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3 07:20:43

히샬리송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if 리스트 == null
{{{#!html 이번 시즌 토트넘 홋스퍼 FC에서의 경기 및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 == null
[[히샬리송/클럽 경력/2025-26 시즌]]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히샬리송/클럽 경력/2025-26 시즌#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히샬리송/클럽 경력/2025-26 시즌#|]]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2 == null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3 == null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4 == null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5 == null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6 == null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7 == null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8 == null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9 == null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0 == null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을}}}}}}
#!if 리스트 != null
한시적 넘겨주기로 연결되는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번 시즌 토트넘 홋스퍼 FC에서의 경기 및 활약상: }}}{{{#!if 같은문서1 == null
[[히샬리송/클럽 경력/2025-26 시즌]]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히샬리송/클럽 경력/2025-26 시즌#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히샬리송/클럽 경력/2025-26 시즌#|]]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if 같은문서2 == null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if 같은문서3 == null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if 같은문서4 == null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if 같은문서5 == null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if 같은문서6 == null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if 같은문서7 == null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if 같은문서8 == null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if 같은문서9 == null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if 같은문서10 == null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if 문서명 != null
문서의 [[https://namu.wiki/acl/히샬리송|{{{#!html <span style="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을 확인하세요.

[[굴리엘모 비카리오|1 비카리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b1c56; font-size: .8em"dark-style="background: #fff"]] · 3 드라구신 파일:부상 아이콘.svg · 4 단소 · 6 J. 팔리냐 · 7 사비 · 8 비수마 · 9 히샬리송 · [[제임스 매디슨(1996)|10 매디슨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b1c56; font-size: .8em"dark-style="background: #fff"]] 파일:부상 아이콘.svg
11 텔 · 13 우도기 · 14 그레이 · 15 베리발 · [[크리스티안 로메로|17 로메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b1c56; font-size: .8em"dark-style="background: #fff"]] · 19 솔랑케 파일:부상 아이콘.svg · 20 쿠두스
21 쿨루셉스키 파일:부상 아이콘.svg · 22 존슨 · 23 페드로 포로 · 24 스펜스 · 25 타카이 파일:부상 아이콘.svg · 28 오도베르 · 29 P. M. 사르
30 벤탄쿠르 · 31 킨스키 · [[벤 데이비스|33 데이비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b1c56; font-size: .8em"dark-style="background: #fff"]] · [[미키 판더펜|37 판더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b1c56; font-size: .8em"dark-style="background: #fff"]] · 39 콜로 무아니 · 40 오스틴 · 44 스칼렛
파일:UEFA EURO DEN.png 토마스 프랑크{{{#!folding [ 스태프 더보기 ]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히샬리송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베스트팀
개인 수상
파일:에버튼 FC 로고.svg

2022 FIFA 푸스카스상
수상
마르신 올렉시
2위
디미트리 파예트
3위
히샬리송
}}} ||
파일:spurs_no9(25/26).png
<colbgcolor=#fff><colcolor=#0b1c56> 토트넘 홋스퍼 FC No. 9
히샬리송
Richarlison
본명 히샤를리송 지 안드라지[1]
Richarlison de Andrade
출생 1997년 5월 10일 ([age(1997-05-10)]세)
브라질 노바베네시아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브라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브라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4cm / 체중 83kg
포지션 스트라이커, 윙어
주발 오른발 (양발)
등번호 브라질 대표팀 9
토트넘 홋스퍼 FC
소속 <colbgcolor=#fff><colcolor=#111836> 유스 헤알 노로에스치 FC (2013~2014)
아메리카 FC (2014~2015)
프로 아메리카 FC (2015)
플루미넨시 FC (2016~2017)
왓포드 FC (2017~2018)
에버튼 FC (2018~2022)
토트넘 홋스퍼 FC (2022~ )
국가대표 52경기 20골[2] (브라질 / 2018~ )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colcolor=#0b1c56> 역대 등번호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 21번, 7번, 10번[3], 9번
에버튼 FC - 30번, 7번
토트넘 홋스퍼 FC - 9번
후원사 나이키[4]
종교 개신교
}}}}}}}}} ||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
3.1. 장점3.2. 단점3.3. 결론
4. 기록
4.1. 대회 기록4.2. 개인 수상
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브라질 국적의 토트넘 홋스퍼 FC 소속 축구 선수. 주 포지션은 스트라이커.

브라질의 2019 코파 아메리카 우승에 기여했고,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도 금메달을 따내며 득점왕을 차지했다.

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히샬리송/클럽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샬리송/클럽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샬리송/클럽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국가대표 경력

2017년 브라질 U-20 대표팀 소속으로 8경기 2골을 기록하였다.

2018년 8월 부상당한 스트라이커 페드루 대신 A대표팀에 콜업된 후 8월 9일 친선경기 미국전에서 데뷔하였다.

두번째 출장이었던 9월 친선경기 엘살바도르전에서 2골 1도움을 기록했다. 2018년 11월 친선경기 카메룬전에서도 1골을 넣었다.

2019년 6월 친선경기 카타르전에서 1골 1도움으로 2:0 승리를 이끌었고 온두라스전에서도 1골 2도움으로 7:0 대승에 공헌했다.

2019 코파 아메리카 결승전에서는 후반 45분 에베르통 소아리스의 양보로 히샬리송이 페널티킥 키커로 나서서 득점을 해냈다. 3:1 스코어로 브라질이 대회 우승을 거머쥐었다.

2020년 10월 2022 월드컵 남미 예선 2차전 페루전에서 후반 19분 2:2 동점골을 득점했다. 네이마르의 해트트릭이 나오며 4:2 승리. 11월 우루과이전에서는 아르투르 멜루의 득점 후 전반 45분 득점을 해서 2:0으로 승리 , 2021년 6월 에콰도르전에서는 후반 19분 히샬리송의 득점에다가 네이마르의 추가골을 더해 2:0 승리를 가져왔다.

2021 코파 아메리카 조별리그 페루전에서 후반 44분 에베르통 히베이루의 득점을 어시스트하고 45분에 직접 득점하면서 1골 1도움. 4:0 승리에 크게 공헌했다.

2022년 6월 2일 대한민국과의 평가전에서 프레드의 패스를 선제골로 연결하는 등 대한민국의 수비진을 농락하는 좋은 모습을 보였다.

2022년 9월 가나와의 평가전에서 멀티골을 기록하며 월드컵에서의 활약을 기대하게 했다.

2023년 3월에는 부상을 당해 발탁되지 못했다.

2.2.1. 2020 도쿄 올림픽

2020 도쿄 올림픽 D조 1차전에서 단 23분 만에 해트트릭을 달성하는 미친 퍼포먼스를 보여주었다. 또 다른 특급 유망주 파울리뉴의 쐐기골로 숙적 독일에게 4-2 승리를 거두었다.

2차전 코트디부아르전에서는 무득점 무승부가 나왔고 3차전에서 사우디를 상대했다. 마테우스 쿠냐가 선제 득점을 한 후 실점이 나왔으나 히샬리송이 2득점을 해내면서 3:1 승리를 따냈다.

8강 이집트전에서는 마테우스 쿠냐의 결승골로 4강에 진출했고 4강 멕시코전에서는 연장 풀타임 승부 끝에 승부차기로 이겼다.

결승전 스페인전 전반 37분 페널티킥 키커로 나섰다가 왼쪽 위로 날리며 실축했다. 후반전에도 회심의 슛이 크로스바를 맞는 등 불운이 있었고 연장후반 3분에 파울리뉴와 교체되었다. 마테우스 쿠냐와 마우콩 시우바의 골로 이기면서 브라질이 지난 리우 올림픽에 이어 연속으로 금메달을 땄고, 본인은 5골로 대회 득점왕을 기록했다.

2.2.2. 2022 카타르 월드컵

프리미어리그 10라운드 에버튼과의 경기에서 부상으로 교체아웃을 당해서 월드컵 진출 가능성이 불투명해졌다. 다행히도 데일리 메일에 따르면 회복에 2주가 걸리며 큰 부상이 아니라고 전해졌다.

11월 8일, 총 26명의 최종 엔트리에 포함되며 본인의 첫 월드컵에 출전하게 되었다.
파일:브라질세르비아1.jpg 파일:브라질세르비아2.jpg
11월 24일 2022 카타르 월드컵 G조 1차전 세르비아와의 경기 후반전에 멀티 골을 기록, 브라질의 승리를 이끌며 승점 3점을 가져왔다. 특히 2번째 골은 환상적인 터치 이후 이어진 논스톱 터닝 슛으로 나온 원더골이었으며[5], 브라질은 2:0 완승을 거뒀다.

호나우두 이후 사실상 끊겼다고 평가받던 제대로 된 브라질의 스트라이커 계보를 제대로 이을 수 있을지 걱정이 많았으나 두번째 골에선 팬들이 바라던 화끈함으로 본인이 왜 셀레상의 주전 스트라이커인지 제대로 증명했다.

그리고 16강전에서 토트넘 동료인 손흥민과 조우하게 되었다. 한편 로드리고 벤탄쿠르와는 우루과이의 탈락으로 마라카낭 더비가 무산되었다.
파일:브라질3번째득점.gif
12월 6일 2022 카타르 월드컵 16강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경기에서 최전방 스트라이커로 선발출전하여 전반 13분 PK으로 유도해 네이마르가 페널티 골로 두번째 득점을 성공시키게 만든 뒤 전반 29분 대한민국 수비 진영에서 마치 물개 쇼를 연상케 하는 듯한 환상적인 개인기 묘기를 선 보이고는 마르퀴뇨스에게 패스하고 마르퀴뇨스는 티아고 실바 에게 패스한 뒤 오프사이드 트랩을 뚫고 완벽한 퍼스트 터치 후 가볍게 왼발로 밀어 넣으며 이번 대회 3호골을 기록했다.[6] 전반적으로 몸이 가벼웠고 왕성한 활동량, 적극적인 수비가담 및 연계플레이, 골 결정력까지 이번대회 폼이 상당히 좋은 편이다. 경기가 끝난 후 토트넘의 동료인 손흥민에게 직접 다가가 포옹을 하면서 서로를 응원하는 훈훈한 모습도 보여주었다.[7]

8강전 크로아티아전에서 요슈코 그바르디올에게 지워지며 별다른 활약을 하지 못한 채 후반 84분에 페드루 두스산투스와 교체되고 8강에서 탈락하여 본인의 첫 월드컵을 아쉬운 엔딩으로 마치게 되었다. 그러나 이번 대회에서 3골을 득점해 팀의 공격에 충분한 기여를 했고, 넣은 골들이 이 선수도 브라질리언 테크니션임을 확실히 각인시켜주는 골이었기에 전체적으로 선수 본인에겐 좋은 기회가 됐다는 의견이 많다.

2.2.3. 2026 FIFA 월드컵

2.2.3.1. 예선
남미 예선 1차전에서 브라질이 볼리비아를 5:1로 폭격하는 동안 브라질 공격진 중 홀로 암울한 골 결정력을 보였다. 결국 후반 26분 마테우스 쿠냐와 교체되었고, 이후 벤치에서 눈시울이 붉어진 채 앉아있는 모습이 포착되었다.[8] 2~4차전인 페루, 베네수엘라, 우루과이전에서도 아쉬운 폼으로 득점을 기록하지 못했고, 사타구니 부상 수술 때문인지 콜롬비아전, 아르헨티나전은 결장했다. 수술을 마친 12월 이후부터 리그에서 좋은 폼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월드컵 예선에서 부진하고 있는 브라질을 살려낼 수 있을지 주목되는 선수 중 한 명이 되었다.

그러나 3월 예선 기간 동안 여전히 부상의 여파 때문인지 2경기 모두 출전하지 못했다. 또한 이후 브라질 ESPN과의 인터뷰를 통해 그간 본인이 굉장히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고 토로했다.[9]

이후 2024년 5월 11일 2024 코파 아메리카 23인 최종 명단에는 부상으로 인해 들지 못했고, 자신보다 9살이나 어린 엔드릭이 9번을 달고 최종 명단에 승선하면서, 토트넘 이적 후 많아진 부상 문제로 인해 정통 스트라이커 역할을 하고 있는 엔드릭과의 경쟁에서 밀릴 확률이 높아졌다.

이후, 에버튼 시절 본인을 지도하던 안첼로티 감독이 브라질 사령탑에 부임함으로써 국대에 발탁됨과 동시에 재회하게 되었다.

3. 플레이 스타일

3.1. 장점

주 포지션은 중앙 공격수로, 윙어도 소화했을 만큼 중앙부터 측면까지 경기장을 넓게 움직이면서 영향력을 과시하는 공격수다. 히샬리송의 플레이에서 가장 돋보이는 것은 바로 그의 뛰어난 신체 조건에서 나오는 운동 능력. 자신의 신체 조건과 운동 능력을 잘 활용할 줄 아는 선수로, 최전방 박스 안팎에서 볼 경합과 속도 싸움을 통해 저돌적인 움직임과 플레이를 보여주는 것이 히샬리송의 주 무기이다.

우선, 히샬리송은 공격수로서 기동력이 상당히 좋다. 주력이 빠르기로 유명한 수비수인 엑토르 베예린을 상대로 지지 않는 속도를 보여준 바가 있다. 이 때문에 간혹 윙어로도 경기를 뛰었지만, 현재는 스트라이커로서 많은 경기를 소화 중이며 토트넘에서 잔부상을 당한 후로는 속도가 그 전에 비해서는 눈에 띄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구력과 체력은 상당히 좋은 선수라서 경기장 안에서 90분 내내 왕성한 활동량을 가져간다. 오프 더 볼 움직임이 활발하다 보니, 박스 안으로 밀고 들어가서 위협적인 기회의 순간들을 움직임으로서 만들어낸다. 그의 활발한 전방에서의 압박과 박스 침투, 공수 전환 상황에서의 수비 가담은 히샬리송이 전술적으로 감독들에게 주목받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기동력과 더불어 히샬리송의 운동 능력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바로 헤더. 공중볼 경합 상황에서 헤더 능력이 좋은 센터백인 다비드 루이스를 상대로 헤더를 따내는 등 뛰어난 서전트 점프력과 헤더 스킬을 보유하고 있다. 19/20시즌에는 리그에서 넣은 13골 중 절반 가량인 5골이 헤더 골이었으며, 자신의 챔스 데뷔전이었던 22-23시즌 챔피언스리그 마르세유전에서는 헤더로만 멀티 골을 기록하는 등 세트피스나 박스 안 공격 상황에서 히샬리송의 헤더는 그의 슈팅보다도 매우 위협적인 옵션이다.

여기에 더해, 히샬리송은 유연성이 상당히 좋은 공격수로, 현대 축구에서 뻣뻣해졌다고 평가받는 브라질리언의 계보를 다시 이을 스트라이커로 주목받고 있다. 신체의 유연성이 뛰어나다 보니 박스 안에서 아크로바틱한 득점의 수가 많은 편인데, 2022 카타르 월드컵 8강 크로아티아전이나, 25-26시즌 프리미어리그 1라운드 번리 전에서의 득점 등 바이시클 킥으로 득점을 해내는 모습을 종종 보여준다. 헤더 능력이 좋고 유연한데, 오른발과 왼발을 가리지 않고 양발을 잘 사용하는 선수라서 상대 수비수 입장에서는 어떻게 득점을 넣을 지 혼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위협적이다.

3.2. 단점

히샬리송은 공격 상황에서 저돌적인 움직임을 가져가면서 위협적인 모습을 보이지만, 경기력이 안 좋을 때에는 신체 능력으로만 밀고 들어가는 모습을 보이며 투박한 발밑과 무지성 플레이로 비판을 받는다.

히샬리송에게서 흔히 브라질 선수라고 하면 떠오르는 테크니션의 면모를 기대하기 힘들다. 정확히 말하자면, 드리블을 시도하기 위한 기본기는 갖추고 있다. 그러나, 화려한 테크닉보다는 자신의 신체 및 운동 능력을 이용해 우직하게 밀고 나가는 돌파를 시도하기 때문에, 개인 기술을 바탕으로 시도하는 기술적이고 쫄깃한 돌파를 기대하기 힘들다. 이러한 히샬리송의 투박함은 드리블보다 패스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공을 받을 때의 퍼스트 터치가 투박해서 공을 건네받아 공격을 시도하기 전부터 불안정한 볼 터치로 턴오버를 당하거나, 공을 뺏기지 않더라도 드리블이나 패스에서 실수가 나오면서 공격 기회를 넘겨주면서 흐름이 끊긴다.

최전방 공격수로 주로 출전 중인 현재는 볼 키핑과 포스트플레이에서 아쉬움을 많이 드러내고 있는 히샬리송이다. 최전방에서 공격수가 버텨주면서 공을 지켜내는 플레이가 많이 요구되는데, 히샬리송은 신체 조건과 운동 능력이 좋은 선수임에도 발밑이 투박하고 시야가 좁아서 공을 건네줄 때 패스 미스가 발생하거나 무리하게 돌아서서 돌파를 이어가려다 실패한다. 경합 능력이 좋고 헤더를 잘 따내는 선수임에도 포스트플레이가 좋지 않다는 점 때문에 보통 히샬리송에게 롱 볼을 주면 히샬리송에게 주기보다는 뒷공간으로 멀리 찬 후 히샬리송이 수비진과 비비면서 들어가 공의 소유권을 얻어내는 플레이를 많이 구사한다.

또한, 부족한 축구 지능와 좁은 시야로 인해 전반적으로 경기를 읽는 능력이 떨어지고 득점력을 포함한 전체적인 경기력의 일관성이 아쉽다. 본인의 신체 능력과 감각에 많이 의존하는 플레이 스타일이다 보니, 컨디션이 안 좋은 날에는 전방에서 그저 뛰어다니기만 하는 모습을 보이며 의미 없이 지구력을 낭비하는 모습을 보인다. 여기에 더해, 공을 소유했을 때 저돌적으로 밀고 들어가서 득점을 시도하는 유형의 공격수라는 점에서 탐욕이 많은데, 연계 능력도 떨어지다 보니 폼이 안 좋은 날에는 슈팅을 난사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다혈질적인 성격을 비롯해 전반적인 멘탈 관리도 약점으로 꼽힌다. 선수 생명에 위협이 될 만한 과격한 태클을 시도하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으며, 불필요할 정도로 경기장에서 상대 선수들과의 언쟁이 잦다. 그가 경기에서 조심해야 할 선수로 꼽히는 이유는 실력적인 면을 떠나 지고 있으면 분에 못 이겨 거친 태클을 하고, 이기고 있으면 조롱하는 듯한 플레이를 보이기 때문.[10] 경기 이후 SNS에서 2차전을 일으키는 건 덤이다.

멘탈 관리와 더불어, 토트넘 이적 후에는 준수한 신체 조건과는 별개로 부상 빈도가 잦아지고 있다. 토트넘 이적 후 사타구니 부상으로 인해 좋지 않은 폼을 보이다가 23-24 시즌 수술 후에는 폼을 되찾고 리그 두 자리 수 골을 기록하며 부진에서 탈출하나 싶었지만 무릎 부상에 이어 종아리 부상까지 당하며 시즌 아웃이 되고 말았다. 2024-25 시즌에도 출전할 때에는 좋은 폼을 보이지만, 정작 대부분의 경기를 부상으로 빠지면서 애물단지가 되었다.

3.3. 결론

결론적으로, 컨디션이 좋은 날에는 축복받은 몸싸움과 신체적 능력을 폭발시키며 리그 내에서도 밀리지 않는 공격 자원이지만 세밀함이 부족하며 일관성 있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다. 또한 경기가 원하는 대로 풀리지 않으면 집중력을 쉽게 잃고 스스로 경기를 망칠 위험이 존재하는, 양날의 검과 같은 선수라고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단점이 무색하게, 시간이 지날수록 많은 부상에 시달리며 골 결정력과 신체적 능력이 다소 저하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저하와 동시에 기존의 축구 지능의 문제 역시 심화되어 볼을 잡은 상황에서 심각한 수준의 판단력을 보이는 등 여러모로 수준 이하의 경기력만 보여주고 있다.

4. 기록

4.1. 대회 기록

  • 브라질 U-23 축구 국가대표팀

4.2. 개인 수상

5. 여담

  • 팀 동료들과 팬들 사이에서는 이름의 앞 글자를 딴 '리치(Richy)'라는 별명으로 자주 불린다.
  • 단점 문단에서 서술했듯 경기장 안에서의 승부욕이 너무 지나쳐 상대의 선수 생명을 위협하는 태클이 종종 나온다. 승부욕이 높은 것은 팬들이 반길 만한 성격이지만, 이게 단순한 몸싸움과 신경전을 넘어 위험한 플레이와 과격한 행동으로 발현되는 경우가 많아서 문제인 케이스.
  • 친정팀인 에버튼에 대한 사랑이 정말 남다르다. 4시즌 동안 활약하면서 매시즌마다 두 자릿수 득점을 기록하는 준수한 활약을 해줌과 동시에 구단과 팬들에 대한 무한한 애정을 보여주고, 이적을 하면서도 많은 이적료를 남겨주었으니 에버튼에서 활약한 업적이 대단한 편. 에버튼을 떠나 토트넘으로 이적한 이후에도 히샬리송과 에버튼 팬들의 애정이 정말 각별하다. 토트넘 소속으로 에버튼 상대로 출전을 하게 되었을 때에도 토피스들의 많은 박수를 받으니 선수와 팬들의 관계가 무척 좋은 편. 이 때문에 히샬리송이 토트넘에서 고전을 하고 있을 때 과거 스티븐 피에나르처럼 에버튼으로 임대오라고 표현을 하는 토피스들도 있는 편이다. 구디슨 파크의 마지막 경기가 진행된 이후에도 에버튼에 대한 사랑과 애정을 표현했으니 에버튼 팬들은 히샬리송을 무척이나 좋아할 수 밖에 없다. 반대로 더비 라이벌인 리버풀을 매우 싫어한다. 인터뷰를 할 때마다 리버풀을 까는데, 너무 말도 안 되는 내용으로 시비를 걸다 보니 이 정도면 자격지심으로 인한 열폭 아니냐는 얘기가 나올 정도이다. 예를 들면 "반 다이크는 세계 최고가 아니다. 내가 털 수 있다"라는 발언을 한 적이 있고, 2021-22 시즌 37R 크리스탈 팰리스전 이후 리버풀의 레전드인 제이미 캐러거가 히샬리송이 할리우드 액션을 했다고 말하자 "네 입이나 닦아라"라며 응수하기도 했다. 또한 유독 리버풀을 만나면 플레이가 상당히 거칠어지며 살인 태클의 빈도도 잦아진다. 2021-22 시즌 막판에는 리버풀이 리그 2위를 기록하고,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에서 레알 마드리드에게 결국 패배하자 기분이 무척 좋았는지 인스타그램 게시글들로 리버풀 팬들을 약올렸다. 말로만 그러면 괜찮은데 문제는 실제 경기 도중 과격한 태클을 날리고 적반하장 태도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는 점. 결국 이것들이 그동안의 업보가 되어 돌아와서 2024-25 시즌에 반다이크에게 굴욕적인 페이크 동작을 복수 격으로 당하고 심지어 리버풀이 우승을 확정한 날에는 하비 엘리엇에게까지 자신이 뛰었던 에버튼을 조롱하는 굴욕적인 조롱까지 바로 면전에서 당하면서 그동안 리버풀을 조롱해왔던 그 댓가와 업보를 그대로 리버풀 선수들에게 완전히 제대로 돌려받고 말았다.
  • 아스날과의 관계도 좋지 못하다. 2020년에 다니 세바요스에게 살인 태클을 날린 후 엑토르 베예린과 충돌했는데, 이때 베예린과 충돌하고 있고 세바요스는 밑에 쓰러져 있는 당시의 사진을 인스타그램 피드에 자랑스럽게 올려 논란이 되었다. 그리고 같은 사진을 토트넘으로 이적한 이후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다시 올려서 아스날 팬들에게 심각한 태클로 인한 논쟁을 자랑스럽게 올리냐는 비난을 받았다. 물론 아스날을 엄청나게 싫어하는 토트넘 팬들에게는 긍정적인 인상을 남겼다(...).
  • 이렇게 경기장 안에서 보이는 더티 플레이와 축구 관련한 이런저런 일들, 그리고 '브라질 출신이라서 불성실할 것이다'는 세간의 편견과는 달리 경기에 임하는 자세 자체는 매우 성실하며, 소속팀을 위해 헌신할 줄 아는 선수다.[13] 최근에 드러난 예가 2021년 2월 5일 프리미어 리그 26라운드 첼시전이었는데, 경기 중 교체 아웃되어 벤치에 들어가 눈물을 흘려 팬들이 의아해했다. 경기 후 브라질 ESPN과의 인터뷰에서 "나는 눈물을 흘렸다. 왜냐하면 경기에 뛰며 동료들을 돕고 싶었기 때문이다"라면서 "하지만 우리 선수들은 경기장에서 훌륭하게 일을 해냈다. 모두 괜찮다"라고 밝혔다.
  • 게다가 경기장 밖에서의 모습이나 축구 외적인 것으로는 경기장 안에서의 모습과는 정반대로 매우 근본 있는 청년이다. 어린 시절 히샬리송은 가게에서 아이스크림과 초콜릿을 파는 부모님을 도우면서 살았는데, 10대 시절 친구들이 마약사범이 되어 같이 일하자며 그를 계속 꼬드겼다고 한다. 그러나 히샬리송은 마약나쁜 것이라는 사실을 매우 잘 알고 있었고, 마약과 연루되면 프로 축구 선수가 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해 본인이 계속 하던 대로 부모님의 가게일을 도왔다고 한다.# 이는 14세 때 길을 지나가다가 자신들의 마약을 훔치고 있다고 오해한 마약 단체에게 총으로 위협을 당한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필사적으로 도망친 후 그 길에는 두 번 다시 가지 않았다고.#
  • 성공한 축구 선수가 되어 많은 돈을 버는 현재까지도 그 마음가짐을 잃지 않고 고향에 기부를 많이 하고 있다. 이러한 어릴 적 빈민가에서의 경험들 때문인지 복지 확대, 인종차별 반대, 환경 보호, 코로나 백신 접종 필요성 등 사회·정치적인 현안에도 매우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는 편이다. 복지 축소, 아마존 개발, 코로나 백신 무용론을 주장하고, 인종차별적인 발언도 서슴지 않는 브라질의 막장 대통령 자이르 보우소나루에 반하는 대표적인 유명인사로 꼽히기도 한다.
  • 영상이나 기사를 보면 고향과 가족을 상당히 아끼는 듯한데, 대표적인 일화로는 고향 주민들에게 6.5톤 가량의 다양한 음식을 기부하고# 조부모님 댁에서 가족, 친구들과 함께 국대 선발 명단 발표식[14]을 함께 시청하기도 했다고 한다.#
  • 2020년에는 코로나 19에 맞서는 의료진을 위해 본인이 직접 수많은 의료용 산소통을 구입하여 병원, 보건소, 진료소 등에 기부했던 적도 있다.
  • 2020년 10월 인스타그램 라이브에서 네이마르 주니오르가 히샬리송에게 전화할 때 개인 전화번호가 유출되어 축구팬들로부터 1만 통이 넘는 문자와 전화를 당했다. 이후 인터뷰에서 번호가 유출된 다음 날 곧바로 유심칩을 교체했으니 문제는 없었다고 밝혔다.
  • 2022년 6월 A매치 기간에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평가전을 위해 방한했다. 에버랜드에 놀러가서 네이마르와 함께 가장 즐거운 표정을 하고 동심으로 돌아간 듯한 모습을 보였다. 내한 기간 동안 여권을 분실해서 주한 브라질 대사관을 방문해 재발급받았다고 알려져 있었는데, 주한 브라질 대사관에서 근무하는 방송인 카를로스 고리토의 말에 의하면 사실 여권을 분실한 게 아니라 사증이 부족해서 새로 발급받은 것이었다고 한다.#
  • 2022년 한국을 방문했을 때 팬들이 선물해준 '참쌀 설병' 쌀과자[15]를 들고 있는 사진이 화제가 되었다.[16] 워낙 중독성이 심한 과자로 잘 알려져 있다 보니 이를 본 국내 축구팬들은 우스갯소리로 "저거 마약인데 검사해야 하는 거 아니냐"라는 농담을 하기도 했다. 본인도 "이 과자는 한국에서 유명한 것 같아"라고 인스타그램에 올렸을 정도. 그리고 2024년 내한에서는 초록색 참쌀을 선물받았다. 이게 진짜 마약인데
파일:1670299412323.png
* 방한 경기를 마치고 일본으로 건너간 뒤 일부 기자들악마의 편집에 의해 비니시우스 주니오르와 훈련 중 싸웠다는 보도가 뜨기도 했는데, 사실은 선수들끼리 놀던 도중 벌칙을 받기 싫어서 도망가는 히샬리송을 팀 동료들이 붙잡고 장난치는 장면을 기자들이 왜곡한 것이다. 이때 히샬리송이 괴롭힘당하는 사진을 본인의 인스타그램에 올렸는데 정말로 크게 싸웠다면 인스타그램에 게시했을 리가 없다. 즉 심각한 상황이 아니었다는 것.
  • SNS에서 생중계로 브라질의 카타르 월드컵 국가대표 명단에서 자신의 이름이 호명되자 매우 기뻐하는 모습을 보였다.# 호명 전까지는 차마 중계 화면을 바라보지 못하고 고개를 푹 숙이고 있었다.
  •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의 대활약으로 인스타그램 팔로워 수가 크게 증가했다. 토트넘에서도 많은 팔로워를 보유한 손흥민, 해리 케인[17]을 제치고 팔로워 1위로 올라섰다.
  • 미하일로 무드리크, 안토니와 함께 무안송으로 엮이고 있다. 의미는 당연히 먹튀 삼형제(...). 리그 0골이던 무드리크, 폭행 사건으로 맨유의 이미지를 실추시킨 안토니와 달리 한 골은 기록했고 사생활도 깨끗하기 때문에 그나마 낫다는 의견이 많다. 결정적으로 이적료는 셋 중 제일 저렴했다.[18] 2023-24 시즌 중반기부로는 심리 치료와 골반 수술을 감행한 끝에 폼을 올리는 데 성공했고, 왼쪽 윙어와 스트라이커 롤을 맡으며 좋은 유틸성으로 팀에 기여했다.[19]
  • 2023-24 시즌 리그 10R 팰리스전이 끝나고 이브 비수마에게 자신의 국가대표팀 유니폼을 선물했다. 이때 비수마의 이름을 알 수 없는 멜로디로 흥얼거리고 있었는데, '말리브라질보다 낫다'는 말에 곧바로 가운뎃손가락을 날리는(...) 모습이 비수마의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올라왔다.
  • 2024년 방한 당시 손흥민, 제이미 돈리와 함께 쿠팡플레이 예능 신도림 조기 축구회에 희송이라는 이름으로 출연했다. "죄송, 함니다.", "이모 사리!" 등 어색하지만 찰진 한국어를 선보이기도. 웃참에 실패한 이 분은 덤
  • 대표팀에서 한 번, 소속팀에서 두 번으로 총 세 번 방한했다. 24-25 프리시즌 아시아 투어 명단에서는 손흥민을 제외하면 벤 데이비스와 유이하게 한국에 세 번째로 와본 선수다.
  • 은근 대한민국 팬들에게 인기가 많은 편이다. 2022 카타르 월드컵 당시 오버헤드 킥 원더골, 손흥민과의 친분 등으로 비축구 팬들에게 얼굴을 알린 이후 현재 토트넘 선수들 중에서는 손흥민 다음으로 국내 인지도가 가장 높은 축에 속한다. 2024년 한국 투어 기간에는 부상으로 벤치에 머물렀음에도 불구하고, 특히 오픈 트레이닝에서 스크린에 잡힐 때마다 엄청난 환호성이 쏟아지기도 했다. 홀로 회복 훈련을 소화하는 일주일간 훈련장에 방문한 100명 이상의 팬들에게 한 명도 빠짐없이 팬 서비스를 해주며 굉장히 좋은 인상을 남겼다.
  • 2024-25 시즌 레스터 시티와 경기에서 전반전에 임신 중인 여자친구를 위해서 득점하여 임신 세리머니를 하였다.
  • 보기와는 다르게 목소리가 되게 하이톤임과 동시에 얇다.
  • 에버튼에 이어 토트넘에 대한 애정이 있다. 토트넘 이적 후 좋은 모습을 못 보여주고있자 구단에서는 방출 1순위로 매번 뽑히고 있는데 막상 본인은 팀에 남아 경쟁 하는 걸 원하고 있는 상황이다.

5.1. WAGs

  • 여자친구는 2003년생 모델이자 법대생인 아만다 아라우주(Amanda Araujo)이다.
  • 2025년 6월 16일[20] 히샬리송의 SNS에서 히샬리송의 아이가 태어났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6. 둘러보기

파일:토트넘 홋스퍼 FC 로고.svg
토트넘 홋스퍼 FC 2025-26 시즌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토트넘 홋스퍼 FC 2025-26 시즌 스쿼드
파일:spurs_no1(25/26).png 파일:spurs_no3(25/26).png 파일:spurs_no4(25/26).png 파일:spurs_no6(25/26).png 파일:spurs_no7(25/26).png
<rowcolor=#fff,#fff> 1
VC
3 4 6 7
굴리엘모 비카리오
Guglielmo Vicario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GK
1996.10.07
2023~2028
라두 드라구신
Radu Drăgușin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 DF
2002.02.03
2024~2030
케빈 단소
Kevin Danso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 DF
1998.09.19
2025~2030
주앙 팔리냐
João Palhinha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MF
1995.07.09
2025~2026[1]
사비 시몬스
Xavi Simons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MF
2003.04.21
2025~2032
파일:spurs_no8(24/25).png 파일:spurs_no9(25/26).png 파일:spurs_no10(25/26).png 파일:spurs_no11(25/26).png 파일:spurs_no13(25/26).png
<rowcolor=#fff,#fff> 8 9 10
VC
11 13
이브 비수마
Yves Bissouma
파일:말리 국기.svg | MF
1996.08.30
2022~2026
히샬리송
Richarlison
파일:브라질 국기.svg | FW
1997.05.10
2022~2027
제임스 매디슨
James Maddiso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MF
1996.11.23
2023~2028
마티스 텔
Mathys Tel
파일:프랑스 국기.svg | FW
2005.04.27
2025~2031
데스티니 우도기
Destiny Udogie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DF
2002.11.28
2022~2029
파일:spurs_no14(25/26).png 파일:spurs_no15(25/26).png 파일:spurs_no17(25/26).png 파일:spurs_no19(25/26).png 파일:spurs_no20(25/26).png
<rowcolor=#fff,#fff> 14 15 17
C
19 20
아치 그레이
Archie Gray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MF
2006.03.12
2024~2030
루카스 베리발
Lucas Bergvall
파일:스웨덴 국기.svg | MF
2006.02.02
2024~2031
크리스티안 로메로
Cristian Romero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DF
1998.04.27
2021~2029
도미닉 솔랑케
Dominic Solanke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FW
1997.09.14
2024~2030
모하메드 쿠두스
Mohammed Kudus
파일:가나 국기.svg | MF
2000.08.02
2025~2031
파일:spurs_no21(25/26).png 파일:spurs_no22(25/26).png 파일:spurs_no23(25/26).png 파일:spurs_no24(25/26).png 파일:spurs_no25(25/26).png
<rowcolor=#fff,#fff> 21 22 23 24 25
데얀 쿨루셉스키
Dejan Kulusevski
파일:스웨덴 국기.svg | MF
2000.04.25
2022~2028
브레넌 존슨
Brennan Johnson
파일:웨일스 국기.svg | FW
2001.05.23
2023~2029
페드로 포로
Pedro Porro
파일:스페인 국기.svg | DF
1999.09.13
2023~2028
제드 스펜스
Djed Spence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2000.08.09
2022~2028
타카이 코타
Kōta Takai
파일:일본 국기.svg | DF
2004.09.04
2025~2030
파일:spurs_no28(24/25).png 파일:spurs_no29(25/26).png 파일:spurs_no30(25/26).png 파일:spurs_no31(25/26).png 파일:spurs_no33(25/26).png
<rowcolor=#fff,#fff> 28 29 30 31 33
VC
윌손 오도베르
Wilson Odobert
파일:프랑스 국기.svg | FW
2004.11.28.
2024~2029
파페 마타르 사르
Pape Matar Sarr
파일:세네갈 국기.svg | MF
2002.9.14.
2021~2030
로드리고 벤탄쿠르
Rodrigo Bentancur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 MF
1997.06.25
2022~2026
안토닌 킨스키
Antonín Kinský
파일:체코 국기.svg | GK
2003.03.13
2025~2031
벤 데이비스
Ben Davies
파일:웨일스 국기.svg | DF
1993.04.24
2014~2026
파일:spurs_no37(25/26).png 파일:spurs_no39(25/26).png 파일:spurs_no40(25/26).png 파일:spurs_no44(25/26).png 파일:토트넘 홋스퍼 FC 로고.svg
<rowcolor=#fff,#fff> 37
VC
39 40 44
미키 판더펜
Micky van de Ven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DF
2001.04.19
2023~2029
랑달 콜로 무아니
Randal Kolo Muani
파일:프랑스 국기.svg | FW
1998.12.05
2025~2026[2]
브랜던 오스틴
Brandon Austi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GK
1999.01.08
2019~2029
데인 스칼렛
Dane Scarlett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FW
2004.05.24
2021~2027
토트넘 홋스퍼 FC 2025-26 시즌 임대 선수
파일:spurs_no16(25/26).png 파일:spurs_no18(24/25).png 파일:spurs_no27(25/26).png 파일:spurs_no35(25/26).png 파일:spurs_no36(25/26).png
16 18 27 35 36
루카 부슈코비치
Luka Vušković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 DF
2007.02.24
2025~2030
함부르크 SV 임대
2026.5.31 복귀
양민혁
Yang Min-Hyeo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2006.04.16
2025~2030
포츠머스 FC 임대
2026.5.31 복귀
마노르 솔로몬
Manor Solomon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 FW
1999.07.24
2023~2028
비야레알 CF 임대
2026.5.31 복귀
애슐리 필립스
Ashley Phillips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2005.06.26
2023~2028
스토크 시티 FC 임대
2026.5.31 복귀
알레호 벨리스
Alejo Veliz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FW
2003.09.13
2023~2029
CA 로사리오 센트랄 임대
2026.5.31 복귀
파일:spurs_no45(25/26).png 파일:토트넘 홋스퍼 FC 로고.svg 파일:토트넘 홋스퍼 FC 로고.svg 파일:토트넘 홋스퍼 FC 로고.svg 파일:토트넘 홋스퍼 FC 로고.svg
45 <rowcolor=#fff,#fff>
알피 디바인
Alfie Devine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MF
2004.08.01
2021~2027
프레스턴 노스 엔드 FC 임대
2026.5.31 복귀
구단 정보
회장: 피터 채링턴 / 감독: 토마스 프랑크 / 홈구장: 토트넘 홋스퍼 스타디움
출처: 토트넘 홋스퍼 FC 공식 웹사이트 / 프리미어 리그 공식 웹사이트 / 트랜스퍼마크트
※ 주의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간략 틀을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간략 틀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1] FC 바이에른 뮌헨에서 임대[2] 파리 생제르맹 FC에서 임대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72A,#FFF72A> 파일: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2019).svg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753A,#00753A> 포지션 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colbgcolor=#0B090C><colcolor=#fff> GK - 벤투
Bento
1999년 6월 10일 ([age(1999-06-10)]세) 4 0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 알 나스르 FC
- 에데르송
Ederson
1993년 8월 17일 ([age(1993-08-17)]세) 29 0 [[튀르키예|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페네르바흐체 SK
- 우구 소자
Hugo Souza
1999년 1월 31일 ([age(1999-01-31)]세) 0 0 [[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svg
]] SC 코린치안스
DF - 카이우 엔히키
Caio Henrique
1997년 7월 31일 ([age(1997-07-31)]세) 2 0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 AS 모나코 FC
- 카를루스 아우구스투
Carlos Augusto
2002년 7월 4일 ([age(2002-07-04)]세) 2 0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도글라스 산투스
Douglas Santos
1994년 3월 22일 ([age(1994-03-22)]세) 2 0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 에데르 밀리탕
Éder Militão
1998년 1월 18일 ([age(1998-01-18)]세) 35 2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 레알 마드리드 CF
- 파브리시우 브루누
Fabricio Bruno
1996년 2월 12일 ([age(1996-02-12)]세) 3 0 [[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svg
]] 크루제이루 EC
- 가브리에우 마갈량이스
Gabriel Magalhães
1997년 12월 19일 ([age(1997-12-19)]세) 15 1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아스날 FC
- 루카스 베랄두
Lucas Beraldo
2003년 11월 24일 ([age(2003-11-24)]세) 4 0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 파리 생제르맹 FC
- 반데르송
Vanderson
2001년 6월 21일 ([age(2001-06-21)]세) 7 0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 AS 모나코 FC
- 웨슬리
Wesley
2003년 9월 6일 ([age(2003-09-06)]세) 3 0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AS 로마
MF - 안드레
André
2001년 7월 16일 ([age(2001-07-16)]세) 12 0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 브루누 기마랑이스
Bruno Guimarães
1997년 11월 16일 ([age(1997-11-16)]세) 37 2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 카세미루
Casemiro
1992년 2월 23일 ([age(1992-02-23)]세) 78 7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주앙 고메스
João Gomes
2001년 2월 12일 ([age(2001-02-12)]세) 10 0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 조엘린통
Joelinton
1996년 8월 14일 ([age(1996-08-14)]세) 7 1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 루카스 파케타
Lucas Paquetá
1997년 8월 27일 ([age(1997-08-27)]세) 57 12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FW - 이스테방 윌리앙
Estêvão Willian
2007년 4월 24일 ([age(2007-04-24)]세) 7 1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첼시 FC
- 가브리엘 마르티넬리
Gabriel Martinelli
2001년 6월 18일 ([age(2001-06-18)]세) 19 2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아스날 FC
- 이고르 제주스
Igor Jesus
2001년 2월 25일 ([age(2001-02-25)]세) 4 1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노팅엄 포레스트 FC
- 루이스 엔히키
Luiz Henrique
2001년 1월 2일 ([age(2001-01-02)]세) 8 2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 마테우스 쿠냐
Matheus Cunha
1999년 5월 27일 ([age(1999-05-27)]세) 15 1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히샬리송
Richarlison
1997년 5월 10일 ([age(1997-05-10)]세) 52 20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토트넘 홋스퍼 FC
- 호드리구
Rodrygo
2001년 1월 9일 ([age(2001-01-09)]세) 33 7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 레알 마드리드 CF
- 비니시우스 주니오르
Vinícius Júnior
2000년 7월 12일 ([age(2000-07-12)]세) 41 7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 레알 마드리드 CF
일정 친선 경기 2025년 10월 10일(금) 원정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2025년 10월 14일(화) 원정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일본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10월 2일
}}}}}}}}} ||

1 A. 베케르 · 2 다닐루 · 3 T. 시우바 · 4 마르퀴뇨스 · 5 카세미루 · 6 알렉스 산드루 · 7 L. 파케타 · 8 프레드 · 9 히샬리송
10 네이마르 JR · 11 하피냐 · 12 웨베르통 · 13 다니 아우베스 · 14 E. 밀리탕 · 15 파비뉴 · 16 알렉스 텔리스 · 17 브루누 G.
18 G. 제주스 · 19 안토니 · 20 비니 JR · 21 호드리구 · 22 E. 히베이루 · 23 에데르송 · 24 브레메르 · 25 페드루 · 26 마르티넬리
파일:브라질 국기.svg 치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4bbe; font-size: 0.8em;" 파일:브라질 국기.svg 클라우지우 타파레우

[1] 이름 'Richarlison'은 브라질 포르투갈어 발음으로 '히샤를리송(/hiˈʃaʁl(i)sõ/)'이 되지만 브라질인들은 그의 이름을 발음할 때 '히샤를리송' 외에 좀 더 발음하기 편한 '히샬리송'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로망스어게르만어권의 인명이나 지명의 관사는 발음의 변화를 반영하지 않은 채 뒤 요소와 붙여 적기 때문에 성 'de Andrade'는 '지안드라지'가 된다.[2] 2025년 9월 10일 기준[3] 2020 도쿄 올림픽[4] 머큐리얼 시리즈[5] 또한 이 골은 카타르월드컵 베스트 골 1위로 선정되었다[6] 이 골은 카타르월드컵 베스트 골 8위로 선정되었다.[7] 나중에 둘의 라커룸 사진이 공개됐는데, 손흥민이 히샬리송의 볼을 꼬집으며 장난치는 사진이 발굴되었다.[8] 후에 밝힌 바에 따르면 단순 부진 때문이 아니라 축구 외적으로 스트레스가 컸기 때문에 눈물을 흘린 것이라고 한다. 또한 영국으로 돌아가 심리 치료를 받을 것이라고 인터뷰에서 직접적으로 언급했다.[9] 월드컵 기간 동안 자신의 전 에이전트가 자신의 돈을 훔치며 수 년간 믿었던 사람에게 배신당해 큰 충격을 겪었고, 브라질이 8강에서 탈락하자 거기서 더 큰 충격을 받아 가족들에게 모든 걸 포기하고 극단적 선택을 생각했을 정도로 힘들었다고 밝혔다. 이후에는 토트넘에 돌아와 안토니오 콘테 감독과 있었던 불화를 언급했다. 자신은 출전 시간이 더 필요하고 현재 포메이션은 토트넘에 어울리지 않는다고 지적했으나 통하지 않았다고. 이후 심리 치료가 큰 도움이 되었으며 자신의 상태도 점차 나아진 것 같다고 한다. 토트넘은 공식 SNS를 통해 '네 뒤에는 우리가 항상 함께하고 있다'며 위로와 응원의 메세지를 보냈다.[10] 22-23 시즌 4R 노팅엄 원정에서 0:2로 이기고 있을 때 상대 진영에서 공으로 저글링을 하며 어그로를 끌다가 상대 선수에게 곧바로 응징당하는 장면이 대표적이다.[11] 조별 리그 1차전 세르비아전[12] PL 리버풀전[13] 비슷한 사례로는 주니뉴 페르남부카누가 있다.[14]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은 선발 명단을 TV를 통하여 발표한다.[15] 미왕 쌀과자와 같이 동그란 쌀과자 위에 녹인 설탕이 뿌려진 것.[16] 사진에는 보이지 않지만 칸쵸도 선물받았다.[17] 바이에른 뮌헨으로 이적.[18] 이후 무드리크는 비싼 이적료 때문에 먹튀 취급은 여전하지만 경기력이 살아나며 리그골도 신고했고, 몇 경기에서는 첼시의 공격을 주도하는 모습도 보였다. 안토니의 경우 35R 번리전에서 리그 첫 골을 기록했다.[19] 수술 후 처음으로 선발 출전한 리그 16R 뉴캐슬전을 기점으로 리그 8경기 9골을 기록했다.[20] 아기는 6월 15일에 태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