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7 01:35:14

비낄 사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7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1획
고등학교
-
일본어 음독
シャ
일본어 훈독
なな-め, はす
-
표준 중국어
xié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斜는 '비낄 사'라는 한자로, '비끼다', '비스듬하다', '기울다' 등을 뜻한다. 그래서 '기울 사'라고도 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비끼다
중국어 표준어 xié
광동어 ce4, ce3
객가어 sià
민북어 ciǎ
민동어 chiâ
민남어 siâ[文] / chhiâ[白]
오어 xxia (T3)
일본어 음독 シャ
훈독 なな-め, はす
베트남어

유니코드에는 U+659C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人木卜十(ODYJ)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말 두)와 소리를 나타내는 (나 여)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20세기 말까지 일부 한국 폰트에는 오른쪽 위 人이 入으로 된 형태가 많았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文] 문독[白] 백독[3] 저녁 무렵에 비스듬히 비치는 해를 의미하는 말인데, 점점 쇠퇴해 가는 상황을 이르는 말로도 쓰인다. '사양길', '사양산업'의 사양이 바로 이것.[4] 교량 건설공법 중 하나. 인천대교올림픽대교 중간쯤 가면 볼 수 있는 그 거대한 구조물이다. 주탑에 비스듬하게 묶은 케이블로 교량을 지탱하는 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