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국 제63대 우정대신 | |
| 일본국 제37-43대 중의원 의원 지미 쇼자부로 自見庄三郎 | Jimi Shōzaburō | |
| | |
| <colbgcolor=#808080> 출생 | 1945년 11월 5일 ([age(1945-11-05)]세) |
| 후쿠오카현 코쿠라시 (現 기타큐슈시 코쿠라키타구) | |
| 학력 | 규슈대학 의학부 (의학 / 학사) |
| 배우자 | 지미 레이코 |
| 자녀 | 차녀 지미 하나코 |
| 인척 | 사위 하시모토 가쿠 사돈 하시모토 류타로 |
| 의원 선수 | 8 (중) 1 (참) |
| 의원 대수 | 37, 38, 39, 40, 41, 42, 43 (중) 21-22 (참) |
| 당적 | |
| 약력 | 하버드 대학교 공중 위생학부 주임 연구원 규슈대학 의학부 강사 제63대 우정대신 국민신당 부대표 국민신당 간사장 국민신당 정책심의회장 내각부 특명담당대신(금융담당) 우정개혁담당대신 우정민영화담당대신 |
1. 소개
일본의 전 정치인이다.2. 생애
1945년 일본 후쿠오카현 고쿠라시(현 키타큐슈시 코쿠라키타구 지역)에서 태어났다. 코쿠라 시립 소학교 - 후쿠오카 학예대학 부속 중학교 - 후쿠오카 현립 코쿠라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큐슈대학 의학부에 입학했고, 재학 중인 1970년 6월 의사 국가 시험에 합격해 의사 자격증을 취득했다.[1]이후 규슈대학 의학부 제1내과에 들어가 유전학연구실 연구원으로 일했다. 1977년 동 대학 대학원에서 의학 박사 과정을 수료했고, 1980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공중위생 학부의 주임연구원이 되었다. 1982년 일본으로 귀국한뒤 규슈대학 의학부의 강사로 취임했다.
1983년 제3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구 후쿠오카 4구에 자민당 공인 후보로 입후보해 첫 당선을 완수한다. 이후 1987년과 1992년 중의원 의사진행계[2]를 두차례 맡았고, 1997년 제2차 하시모토 개조내각에서 제63대 우정대신에 임명되며 첫 입각에 성공한다.
2005년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의 우정민영화 정책에 반발해 무소속 후보로 후쿠오카 10구에 출마했으나 자민당이 공천한 규슈 비례대표 출신이자 여성 자객 후보인 니시카와 쿄코에 밀려 낙선, 이후 지미는 이당권고 처분을 받고 자민당을 떠났다.
2006년 10월 다음해 열린 참의원 선거에서 국정 복귀를 위해 가메이 시즈카, 와타누키 다미스케 등이 창당한 국민신당에 입당하였다. 그리고 2007년 제21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비례대표 후보에 입후보한뒤 당선되었다. 이후 국민신당 부대표, 총무회장을 맡다가 2009년 가메이 히사오키[3]의 중의원 선거 낙선으로 국민신당 간사장에 취임했다.
2010년 간 내각에서 가메이 시즈카의 후임으로 내각부 특명담당대신(금융담당)직에 임명되었다. 그리고 우정개혁 담당대신직도 함께 담당하게 되었다. 간 제1차 개조내각과 간 제2차 개조내각에서도 유임되었다.
2011년 간 나오토 총리가 사임하자 그 직후 발족한 노다 내각에서 금융담당대신직에 재임되었다. 2012년 소비세 증세 정책 법안 통과 여부를 두고 가메이 시즈카 등의 인사가 반발하며 연정 탈퇴를 요구했으나, 지미는 국민신당 부대표 명의로 소비세 증세 법안 찬성안에 서명했다. 그러자 가메이 시즈카, 가메이 아키코를 포함한 연정 반대파가 국민신당을 탈당했고, 지미 쇼자부로가 국민신당 대표에 오르게 되었다.
2012년 내각 개조에 따라 금융담당대신직에서 물러났고, 그해 연말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민주당과 국민신당이 대참패 하면서 그의 정치인생도 위태로운 운명에 처했고, 2013년 자민당 가와무라 다케오 선거대책위원장과 회동을 가지며 자민당-국민신당 합당안을 내놓으며 자신도 자민당으로 복당하고 싶다는 뜻을 표명했다. 하지만 자민당 간사장인 이시바 시게루가 국민신당의 흡수합당과 지미의 복당에 거부의사를 표하며 합당 계획은 좌절되었다.
2013년 3월 21일 지미를 중심으로 한 의원총회에서 국민신당의 해당을 결정하면서 무소속 신분으로 남게 되었다. 같은해 제2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불출마를 선언하며 공식적으로 정계에서 은퇴했다.
3. 소속 정당
| 소속 | 기간 | 비고 |
| | 1983 - 2005 | 정계입문 |
| | 2005 - 2006 | 당내 의견 차이로 인한 탈당 |
| | 2006 - 2013 | 입당 |
| | 2013 - | 정당해산 정계은퇴 |
4. 선거 이력
| 연도 | 선거 종류 | 지역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1983 | 제3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구 후쿠오카 3구 | | 85,242 (19.71%) | 당선 (4위) | 초선 |
| 1986 | 제3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00,591 (21.71%) | 당선 (1위) | 재선 | ||
| 1990 | 제3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83,183 (17.43%) | 당선 (2위) | 3선 | ||
| 1993 | 제4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85,652 (19.61%) | 4선[4] | |||
| 1996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후쿠오카 10구 | 95,967 (43.90%) | 당선 (1위) | 5선 | |
| 2000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88,446 (40.75%) | 6선 | |||
| 2003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91,974 (45.20%) | 7선 | |||
| 2005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 65,129 (25.55%) | 낙선 (2위) | ||
| 2007 | 제21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비례대표 | | 1,269,209 (2.15%) | 당선 (44위) | 초선 |
5. 여담
6.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000,#e5e5e5 | 우정대신 (1949~2001) | ||||
| 초대 오자와 사에키 | 2대 다무라 분기치 | 3대 사토 에이사쿠 | 4대 다카세 소타로 | 5대 쓰카다 주이치로 | |
| 6대 다케치 유키 | 7대 마쓰다 다케치요 | 8·35대 무라카미 이사무 | 9대 이시바시 단잔 | 10·11대 히라이 다로 | |
| 12대 다나카 가쿠에이 | 13대 데라오 유타카 | 14대 우에다케 하루히코 | 15대 스즈키 젠코 | 16대 고가네 유키테루 | |
| 17대 사코미즈 히사츠네 | 18대 데시마 사카에 | 19대 오자와 규타로 | 20·21대 고이케 신조 | 22·23대 도쿠야스 진조 | |
| 22·23대 도쿠야스 신조 | 24대 코오리 유이치 | 25대 신타니 도라사부로 | 26·27대 고바야시 다케지 | 28대 고모토 토시오 | |
| 29대 이데 이치타로 | 30대 히로세 마사오 | 임시대리 다나카 가쿠에이 | 31대 미이케 마코토 | 32대 구노 추지 | |
| 33대 하라다 겐 | 34대 가시마 도시오 | 8·35대 무라카미 이사무 | 36대 후쿠다 도쿠야스 | 37대 고미야마 주시로 | |
| 38대 핫토리 야스시 | 39대 시라하마 니키치 | 40대 오니시 마사오 | 41대 야마우치 이치로 | 42대 미노와 노보루 | |
| 43대 히가키 도쿠타로 | 44대 오쿠다 게이와 | 45대 사토 메구무 | 46대 사토 분세이 | 47대 가라사와 슌지로 | |
| 48대 나카야마 마사아키 | 49대 가타오카 세이이치 | 50대 무라오카 가네조 | 51대 오이시 센파치 | 52대 후카야 다카시 | |
| 53대 세키야 가쓰쓰구 | 54대 와타나베 히데오 | 55대 고이즈미 준이치로 | 56대 미야자와 기이치 | 57대 칸자키 타케노리 | |
| 임시대리 하타 쓰토무 | 58대 히카사 가쓰유키 | 59대 오오이데 슌 | 60대 이노우에 잇세이 | 61대 히노 이치로 | |
| 62대 호리노우치 히사오 | 63대 지미 쇼자부로 | 64대 노다 세이코 | 65·66대 마에지마 시게사부로 | ||
| 총무대신으로 계승 | |||||
| 67대 히라바야시 코조 | 68대 가타야마 도라노스케 | }}}}}}}}}}}} | |||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 초대 와타누키 다미스케 | 제2대 가메이 시즈카 | 제3대 지미 쇼자부로 |
| ◀ 자유민주당 총재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000,#e5e5e5 | 금융담당대신 (2001년~2003년)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1·2대 야나기사와 하쿠오 | 3대 다케나카 헤이조 | |||||||||
|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금융담당) (2003년~)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1·2대 다케나카 헤이조 | 3·4대 이토 다쓰야 | 5대 요사노 가오루 | ||||||||
| }}} | ||||||||||
| 6대 야마모토 유지 | 7·8대 와타나베 요시미 | 9대 모테기 도시미쓰 | 10대 나카가와 쇼이치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11대 요사노 가오루 | 12·13대 가메이 시즈카 | 사무대리 센고쿠 요시토 | 14·15대 지미 쇼자부로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14·15대 지미 쇼자부로 | 16대 마쓰시타 다다히로 | 사무대리 아즈미 준 | 17대 나가쓰카 잇코 | |||||||
| 18-21대 아소 다로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18-21대 아소 다로 | 22·23대 스즈키 슌이치 | 24대 가토 가쓰노부 | }}}}}}}}}}}} | |||||||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3CA324; border-right: 10px solid #3CA324;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 직위 | 명단 |
| 법무대신 | <colbgcolor=#ffffff,#1f2024> 시모이나바 코키치 | |
| 외무대신 | 오부치 게이조 | |
| 대장대신 | 미쓰즈카 히로시 → 하시모토 류타로 임시대리 → 마츠나가 히카루 | |
| 문부대신 | 마치무라 노부타카 | |
| 후생대신 | 고이즈미 준이치로 | |
| 농림수산대신 | 오치 이헤이 → 시마무라 요시노부 | |
| 통상산업대신 | 호리우치 미쓰오 | |
| 운수대신 | 후지이 다카오 | |
| 우정대신 | 지미 쇼자부로 | |
| 노동대신 | 이부키 분메이 | |
| 건설대신 | 가와라 츠토무 | |
| 자치대신 | 우에스기 미츠히로 | |
| 국가공안위원장 | ||
| 내각관방장관 | 무라오카 도시히데 | |
| 총무청장관 | 사토 고코 → 오자토 사다토시 | |
| 홋카이도개발청장관 | 스즈키 무네오 | |
| 오키나와개발청장관 | ||
| 방위청장관 | 규마 후미오 | |
| 경제기획청장관 | 오미 코지 | |
| 과학기술청장관 | 다니가키 사다카즈 | |
| 환경청장관 | 오키 히로시 | |
| 국토청장관 | 가메이 히사오키 | }}} }}}}}}}}} |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DA2128; border-right: 10px solid #fcd800;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 직위 | 명단 |
| <colcolor=#fff> 총무대신 | <colbgcolor=#ffffff,#1f2024> 하라구치 가즈히로 → 가타야마 요시히로 | |
| 법무대신 | 치바 케이코 → 야나기다 미노루 → 센고쿠 요시토 → 에다 사쓰키 | |
| 외무대신 | 오카다 가쓰야 → 마에하라 세이지 → 에다노 유키오 → 마쓰모토 다케아키 | |
| 재무대신 | 노다 요시히코 | |
| 문부과학대신 | 가와바타 다쓰오 → 다카키 요시아키 | |
| 후생노동대신 | 나가츠마 아키라 → 호소카와 리쓰오 | |
| 농림수산대신 | 야마다 마사히코 → 카노 미치히코 | |
| 경제산업대신 | 나오시마 마사유키 → 오하타 아키히로 → 가이에다 반리 | |
| 국토교통대신 | 마에하라 세이지 → 마부치 스미오 → 오하타 아키히로 | |
| 환경대신 | 오자와 사키히토 → 마츠모토 류 → 에다 사쓰키 | |
| 방위대신 | 기타자와 도시미 | |
| 국가공안위원장 | 나카이 히로시 → 오카자키 도미코 → 나카노 칸세이 | |
| 내각관방장관 | 센고쿠 요시토 → 에다노 유키오 | |
| 국가전략담당대신 | 아라이 사토시 → 겐바 고이치로 | |
|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 ||
| <colbgcolor=#007A60> 오키나와북방대책담당* | 마에하라 세이지 → 마부치 스미오 → 에다노 유키오 | |
| 행정쇄신담당 | 무라타 렌호 → 에다노 유키오 | |
| 지역주권추진담당 | 하라구치 가즈히로 → 가타야마 요시히로 | |
| 금융담당* | 가메이 시즈카 → 센고쿠 요시토 → 지미 쇼자부로 | |
| 소비자식품안전담당* | 아라이 사토시 → 오카자키 도미코 → 요사노 가오루 → 무라타 렌호 → 호소노 고시 | |
| 저출산대책담당* | ||
| 여성활약담당 | ||
| 어린이정책담당 | ||
| 고독·고립대책담당 | ||
| 새로운공공담당 | 겐바 고이치로 | |
| 경제재정정책담당 | 아라이 사토시 → 가이에다 반리 → 요사노 가오루 | |
| 방재담당 | 나카이 히로시 → 마츠모토 류 → 히라노 다쓰오 | |
| 과학기술담당 | 가와바타 다쓰오 → 가이에다 반리 → 겐바 고이치로 | |
| 우주담당 | 가이에다 반리 → 겐바 고이치로 | |
* 내각부설치법상 의무적으로 임명.
}}}}}}}}}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DA2128; border-right: 10px solid #fcd800;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 직위 | 명단 |
| <colcolor=#fff> 부총리 | <colbgcolor=#ffffff,#1f2024> 오카다 가쓰야 | |
| 총무대신 | 가와바타 다쓰오 → 다루토코 신지 | |
| 법무대신 | 히라오카 히데오 → 오가와 도시오 → 다키 마코토 → 다나카 케이슈 → 다키 마코토 | |
| 외무대신 | 겐바 고이치로 | |
| 재무대신 | 아즈미 준 → 조지마 고리키 | |
| 문부과학대신 | 나카가와 마사하루 → 히라노 히로후미 → 다나카 마키코 | |
| 후생노동대신 | 고미야마 요코 → 미쓰이 와키오 | |
| 농림수산대신 | 카노 미치히코 → 군지 아키라 | |
| 경제산업대신 | 하치로 요시오 → 에다노 유키오 | |
| 국토교통대신 | 마에다 다케시 → 하타 유이치로 | |
| 환경대신 | 호소노 고시 → 나가하마 히로유키 | |
| 방위대신 | 이치카와 야스오 → 다나카 나오키 → 모리모토 사토시 | |
| 국가공안위원장 | 야마오카 겐지 → 마쓰바라 진 → 고다이라 다다마사 | |
| 내각관방장관 | 후지무라 오사무 | |
| 국가전략담당대신 | 후루카와 모토히사 → 마에하라 세이지 | |
|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 ||
| <colbgcolor=#007A60> 오키나와 및 북방대책담당* | 가와바타 다쓰오 → 다루토코 신지 | |
| 지역주권추진담당 | ||
| 행정쇄신담당 | 무라타 렌호 → 오카다 가쓰야 | |
| 금융담당* | 지미 쇼자부로 → 마쓰시타 다다히로 → 나가쓰카 잇코 | |
| 소비자 및 식품안전담당* | 야마오카 겐지 → 마쓰바라 진 → 고다이라 다다마사 | |
| 저출산대책담당* | 무라타 렌호 → 오카다 가쓰야 → 나카가와 마사하루 → 고미야마 요코 → 나가쓰카 잇코 | |
| 여성활약담당 | 무라타 렌호 → 오카다 가쓰야 → 나카가와 마사하루 → 나가쓰카 잇코 | |
| 어린이정책담당 | ||
| 고독·고립대책담당 | ||
| 새로운공공담당 | ||
| 방재담당 | 히라노 다쓰오 → 나카가와 마사하루 → 시모지 미키오 | |
| 경제재정정책담당 | 후루카와 모토히사 → 마에하라 세이지 | |
| 과학기술담당 | ||
| 우주담당 | ||
| 원자력정책담당 | 호소노 고시 → 마에하라 세이지 | |
| 원자력 손해배상 지원기구 담당 | 호소노 고시 → 에다노 유키오 | |
* 내각부설치법상 의무적으로 임명.
}}}}}}}}} ||| 하시모토·지미 가문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D7003A> 1대 | <rowcolor=#D7003A> 친가 | 처가 | |
| 하시모토 료고 | ||||
| 2대 | ||||
| 하시모토 류타로 | 하시모토 다이지로 (이복동생) | 지미 쇼자부로 | ||
| 3대 | <rowcolor=#D7003A> 남편 | 아내 | ||
| 하시모토 가쿠 | 지미 하나코 | |||
| ※둘러보기 : 일본의 정치 가문 | }}}}}}}}} | |||
[1] 당시 전공투의 학원분쟁에 의해 졸업이 4개월 연기되어 1970년 7월에 대학을 졸업했다.[2] 제출된 의사일정 관련 동의(動議)안을 본회의에서 읊어주는 역할. 설명 시작 전 ぎちょう~~!! 하며 크게 소리쳐 발언권을 얻는데, 이 모습이 워낙 인상적인지라 인지도를 높이기에도 유리해 거물 정치인으로 가는 지름길로 불린다. 모리 요시로, 기시다 후미오, 노다 세이코, 오부치 유코, 시모무라 하쿠분, 후쿠다 다쓰오와 같은 거물들이 이 의사진행계를 지냈다.[3] 가메이 아키코의 부친.[4]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의 마지막 중선거구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