기주쿠대학 경제학부 (경제학 / 학사) | |
종교 | 불교 | ||
가족 | 친조부 아베 간 외조부(양 친조부) 기시 노부스케 양부(친 외삼촌)[2] 기시 노부카즈[3] 친부(양 고모부) 아베 신타로 친모(양 고모) 아베 요코[4] 친형(양 고종사촌) 아베 히로노부 친형(양 고종사촌) 아베 신조 형수 아베 아키에 배우자 기시 치카코 장남 기시 노부치요[5] 차남 기시 토모히로 | ||
신체 | 178cm | ||
정당 | |||
파벌 | 무파벌 | ||
지역구 | 야마구치 2구 (중) 야마구치현 (참) | ||
의원 선수 | 4 (중) 2 (참) | ||
의원 대수 | 46, 47, 48, 49[6] (중) 20, 22 (참) | ||
약력 | 스미토모상사 근무 참의원 의원 방위대신정무관 중의원 의원 외무부대신 방위대신 내각총리대신 안보담당보좌관 (제2차 기시다 제1차 개조내각) | }}}}}}}}} |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정치인. 중참원 의원, 방위대신을 역임한 바 있다.전임 일본 내각총리대신인 기시 노부스케의 외손자이자 양(養) 친손자, 그리고 전임 일본 내각총리대신 아베 신조의 동생이다. 본명은 아베 노부오였으나[7][8] 외가에 양자로 보내졌기에 법적 성씨가 친형과 다르다.
2. 생애
2.1. 성장기
1959년 4월 1일, 도쿄도에서 아베 신타로와 아내 아베 요코의 사이에서 태어났다. 태어나자마자 외갓집에 양자로 보내져 '기시'라는 성씨를 잇게 되었는데, 이는 노부오의 외조부인 기시 노부스케의 장남 노부카즈에게 자녀가 없어 그 대를 잇기 위함이었다.[9][10] 에스컬레이터식으로 진학한 전형적인 게이오보이로, 게이오기주쿠 유치사, 보통부, 고등학교를 거쳐 내부진학으로 게이오기주쿠대학 경제학부에 들어간다. 장남 기시 노부치요와 똑같은 코스를 탔다. 학교는 다르지만 두 친형(양 고종사촌) 아베 히로노부, 아베 신조도 세이케이 소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출신으로 초중고 일관제 출신이다.2.2. 성인 이후
본인 주장으로는 이때까지만 해도 본인이 아베 신조의 친동생인 것을 전혀 몰랐었다. 그러나 대학 진학 즈음, 호적 등본을 보니까[11] 사촌형으로 알고 있던 2명이 알고 보니 친형들이라는 걸 알게 되었고, 그걸로 충격을 받아 정신 착란 증세를 겪었다고 주장했다. 다만 실제로는 집안 분위기 때문에 어린 시절부터 자신이 외삼촌 내외의 양자라는 것을 어느 정도 눈치는 채고 있었다고 한다. 그래도 그 사실을 두 눈으로 직접 확인한 충격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신조 형과의 관계를 알게 된 건 대학 진학을 준비하며 관련 서류를 준비하던 중 호적 등본을 떼었을 때였다. 그때가 대학 입학 전이었는데, 호적 등본을 보니 아버지 노부카즈[12] 밑에 있는 내 이름 옆에 떡하니 '양자'라는 글씨가 쓰여 있었다. 그걸 본 순간 나는 얼음이 되고 말았다. 그때의 충격은 정말이지 대단했다. 그날 호적 등본을 본 이후로 한 달 동안 '왜 지금까지 안 알려준 거지?'라는 생각만 했다. 머릿속이 일종의 혼란 상태였다.
1981년 대학 졸업 이후 스미토모 상사에서 근무를 시작했고, 1991년 생부 신타로를 여의었다. 2002년 퇴사했다. 스미토모상사에선 2001년에 호주지사 멜버른지점장을 역임하는 등 주로 해외에서 많이 근무했다. 참고로 스미토모 상사는 3대 상사중 특히 군수분야에 깊게 발담근 기업이라 방위성 출신 퇴직자가 낙하산 임원으로 많이 오는 곳이다.2.3. 정계 입문
2004년 7월 제20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 야마구치현 선거구에서 자유민주당 공천을 받아 민주당의 전 야마구치현 부지사 오이즈미 히로코를 꺾고 초선했다. 그 후 후쿠다 야스오 개조내각에서 방위대신정무관에 임명되어 아소 내각까지 유임한다. 2010년 7월의 제22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2회로 당선된다.그러던 중 2012년,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참의원을 사직, 야마구치현 제2구에서 민주당의 히라오카 히데오 전 법무대신을 물리치고 당선됐다. 2013년 9월 30일, 외무부대신에 취임하며 2014년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2회로 당선한다. 2016년 중의원 외무위원장, 외무부대신에 임명되고 2018년 중의원 안보위원장, 2019년에는 중의원 의원 운영위원회 이사로 취임했다.
2.4. 방위대신
2020년 9월 16일에 발족하는 스가 내각의 방위대신으로 내정되었다. 첫 입각이다. 위의 설명에 나오듯이 방위성에서는 과거 후쿠다 야스오, 아소 다로 내각에서 대신정무관을 역임한 바 있다.앞서 형 아베가 총리 퇴임을 앞두고 사실상 일본의 독자적인 보복, 타격 능력의 확보를 개인 담화 형식으로 주장하고 나선 바 있다. 기시 본인도 군사 부문에서 형 못지않은 강경파인만큼, 그의 방위대신 임명이 이를 정책화하려는 의향을 반영하는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나오는 중이다.
방위대신 임명 직후인 9월 26일 주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미국과의 동맹 발전을 비롯한 정책 방침들에 대해 소견을 밝혔다. 특히 미사일 위협 저지를 위한 역량 구축에 대해서도 '적 기지 타격'을 포함한 포괄적 대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 전수방위 원칙과의 합치 여부를 놓고 다시금 논란이 예상된다.
2021년 5월 20일, 니혼게이자이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정부 예산안 편성 시 방위예산을 요구안을 편성할 때 GDP 대비 1% 이내로 유지해 온 관행에 얽매이지 않고 늘려나가겠다는 뜻을 밝혔다. 닛케이는 방위력 강화를 목적으로 GDP 대비 1% 이상의 예산을 확보할 경우 일본 안보정책이 전환점을 맞게 된다면서 이에 대한 중국 등의 반발도 예상된다고 전했다.
2021년 8월 13일, 2차대전 종전 기념일을 앞두고 야스쿠니 신사에 참배하였다. 현직 방위대신이 야스쿠니를 참배한 것은 5년 만의 일이다.
기시다 내각에서도 엄중한 안보 환경을 고려한 정책의 연속성을 위해 유임되었다. 스가 내각에서 제1차 기시다 내각으로 넘어갈 때 모테기 도시미쓰 외무대신과 더불어 단 둘뿐인 유임 국무대신이었으나, 제2차 기시다 내각에서 모테기 외무대신이 자민당 간사장으로 이임하고 외무대신이 교체됨에 따라 결과적으로는 스가 내각에서 기시다 내각으로 유일하게 유임된 국무대신이 되었다.
2022년 자위대 이미지 쇄신과 입대 홍보를 위해 제작된 후지 테레비의 수요일 10시 드라마 <테파치!>에 기시 방위대신 본인이 직접 출연, 육상자위대원으로 분한 배우들과 만나는 등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7월 8일 작은형이 그만 전직 자위관에게 총격으로 암살당하여 자위대의 위신이 크게 손상되었고, 방위대신인 본인 역시 매우 곤란한 입장에 놓였다.[13] 피살 원인이 되었던 통일교와의 관계를 인정했다.#
그로 인한 여파 때문인지, 1개월 후 개각하면서(제2차 기시다 제1차 개조내각) 방위대신직에서 퇴임하였다. 건강도 매우 안 좋기도 하고 스캔들도 겹쳤다.
2.5. 이후
내각총리대신 국가안보담당보좌관에 기용되었다.2022년 12월 11일, 차기 중의원 선거에 불출마하고 그대로 정계 은퇴할 것을 표명했다. 지역구는 그의 31세의 아들인 기시 노부치요가 세습한다.
2023년 1월 14일 건강이 악화되어 2월 달쯤 의원직 사퇴를 검토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2월 3일 의원사직서와 총리보좌관직 사직서를 제출하면서 정계에서 은퇴했다.
건강이 안 좋은 것도 사실이지만, 본인과 형인 아베 신조 전 총리의 위상이 비교적 남아있을 때 아들이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밀어주려는 의도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럴만도 한 것이 하야시 요시마사 외무대신이 있는 하야시 가문과 아베-기시 가문의 치열한 대립[14] 때문에 그렇게 안심하고 있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기 때문이다. 아베가 건재하던 시절에야 아베-기시 가문의 압승이었지만 현재는 상황이 역전되었고, 특히나 야마구치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시모노세키시는 확실히 하야시 가문의 영향력 아래이기 때문.
아들 기시 노부치요는 2023년 4월 23일 치러진 보궐선거를 통해 국회 입성에 성공하여 세습이 이뤄졌다.
3. 소속 정당
소속 | 기간 | 비고 |
| 2004 - | 정계 입문 정계 은퇴 |
4. 선거 이력
연도 | 선거 종류 | 지역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2004 | 제20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야마구치현 | | 365,462 (49.10%) | 당선 (1위) | 초선 |
2010 | 제22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421,055 (57.76%) | 재선[15] | |||
2012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야마구치 2구 | 105,760 (55.37%) | 초선 | ||
2014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96,799 (58.41%) | 재선 | |||
2017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13,012 (73.83%) | 3선 | |||
2021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09,914 (76.94%) | 4선[16] |
5. 가족관계
자세한 내용은 아베 신조/가족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6. 기타
- 형인 아베 신조처럼 외조부인 기시 노부스케에게서 정치를 배워서 형처럼 개헌 찬성, 여성 미야케 창설 반대 등 정치 성향은 우파다.
- 2020년 8월에 야스쿠니 신사에 참배하였다.
- 아베 신조의 동생임에도 불구하고 아베의 집권기 동안 내각에서 주요 요직을 차지하지도 못했는데, 이는 불필요한 논란을 피하기 위한 의도적인 것으로 보인다. 아무래도 존 F. 케네디처럼 친동생(로버트 케네디)을 주요 요직에 발탁할 경우 여론이 안 좋아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 그러다가 스가 내각에서 방위대신으로 처음 입각하고 기시다 내각에서도 유임하여 조금씩 빛을 볼 전망이다.
- 형과 마찬가지로 건강이 좋지 못한 것 같다. 국회 질의에서 이례적으로 앉아서 답변을 하였으며, 걸을때 지팡이를 사용하거나, 휠체어를 타기도 한다. 아베 신조 피살 사건 당시 브리핑에서도 휠체어를 탄 상태로 질의응답을 진행하였다. 오히려 암살 당일까지도 선거 유세를 했던 형보다도 훨씬 더 건강이 나쁜 것이다.[17]건강이 워낙 나쁜데도 기시다 내각에서까지 유임된 건 순전히 형의 후광 덕분이었던 만큼, 아베가 죽고 사라진 후에는 차기 개각에서 교체당할 1순위 각료로 꼽혀 결국 개각과 동시에 퇴임하게 되었다.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D7003A><tablebgcolor=#D7003A> | 아베 신조 관련 문서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D7003A,#D7003A> 생애 및 활동 | 생애 · 평가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총리 전격 사의 표명) · 사망 | ||
가족 | 외조부 기시 노부스케 · 종조부 사토 에이사쿠 · 조부 아베 간 · 아버지 아베 신타로 · 아내 아베 아키에 · 형 아베 히로노부 · 남동생 기시 노부오 · 친조카 기시 노부치요 | |||
역대 선거 | 제40회 중의원 · 제41회 중의원 · 제42회 중의원 · 제43회 중의원 · 제44회 중의원 · 제45회 중의원 · 제46회 중의원 · 제47회 중의원 · 제48회 중의원 · 제49회 중의원 | |||
역대 내각 | 아베 신조 내각 (제1차 내각 (개) · 제2차 내각 (개) · 제3차 내각 (1개, 2개, 3개) · 제4차 내각 (1개, 2개)) | |||
비판 및 논란 | 비판 및 논란 아베 신조 한국 비하 발언 논란 · 모리토모 학교 비리 사건 · 2019년 벚꽃을 보는 모임 논란 · 아베노마스크 | |||
경제 정책 | 아베노믹스 | |||
외교 정책 | 인도-태평양 · 2015년 한일 위안부 문제 협상 합의 · 한국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금지 조치와 관련한 WTO 분쟁 · 한일 무역 분쟁 · 한일 군사정보포괄보호협정 | |||
소속 | 자유민주당 · 세이와 정책연구회 | |||
보수주의 | }}}}}}}}} |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3CA324> | 사토 에이사쿠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3CA324,#3CA324> 생애 및 활동 | <colbgcolor=#fff,#1f2023>생애 | |
가족 | 형 기시 노부스케 · 조카사위 아베 신타로 ·외종손 아베 히로노부 · 외증손 아베 신조 · 종손 기시 노부오 · 종증손 기시 노부치요 | ||
역대 내각 | 제1차 사토 내각 · 제1차 사토 제1차 개조내각 · 제1차 사토 제2차 개조내각 · 제1차 사토 제3차 개조내각 · 제2차 사토 내각 · 제2차 사토 제1차 개조내각 · 제2차 사토 제2차 개조내각 · 제3차 사토 내각 · 제3차 사토 개조내각 | ||
역대 선거 | 제2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제2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제2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제2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제2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제2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제3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제3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제3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제3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기시·사토·아베 가문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D7003A> 1대 | <rowcolor=#D7003A> 아베가 | 기시·사토가 |
아베 간 | 형 기시 노부스케 동생 사토 에이사쿠 | ||
2대 | <rowcolor=#D7003A> 장남 (아베가) | 차남 (사토가) | |
아베 신타로 | 사토 신지 | ||
처 아베 요코 | |||
3대 | <rowcolor=#D7003A> 차남 (아베가) | 삼남 (기시가) | |
아베 신조 | 기시 노부오 (입적) | ||
처 아베 아키에 | 처 기시 치카코 | ||
4대 | <rowcolor=#D7003A> | 손자 | |
기시 노부치요 | |||
※둘러보기 : 일본의 정치 가문 | }}}}}}}}} |
[1] 새학기가 시작되는 날 태어났다. 한국으로 치면 3월 2일생.[2] 혈연상으로는 외삼촌이다. 친모인 아베 요코(혼전에는 기시 요코)의 오빠이다.[3] 1921~2017. 그가 방위대신이 되는 것을 못 보고 영면했으며 기시 노부스케의 장남이며 세이부석유 회장을 지낸 기업인이다.[4] 결혼전에는 성이 기시였다.[5] 노부오의 비서로 근무하다 지역구를 물려받아 당선되었다.[6] 의원직 사직[7] 그러나 노부오가 아베가(家)의 일원이었던 기간은 정말 얼마 안 되었을 확률이 높다. 이 링크를 보면 애초에 친부모인 신타로와 요코가 "셋째 아이가 남자라면 기시가(家)에 입양한다"'''라는 조건을 달고 결혼한 것이라는 대목이 나온다. 즉 노부오는 이미 태어나기 전부터 외갓집에 입양될 운명이었던 것. 사실 이건 '노부오'라는 이름에서부터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다. 기시 가문의 적통을 잇는 남자의 이름에는 '노부(信)'라는 글자가 통자(通り字)로 사용되는 듯한데, 조부는 기시 노부스케이며 부친은 기시 노부카즈, 본인은 기시 노부오, 장남은 기시 노부치요이다. 즉 실제로 셋째가 남자로 태어나자, 기시 가의 양자로 보낼 것을 염두에 두고 이름을 지었음을 알 수 있다.[8] 이 사람과 비슷한 사례로 다테 마사무네의 큰아버지인 이와키 치카타카(岩城親隆)를 들 수 있다. 마사무네의 할아버지 하루무네(晴宗)는 이와키 쿠보(岩城久保)와 결혼했는데, 쿠보의 아버지 시게타카(重隆)는 결혼을 승낙하는 조건으로 이 결혼에서 나는 맏아들은 자기네 이와키 가문을 잇도록 할 것을 내걸었다. 그 조건을 받아들이고 결혼한 결과 맏아들 치카타카는 친가가 아닌 외가를 이을 것이 나기도 전에 이미 정해져 있던 것. 하루무네의 후계는 차남인 테루무네가 잇게 된다.[9] 이것은 일본이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변방에 위치했던 탓에 종족을 기초로 한 유교적 혈통 문화가 제대로 자리잡지 못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당장에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이런 식으로 양자를 들이는 건 대를 잇는 걸로 인정하지 않는다(異姓不養)는 걸 가충과 진수의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다.[10] 한국에서도 장자에게 대를 이을 자식이 없을 때 가까운 친척을 양자로 들이는, 가령 LG 가문에서 2018년 사망한 구본무 회장에게 대를 이을 아들이 없었기에 조카인 구광모가 호적상 구본무의 양자로 입적하여 회장직을 물려받았던 것과 같은 사례가 있다. 그러나 이건 어디까지나 한 집안 내부에서의 입양일 뿐이고, 전혀 다른 혈통인 외가에 양자로 들어가는 건 적어도 동아시아에서는 일본에서만 볼 수 있는 모습이다. 한국, 중국, 베트남 같이 다른 동아시아권 국가들의 윤리적 기준에 따르자면 기시 노부오와 형 아베 신조의 친증조부가 본래 성이 무쿠노키였다가 아베 가문에 데릴사위로 들어온 것이므로 아베 신조도 무쿠노키 신조여야 한다.[11] 일본은 대학 진학할 때 준비 서류로 호적등본을 제출해야 한다. 기시 노부오처럼 출생의 비밀이 있는 사람이 이 과정에서 진실을 알게 되는 일이 여럿 있다고 한다.(예: 다나카 고이치) 한국은 국가 행정의 전산화가 완비되어 교육부 전산을 통해 자동으로 가족관계증명서(호적의 후신)가 넘어가기 때문에 지류로 제출할 필요가 없지만, 일본은 최근에서야 디지털청과 마이넘버카드 등이 도입되는 등 국가 행정의 전산화가 아직 미비한 상황이다. 한국인이 일본 대학에 진학할 때는 아포스티유를 받은 가족관계증명서를 제출하면 된다.[12] 호적상 양부이자, 원래는 외백부(외삼촌).[13] 그가 방위대신이 아니라 다른 부처 장관이었다면 형을 잃은 그 사건이 그에게 동정론이 주어졌을 수도 있었지만, 하필 그때 그가 방위대신이었기 때문에 도리어 “형도 못 지키면서 무슨 안보?” 라는 비아냥을 듣게 되었다. 다만 방위성은 국내 치안을 책임지는 부처가 아니라, 자위대를 지휘해 외국으로부터 일본을 지키는 곳이다.[14] 다른 후원회 기업들끼리는 거래도 안 할 정도라고 한다.[15] 2012.11.30. 사직 (46회 중원선 출마)[16] 2023.02.07 사퇴[17] 이때 신조는 만 67세였고 노부오는 만 63세였다. 일본이 평균수명 85세에 달하는 세계 최장수 국가인 것을 감안하면 신조도 아직 한창인 나이에 '요절'했고 노부오 역시 아직 한창인 나이에 일찍 정계 은퇴를 한 셈이다. 심지어 83세인 아소 다로도 아베 내각과 스가 내각에서 연이어 부총리 겸 재무대신을, 기시다 내각에서는 자민당 부총재를 하며 막후 실세 노릇을 하고 있는 판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