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 해군경 (1873년~1885년) | ||||||||
초대 가쓰 가이슈 | 2·4대 가와무라 스미요시 | 3대 에노모토 다케아키 | 2·4대 가와무라 스미요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 <rowcolor=#fff> 해군대신 (1885년~1945년) | ||||
1-3·7-10대 사이고 주도 | 4·5대 가바야마 스케노리 | ||||||||
6대 니레 가게노리 | 1-3·7-10대 사이고 주도 | ||||||||
11·13대 야마모토 곤노효에 | 12대 사이토 마코토 | ||||||||
14-18대 사이토 마코토 | 19대 야시로 로쿠로 | 20-24대 가토 도모사부로 | |||||||
20-24대 가토 도모사부로 | 25-26·28-29·31대 다카라베 다케시 | ||||||||
25-26·28-29·31대 다카라베 다케시 | 27대 무라카미 가쿠이치 | 25-26·28-29·31대 다카라베 다케시 | 30·35대 오카다 게이스케 | ||||||
25-26·28-29·31대 다카라베 다케시 | 32-33대 아보 기요카즈 | 34·36-37대 오스미 미네오 | 30·35대 오카다 게이스케 | ||||||
34·36-37대 오스미 미네오 | 38대 나가노 오사미 | 39-41·49-52대 요나이 미쓰마사 | |||||||
39-41·49-52대 요나이 미쓰마사 | 42-44대 요시다 젠고 | 45-46대 오이카와 고시로 | |||||||
47대 시마다 시게타로 | 48대 노무라 나오쿠니 | 39-41·49-52대 요나이 미쓰마사 | |||||||
폐지 | |||||||||
39-41·49-52대 요나이 미쓰마사 | }}}}}}}}} |
군령부총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0313f, #b0313f 20%, #b0313f 80%, #b0313f); color: #fff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군령부총장 (1886년~1945년) | ||||
초대 니레 카게노리 | 제2대 이토 슌키치 | 제3대 아리치 시나노죠 | 제4대 이노우에 요시카 | ||
제5대 나카무타 쿠라노스케 | 제6대 가바야마 스케노리 | 제7대 이토 스케유키 | 제8대 도고 헤이하치로 | ||
제9대 이주인 고로 | 제10대 시마무라 하야오 | 제11대 야마시타 겐타로 | 제12대 스즈키 간타로 | ||
제13대 가토 간지 | 제14대 다니구치 나오미 | 제15대 후시미노미야 히로야스 왕 | 제16대 나가노 오사미 | ||
제17대 시마다 시게타로 | 제18대 오이카와 고시로 | 제19대 도요다 소에무 | }}}}}}}}} |
시마다 시게타로 [ruby(嶋田 繁太郎, ruby=しまだ しげたろう)] | |
| |
주요 직책 | 일본제국의 해군 군령부장, 해군대신 |
출생 | 1883년 9월 24일 |
사망 | 1976년 6월 7일 (향년 92세) |
1. 개요
일본제국 해군의 군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해군 제독이다. 도조 내각에서 해군대신으로 일한 바 있다.2. 생애
시마다 시게타로는 1883년, 에도 막부의 신하 및 신관의 자식으로 태어났다. 도쿄 중학을 거쳐 1904년에 일본 해군병학교를 졸업한 뒤, 해군 소위 후보생이 되었다. 1905년 5월 말에는 쓰시마 해전에서 순양함 "이즈미"에 올라 정찰 임무에 종사하였다.1915년에 일본 해군대학교를 졸업한 후, 해군 소좌로 승진되었다. 그 후에는 1916년부터 1919년까지 이탈리아 대사관에서 무관으로 근무하였고, 주로 군령부에 재적하면서 군령부 총장의 신임을 얻었다.
1923년에 일본 해군대학 교관을 지내고, 1928년에는 쿠마급 경순양함 타마와 콩고급 순양전함 히에이를 거쳐 해군 소장으로 진급하였다. 상하이 사변 때는 제3함대 참모장으로 상하이에 출동하였다.
1939년에는 중국 방면 함대 사령관과 동시에 해군 대장이 되었고, 1941년 10월에는 도조 내각에서 해군대신으로 임명되었다. 1944년 2월, 도조 히데키 수상 겸 육군참모총장 겸임에 맞추어 군령부 총장을 겸임했지만 지지를 받지 못했고, 같은 해 6월에 있었던 필리핀 해전에서의 패배로 인해 도조 히데키와 아울러 큰 비판을 받았다. 7월에는 해군대신, 8월에는 군령부 총장을 사임하였고, 후에 군사 참의관을 거쳐 1945년 1월에 예비역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에 A급 전범으로 지명돼, 헌병이 신병 구속을 위해 자택에 방문했을 때는 자신은 자살하지 않는다는 당당한 태도로 연행되어갔다. 극동 국제 군사 재판에서는 일본 해군에 있어서 전쟁 수행의 최고 책임자로 사형을 면할 수 없다는 예상이 지배적이었으나, 1948년 11월 12일에 종신형 판결을 받았다. 1955년, 가석방 후에 사면돼 1976년에 사망하였다.
3. 기타
4. 둘러보기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be0026; border-right: 10px solid #be0026;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 직위 | 명단 |
<colcolor=#fff> 외무대신 | <colbgcolor=#ffffff,#1f2024> 도고 시게노리 → 도조 히데키 → 다니 마사유키 → 시게미쓰 마모루 | |
대동아대신 | 아오키 가즈오 | |
내무대신 | 도조 히데키 → 유자와 미치오 → 안도 기사부로 → 가야 오키노리 → 이시와타 소타로 | |
사법대신 | 이와무라 미치요 | |
대장대신 | 가야 오키노리 → 이시와타 소타로 | |
육군대신 | 도조 히데키 | |
해군대신 | 시마다 시게타로 → 노무라 나오쿠니 | |
문부대신 | 하시다 쿠니히코 → 도조 히데키 → 오카베 나가카게 | |
후생대신 | 고이즈미 치카히코 | |
농림대신 | 이노 히로야 → 야마자키 다쓰노스케 | |
상공대신 | 기시 노부스케 → 도조 히데키 | |
농상대신 | 야마자키 다쓰노스케 → 우치다 노부야 | |
체신대신 | 하타 요시아키 | |
철도대신 | 데라시마 겐 → 하타 요시아키 | |
운수통신대신 | 하타 요시아키 → 고토 게이타 | |
척무대신 | 도고 시게노리 → 이노 히로야 | |
무임소대신 | 스즈키 데이이치 | |
기시 노부스케 | ||
안도 기사부로 | ||
오아사 다다오 | ||
고토 후미오 | ||
후지와라 긴지로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