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국 중앙성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C4C97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내각부 | ||
총무성 | 법무성 | 외무성 | |
재무성 | 문부과학성 | 후생노동성 | |
농림수산성 | 경제산업성 | 국토교통성 | |
방위성 | 환경성 | ||
각성대신(주임대신) · 특별법에 따른 국무대신 ·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fff,#1c1d1f><tablebgcolor=#ffffff,#1c1d1f> | 농림수산성 農林水産省 Ministry of Agriculture, | }}} | |
<colbgcolor=#AD0000><colcolor=#ffffff> 약칭 | 농수성(農水省), MAFF | |||
설립일 | 1978년 7월 5일 | |||
전신 | 농림성 | |||
대신 | 고이즈미 신지로 | |||
부대신 | 사사가와 히로요시 타키나미 히로후미 | |||
대신정무관 | 쇼지 켄이치 야마모토 사치코 | |||
사무차관 | 요코야마 신 | |||
소재지 | ||||
도쿄도 치요다구 카스미가세키1초메 2-1 (東京都千代田区霞が関一丁目2番1号) | ||||
내부부국 |
| |||
외국 | 임야청 (林野庁) 수산청 (水産庁) | |||
직원 수 | 15,077명 (외국 제외) 4,753명 (임야청) 937명 (수산청) | |||
웹사이트 |
1. 개요
일본의 중앙성청 중 하나. 대한민국의 옛 농림수산식품부(현 농림축산식품부) + 식품의약품안전처[1]와 유사한 기관이다.식료의 안정공급의 확보, 농림수산업의 발전, 농림업자의 복지 증진, 농산어촌 및 중간지역 등의 진흥, 농업의 다면에 걸친 기능의 발휘, 삼림의 보존배양 및 삼림생산력의 증진과 더불어 수산의 적절한 보존 및 관리를 꾀하는 것을 임무로 한다(농림수산성설치법 제3조). 약칭은 농수성.
농업・축산업, 임업, 어업(수산업)을 비롯해 식품의 안전하고 안정적인 공급, 농촌의 진흥 등을 관장한다. 광의의 '먹거리' 안전에 대해서는 농림수산성 소비안전국도 관여하고 있지만 협의의 '식품' 안전에 대해서는 후생노동성 의약식품국이 관장하고 있다.
일본 경마의 감독관청이기도 하여, 경주명에 '농림수산성상전'이 붙는 경주도 있다. 지방경마의 경우는 '농림수산대신상전'이 된다. 국영경마 시절에는 경마부가 경마를 주최한 적도 있다.
2. 역사
농림수산성의 변천사 |
농상무성 |
↓ |
농림성 |
↓ |
농상성 |
↓ |
농림성 |
↓ |
농림수산성 |
상술하듯이 1925년 설립 당시에는 농림성이었으나 200해리 수역문제 등 수산행정의 중요성이 높아졌기 때문에 1978년 7월 5일 현재의 명칭으로 바뀌었다.
3. 역대 대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000,#e5e5e5 | 전전 농림대신 (1925~1943) | |||||||||
초대 다카하시 고레키요 | 2대 오카자키 쿠니스케 | 3대 하야미 세이지 | 4·6대 마치다 추지 | |||||||
5·7대 야마모토 테이지로 | 4·6대 마치다 추지 | 5·7대 야마모토 테이지로 | 8대 고토 후미오 | |||||||
9·11·20대 야마자키 타츠노스케 | 10·16대 시마다 토시오 | 9·11·20대 야마자키 타츠노스케 | 12대 아리마 요리야스 | 13대 사쿠라우치 유키오 | ||||||
14·16대 고도 타쿠오 | 15대 사카이 타다마사 | 10·16대 시마다 토시오 | 17대 고노에 후미마로 | 18대 이시구로 타다아츠 | ||||||
19대 이노 히로야 | 9·11·20대 야마자키 타츠노스케 | |||||||||
전후 농림대신 (1945~1978) | ||||||||||
초대 센고쿠 고타로 | 2대 마츠무라 켄조 | 3대 소에지마 센파치 | 4대 와다 히로오 | 5대 요시다 시게루 | ||||||
임시대리 가타야마 데쓰 | 6대 히라노 리키조 | 7대 하타노 카나에 | 8대 나가에 가즈오 | 임시대리 요시다 시게루 | ||||||
9대 스토 히데오 | 10대 모리 고타로 | 12·14·16대 히로카와 고젠 | 13대 네모토 류타로 | 15대 오가사와라 산쿠로 | ||||||
12·14·16대 히로카와 고젠 | 17대 타코 이치민 | 18대 우치다 나오야 | 19대 호리 시게루 | |||||||
20-21·22대 고노 이치로 | 23·24대 이데 이치타로 | |||||||||
25대 아카기 무네노리 | 26대 미우라 쿠니오 | |||||||||
27대 후쿠다 다케오 | 28대 난조 도쿠오 | 29대 스토 히데오 | 30대 고노 이치로 | |||||||
31대 시게마사 세이지 | 32·33·34대 아카기 무네노리 | |||||||||
35대 사카타 에이치 | 36대 마쓰노 라이조 | 37·38대 쿠라이시 타다오 | 39대 니시무라 나오미 | |||||||
40대 하세가와 시로 | 41대 쿠라이시 타다오 | 42대 아카기 무네노리 | 43대 아다치 도쿠조 | 44대 사쿠라우치 요시오 | ||||||
45대 쿠라이시 타다오 | 46대 아베 신타로 | 47대 오이시 부이치 | 48대 스즈키 젠코 | |||||||
49대 나카가와 이치로 | ||||||||||
농림수산대신(1978년~현재)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초대 나카가와 이치로 | 2대 와타나베 미치오 | 3대 무토 가분 | 4대 가메오카 다카오 | 5대 다자와 기치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6대 가네코 이와조 | 7대 야마무라 신지로 | 8대 사토 모리요시 | 9·12대 하타 쓰토무 | 10대 가토 무쓰키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1대 사토 다카시 | 9·12대 하타 쓰토무 | 13대 호리노우치 히사오 | 14·51·52대 카노 미치히코 | 15대 야마모토 도미오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6대 곤도 모토지 | 17대 다나부 마사미 | 18대 미야자와 기이치 | 19대 하타 에이지로 | 20대 가토 무쓰키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21대 오가와라 다이치로 | 22대 노로타 호세이 | 23대 오하라 이치조 | 24대 후지모토 다카오 | 25대 오치 이헤이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26대 시마무라 요시노부 | 27·40대 나카가와 쇼이치 | 28·29대 다마자와 도쿠이치로 | 30대 다니 요이치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31대 야쓰 요시오 | 32대 다케베 쓰토무 | 33대 오시마 다다모리 | 34·35대 가메이 요시유키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36대 시마무라 요시노부 | 37대 고이즈미 준이치로 | 38·39대 이와나가 미네이치 | 27·40대 나카가와 쇼이치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41대 마쓰오카 도시카쓰 | 42대 아카기 노리히코 | 43·45·46대 와카바야시 마사토시 | 44대 엔도 다케히코 | 43·45·46대 와카바야시 마사토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43·45·46대 와카바야시 마사토시 | 47대 오타 세이이치 | 48대 이시바 시게루 | 49대 아카마츠 히로타카 | 50대 야마다 마사히코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4·51·52대 카노 미치히코 | 53대 군지 아키라 | 54·57대 하야시 요시마사 | 55·56대 니시카와 고야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55·56대 니시카와 고야 | 54·57대 하야시 요시마사 | 58대 모리야마 히로시 | 59대 야마모토 유지 | 60·61대 사이토 겐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60·61대 사이토 겐 | 62대 요시카와 다카모리 | 63·71대 에토 다쿠 | 64대 노가미 고타로 | 65·66대 가네코 겐지로 | ||||||
65·66대 가네코 겐지로 | 67대 노무라 데쓰로 | 68대 미야시타 이치로 | 69대 사카모토 데쓰시 | 70대 오자토 야스히로 | ||||||
63·71대 에토 다쿠 | 72대 고이즈미 신지로 | }}}}}}}}}}}} |
3.1. 농림수산대신의 저주
농림수산 행정을 폭넓게 총괄하는 각료로서 중요성이 높지만, 정작 취임한 정치인은 취임 중 불상사에 직면해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사임하거나 퇴임 후 불행을 맞기도 한다. 그래서 매스컴에서는 '귀문(鬼門)'이나 '저주받은 자리(呪われたポスト)'라 하기도 한다.- 히로카와 고젠: 제3차 요시다 제1차 개조내각 시절 요시다 시게루 총리대신 징벌 동의안 처리에 결석하고 해당 안건이 본회의에서 가결되는 바람에 파면되었고, 요시다 총리가 니시무라 에이이치에게 바카야로라고 욕설을 했다 하여 이름지어진 일명 바카야로 해산(バカヤロー解散)으로 치러진 제2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낙선했다.
- 나카가와 이치로: 마지막 농림대신이자 초대 농림수산대신으로, 후쿠다 다케오 개조내각에서 재임했지만 퇴임 5년 만에 57세의 젊은 나이로 자살했다.
- 야마무라 신지로: 제2차 나카소네 내각의 농림수산대신. 요도호 공중 납치 사건의 인질 대역으로도 알려져 있는 그는 퇴임 8년 후인 1992년에 차녀에게 살해당했고, 그 차녀도 4년 뒤 자살했다.
- 구마자와 히데키: 제2차 모리 개조내각 (중앙성청개편 이후)의 농림수산성 사무차관. 위의 야마무라와는 정반대로 2019년 44세의 히키코모리 아들을 말다툼 끝에 흉기로 살해하는 비극을 일으켰다.
- 다케베 쓰토무: 제1차 고이즈미 내각에서 농림수산대신으로 취임했으나 광우병 문제를 둘러싼 실언으로 비판을 받아 이듬해 개각에서 경질되었다.
- 오시마 다다모리: 다케베의 후임으로 취임했으나 여러 의혹으로 경질되었다.
- 가메이 요시유키: 제1차 고이즈미 제1차 개조내각부터 제2차 고이즈미 내각까지 농림수산대신으로 재임했으나 퇴임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병으로 쓰러져 사망했으다.
- 시마무라 요시노부: 2004년 제2차 고이즈미 개조내각에서 취임했으나 이듬해 우정해산 직전 각의에서 중의원 해산에 반대해 서명을 거부하여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에게 파면당하고, 고이즈미 본인이 농림수산대신을 직접 겸직해 '내각총리대신 겸 농림수산대신'의 자격으로 중의원 해산서에 서명하는 일이 벌어졌다. 그래도 우정해산으로 치러지는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일명 우정 민영화 총선)에서 공천조차 못 받고 대거 숙청된 다른 이들과 달리 다행히 공천을 받고 의원직 연임에는 성공했다.
- 이와나가 미네이치: 부대신에서 대신으로 승진 임용된 케이스로, 제3차 고이즈미 내각 출범과 함께 농림수산대신으로 취임했으나 퇴임 후에 헌금 문제를 지적받았다.
- 나카가와 쇼이치: 나카가와 이치로의 아들로 1998년 오부치 내각에서 농림수산대신을 지내고 2005년 제3차 고이즈미 개조내각에서도 농림수산대신에 재기용되어 무난히 직무를 수행하고 퇴임했지만 4년 후 아소 내각 재무대신으로 재직 중 G7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 참석했다가 만취상태로 기자회견장에 나타난 사건을 계기로 다음 총선에서 낙선하고 2009년 10월 아버지 이치로보다 1살 젊은 56세로 급사했다.
- 마츠오카 도시카츠: 2006년 9월 26일 제1차 아베 신조 내각 출범과 함께 취임했으나 국회에서 광열수비문제를 추궁당해 전후 최초로 현직 각료의 재임 중 자살이라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 아카기 노리히코: 와카바야시 마사토시의 임시대리 체제를 거쳐 마츠오카의 후임으로 취임했으나 여러 가지 의혹으로 7월 참의원 선거에서 자민당 패배를 불러왔다는 책임론이 불거져 2007년 8월 1일 경질되었고, 2009년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도 정권 교체 여파를 못 이기고 낙선했다.
- 엔도 다케히코: 와카바야시 마사토시 환경대신의 겸직 체제를 거쳐 2007년 8월 27일 제1차 아베 신조 개조내각의 농림수산대신으로 취임했으나 오키타마공제조합금 부정 수급 의혹을 받아 9월 3일 사임, 재임기간 8일이라는 근래에는 드문 초유의 사태가 일어났다.
- 와카바야시 마사토시: 또 다시 엔도의 후임으로 취임, 같은 내각에서 임시대리를 포함해 3개월 남짓한 기간 동안 3번째 농림수산대신 취임이었으나 퇴임 후 2010년 4월 2일, 참의원 본회의 부정투표 문제로 의원직을 사퇴했다.
- 오오타 세이이치: 2008년 8월 사무소비 문제가 부상, 재임 중 사고미 부정 전매 사건에 관한 발언이 문제되었고, 9월 19일 사고미 부정 전매의 책임을 지고 후쿠다 야스오 총리에게 사직서를 제출했으나 아카기와 나란히 선거에서 낙선했다.
- 이시바 시게루: 오오타의 사임 후 마치무라 노부타카 전 내각관방장관의 임시대리 체제를 거쳐 아소 내각 농림수산대신으로 취임했으나 "누구한테서 사무를 이어받아야 하나?"라며 취임 인터뷰에서 이 사태에 대해 조롱했고, 재임 기간 내내 아소와 부딪치다가 주류에게 단단히 찍혀 오랫동안 총리직과 거리가 멀어진 채 아웃사이더로 지내야 했다. 그의 총리 꿈도 정적 아베가 암살당하고 아베파 전체가 와해되고 난 후에야 이뤄진 것으로, 중의원 초선 입성 이래 총리 취임까지 38년이 걸렸으며, 총리가 된 후에도 레이와 쌀 소동 때문에 지지율 하락을 면치 못 하고 있다. 공교롭게도 이 쌀 소동의 책임기관이 농림수산성이다.
- 아카마츠 히로타카: 2009년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 출범과 함께 농림수산대신으로 취임했으나 이듬해 구제역 문제 늑장 대응으로 비판을 받아, 각료의 태반이 유임한 6월의 간 내각 출범 직전 책임을 지고 대신직에서 퇴임했다.
- 야마다 마사히코: 부대신에서 승진 임용 형식으로 후임 농림수산대신에 취임해 직무 자체는 무난히 수행했으나 2010년 9월 민주당 대표 선거에서 총리와 대립하는 오자와 이치로 후보를 지원하는 바람에 불과 3개월 만에 퇴임했다.
- 카노 미치히코: 제1차 가이후 내각 이래 21년 만에 간 제1차 개조내각의 농림수산대신으로 재기용되어 직무를 무난히 수행했으나 중국 서기관 스파이 의혹에 직면해 2012년 6월 노다 제2차 개조내각 출범에 맞추어 퇴임하고 군지 아키라가 후임 농림수산대신에 취임했다.
- 요시카와 다카모리: 제4차 아베 신조 제1차 개조내각의 농림수산대신으로 재임했었으나 뇌물수수 의혹으로 2020년 12월 의원직을 사퇴했다.
- 니시카와 고야: 제2차 아베 신조 개조내각에서 제3차 아베 신조 내각까지 농림수산대신으로 재임했었으나 뇌물수수 사실을 인정했다.
- 모리야마 히로시: 제3차 아베 신조 제1차 개조내각의 농림수산대신으로 임명되었으나 사무차관과의 갈등으로 1년 만에 개각에 맞춰 퇴임했다.
- 오자토 야스히로: 2019년 파파카츠 성추문 의혹에 휩싸였던 전적이 있으며, 2024년 제1차 이시바 내각의 첫 농림수산대신으로 임명되었으나 명색이 현직 국무대신이라는 사람이 그해 10월 27일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20%p 이상의 차로 노마 다케시 의원에게 패배해 석패율 부활도 못 하고 낙선해 체면을 구겼다.
- 에토 다쿠: 제4차 아베 신조 제2차 개조내각에서 농림수산대신을 지냈다가 제2차 이시바 내각 출범과 함께 오자토의 후임으로서 재기용되었으나 2025년 5월 18일 레이와 쌀 소동 국면에서 "쌀을 안 산다. 후원자와 지지자들이 쌀을 많이 사다줘서 쌀을 팔아도 될 정도로 많이 있다."라는 망언을 했다가 20일 사직서를 제출하는 형식으로 경질되었다.
전후 헌정 이래 파면된 국무대신은 5명인데 그중 무려 3명이 농림수산대신이다. 2025년 기준으로 15개의 성청[2]에 대신들이 한 명씩 있고 거기에 내각부 특명담당대신[3]과 기타 국무대신[4]들까지 있으니 대단하다면 대단한 기록이다.
4. 외국(外局)[5]
5. 특수법인
6. 매체에서
- 임금체불 시뮬레이션 DX의 2스테이지 야채가게에서 식품위생법을 안 지키는 플레이어의 회사를 단속하는 기관으로써 식약처의 일본어 현지화 버전으로 등장한다.
[1] 한국도 1995년까지는 일본처럼 농림수산부에서 수산 관련 정책을 담당했으나 1996년에 농림부와 해양수산부가 분리되었는데, 아이러니하게도 한국에서 해양수산부가 따로 분리된 원인은 다름 아닌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이었다.[2] 총무성, 법무성, 외무성, 재무성, 문부과학성, 후생노동성, 농림수산성, 경제산업성, 국토교통성, 환경성, 방위성, 내각관방, 디지털청, 부흥청, 국가공안위원회[3] 내각부에서 내각총리대신을 보조하는 분장관격 국무대신.[4] 일명 '내각의 담당대신'이라 하여 내각총리대신이 특별히 설치한 국무대신으로, 내각부 특명담당대신과는 다른 직책이다. 2020 도쿄 올림픽 담당대신(일명 오륜대신)과 2025 오사카-간사이 엑스포 담당대신(일명 만박대신)도 이런 종류에 속하나, 다른 담당대신과 달리 특별법에 의거하여 설치된 한시적 직책으로서 국무대신 정원에서 특별히 증원된 직책이다.[5] 본청에 소속되지 아니한 특수한 사항을 관장하는 기관 내지는 부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