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1 00:48:28

니카이도 옹립구상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height=3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D7003A><colcolor=#FFFFFF> 역사 각복전쟁 · 니카이도 옹립구상 · 나카소네 재정 · 가토의 난
총재 선거 1956.04 · 1956.12 · 1957 · 1959 · 1960 · 1962 · 1964.07 · 1964.12 · 1966 · 1968 · 1970 · 1972 · 1974 · 1976 · 1978 · 1980 · 1982 · 1984 · 1987 · 1989.06 · 1989.8 · 1991 · 1993 · 1995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3 · 2006 · 2007 · 2008 · 2009 · 2012 · 2015 · 2018 · 2020 · 2021 · 2024
선거 지지 기반
총리 겸 총재 이시바 시게루
집권내각 이시바 내각
사건사고 및 논란 록히드 사건 · 황민당 사건 · 리크루트 사건 · 사가와 규빈 사건 · 통일교 게이트 · 정치자금 파문
주요 인물 하토야마 이치로 · 요시다 시게루 · 기시 노부스케 · 이케다 하야토 · 사토 에이사쿠 · 다나카 가쿠에이 · 미키 다케오 · 후쿠다 다케오 · 오히라 마사요시 · 나카소네 야스히로 · 다케시타 노보루 · 미야자와 기이치 · 하시모토 류타로 · 오부치 게이조 · 모리 요시로 · 고이즈미 준이치로 · 아베 신조 · 아소 다로 · 기시다 후미오 · 이시바 시게루
오노 반보쿠 · 가와시마 쇼지로 · 고노 이치로 · 이시바시 단잔미즈타 미키오 · 아베 신타로 · 가네마루 신 · 와타나베 미치오 · 고노 요헤이 · 호소카와 모리히로 · 하타 쓰토무 · 오자와 이치로 · 이시하라 신타로 · 가토 고이치 · 노나카 히로무 · 다니가키 사다카즈
기타 국제민주연합
보수주의 · 사회보수주의 · 경제적 자유주의
55년 체제 · 삼각대복중 · 다케시타파 칠봉행 · 뉴리더 · 3A · 고이시카와
관련 틀 역대 총재 · 역대 부총재 · 역대 간사장 · 역대 정조회장 · 역대 국대위원장 · 역대 선대위원장 · 집행부 · 파벌 분류 · 49대 중의원 의원 · 26대 참의원 의원
}}}}}}}}} ||

1. 개요2. 발단3. 전개4. 결과

1. 개요

二階堂擁立構想

1984년 일본 자유민주당에서 스즈키 젠코 총리가 니카이도 스스무 부총재를 총리로 옹립하려고 한 사건.

2. 발단

중의원-참의원 동시선거와 오히라 마사요시의 사망, 그리고 자민당의 압승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다나카 가쿠에이의 영향력은 증대되었다. 1980년 다나카와 그의 측근 총재대행 니시무라 에이이치는 오히라의 후임으로 오히라파의 스즈키 젠코를 총리로 내세웠다.

외교 문제가 있었다고는 해도 스즈키 내각에 대한 지지율은 높은 편이었기 때문에 딱히 물러날 이유는 없었지만 다나카는 미일관계 악화 등을 명분으로 스즈키를 총리에서 끌어내리고 나카소네 야스히로를 총리로 세웠다. 사실상 다나카의 입김으로 장기 집권도 충분히 가능했던 스즈키는 총리에서 밀려났고 이에 스즈키는 다나카에게 원한을 품게 되었다.

게다가 나카소네의 행태도 스즈키에게 불을 지르는 요인이 되었다. 나카소네는 취임하자마자 "전임자가 말아먹어서 내가 총리 되는 순간의 미일 관계는 9회말 2아웃과 같은 것이었어"라고 대놓고 비꼬는 발언을 하면서 스즈키의 속은 뒤집어졌다. 더욱이 다나카의 지원으로 총리가 된 나카소네는 내각 구성도 자신의 파와 다나카 파 일색으로 채워넣으면서 다른 파들의 불만도 팽배해졌다.

상황이 이렇게 흘러가자 복수의 기회만 노리고 있던 스즈키는 1984년 나카소네의 1차 임기가 종료되자 역습을 가했다.

3. 전개

1984년 10월 26일 스즈키는 뜬금없이 다나카의 집을 방문했다. 총재 선거를 앞둔 시점이라 그 행보가 예사롭지는 않았는데 이때 스즈키가 다나카에게 제안한 것은 다나카파의 2인자인 니카이도 스스무를 총재로 옹립하자는 것이었다.

사실 다나카파 구성원들은 말은 안 해도 다나카에게 못내 서운한 점이 있었는데 다나카가 자기 파벌에서는 총리를 내지 않는 것이었다. 이는 다나카가 다시 총리가 되고 싶은 욕심에 만일 자기 파벌에서 총리가 나올 경우 자신의 파벌 장악력이 무너질 것을 염려한 것이 매우 컸다. 이 때문에 다나카는 총리 복귀의 야심을 버리지 않은 채 차세대 주자로 거론되던 다케시타 노보루 등 소위 뉴리더 그룹을 적당히 다독이면서 배후에서 자민당을 주무르고 있었다.

스즈키가 노린 점은 바로 이 부분이었다. 다나카파의 2인자인 니카이도 스스무를 총재로 내세워 나카소네의 재선을 막고 동시에 다나카파를 분열시켜 종래에는 다나카를 몰락시키려는 계산이었다. 2인자가 총리가 되면 다나카도 다시 총리하겠다고 나서기는 힘들 것이고 총리 출신 2인자가 자신의 독자 파벌을 만들게 되면 다나카파는 자연스럽게 분열 수준을 밟게 될 터였다. 그렇게 되면 당내 최대 계파인 다나카파가 둘로 쪼개지고 스즈키는 자신 파벌의 2인자인 미야자와 기이치를 내세워서 그를 총리에 앉힌 뒤 다나카처럼 뒤에서 권력을 휘두려는 생각이었다.

스즈키는 치밀하게 다나카의 최대 정적인 후쿠다 다케오미키 다케오 전 총리를 포섭하고 국가수반 지명투표를 대비해 야당인 공명당민사당까지 끌어들였다.

그러나 이 계획은 무산되고 말았는데 스즈키의 수를 읽은 다나카가 이 제안에 결사적으로 반대한 데다 다케시타 노보루의 후견인인 가네마루 신도 이를 반대했고, 원래 나카소네에게 반감을 가졌던 고모토 토시오가 다케시타의 입장에 동조하면서 미키파를 억제해 버렸고 결정적으로 뉴리더들, 즉 후쿠다파의 아베 신타로[1], 스즈키파의 미야자와 기이치도 이 구상에 신중론을 주장한 탓이었다. 거기에 이 구상이 신문을 통해 대대적으로 보도되면서 만천하에 까발려진 탓에 더 이상 진행할 래야 할 수 없었다.

결국 11월의 총재 선거에서 후쿠다 다케오와 니카이도 스스무는 나카소네의 일방적인 당 운영 등을 질타하고 나카소네는 앞으로 당의 화합을 위해 힘쓰겠으니 한 번만 도와 달라고 읍소한 덕에 간신히 총재 재임에 성공할 수 있었다.

4. 결과

이 사건은 그동안 자민당을 움직여 왔던 각 계파의 1세대 원로들의 퇴장을 불렀다. 스즈키, 후쿠다, 미키는 자신의 파벌을 결국 차세대 주자들에게 물려주고 뒤로 물러나야 했다.

다나카는 여전히 뒤에서 권력을 휘둘렀으나 적어도 스즈키의 계략 중 다나카파를 분열시키겠다는 계략은 먹혀들어서 니카이도 옹립이 좌절되자 다나카파는 급격히 흔들리기 시작했다. 같은 파벌이라면서 정작 총리 자리는 주지 않는 다나카를 더 이상 믿지 못하겠다는 의원들은 다케시타 노보루를 중심으로 뭉치기 시작했고 다케시타는 다나카파의 중견 및 신진 의원들을 규합해 "창정회"를 조직했다. 이는 사실상 다나카파의 분열을 의미했고 믿었던 다케시타의 배신에 충격을 받은 다나카는 충격으로 인한 과음이 겹쳐 뇌경색으로 쓰러지면서 사실상 더 이상의 정치 활동은 불가능해졌다.

이로써 6-70년대를 이끌던 자민당의 원로들은 퇴장하고 그 뒤를 다케시타 노보루, 아베 신타로, 미야자와 기이치 등의 소위 뉴리더들이 이끌게 되었다.


[1] 아베 신조의 아버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