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와 시대 제1차 이시바 내각 第1次石破内閣 | 1st Ishiba Cabinet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2024년 10월 1일 ~ 2024년 11월 11일 | ||
출범 이전 | 이후 | ||
제2차 기시다 내각 (제2차 개조내각) | 제2차 이시바 내각 | }}} | |
<colbgcolor=#D7003A> 내각총리대신 | 이시바 시게루 / 제102대 | ||
여당 | |||
연립여당 | |||
중의원 해산일 | 2024년 10월 9일 |
▲ 제1차 이시바 내각 출범 기념사진[1] |
[clearfix]
1. 개요
2024년 10월 1일에 출범한 제102대 내각총리대신 이시바 시게루의 내각.기시다 후미오 총리가 2024년 일본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에서 불출마를 선언하고, 해당 선거에서 이시바 시게루 전 자민당 간사장이 당선되면서 10월 1일 임시국회에서 국회 총리 지명 선거를 통해 출범하였다.
10월 27일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실시에 따라 11월 11일 특별국회 소집일에 국회 총리 지명 선거 실시와 함께 사퇴하였다.
2.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
- 중의원, 참의원에서 각각 총리 후보를 지명한다. 양원의 지명 후보가 일치한 경우 그 자가 총리 지명자가 된다. 양원에서 지명한 후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양원 간의 협의회를 열고 협의회에서도 의견이 일치하지 않으면 중의원에서 지명한 자가 최종적으로 총리 지명자가 된다.
- 전체 투표수의 과반을 득표한 후보가 없을 경우 최다 득표자와 2위 득표자 간의 결선 투표가 진행되며, 결선 투표에서는 과반 득표와 관계없이 최다 득표자가 총리로 지명된다.
||<-4><tablebordercolor=#D7003A><tablealign=center><width=400><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373a3c,#ddd><rowbgcolor=#D7003A><rowcolor=#D7003A>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
중의원 ||
중의원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이시바 시게루 | 291표[2] | 1위 | |
| 63.12% | 지명 | |
노다 요시히코 | 100표[3] | 2위 | |
| 21.69% | 낙선 | |
바바 노부유키 | 45표[4] | 3위 | |
| 9.76% | 낙선 | |
다무라 도모코 | 10표[5] | 4위 | |
| 2.17% | 낙선 | |
다마키 유이치로 | 7표[6] | 5위 | |
| 1.52% | 낙선 | |
無 | 기라 슈지 | 5표[7]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08% | 낙선 | |
야마모토 타로 | 3표[8] | 7위 | |
| 0.65%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수 | 461표 | 과반 231표 |
<rowcolor=#373a3c,#dddddd> 유효표 | 461표 |
||<-4><tablebordercolor=#D7003A><tablealign=center><width=400><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373a3c,#ddd><rowbgcolor=#D7003A><rowcolor=#000>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
참의원 ||
참의원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이시바 시게루 | 143표[9] | 1위 | |
| 59.09% | 지명 | |
노다 요시히코 | 45표[10] | 2위 | |
| 18.59% | 낙선 | |
바바 노부유키 | 21표[11] | 3위 | |
| 8.68% | 낙선 | |
다마키 유이치로 | 12표[12] | 4위 | |
| 4.96% | 낙선 | |
다무라 도모코 | 11표[13] | 5위 | |
| 4.54% | 낙선 | |
야마모토 타로 | 5표[14] | 6위 | |
| 2.07% | 낙선 | |
이토 다카에 | 1표[15] | 7위 | |
| 0.41% | 낙선 | |
無 | 이하 요이치 | 1표[16] | 7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41% | 낙선 | |
가미야 소헤이 | 1표[17] | 7위 | |
[[참정당| 참정당 ]] | 0.41% | 낙선 | |
다카이치 사나에 | 1표[A] | 7위 | |
| 0.41% | 낙선 | |
모테기 도시미쓰 | 1표[A] | 7위 | |
| 0.41%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투표 수 | 242표 | 과반 122표 |
<rowcolor=#373a3c,#dddddd> 유효표 | 242표 |
9월에 실시된 입헌민주당 대표 선거에서 중도우파 성향인 노다 요시히코 전 내각총리대신이 당대표로 선출되면서 극좌 성향의 일본공산당이 이번 투표에선 단독으로 다무라 도모코 위원장에게 투표했다.
중의원 투표 도중 레이와 신센구미의 오이시 아키코 의원이 투표대 앞에서 "노토 보정 예기를"이라고 적힌 플랜카드를 펼쳐들고 시위를 벌여 누카가 후쿠시로 중의원 의장이 하단시키는 일이 있었다.
3. 국무대신 명단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order-left: 10px solid #D7003A; border-right: 10px solid #f95580; text-align: center;" {{{#!wiki style="margin: 0px -20px -8px; min-height: 30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직위 | 명단 |
<colcolor=#fff> 총무대신 | <colbgcolor=#ffffff,#1f2024> 무라카미 세이이치로 | |
법무대신 | 마키하라 히데키 | |
외무대신 | 이와야 다케시 | |
재무대신 | 가토 가쓰노부 | |
문부과학대신 | 아베 토시코 | |
후생노동대신 | 후쿠오카 다카마로 | |
농림수산대신 | 오자토 야스히로 | |
경제산업대신 | 무토 요지 | |
국토교통대신 | 사이토 데쓰오 | |
환경대신 | 아사오 게이이치로 | |
방위대신 | 나카타니 겐 | |
내각관방장관 | 하야시 요시마사 | |
디지털대신 | 다이라 마사아키 | |
부흥대신 | 이토 타다히코 | |
국가공안위원장 | 사카이 마나부 | |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 ||
<colbgcolor=#007A60> 오키나와북방대책담당* | 이토 요시타카 | |
지방창생담당 | ||
아이누시책담당 | ||
소비자식품안전담당* | ||
금융담당* | 가토 가쓰노부 | |
규제개혁담당 | 다이라 마사아키 | |
지적재산전략담당 | 기우치 미노루 | |
과학기술정책담당 | ||
우주정책담당 | ||
경제안전보장담당 | ||
쿨재팬전략담당 | ||
남녀공동참여담당 | 미하라 준코 | |
저출산대책담당* | ||
아동정책담당* | ||
청년활약담당* | ||
공생공조담당 | ||
경제재정정책담당 | 아카자와 료세이 | |
방재담당* | 사카이 마나부 | |
해양정책담당 | ||
원자력손해배상 폐로등지원기구담당 | 무토 요지 | |
원자력방재담당 | 아사오 게이이치로 | |
* 내각부설치법상 필수 설치 | }}}}}}}}}}}}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7003A,#D7003A><tablebgcolor=#fff,#191919><#D7003A> 직책 ||<#D7003A> 대수 ||<#D7003A> 성명 ||<#D7003A> 소속 ||<#D7003A> 특이 사항 ||<#D7003A> 비고 ||
내각총리대신 | 제102대 | 이시바 시게루 | 중의원 자유민주당 | 재입각 자유민주당 총재 | |
총무대신 | 제31대 | 무라카미 세이이치로 | 중의원 자유민주당 |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 취임순위 제3위 | 재입각 |
법무대신 | 제109대 | 마키하라 히데키 | 중의원 자유민주당 | 첫 입각 | |
외무대신 | 제153대 | 이와야 다케시 | 중의원 자유민주당 |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 취임순위 제5위 | 첫 입각 |
재무대신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금융담당) | 제23대 | 가토 가쓰노부 | 중의원 자유민주당 | 디플레이션 탈피 담당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 취임순위 제4위 | 재입각 |
문부과학대신 | 제31대 | 아베 토시코 | 중의원 자유민주당 | 첫 입각 | |
후생노동대신 | 제28대 | 후쿠오카 다카마로 | 참의원 자유민주당 | 첫 입각 | |
농림수산대신 | 제70대 | 오자토 야스히로 | 중의원 자유민주당 | 첫 입각 | |
경제산업대신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원자력손해배상 및 폐로 등 지원기구담당) | 제31대 | 무토 요지 | 중의원 자유민주당 | 원자력경제피해담당대신 GX실행추진담당대신 산업경쟁력담당대신 겸임 | 첫 입각 |
국토교통대신 | 제26대 | 사이토 데쓰오 | 중의원 공명당 | 물순환정책담당대신 국제원예박람회담당대신 겸임 | 유임 공명당 대표[20] |
환경대신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원자력행정담당) | 제33대 | 아사오 게이이치로 | 참의원 자유민주당 | 첫 입각 | |
방위대신 | 제26대 | 나카타니 겐 | 중의원 자유민주당 |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 취임순위 제2위 | 재입각 |
디지털대신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규제개혁담당) | 제5대 | 다이라 마사아키 | 중의원 자유민주당 | 행정개혁담당대신 국가공무원제도담당대신 사이버안전보장담당대신 겸임 | 첫 입각 |
부흥대신 | 제17대 | 이토 타다히코 | 중의원 자유민주당 | 후쿠시마원전사고재생총괄담당대신 겸임 | 첫 입각 |
내각관방장관 | 제88대 | 하야시 요시마사 | 중의원 자유민주당 |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 취임순위 제1위 오키나와기지문제담당대신 납치문제담당대신 겸임 | 유임 |
국가공안위원장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방재담당) (해양정책담당) | 제102대 | 사카이 마나부 | 중의원 자유민주당 | 국토강인화담당대신 영토문제담당대신 겸임 | 첫 입각 |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어린이정책담당) (저출산대책담당) (청년활약담당) (남녀공동참가담당) (공생·공조담당) | 초대[21] 제3대[22] 제27대[23] 제3대[24] 제31대[25] 초대[26] | 미하라 준코 | 참의원 자유민주당 | 첫 입각 | |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경제재정정책담당) | 제30대 | 아카자와 료세이 | 중의원 자유민주당 | 국무대신(공무원제도개혁담당) 겸임 국가전략담당대신 겸임 | 첫 입각 |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쿨재팬전략담당) (지적재산전략담당) (과학기술정책담당) (우주정책담당) (경제안전보장담당) | 제11대[27] 제10대[28] 제31대[29] 제16대[30] 제3대[31] | 기우치 미노루 | 중의원 자유민주당 | 첫 입각 | |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오키나와 및 북방대책담당) (소비자 및 식품안전담당) (지방창생담당) (아이누시책담당) | 제32대[32] 제33대[33] 제12대[34] 제3대[35] | 이토 요시타카 | 중의원 자유민주당 | 새로운 지방경제·생활환경창생담당대신 국제박람회담당대신 겸임 | 첫 입각 |
3.1. 인사 기조
각료 명단특이하게도, 내각에 방위대신 출신이 4명이나 포진해 있다. 총리대신 이시바 시게루, 방위대신 나카타니 겐[36], 외무대신 이와야 다케시, 내각관방장관 하야시 요시마사가 그들이다. 이에 더해 당 요직인 정조회장 오노데라 이쓰노리도 방위대신 경력이 있다. 이는 당내 인맥이 부족한 이시바 총리가 방위대신 출신 '방위족'으로서의 개인적 친교가 있는 의원을 많이 뽑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의외로 북일관계에 있어서 진전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총리대신 이시바 시게루, 외무대신 이와야 타케시와 방위대신 나카타니 겐 모두 이른바 일조의련(日朝議連), 일본-조선 국교정상화추진의원연맹 소속이다. # 이시바 시게루가 일본 납북자 문제 해결을 위해 '도쿄-평양 연락 사무소' 설치를 공약으로 내세웠다는 점 등에서, 일본과 북한 사이의 관계 진전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있다. 하지만 연락 사무소 설치에 대해서 납치 피해자 가족 측에서는 반대하는 입장이고, 당내 기반이 강한 편이 아닌 이시바가 실현이 가능할지, 또 북한이 당내 기반이 약한 내각과 그런 협상을 진행할 가능성이 낮다는 점에서 부정적인 기류가 강하다.
- 자민당 5역[37]
- 내각 인사
- 총무대신: 무라카미 세이이치로(중, 자유민주당 / 재입각)[39]
- 법무대신: 마키하라 히데키(중, 자유민주당 / 첫 입각)
- 외무대신: 이와야 다케시(중, 자유민주당 / 재입각)
- 재무대신: 가토 가쓰노부(중, 자유민주당 / 재입각)
- 문부과학대신: 아베 토시코(중, 자유민주당 / 첫 입각)
- 후생노동대신: 후쿠오카 다카마로(참, 자유민주당 / 첫 입각)
- 농림수산대신: 오자토 야스히로(중, 자유민주당 / 첫 입각)[40]
- 경제산업대신: 무토 요지(중, 자유민주당 / 첫 입각)
- 국토교통대신: 사이토 데쓰오(중, 공명당 / 유임)
- 환경대신: 아사오 게이이치로(참, 자유민주당 / 첫 입각)
- 방위대신: 나카타니 겐(중, 자유민주당 / 재입각)[41]
- 부흥대신: 이토 타다히코(중, 자유민주당 / 첫 입각)
- 국가공안위원장: 사카이 마나부(중, 자유민주당 / 첫 입각)
- 디지털대신: 다이라 마사아키(중, 자유민주당 / 첫 입각)
- 내각관방장관: 하야시 요시마사(중, 자유민주당 / 유임)
-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 전반적으로 이사바를 지지 하였던 계파 의원들이 주로 입각하였으며, 옛 아베계 출신은 몇 명[42]을 제외하면 배제되었다.[43] 입각한 인사들의 계파를 굳이 따지자면 지공회(아소파)[44], 구 굉지회, 헤이세이 연구회(모테기파)[45], 구 근미래정치연구회[46], 가네샤의 모임(스가 그룹) 등이다.[47]
- 2024년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에서 이시바 시게루 추천인 명단에 이름을 올린 의원 중 6명[50]이 입각했고 2명은 내각관방부장관에 내정됐다.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D7003A><tablebgcolor=#D7003A> | 이시바 시게루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D7003A,#D7003A> 생애 | 생애 (2024년 · 2025년) | |
가족 | 아버지 이시바 지로 | ||
역대 선거 | 제38회 중의원 · 제39회 중의원 · 제40회 중의원 · 제41회 중의원 · 제42회 중의원 · 제43회 중의원 · 제44회 중의원 · 제45회 중의원 · 제46회 중의원 · 제47회 중의원 · 제48회 중의원 · 제49회 중의원 · 제50회 중의원 | ||
내각 | 이시바 내각 (제1차 내각 · 제2차 내각) | ||
소속 | 자유민주당 · 자유개혁연합 · 신생당 · 신진당 · | }}}}}}}}} |
[1] 원본 사진이 공개되었을 때 이시바 총리와 나카타니 방위대신의 옷매무새가 어수선하여 비판이 일자 현 사진과 같이 수정이 거쳐졌다.# 관련 비판 뉴스가 한국에서까지 나왔다.#[2] 자유민주당·무소속회 258표, 공명당 32표, 의장 1표[3] 입헌민주당·무소속 99표, 사회민주당 1표[4] 일본유신회·교육무상화를 실현하는 모임 45표[5] 일본공산당 10표[6] 국민민주당·무소속 클럽 7표[7] 유지의 모임 4표, 무소속 1표[8] 레이와 신센구미 3표[9] 자유민주당 112표, 공명당 27표, 무소속 4표[10] 입헌민주·사민·무소속 41표, 오키나와의 바람 1표, 무소속 3표[11] 일본유신회·교육무상화를 실현하는 모임 21표[12] 국민민주당·신록풍회 11표, 무소속 1표[13] 일본공산당 11표[14] 레이와 신센구미 5표[15] 무소속 1표[16] 오키나와의 바람 1표[17] 참정당 1표[A] NHK로부터 국민을 지키는 당 1표[A] [20] 2024년 11월 9일~11월 11일[21] 소비자 및 식품안전담당대신[22] 어린이정책담당대신[23] 저출산대책담당대신[24] 청년활약담당대신[25] 남녀공동참가담당대신[26] 공생·공조담당대신[27] 쿨재팬전략담당대신[28] 지적재산전략담당대신[29] 과학기술정책담당대신[30] 우주정책담당대신[31] 경제안전보장담당대신[32] 오키나와 및 북방대책담당대신[33] 소비자 및 식품안전담당대신[34] 지방창생담당대신[35] 아이누시책담당대신[36] 나카타니는 이번이 3번째 방위대신 입각이다.[37] 장기 집권 중인 자민당에서 이 5역은 사실상 국무대신에 준하는 대우를 받는다. 국회대책위원장까지 포함해 6역이라 부르기도 한다.[38] 다카이치 사나에에게 먼저 제안이 갔으나 고사하였다.[39] 아베 신조 총리 암살 이후 치러진 국장에 반대하며 아베를 상대로 국가의 적이라는 발언을 해 1년간 당원권 정지 처분을 받았었다.[40] 여대생과의 파파카츠로 논란이 있었던 인물이다.[41] 방위청 장관 시절에 1번, 방위대신 1번에 이어 3번째로 방위대신에 임명되었다.[42] 후쿠다 다쓰오 등 일부 제외. 사실 후쿠다 다쓰오도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모두 청화회 출신이라 청화회 소속이었던 것이지, 아베 신조와 특별히 가까웠던 사이라고 보기는 어렵다.[43] 고이즈미 신지로도 청화회 출신이지만, 아버지가 청화회 회장을 역임한 청화회 출신이라 가입한 것에 가깝고, 아버지가 아베와 정치적으로 대립하는 사이였기에 본인도 아베와 아주 가까웠다고 보기는 어렵다. 반면 스가 요시히데는 아베 생전에는 총무대신과 내각관방장관을 역임하며 그와 대단히 가까웠지만, 2024 총재선에서는 이시바를 지원해 부총재직을 따냈다.[44] 아소 다로는 이시바를 지지하지 않았지만, 지공회 자체가 이념 스펙트럼이 넓은 빅텐트인 만큼 이와야 다케시를 위시한 친이시바 의원들은 입각에 성공했다. 더불어 예우 차원에서 아소는 당 최고고문, 스즈키 슌이치가 총무회장에 기용되는 등 최소한의 배려는 받았다.[45] 모테기는 이시바를 지원하지 않았음에도 가토 가쓰노부가 재무대신 겸 금융담당대신에 올랐다. 모테기가 헤이세이 연구회 내에서의 평판이 썩 좋지 않음을 고려할 때, 옛날 니카이도 옹립구상마냥 평성회의 분열을 유도하려는 책략이 아니냐는 이야기까지 나온다.[46] 파벌의 수장이 당 간사장에 기용되었다.[47] 구 수월회에서는 다이라 마사아키만이 입각했다.[48] 아사오 게이이치로, 미하라 준코, 후쿠오카 다카마로[49] 미하라 준코, 아베 토시코[50] 추천인 대표 이와야 다케시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