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1131 0%, #7b1c4f 20%, #7b1c4f 80%, #4d1131); min-height: 31px" {{{#E2B83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 제국의회 중의원 부의장 | ||||||||||||||||||||||
| 1대 | 2대 | ||||||||||||||||||||||
| 1대 츠다 마사미치 | 2대 소네 아라스케 | 3대 쿠스모토 마사타카 | 4대 아베이 이와조 | ||||||||||||||||||||
| 3대 | 4대 | 5대 | 6대 | ||||||||||||||||||||
| 5대 카타오카 겐키치 | 6대 시마다 사부로 | 7-9대 카타오카 겐키치 | |||||||||||||||||||||
| 7대 | 8대 | 9대 | 10대 | ||||||||||||||||||||
| 7-9대 모토다 하지메 | 10대 스기타 테이이치 | 11대 마노우라 카츤도 | 12대 코이즈카 류 | ||||||||||||||||||||
| 11대 | 12대 | 13대 | |||||||||||||||||||||
| 13대 세키 나오히코 | 14대 하나이 타쿠조 | 15대 하야미 세이지 | 16대 하마다 쿠니마츠 | ||||||||||||||||||||
| 14대 | 15대 | ||||||||||||||||||||||
| 17대 카스야 기조 | 18대 마츠다 겐지 | 19대 고이즈미 마타지로 | 20대 마츠우라 고베에 | ||||||||||||||||||||
| 16대 | 17대 | 18대 | |||||||||||||||||||||
| 21대 키요세 이치로 | 22대 코야마 쇼주 | 23대 마스다 기이치 | 24대 우에하라 에츠지로 | ||||||||||||||||||||
| 19대 | 20대 | ||||||||||||||||||||||
| 25대 오카다 타다히코 | 26대 카네미츠 츠네오 | 27대 타고 이치민 | 28·29대 우치가사키 사쿠사부로 | ||||||||||||||||||||
| 21대 | 22대 | ||||||||||||||||||||||
| 28·29대 우치가사키 사쿠사부로 | 30대 쇼다 에이치키 | 31대 키무라 코자에몬 | 32대 이노우에 토모하루 | ||||||||||||||||||||
| 일본 국회 중의원 부의장 | |||||||||||||||||||||||
| 23대 | 24대 | 25대 | 26대 | ||||||||||||||||||||
| 33대 타나카 만이츠 | 34·35대 이와모토 노부유키 | 36대 하라 효 | |||||||||||||||||||||
| 26대 | 27대 | 28대 | |||||||||||||||||||||
| 37대 타카츠 마사미치 | 38대 스기야마 모토지로 | 39대 시이쿠마 사부로 | 40대 마사키 키요시 | ||||||||||||||||||||
| 28대 | 29대 | 30대 | |||||||||||||||||||||
| 41대 나카무라 타카이치 | 42대 쿠보타 츠루마츠 | 43대 하라 켄자부로 | 44대 타나카 이사지 | ||||||||||||||||||||
| 30대 | 31대 | 32대 | |||||||||||||||||||||
| 45·46대 소노다 스나오 | 47대 코다이라 히사오 | 48대 후지에다 센스케 | |||||||||||||||||||||
| 32대 | 33대 | 34대 | |||||||||||||||||||||
| 49대 아라후네 세이주로 | 50대 하세가와 시로 | 51대 아키타 다이스케 | 52대 미야케 쇼이치 | ||||||||||||||||||||
| 35대 | 36대 | 37대 | 38대 | ||||||||||||||||||||
| 53·54대 오카다 하루오 | 55대 가쓰마타 세이이치 | 56대 타가야 신넨 | |||||||||||||||||||||
| 38대 | 39대 | 40대 | 41대 | ||||||||||||||||||||
| 57대 야스이 요시노리 | 58대 무라카미 키이치 | 59대 쿠지라오카 효스케 | 60·61대 와타나베 고조 | ||||||||||||||||||||
| 42대 | 43대 | 44대 | 45대 | ||||||||||||||||||||
| 60·61대 와타나베 고조 | 62대 나카노 칸세이 | 63대 요코미치 다카히로 | 64대 에토 세이시로 | ||||||||||||||||||||
| 46대 | 47대 | 48대 | 49대 | ||||||||||||||||||||
| 65·67대 아카마츠 히로타카 | 66대 가와바타 다쓰오 | 65·67대 아카마츠 히로타카 | 68대 가이에다 반리 | ||||||||||||||||||||
| 50대 | |||||||||||||||||||||||
| 69대 겐바 고이치로 | }}}}}}}}}}}}}}} | ||||||||||||||||||||||
| 일본 제국 제33대 체신대신 | |||
| 일본 제국 제19대 중의원 부의장 고이즈미 마타지로 小泉又次郎 | Koizumi Matajirō | |||
| <nopad> | |||
| <colbgcolor=#7b1c4f><colcolor=#e2b832> 출생 | 1865년 6월 10일 | ||
| 무사시국 쿠라키군 무츠라쇼촌 다이도 (현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가나자와구 다이도 2초메) | |||
| 사망 | 1951년 9월 24일 (향년 86세) | ||
| 묘소 | 보수원(寶樹院)[1][2] | ||
| 재임기간 | 제19대 중의원 부의장 | ||
| 1924년 6월 26일 ~ 1927년 3월 25일 | |||
| 제33대 체신대신 | |||
| 1929년 7월 2일 ~ 1931년 12월 13일 | |||
| 제13대 요코스카시장 (관선) | |||
| 1934년 5월 15일 ~ 1935년 11월 15일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7b1c4f><colcolor=#e2b832> 학력 | 구제 요코스카 학교 (졸업) 구제 코교쿠샤 중학교 (중퇴) | |
| 부모 | 아버지 고이즈미 유베에(小泉由兵衛), 어머니 | ||
| 가족 | 배우자 아야베 나오(綾部ナオ) 첩 이시카와 하츠(石川ハツ) 외동딸 고이즈미 요시에(小泉芳江) 사위 사메지마 준야(鮫島純也) 외손자 고이즈미 준이치로 외손자 고이즈미 마사야(小泉正也) 진외증손 고이즈미 고타로 진외증손 고이즈미 신지로 외증손자며느리 타키가와 크리스텔 진외증손 미야모토 요시나가(宮本佳長)[3] | ||
| 최종 당적 | |||
| 의원 선수 | 12 (중) | ||
| 의원 대수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
| 지역구 | (구) 가나가와현 제2구[4] | ||
| 악력 | 요코스카학교 대리 교사 도쿄마이니치신문 기자 가나가와현의원 요코스카시의원 중의원 의원 (제10-21대 / 舊 가나가와현 제2구[5]) 헌정회 간사장 중의원 부의장 입헌민정당 간사장(제2대 / 제13대) 입헌민정당 선거대책위원장 제33대 체신대신(하마구치 내각 - 제2차 와카쓰키 내각) 입헌민정당 상임고문 대정익찬회 대의사회 회장 고이소 내각 내각고문 귀족원 칙선 의원 | ||
| 서훈 내역 | 훈1등 서보장 ([ruby(勳一等瑞寶章, ruby=くんいっとう ずいほうしょう)])[6] (1951년 추서) | ||
| 위계 | 정2위 | }}}}}}}}} | |
1. 개요
일본 제국의 정치인.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내각총리대신의 외할아버지[7]로, 야쿠자 조직 고이즈미구미(小泉組)의 보스로 활동하다가 자유민권운동에 투신하며 정계에 입문해 메이지 시대 말부터 쇼와 시대 중기까지 정치인으로 활동하면서 12선 중의원 의원, 중의원 부의장, 체신대신, 요코스카시장, 귀족원 의원을 역임했다.체신대신 시절 온몸에 이레즈미가 새겨져 있어 '이레즈미 대신(いれずみ大臣)'이란 별명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 외에 '야인 마타씨(野人の又さん)'라는 별명도 있었다.
2. 생애
2.1. 어린 시절
1865년 6월 10일, 무사시국 쿠라키군 무츠라쇼손 다이도(현 요코하마시 가나자와구 다이도 2초메)에서 도비업에 종사하는 고이즈미 가문에서 태어났다.아버지인 고이즈미 유베에(小泉由兵衛)는 원래 무사시국 쿠라키군 일대에서 도비직에 종사하였으나, 해군 진수부가 설치된 요코스카시로 진출했다. 도비공 출신 야쿠자 조직인 고이즈미구미(小泉組)를 결성해 도박꾼 출신 야쿠자 조직인 메가네구미(目兼組)와의 세력권 싸움에서 고이즈미구미가 메가네구미를 제압했다. 그렇게 고이즈미구미가 군항의 깡패로서 일대에 조직을 구축하면서 이 조직의 보스의 유베에는 군항 제일의 청부사로 이름을 떨쳤다.
다만 마타지로의 소년 시절은 상세한 기록이 없어서, 불분명한 부분이 많다.
이후 14세에 요코스카 학교[8]를 졸업하고 나서, 원래는 가업인 도비공을 이어야 했지만, 마타지로는 도비공 일을 잇기 싫어해 구제 코교쿠샤 중학교에 들어가지만, 아버지 유베에한테 끌려가게 된다. 이후 모교의 대용 교원(代用教員)이 되었지만, 다시 가출해서 일본예비사관학교에 무단으로 들어갔다.
상경 당시 이타가키 다이스케의 연설을 듣고 보통선거론자가 되었는데, 이후 마타지로의 인생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2.2. 야쿠자 시절
그러나 원래 후계자이던 형이 급사하면서 아버지 유베에한테 끌려가 가업을 이어가라는 엄명을 받아 결국 군인이 되는 걸 포기하고 온몸에 문신을 새기면서 도비업자가 되었다.젊은 시절 찍은 사진. 상반신의 이레즈미 문신이 선명하게 보인다.
그 후 여러 일터들을 돌아다니며 도비공 장인들에게 지시하고 다녔는데, 이 시절 주변인들로 부터 '오야붕'이라고 불리게 된다.
그러다 1889년 도쿄 요코하마 마이니치신문(東京横浜毎日新聞)[9]에서 잠깐 기자로 일했고, 30세 때 게이샤 아야베 나오와 결혼했다.
2.3. 정치인 시절
건달 무리에 들어가 난동을 부리면서 미우라 일대의 정계를 휘몰아치며 다니다가 1887년(메이지 20년)에 오쿠마 시게노부가 이끌던 입헌개진당에 입당한다. 입당 이후 개진당의 유력 정치인인 시마다 사부로와 만나 그 영향을 받았다.다만 이 시절까지는 정치인이 될 생각은 없었고, 어디까지나 아버지와 친분이 있던 정치인 도이 카사쿠(戸井嘉作)의 권유를 받아서 입당한 것에 가까웠다.
이후 1907년 요코스카시의원으로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했고, 1908년 제1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입헌국민당 소속으로 (구) 가나가와현 제2구(대선거구제)에 출마해 첫 당선된 이래 내리 12선을 함으로써 통산 38년간 의정 활동을 했다. 중의원 시절에는 정치인의 진가를 발휘해 자유민권운동, 보통선거 추진운동의 투사로서 보통선거 운동 집회를 이끌면서 '야인 마타씨(野人の又さん)'라는 별명으로 그 이름을 떨쳤다.
제2차 호헌운동 당시 헌정회 간사장으로 활약했고, 1924년에는 중의원 부의장으로 선출되어 1927년까지 역임했다.
입헌민정당 창당 이후 1928년 1월 20일부터 1929년 1월 20일까지 민정당의 간사장을 1년간 역임했다.
1929년 7월 21일부터 1931년 12월 13일까지 하마구치 내각과 제2차 와카쓰키 내각에서 체신대신을 맡아 『이레즈미 대신』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그러나 마타지로 자신은 "야인에게 명예는 필요없다. 나는 대신 같은 거 할 위인이 못 된다. 이번 내각은 여간 잘해줘서는 곤란하다. 그러니 나는 오쿠보 히코자에몬(大久保彦左衛門)이 되어, 나쁜 일이라도 있으면 곧바로 비틀어서 넣어 주겠다. 이젠 노인이니까 아무리 미움을 받아도 괜찮으니까." 등으로 신문 기자들에게 탄식하고 있었을 정도로 본인의 입각에 부정적이었다.
하지만 하마구치 오사치의 설득을 못 이기고 체신대신직을 수락했다. "아무런 방법이 없어서 대신이 되어 버렸다. 야인의 역사를 다쳐서 안타깝지만, 산노다이(山王台)처럼 호통을 쳐서 용서할 수도 없지 않느냐."고 말했다.
당시 신문은 화려하게 마타지로를 다루며 재미있게 쓰고 있다. 마타지로를 쓸 때는 애정과 비슷한 익살스러움이 기자들 사이에서 묻어났다고 한다.
체신대신 퇴임 이후인 1934년 5월 15일 13대 요코스카시장에 취임해 1935년 11월 15일까지 맡았고, 1937년 5월 7일 다시 한번 간사장 직에 올랐는데, 간사장 취임 직전에 하야시 내각이 먹튀 해산(食い逃げ解散)으로 총선을 치렀다가 여당인 쇼와회와 국민동맹이 고작 40석만을 얻는 대참패를 당하고도 하야시가 퇴진 요구 수용은커녕 또 다시 중의원 해산을 하려고 하자, 입헌정우회의 마츠노 츠루헤이 간사장과 함께 하야시 내각 도각 운동을 이끌었다.[10]
간사장으로 재직 중이던 1938년 1월, 제1차 고노에 내각이 국가총동원법을 각의 결정하여 제73회 제국의회에 제출하자, 다와라 마고이치 前 상공대신, 사이토 타카오, 입헌정우회의 하마다 쿠니마츠 의원 등과 토키와카이(常磐會) 그룹을 구성하여 반대파의 중심으로 활동하며, 법안이 성립되는 걸 저지하고자 했다.
다만, 반군연설(反軍演説) 사건으로 사이토가 군부 및 제국의회 內 친군파 의원들에게 공격당하면서 사태 수습을 도모하기 위해 마치다 추지 총재, 다와라 마고이치 주임총무 등과 함께 자발적 탈당을 권고하고, 의원직 제명 투표에서 민정당 의원 다수가 반대했지만, 마치다 총재와 같이 지도부의 일원으로 사이토의 제명에 찬성하는 모습을 보이며 군부에 굴복하는 태도를 보이고, 1940년 8월 15일 입헌민정당이 해산되면서 익찬의원동맹을 거쳐 대정익찬회에 합류하는 무기력한 모습을 보였다.
이후 1944년 10월 27일 고이소 내각에서 내각 고문[11]을 맡았고, 패전 이후 1945년 12월 19일 귀족원 의원으로 칙선되면서 일본진보당에 합류하였으나, 1946년 GHQ에 의해 공직 추방되었다.
공직추방 이후 건강이 계속 나빠지다가, 결국 1951년 9월 24일 향년 8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3. 소속 정당
| <rowcolor=#ffffff> 소속 | 기간 | 비고 |
| ''' 입헌개진당 ''' | 1887 - 1896 | 입당 |
| | 1896 - 1906 | 정당 해산 |
| 유흥회 | 1906 - 1908 | 입당 정계 입문 |
| 우신회 | 1908 - 1912 | 창당 |
| ''' 입헌국민당 ''' | 1912 - 1913 | 창당 |
| | 1913 | 탈당 |
| | 1913 - 1916 | 창당 |
| | 1916 -1927 | 합당 |
| | 1927 - 1940 | 합당 |
| | 1940 | 정당 해산 |
| | 1940 - 1945 | 창당 |
| 대일본정치회 | 1945 | 입당 |
| | 1945 | 정당 해산 |
| | 1945 - 1947 | 창당 |
| | 1947 - 1951 | 공직 추방으로 인한 제명 사망 |
4. 선거 이력
| 연도 | 선거 종류 | 지역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1907 | 1907년 선거 | 요코스카시의원 | 유흥회 | - | 당선 | 초선 |
| 1908 | 제1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가나가와 2구 | - | 당선 (2위) | 초선 | |
| 1912 | 제1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 입헌국민당 '''(중립) | - | 당선 (5위) | 재선 | |
| 1915 | 제1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 - | 당선 (2위) | 3선 | |
| 1917 | 제1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 - | 4선 | ||
| 1920 | 제1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 | 당선 (1위) | 5선 | ||
| 1924 | 제1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 | 6선 | |||
| 1928 | 제1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 - | 당선 (2위) | 7선 | |
| 1930 | 제17회 일본 중의원 총선거 | - | 당선 (1위) | 8선 | ||
| 1932 | 제18회 일본 중의원 총선거 | - | 당선 (3위) | 9선 | ||
| 1936 | 제19회 일본 중의원 총선거 | - | 당선 (1위) | 10선 | ||
| 1937 | 제20회 일본 중의원 총선거 | - | 11선 | |||
| 1942 | 제2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 - | 12선 |
5. 여담
마타지로가 국무대신으로 재임했던 체신성은 1943년 도조 내각에서 철도성과 합쳐져 운수통신성으로 재편되고 체신원(기관장명 총재)[12]이 1946년 체신성으로 재승격했지만, 1949년 체신성에서 전기통신성[13]이 분리 신설되고 모태는 우정성으로 개편됨으로써 우정성이라는 이름으로 명맥이 이어졌으며, 그의 외손자 고이즈미 준이치로가 미야자와 개조내각에서 우정대신을 지냈다. 이후 우정성은 2001년 중앙성청개편 때 자치성, 총무청과 함께 총무성으로 통합되고 2003년 일본우정공사로 공사화되었으며 2001년 내각총리대신에 오른 준이치로가 이른바 우정 해산을 단행하여 일본우정공사를 날려버리고 일본우정으로 민영화해버린다.6.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1기 체신대신 (1885년~1943년) | ||||
| 초대 에노모토 다케아키 | 2대 고토 쇼지로 | ||||
| 3대 구로다 기요타카 | 4대 와타나베 구니타케 | 5대 시라네 센이치 | 6대 노무라 야스시 | ||
| 7대 스에마츠 겐초 | 8대 하야시 유조 | 9·12대 요시카와 아키마사 | 10대 호시 토오루 | 11·16대 하라 다카시 | |
| 9·12대 요시카와 아키마사 | 13대 소네 아라스케 | 14대 오우라 카네타케 | 15대 야마가타 이사부로 | 11·16대 하라 다카시 | |
| 17대 홋타 마사야스 | 18·20대 고토 신페이 | 19대 하야시 타다스 | 18·20대 고토 신페이 | 21대 모토다 하지메 | |
| 22대 다케토미 도키토시 | 23대 미노우라 카츤도 | 24대 덴 겐지로 | 25대 노다 우타로 | ||
| 26대 마에다 토시사다 | 27·29대 이누카이 쓰요시 | 28대 후지무라 요시로 | 27·29대 이누카이 쓰요시 | 30대 아다치 켄조 | |
| 30대 아다치 켄조 | 31·38대 모치즈키 케이스케 | 32대 쿠하라 후사노스케 | 33대 고이즈미 마타지로 | ||
| 34대 미츠치 추조 | 35대 미나미 히로시 | 36대 도코나미 다케지로 | 37대 오카다 게이스케 | 31·38대 모치즈키 케이스케 | |
| 39대 타노모기 케이키치 | 40대 야마자키 타츠노스케 | 41대 코다마 히데오 | 42·45대 나가이 류타로 | 43대 시오노 스에히코 | |
| 44대 타나베 하루미치 | 42·45대 나가이 류타로 | 46대 카츠 마사미치 | 47대 무라타 쇼조 | 48대 데라시마 겐 | |
| 49대 핫타 요시아키 | |||||
| 운수통신대신 (1943년~1945년) | |||||
| 초대 핫타 요시아키 | 2대 고토 케이타 | 3대 마에다 요네조 | 4대 토요다 테이지로 | 5대 고비야마 나오토 | |
| 체신원총재 (내각) (1945년~1946년) | |||||
| 초대 시오바라 도키사부로 | 2대 마츠마에 시게요시 | ||||
| 제2기 체신대신 (1946년~1949년) | |||||
| 50대 히토츠마츠 사다요시 | - 가타야마 데쓰 | 51대 미키 다케오 | 52대 도미요시 에이지 | 임시대리 요시다 시게루 | |
| 우정대신, 운수대신으로 승계 | |||||
| 53대 후루하타 도쿠야 | 54대 오자와 사에키 | }}}}}}}}} | |||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00ff00; border-right: 10px solid #00ff00;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 직위 | 명단 |
| <colcolor=#fff> 외무대신 | <colbgcolor=#ffffff,#1f2024> 시데하라 기주로 | |
| 내무대신 | 아다치 겐조 | |
| 대장대신 | 이노우에 준노스케 | |
| 육군대신 | 우카기 가즈시게 | |
| 해군대신 | 다카라베 다케시 → 아보 기요카즈 | |
| 사법대신 | 와타나베 치후유 | |
| 문부대신 | 고바시 이치타 → 다나카 류조 | |
| 농림대신 | 마치다 추지 | |
| 상공대신 | 다와라 마고이치 | |
| 체신대신 | 고이즈미 마타지로 | |
| 철도대신 | 에기 다스쿠 | |
| 척무대신 | 마츠다 겐지 | |
| 무임소대신 | 아베 노부유키 | }}} }}}}}}}}} |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00ff00; border-right: 10px solid #00ff00;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 직위 | 명단 |
| <colcolor=#fff> 외무대신 | <colbgcolor=#ffffff,#1f2024> 시데하라 기주로 | |
| 내무대신 | 아다치 겐조 | |
| 대장대신 | 이노우에 준노스케 | |
| 육군대신 | 미나미 지로 | |
| 해군대신 | 아보 기요카즈 | |
| 사법대신 | 와타나베 치후유 | |
| 문부대신 | 다나카 류조 | |
| 농림대신 | 마치다 추지 | |
| 상공대신 | 사쿠라우치 유키오 | |
| 체신대신 | 고이즈미 마타지로 | |
| 철도대신 | 에기 다스쿠 → 하라 슈지로 | |
| 척무대신 | 하라 슈지로 → 와카쓰키 레이지로 | }}} }}}}}}}}} |
| 고이즈미 가문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D7003A> 1대 | 고이즈미 마타지로 | ||
| 2대 | 고이즈미 준야 (데릴사위) | |||
| 3대 | 고이즈미 준이치로 | |||
| 4대 | <rowcolor=#D7003A> 장남 | 차남 | ||
| 고이즈미 고타로 | 고이즈미 신지로 | |||
| 처 타키가와 크리스텔 | ||||
| ※둘러보기 : 일본의 정치 가문 | }}}}}}}}} | |||
|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3ca324><tablebgcolor=#3ca324> | 고이즈미 준이치로 관련 문서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3ca324,#3ca324> 생애 | 생애 | ||
| 정치 | 고이즈미 내각 · 우정 민영화 · 가나가와 11구 | |||
| 가족 | 외할아버지 고이즈미 마타지로 · 아버지 고이즈미 준야 · 장남 고이즈미 고타로 · 차남 고이즈미 신지로 | |||
| 외교 | 고이즈미 담화 · 다케시마의 날 · 북일정상회담 | |||
| 환경 | 쿨 비즈 | |||
| 역대 선거 | 제33대 중의원, 제34대 중의원, 제35대 중의원, 제36대 중의원, 제37대 중의원, 제38대 중의원, 제39대 중의원, 제40대 중의원, 제41대 중의원, 제42대 중의원, 제43대 중의원, 제44대 중의원 | |||
| 소속 | 자유민주당 · 세이와 정책연구회 | |||
| | }}}}}}}}} | |||
[1] 신자체로는 宝樹院으로 표기하며,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가나자와구에 위치한 진언종 어실파(真言宗御室派)의 사찰이다.[2] 데릴사위 고이즈미 준야도 여기에 묻혔다.[3] 고이즈미 준이치로와 전처 미야모토 카요코(宮本佳代子)의 3남.[4] 대선거구제 시행 당시의 선거구다.[5] 대선거구제 시절[6] 現 서보대수장([ruby(瑞寶大綬章, ruby=ずいほうだいじゅしょう)]).[7] 마타지로의 외동딸 고이즈미 요시에(小泉芳江)가 준이치로의 어머니이다.[8] 現 요코스카 소학교.[9] 현존하는 4대 일간지인 마이니치 신문과는 관계가 없다. 1940년 제도일일신문에 합병, 현재의 야마토 신문으로 이어진다.[10] 먹튀 해산 직후에 마타지로는 '책임을 정당에 전가하려 한다.', 『이유 없는 해산(理由ナキ解散)』(き는 고어에서 형용사 연체형으로 쓰임.) 등으로 7분간 본회의장에서 연설하면서 하야시를 맹비판했다.[11] 1943년 도조 내각부터 1945년 스즈키 간타로 내각까지 존재한 내각의 자문기관으로, 정식 국무대신은 아니었지만 대신급 대우를 받았다.[12] 운수통신성에서 체신원이 분리되고 운수대신으로 개칭, 2001년 중앙성청개편으로 운수성, 건설성, 홋카이도개발청, 국토청과 합쳐져 국토교통성으로 재편되었다.[13] 1952년 일본전신전화공사로 공기업화되었다가 1985년 NTT로 민영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