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거구 개편 | → | 제41~42대 미쓰즈카 히로시 | → | 제43~44대 니시무라 아키히로 |
일본국 제102대 대장대신 | |
<colcolor=#fff><colbgcolor=#3CA324> 일본국 제33-42대 중의원 의원 미쓰즈카 히로시 三塚博 | Mitsuzuka Hiroshi | |
<nopad> | |
출생 | 1927년 8월 1일 |
미야기현 토다군 키타우라촌 (현 토다군 미사토정) | |
사망 | 2004년 4월 25일 (향년 76세) |
도쿄도 주오구 | |
학력 | 미야기 현립 코고타 농림 학교 (졸업) 구제도쿄 고등 수의학교 (졸업) 와세다대학 법학부 (법학 / 학사) |
최종 당적 | |
의원 선수 | 10 (중) |
의원 대수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지역구 | 舊 미야기 1구 → 미야기 3구 |
악력 | 국회의원 비서 미야기현 현의원 제111대 외무대신 제57대 운수대신 제48대 통상산업대신 제102대 대장대신 자유민주당 간사장 자유민주당 정무조사회장 |
1. 개요
일본의 전직 정치인. 대장대신, 외무대신, 통상산업대신 등의 직책을 역임 했으며 1991년부터 1998년까지 세이와 정책연구회의 회장을 맡았다.2. 생애
1927년 8월 1일 일본 미야기현 토다군 키타우라무라[1]에서 7남 8녀의 대가족 중 7번째 막내 아들로 태어났다. 미야기 현립 코고타 농림학교를 거쳐 도쿄 고등 수의학교 (현 니혼대학 생물자원과학부), 와세다대학 법학부에 입학했다.대학 졸업 이후 미야기현 제1구 중의원인 혼마 슌이치, 호시나 젠시로의 비서를 맡았고 1959년 자민당 소속으로 미야기현 현의원 선거에 입후보 하지만 낙선했다. 그 뒤 권토중래 하며 1963년 현의원 선거에 도전해 당선되었다. 1970년에는 자민당 미야기현지부의 요청으로 센다이시 시장 선거에 입후보 하였으나 현직 시장인 시마노 타케시에 밀려 낙선했다. 1972년 제3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자민당 공인으로 미야기 1구에 입후보해 첫 중의원 당선에 성공했다.
당선이후 후쿠다파에 참가했으며 나카가와 이치로와 이시하라 신타로가 결성한 범파벌 강경 정책집단인 청람회(세이란카이)에도 참여한다. 이때 나카가와 이치로의 신임을 얻었고, 후쿠다파 소속으로 1979년 설립된 나카가와파(자유혁신동우회)의 간사장을 맡았다.
자민당 내부 에서는 같은 후쿠다파의 가토 무쓰키[2]와 함께 운수족 의원으로 활동했고, 당시 막대한 적자로 몸살을 앓고있던 일본국유철도를 JR로 민영화 시키는 계획을 적극 추진했다. 1985년 제2차 나카소네 제2차 개조 내각에서 운수대신으로 첫 입각에 성공했으며, 상기한 국철민영화와 재정구조개혁 노선 추진에 임했다.
1986년 전 외무대신인 아베 신타로가 후쿠다 다케오의 후임으로 세이와 정책연구회의 회장에 오르자 미쓰즈카는 파벌의 간사장에 취임했다. 그는 가토 무쓰키, 모리 요시로, 시오카와 마사주로와 함께 아베파 4천황으로 불렸고, 파벌의 실력자로 성장했다.
1988년 일본 정치계를 뒤흔든 리쿠르트 사건이 터지면서 파벌 회장인 아베와 사천황의 일원인 가토, 모리가 거액의 뇌물을 받은 것이 드러나 여론의 큰 비판이 들끓었고, 결국 리쿠르트 사건과 관련이 없던 미쓰즈카가 기존 아베파의 일원들이 실각한 틈을 타서 통상산업대신, 외무대신, 자민당 정조회장 등 중요직책을 역임해 자신의 정치적 위상을 더욱 높여나갔다.
1991년 아베파의 리더였던 아베 신타로가 췌장암으로 사망하면서 세이와회 차기 회장 자리를 놓고 미쓰즈카와 가토는 치열한 당권 싸움을 벌였다.[3] 그 당권 싸움에서 고이즈미 준이치로와 모리 요시로의 지지를 받은 미쓰즈카가 승리, 파벌 회장 자리에 오르게 된다.[4] 그해 10월 미쓰즈카파의 대표로서 총재 선거에 출마했지만 미야자와 기이치와 와타나베 미치오에게 밀려 낙선하였고, 미야자와 총재 체제의 자민당에서 정무조사회장에 임명되었다.[5]
고노 요헤이 총재 시절 자민당 간사장과 정치개혁 본부장직을 맡았고, 무라야마 개조내각에서 자민당 간사장을 맡고 있던 모리 요시로가 건설대신에 입각하자 그 후임으로 자민당 간사장직을 맡게 되었다.
1996년 제2차 하시모토 내각에서 제102대 대장대신으로 임명되었다. 그 당시는 잃어버린 10년으로 대표되는 일본의 경제불황이 심각해지고 있던 시점이었고, 97년 4월 일본이 타국에 대해 UN의 결의에 근거하지 않고도 독자적으로 경제제재 등의 조치를 강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외환 및 외국무역법을 개정시켰다. 그러나 그해 연말 일본 굴지의 증권회사 였던 야마이치 증권의 파산과 홋카이도 신탁 은행 파산 사태에서 눈에 띄는 대처를 보이지 못했고, 1998년 대장성의 직원들이 은행으로 부터 접대를 받은 대장성 접대 부패사건에[6] 대해 모든 책임을 지고 불명예스럽게 사퇴했다.
그리고 1997년 미야기지사 선거에서 자민당이 추천한 이치카와 이치로 참의원 의원이 야당 추천의 현직 아사노 시로 지사에게 패배하자 미야기현에서의 정치력 영향도 저하되었다는 말이 나오기 시작했고, 결국 내각총리대신의 꿈을 이루지 못한채 1998년 12월 파벌을 모리 요시로에게 넘겨주고 파벌 명예회장으로 물러났다.
2001년 자민당 총재선거에서는 과거 자신을 지지했던 고이즈미 준이치로를 지지했으며, 이후 세이와회 고문 직에 있다가 2003년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를 앞두고 지병으로 인해 불출마를 선언하며 정계를 은퇴했다.[7]
그리고 2004년 4월 25일 폐렴으로 투병 중 도쿄 주오구 성 누가 병원에서 향년 7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3. 소속 정당
소속 | 기간 | 비고 |
| 1959 - 1970 | 정계 입문 |
| 1970 | 시장 선거 출마로 인한 탈당 |
| 1970 - 2004 | 복당 정계은퇴 사망 |
4. 선거 이력
<rowcolor=#fff> 연도 | 선거 종류 | 지역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59 | 미야기현의회 현의원 선거 | 미야기현의회 | | ? (%) | 낙선 | |
1963 | ? (?%) | 당선 (?위) | 초선 | |||
1967 | ? (?%) | 당선 (?위) | 재선[8] | |||
1970 | 센다이시 시장 선거 | 센다이시 | | ? (%) | 낙선 | |
1972 | 제3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구 미야기 1구 | | 91,361 (13.7%) | 당선 (2위) | 초선 |
1976 | 제3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82,771 (11.4%) | 당선 (3위) | 재선 | ||
1979 | 제3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91,751 (12.9%) | 당선 (2위) | 3선 | ||
1980 | 제3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07,704 (14.3%) | 당선 (4위) | 4선 | ||
1983 | 제3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14,369 (15.7%) | 당선 (2위) | 5선 | ||
1986 | 제3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59,417 (20.83%) | 당선 (1위) | 6선 | ||
1990 | 제3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38,949 (15.81%) | 당선 (4위) | 7선 | ||
1993 | 제4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34,076 (16.63%) | 당선 (2위) | 8선[9] | ||
1996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미야기 3구 | 81,784 (53.14%) | 당선 (1위) | 9선 | |
2000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84,278 (51.99%) | 10선 |
5. 기타
- 일본의 신흥종교인 행복의 과학과 연관이 있었다. 행복의 과학 총재 오카와 류호는 미쓰즈카를 철인 정치가로 평가하며 칭송했고, 아예 미쓰즈카를 총리로 옹립하자는 내용의 책들을 누차 출판한 적이 있다.#, # 하지만 미쓰즈카 본인은 "행복의 과학과 자신은 1991년에 아내를 따라 정회원 명단에 이름만 올렸을 뿐이며, 행복의 과학에서 주장하는 내용들은 거의 대다수가 과장됐거나 거짓말이다."라고 사실을 부인했다.
- 성인 잡지 등 유해도서의 규제를 주장해, 청소년 유해 간행물 폐간등 규제 법안을 제출한 적이 있다. 1984년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일본의 출판사 아스카 신사에서 발행한 소녀잡지 Popteen[10]을 비롯한 유사 잡지들을 "성욕 강좌물 내지 유사 포르노" 라고 비판해 #[11] 비슷한 내용을 담고 있던 잡지들이 휴폐간 내지 대폭적인 노선 변경을 강요당했다. [12]
- 만성 적자로 허덕이고 있던 일본 국철을 분할 민영화하려는 계획을 주도하였으며, 분할 민영화의 방안이 상정되고 있었던 당시, 혼슈의 JR 분할에 관해서, 당시 자민당에서는 동서일본으로 2분할론을 시키는 방안이 주류였으나, "간사이 회사에 도카이도 신칸센을 두는 것은 어떨까" 라는 의견을 내, 3분할론을 강경하게 추진한 중심 인물로 여겨지고 있었다.[13]
- 하마다 고이치가 쓴 저서 "일본을 망친 9명의 정치가"에서 엄청난 비판을 당했다. 하마다는 미쓰즈카를 제네콘 부패 의혹[14]이나 나카가와 이치로 사망 사건을 언급하며, '미쓰즈카가 총리직에 오른다면 그날로 일본은 멸망할 것이다.'라는 혹평을 아끼지 않았다.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000,#e5e5e5 | 1기 상공대신 (1925~1943) | |||||||||
초대 다카하시 고레키요 | 2대 노다 우타로 | 3대 카타오카 나오하루 | 4대 후지사와 이쿠노스케 | |||||||
5대 나카하시 도쿠타로 | 6대 타와라 마고이치 | 7대 사쿠라우치 유키오 | 8대 마에다 요네조 | 9대 나카지마 쿠마키치 | ||||||
10대 마츠모토 조지 | 11대 마치다 추지 | 12대 카와사키 타쿠키치 | 13대 오가와 고타로 | 14대 고도 타쿠오 | ||||||
15대 요시노 신지 | 16대 이케다 시게아키 | 17대 핫타 요시아키 | 18대 고도 타쿠오 | 19대 후지와라 긴지로 | ||||||
20대 고바야시 이치조 | 임시대리 가와다 이사오 | 21대 토요다 테이지로 | 22대 사콘지 세이조 | 23대 기시 노부스케 | ||||||
24대 도조 히데키 | ||||||||||
군수대신 (1943~1945) | ||||||||||
초대 도조 히데키 | 2대 후지와라 긴지로 | 3대 요시다 시게루 | 4대 토요다 테이지로 | 5대 나카지마 치쿠헤이 | ||||||
2기 상공대신 (1945~1949) | ||||||||||
25대 나카지마 치쿠헤이 | 26대 오가사와라 산쿠로 | 27대 호시시마 지로 | 28대 이시이 미쓰지로 | 임시대리 가타야마 데쓰 | ||||||
29·30대 미즈타니 조사부로 | 임시대리 요시다 시게루 | 31대 오야 신조 | 32대 시나가키 헤이타로 | |||||||
통상산업대신(1949년~2001년) | ||||||||||
초대 시나가키 헤이타로 | 2·6대 이케다 하야토 | 3대 다카세 소타로 | 4대 요코오 시게루 | 5대 다카하시 류타로 | ||||||
7대 오가사와라 산쿠로 | 8대 오카노 키요히데 | 9대 아이치 기이치 | 10·11·12대 이시바시 단잔 | |||||||
13·14대 미즈타 미키오 | 15대 마에오 시게사부로 | 16대 타카사키 타츠노스케 | 17대 이케다 하야토 | |||||||
18대 이시이 미쓰지로 | 19대 시이나 에쓰사부로 | 20대 사토 에이사쿠 | 21·22대 후쿠다 하지메 | 23·24대 사쿠라우치 요시오 | ||||||
25대 미키 다케오 | 26·27대 칸노 와타로 | 28대 시이나 에쓰사부로 | 29대 오히라 마사요시 | 30대 미야자와 기이치 | ||||||
31대 다나카 가쿠에이 | 32·33대 나카소네 야스히로 | 34대 고모토 토시오 | 35대 다나카 다쓰오 | |||||||
36대 고모토 토시오 | 37대 에사키 마스미 | 38대 사사키 요시타케 | 39대 다나카 로쿠스케 | 40대 아베 신타로 | ||||||
41대 야마나카 사다노리 | 42대 우노 소스케 | 43대 오코노기 히코사부로 | 44대 무라타 케이지로 | 45대 와타나베 미치오 | ||||||
46·47대 타무라 하지메 | 48대 미쓰즈카 히로시 | 49대 가지야마 세이로쿠 | 50대 마츠나가 히카루 | |||||||
51대 무토 가분 | 52대 나카오 에이치 | 53대 와타나베 고조 | 54대 모리 요시로 | 55대 구마가이 히로시 | ||||||
임시대리 하타 쓰토무 | 56대 하타 에이지로 | 57대 하시모토 류타로 | 58대 츠카하라 슌페이 | 59대 사토 신지 | ||||||
60대 호리우치 미쓰오 | 61대 요사노 가오루 | 62·63대 후카야 다카시 | 64대 히라누마 다케오 | |||||||
경제산업대신 (2001년~현재)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2대 히라누마 다케오 | 3-5대 나카가와 쇼이치 | 6대 니카이 도시히로 | 7·8대 아마리 아키라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7·8대 아마리 아키라 | 9·10대 니카이 도시히로 | 11·12대 나오시마 마사유키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3대 오하타 아키히로 | 14대 가이에다 반리 | 15대 하치로 요시오 | 16대 에다노 유키오 | 17대 모테기 도시미쓰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8대 오부치 유코 | 19·20대 미야자와 요이치 | 21대 하야시 모토오 | 22·23대 세코 히로시게 | 24대 스가와라 잇슈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25·26대 가지야마 히로시 | 27·28대 하기우다 고이치 | 29대 니시무라 야스토시 | 30대 사이토 겐 | |||||||
31·32대 무토 요지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000,#e5e5e5 | 외무경 (1869년~1879년) · 외무사무총재 (1873년) | |||||||||||
초대 사와 노부요시 | 2대 이와쿠라 도모미 | 3대 소에지마 다네오미 | 4대 데라시마 무네노리 | 5대 이노우에 가오루 | ||||||||
전전 외무대신 (1885년~1945년)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5대 이노우에 가오루 | 6대 이토 히로부미 | 7대 오쿠마 시게노부 | 8대 아오키 슈조 | 9대 에노모토 다케아키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0대 무쓰 무네미쓰 | 11대 사이온지 긴모치 | 12대 오쿠마 시게노부 | 13대 니시 토쿠지로 | 14대 오쿠마 시게노부 | ||||||||
15대 아오키 슈조 | 16대 가토 다카아키 | 17대 소네 아라스케 | 18대 코무라 주타로 | 19대 가토 다카아키 | ||||||||
20대 사이온지 긴모치 | 21대 하야시 타다스 | 22대 데라우치 마사타케 | 23대 코무라 주타로 | 24대 우치다 고사이 | ||||||||
25대 가쓰라 다로 | 26대 가토 다카아키 | 27대 마키노 노부아키 | 28대 가토 다카아키 | 29대 오쿠마 시게노부 | ||||||||
30대 이시이 키쿠지로 | 31대 데라우치 마사타케 | 32대 모토노 이치로 | 33대 고토 신페이 | 34대 우치다 고사이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34대 우치다 고사이 | 35대 야마모토 곤노효에 | 36대 이주인 히코키치 | 37대 마츠이 케이시로 | 38대 시데하라 기주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39대 다나카 기이치 | 40대 시데하라 기주로 | 41대 이누카이 쓰요시 | 42대 요시자와 겐키치 | 43대 사이토 마코토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44대 우치다 고사이 | 45대 히로타 고키 | 46대 아리타 하치로 | 47대 하야시 센주로 | 48대 사토 나오타케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49대 히로타 고키 | 50대 우가키 가즈시게 | 51대 고노에 후미마로 | 52대 아리타 하치로 | 53대 아베 노부유키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54대 노무라 기치사부로 | 55대 아리타 하치로 | 56대 마츠오카 요스케 | 57대 토요다 테이지로 | 58대 도고 시게노리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59대 도조 히데키 | 60대 타니 마사유키 | 61대 시게미쓰 마모루 | 62대 스즈키 간타로 | 63대 도고 시게노리 | ||||||||
전후 외무대신 (1945년~현재)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64대 시게미쓰 마모루 | 65대 요시다 시게루 | 66대 가타야마 데쓰 | 67·68대 아시다 히토시 | 69·70·71대 요시다 시게루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72·73·74대 오카자키 카츠오 | 75·76·77대 시게미쓰 마모루 | 78대 이시바시 단잔 | 79·80대 기시 노부스케 | 81·82대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83·84대 고사카 젠타로 | 85·86대 오히라 마사요시 | 87·88대 시이나 에쓰사부로 | 89·90대 미키 다케오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91대 사토 에이사쿠 | 92·93대 아이치 기이치 | 94대 후쿠다 다케오 | 95·96대 오히라 마사요시 | 97대 키무라 토시오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98대 미야자와 기이치 | 99대 고사카 젠타로 | 100대 하토야마 이이치로 | 101·102대 소노다 스나오 | 103대 오키타 사부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04대 이토 마사요시 | 105대 소노다 스나오 | 106대 사쿠라우치 요시오 | 107·108대 아베 신타로 | 109대 쿠라나리 타다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10대 우노 소스케 | 111대 미쓰즈카 히로시 | 112대 나카야마 타로 | 113·114대 와타나베 미치오 | 115대 무토 카분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16대 하타 쓰토무 | 117대 가키자와 고지 | 118대 고노 요헤이 | 119·120대 이케다 유키히코 | 121대 오부치 게이조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22대 고무라 마사히코 | 123·124·125대 고노 요헤이 | 126대 다나카 마키코 | 127대 고이즈미 준이치로 | 128·129대 카와구치 요리코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30·131대 마치무라 노부타카 | 132·133대 아소 다로 | 134대 마치무라 노부타카 | 135대 고무라 마사히코 | 136대 나카소네 히로후미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37·138대 오카다 가쓰야 | 139대 마에하라 세이지 | 140대 에다노 유키오 | 141대 마쓰모토 다케아키 | 142대 겐바 고이치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43·144대 기시다 후미오 | 145·146대 고노 다로 | 147-149대 모테기 도시미쓰 | 150대 기시다 후미오 | 151대 하야시 요시마사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52대 가미카와 요코 | 153·154대 이와야 다케시 | }}}}}}}}}}}}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3CA324; border-right: 10px solid #3CA324;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 직위 | 명단 |
법무대신 | <colbgcolor=#ffffff,#1f2024> 마츠우라 이사오 | |
외무대신 | 이케다 유키히코 | |
대장대신 | 미쓰즈카 히로시 | |
문부대신 | 코스기 타카시 | |
후생대신 | 고이즈미 준이치로 | |
농림수산대신 | 후지모토 타카오 | |
통상산업대신 | 사토 신지 | |
운수대신 | 고가 마코토 | |
우정대신 | 호리노우치 히사오 | |
노동대신 | 오카노 유타카 | |
건설대신 | 가메이 시즈카 | |
자치대신 | 시라카와 카즈히코 | |
국가공안위원장 | ||
내각관방장관 | 가지야마 세이로쿠 | |
총무청장관 | 무토 가분 | |
홋카이도개발청장관 | 이나가키 지츠오 | |
오키나와개발청장관 | ||
방위청장관 | 규마 후미오 | |
경제기획청장관 | 아소 다로 | |
과학기술청장관 | 지카오카 리이치로 | |
환경청장관 | 이시이 미치코 | |
국토청장관 | 이토 고스케 | }}} }}}}}}}}}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3CA324; border-right: 10px solid #3CA324;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 직위 | 명단 |
법무대신 | <colbgcolor=#ffffff,#1f2024> 시모이나바 코키치 | |
외무대신 | 오부치 게이조 | |
대장대신 | 미쓰즈카 히로시 → 하시모토 류타로 임시대리 → 마츠나가 히카루 | |
문부대신 | 마치무라 노부타카 | |
후생대신 | 고이즈미 준이치로 | |
농림수산대신 | 오치 이헤이 → 시마무라 요시노부 | |
통상산업대신 | 호리우치 미쓰오 | |
운수대신 | 후지이 다카오 | |
우정대신 | 지미 쇼자부로 | |
노동대신 | 이부키 분메이 | |
건설대신 | 가와라 츠토무 | |
자치대신 | 우에스기 미츠히로 | |
국가공안위원장 | ||
내각관방장관 | 무라오카 도시히데 | |
총무청장관 | 사토 고코 → 오자토 사다토시 | |
홋카이도개발청장관 | 스즈키 무네오 | |
오키나와개발청장관 | ||
방위청장관 | 규마 후미오 | |
경제기획청장관 | 오미 코지 | |
과학기술청장관 | 다니가키 사다카즈 | |
환경청장관 | 오키 히로시 | |
국토청장관 | 가메이 히사오키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초대 기시 노부스케 | 2-3대 미키 다케오 | 4대 가와시마 쇼지로 | 5대 후쿠다 다케오 | ||
6대 가와시마 쇼지로 | 7대 마스타니 슈지 | 8대 마에오 시게사부로 | 9-10대 미키 다케오 | ||
11대 다나카 가쿠에이 | 12대 후쿠다 다케오 | 13대 다나카 가쿠에이 | 14대 호리 시게루 | 15대 하시모토 도미사부로 | |
16대 니카이도 스스무 | 17대 나카소네 야스히로 | 18대 우치다 쓰네오 | 19대 오히라 마사요시 | 20대 사이토 쿠니키치 | |
21-22대 사쿠라우치 요시오 | 23-24대 니카이도 스스무 | 25대 다나카 로쿠스케 | |||
26대 가네마루 신 | 27대 타케시타 노보루 | 28대 아베 신타로 | 29대 하시모토 류타로 | 30대 오자와 이치로 | |
31대 오부치 게이조 | 32대 와타누키 다미스케 | 33대 가지야마 세이로쿠 | 34대 모리 요시로 | 35대 미쓰즈카 히로시 | |
36대 가토 고이치 | 37대 모리 요시로 | 38대 노나카 히로무 | 39대 고가 마코토 | 40대 야마사키 타쿠 | |
41대 아베 신조 | 42대 타케베 쓰토무 | 43대 나카가와 히데나오 | 44대 아소 다로 | 45대 이부키 분메이 | |
46대 아소 다로 | 47대 호소다 히로유키 | 48대 오시마 다다모리 | 49대 이시하라 노부테루 | 50대 이시바 시게루 | |
51대 다니가키 사다카즈 | 52-53대 니카이 도시히로 | 54대 아마리 아키라 | 55대 모테기 도시미쓰 | ||
56대 모리야마 히로시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초대 미즈타 미키오 | 2대 츠카다 주이치로 | 3대 미키 다케오 | 4대 후쿠다 다케오 | ||
5대 나카무라 우메키치 | 6대 후나다 나카 | 7대 시이나 에쓰사부로 | 8대 후쿠다 다케오 | 9대 다나카 가쿠에이 | |
10대 가야 오키노리 | 11대 미키 다케오 | 12대 스토 히데오 | 13대 아카기 무네노리 | ||
14대 미즈타 미키오 | 15대 니시무라 나오미 | 16대 오히라 마사요시 | 17대 네모토 류타로 | 18대 미즈타 미키오 | |
19대 코사카 젠타로 | 20대 사쿠라우치 요시오 | 21대 쿠라이시 타다오 | 22대 미즈타 미키오 | 23대 야마나카 사다노리 | |
24대 마쓰노 라이조 | 25대 사쿠라우치 요시오 | 26대 고모토 토시오 | 27대 에사키 마스미 | 28대 고모토 토시오 | |
29대 아베 신타로 | 30대 다나카 로쿠스케 | 31대 후지오 마사유키 | |||
32대 이토 마사요시 | 33대 와타나베 미치오 | 34대 무라타 케이지로 | 35대 미쓰즈카 히로시 | 36대 가토 무쓰키 | |
37대 모리 요시로 | 38대 미쓰즈카 히로시 | 39대 하시모토 류타로 | 40대 가토 고이치 | 41대 야마사키 타쿠 | |
42대 이케다 유키히코 | 43대 가메이 시즈카 | 44대 아소 다로 | 45대 누카가 후쿠시로 | ||
46대 요사노 가오루 | 47대 나카가와 히데나오 | 48대 나카가와 쇼이치 | 49대 이시하라 노부테루 | 50대 다니가키 사다카즈 | |
51대 호리 고스케 | 52대 이시바 시게루 | 53대 모테기 도시미쓰 | 54대 아마리 아키라 | ||
55대 다카이치 사나에 | 56대 이나다 도모미 | 57대 모테기 도시미쓰 | 58대 기시다 후미오 | 59대 시모무라 하쿠분 | |
60대 다카이치 사나에 | 61대 하기우다 고이치 | 62대 도카이 기사부로 | 63대 오노데라 이쓰노리 | }}}}}}}}} |
[1] 이후 코고타초(町)로 승격, 2006년 토다군 난고초와 합병되어 미사토마치가 되었다.[2] 가토 가쓰노부의 장인.[3] 이 당권 싸움은 이른바 산로쿠 전쟁(三六戦争)(삼육 전쟁) (미쓰즈카 히로시의 三(산), 가토 무쓰키의 六(로쿠)) 이라고 불렸다.[4] 가메이 시즈카의 회고에 따르면, 모리나 가토보다 미쓰즈카가 더 리더십이 있는 것을 확인한 고이즈미가 그를 차기 회장으로 추대하자고 제안했고, 모리도 이에 수긍하며 미쓰즈카에게 "미쓰즈카, 너가 회장직을 맡아라." 라고 말해 그가 회장에 오르게 된 경위를 밝혔다.[5] 한편 미쓰즈카에게 밀려 파벌 회장 자리를 놓친 가토는 그해 총재선때 미야자와를 지지했다가 파벌에서 제명당했고, 소규모 파벌인 개진회를 결성했지만 당 내 영향력은 미미했다. 결국 1993년 자민당을 탈당해 신생당에 입당하였다.[6] 이른바 노팬티 샤브샤브 사건이 이때 일어났다.[7] 미쓰즈카의 지역구인 미야기현 제3구는 미쓰즈카의 비서를 지냈던 니시무라 아키히로가 이어받았다.[8] 1970. 사퇴 (센다이 시장 출마)[9]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의 마지막 중선거구제.[10] 1980년 10월 부터 2023년 2월까지 발행된 10대 여성 청소년 대상 잡지로, 이 당시는 여성 청소년의 성관계 체험담이나 체위(!), 낙태와 같은 10대 소녀 대상 잡지라고는 생각지도 못할 정도로 수위가 높았다.[11] 이후 Popteen은 1990년대의 여고생 붐에 맞춰 노선을 대폭 변경했고 1990년대 ~ 2000년대를 풍미했던 갸루 패션 잡지로 유명세를 떨쳤다.[12] 그러나 이 당시만 (1980년대 초중반) 하더라도 페도필리아와 같은 로리콘물 잡지 등 이상성욕을 다룬 서적들이 일본에서 대놓고 출판되었으나 1988년 미야자키 츠토무 사건으로 대표되는 도쿄·사이타마 연쇄 유아납치 살해사건이 발생한 이후 험악해진 여론과 강화된 규제의 철퇴를 맞고 사라졌다.[13] 그 결과 일본 도카이 지방을 관할하는 JR 도카이에는 도카이도 신칸센이, 간사이 지방을 관할하는 JR 서일본에는 산요 신칸센이 배치되었다.[14] 1990년대 초반 일본의 유력 건설사들이 정치인들에게 뇌물을 수여해 논란이 된 사건. 당시 미야기현지사 였던 혼마 슌이치가 이 사건에 연루되어 자진 사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