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10:04:30

저 이에서 넘어옴

국명·지명 한자 약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대륙
·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5><bgcolor=#ddd,#383b40> 국가 ||
· · · · ·

대한민국 북한 대만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일본국
· ·
몽골국 미합중국 그레이트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 왕국

영국
캐나다 호주 연방
· · ·
프랑스 공화국 독일 연방 공화국 오트리아 공화국 이탈리아 공화국 네덜란드 왕국
西 ·
스페인 왕국 포르투갈 공화국 러시아 연방 인도 공화국 인도네시아 공화국
· ·
말레이시아 타이 왕국 필리핀 공화국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이집트 아랍 공화국
· ·
폴란드 공화국 아일랜드 덴마크 왕국 스웨덴 왕국 노르웨이 왕국
·
그리스 공화국 핀란드 공화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벨기에 왕국 헝가리
西 西
스위스 연방 튀르키예 공화국 멕시코 합중국 아르헨티나 공화국 브라질 연방 공화국
과거의 국가
·
가야 고구려 · 고려 백제 신라 대조선국
로마 제국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프로이센 왜국
[現]
류큐 왕국/열도
[現]
지역 및 도시
滿
아시아-태평양 만주 지역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시티 샌프란시스코 시티
워싱턴 D.C. 모스크바 베를린 로마 그레이터 런던

[現] 일본[現]
}}}}}} ||
저 이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4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6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clearfix]

1. 개요

伊는 '저 이'라는 한자로 저, 이, 어조사, 인하다를 뜻한다.

이탈리아(이태리)의 음역어로도 쓰인다. 예: 법원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4F0A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OSK(人尸大)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사람 인)과 음을 나타내는 (다스릴 윤)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동자로는 (점 주)가 세 개 합쳐진 𠁼가 있다. 𠁼는 (아래 하)의 고자이기도 하다.

가타카나 이(イ) 의 유래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 반계이윤(): 주문왕(周文王)은 반계(磻溪)에서 강태공(姜太公)을 맞고, 은왕(殷王)은 신야(莘野)에서 이윤(伊尹)을 맞이함.

3.3. 인명

3.4. 지명

3.5.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𪑁[⿰黑伊](검을 이)
  • (물이름 이)
  • 𤝳[⿰犭伊](서남오랑캐 이)
  • (선웃음칠 이)
  • /𧊰[⿱伊虫](쥐며느리 이)
  • [⿰伊合]
  • [⿰伊克]
  • [⿰伊格]
  • 𡜬[⿰女伊]
  • 𢙬[⿰忄伊]
  • 𢙠[⿱伊心]
  • 𦭽[⿱艹伊]
  • 𮡖[⿱伊里]
  • 𮡶[⿰金伊]

[1] 중국에서는 意大利(Yìdàlì)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