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61041, #062861 20%, #062861 80%, #06104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fff> 초대 | 제2대 | 제3대 | 대행 | 제4대 |
데라우치 마사타케 | 하세가와 요시미치 | 사이토 마코토 | 우가키 가즈시게 | 야마나시 한조 | |
<rowcolor=#fff>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
사이토 마코토 | 우가키 가즈시게 | 미나미 지로 | 고이소 구니아키 | 아베 노부유키 | |
한국통감 · 군정사령관 | }}}}}}}}}}}}}}} |
역임한 직위 | ||||||||||||||||||||||||||||||||||||||||||||||||||||||||||||||||||||||||||||||||||||||||||||||||||||||||||||||||||||||||||||||||||||||||||||||||||
|
제4대 조선총독 야마나시 한조 | |||
<colbgcolor=#062861><colcolor=#fff> 출생 | 1864년 4월 6일 | ||
사가미국 오스미군 (現 가나가와현 히라쓰카시) | |||
사망 | 1944년 7월 2일 (향년 80세) | ||
가나가와현 가마쿠라시 | |||
재임기간 | 제4대 조선총독 | ||
1927년 12월 10일 ~ 1929년 8월 17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62861><colcolor=#fff> 학력 | 육군대학교 (8기) | |
직업 | 군인, 정치가 | ||
정당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군사 경력 | |||
임관 | 일본육군사관학교 (구8기) | ||
복무 | 일본제국 육군 | ||
1886년 ~ 1925년 | |||
최종 계급 | 대장 | ||
참전 | 청일전쟁 러일전쟁 제1차 세계 대전 |
[clearfix]
1. 개요
일본 제국의 정치인, 군인. 일제강점기 제4대 조선 총독.2. 생애
1864년 4월 6일에 사가미국 오스미군에서 태어났다. 1886년 일본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여 소위로 임관하였으며 1892년 일본 육군대학을 졸업하였다.청일전쟁, 러일전쟁, 제1차 세계 대전에 모두 참전한 뒤 1921년 하라 다카시 내각의 육군대신이 되었다. 이 시기 그는 정치군인으로서 다카하시 고레키요 등의 군 개혁에 크게 반발하여 이를 무산시키면서도 세계적 대세였던 감군과 군축에는 동의하여 2차례에 걸쳐 이른바 야마나시 군축을 단행하는 등 정당 세력과 군벌 세력간에서 중간적인 입장에 있었고 그 덕분에 당시 수차례 내각이 바뀌었음에도 자리를 유지할 수 있었다. 육군대신을 그만둔 후 관동대지진이 일어났을 때는 간토 계엄 사령관 및 도쿄 경비 사령관을 하기도 했다.
1925년 4월 동기이자 정치선배인 다나카 기이치가 입헌정우회의 총재로 되자 곧바로 다음 달인 5월에 전역해서 예비역이 되었고 정치에 발을 담그면서 당초에는 정우본당에 가까웠으나 곧 다나카가 있는 정우회에 접근하고 다나카는 야마나시를 이용하여 정우본당의 의원들에게 뇌물을 주어 입헌정우회로 끌여들이는 등 적극적인 정치공작을 벌였는데 이것이 발각되어 야마나시는 정우본당, 그리고 나중에 정우본당이 헌정회와 합당하여 창당된 민정당과는 원수지간이 되었고 의회에서 문제의 추궁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자금 출처가 문제로 되면서 시베리아 출병 당시 비자금을 빼돌렸다가 썼다는 의혹까지 일어났다.
전임 조선 총독인 사이토 마코토 제독이 1927년 4월 4일 제네바 해군 군축조약(6월 2일 ~ 8월4일)의 전권대표로 조선 총독직을 일시 사임하자 신임 조선 총독으로 부임했는데 그가 총독이었을 때는 사이토의 문화 통치를 이어 받아 느슨한 통치를 했으며 심지어 더 느슨해졌다. 단적인 예로 구색맞추는 기관에 불과했던 친일파 중추원 의원들이 조선인의 권익을 증진하자는 대규모 청원과 요구를 하였는데 그는 '관대하게도' 이에 큰 불평을 하지 않았다고 <경성일보>에서 비판적으로 표현되었다. 심지어 이 보도에 조선인들이 반발하자 경성일보 사장을 불러 미공개 회의록을 유출했다며 나무라고 경성일보에서 사죄문을 게시하는 일이 터졌을 정도(....).[1]
그러나 이 직책을 맡으면서 그의 정치생명은 완전히 끝장나게 되었는데 당시 미곡상이 경성(서울)에 미곡 거래소 설립을 허가해주는 대가로 야마나시 장군의 측근에게 당시 금액으로 5만엔의 뇌물을 주었다가 발각된 사건이 벌어졌기 때문이다. 이것을 조선총독부 의옥 사건이라고 한다.
여기에 더해 조명하 의사가 타이완에서 천황 히로히토의 장인인 구니노미야 구니요시 왕을 살해 시도하는 사건도 발생해 불과 1년 8개월만에 조선 총독에서 사임했고 전임 총독 사이토 제독이 다시 총독으로 복귀했다. 일제의 패전으로 인해 물러난 아베 노부유키를 제외하면 최단임 총독이다.
그는 재판을 받고 주변 사람들은 유죄를 선고받았으나 그는 무죄 판결을 받았고 석방되었으나 이로 인해 1929년 말에 모든 공직을 내놓아야 했다. 이후 계속 자택에서 칩거하다가 1944년 7월 2일에 일본 가나가와현 가마쿠라에 있는 자신의 자택에서 80세에 자연사했다.
3. 여담
- 부패한 "금권 장군"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었다. 정치질과 탐관오리로 유명했는데 결국 이것으로 인해 정치 생명이 끝장났다. 조선총독부 부임 전에도 시베리아 출정 당시 일본군이 획득한 황금을 횡령하는 등의 혐의로 군부 내에서 '배금 장군'이라 불릴 정도였다. 일본의 제국주의를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국까 일뽕들도 역대 조선총독들 중 이 사람은 좋게 평가하지 않는다.
- 검은머리 미군 대원수에서는 기어코 총리까지 올라가지만 이누카이 쓰요시처럼 청년 장교들에게 암살당한다. 군의 미래가 저 꼴이니 저걸 가르치는 교관은 얼마나 개판이겠느냐는 독백과 함께.
[1] 이런 현대 한국인이 봤을 때 당황스러운 전개가 일어난 건 <경성일보>가 재조선 일본인이 운영하는 언론이었기 때문이다. 조선의 일본인 이주민들은 대부분 하층민이었기에 일본인이라는 사실에 더욱 집착했고, 조선인을 착취하여 자신들이 지배계급이 되기를 원했다. 반면 조선 통치에 책임이 있는 총독 입장에선 조선인들을 너무 쥐어짜다가 문제가 터지면 당장 본인 커리어에 흠집이 나기에 적어도 어르고 달래는 척은 해야만 했다. 그렇기에 그 전에도 조선인 토지를 수탈하여 일본인에게 나누어 주고 조선인들은 황무지나 개간하게 시키라는 재조선 일본인의 주장을 이토 히로부미가 반려하고, 일본어 신문들이 데라우치 마사타케의 가혹한 언론통제와 조선인 우대정책(?)을 비판하는 어이가 없는 사태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