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4 01:45:30

안토니(2000)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if 리스트 == null
{{{#!html 해당 인물의 최근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 == null
[[안토니(2000)/2025-26 시즌]]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안토니(2000)/2025-26 시즌#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안토니(2000)/2025-26 시즌#|]]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2 == null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3 == null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4 == null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5 == null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6 == null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7 == null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8 == null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9 == null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0 == null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을}}}}}}
#!if 리스트 != null
한시적 넘겨주기로 연결되는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해당 인물의 최근 활약상: }}}{{{#!if 같은문서1 == null
[[안토니(2000)/2025-26 시즌]]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안토니(2000)/2025-26 시즌#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안토니(2000)/2025-26 시즌#|]]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if 같은문서2 == null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if 같은문서3 == null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if 같은문서4 == null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if 같은문서5 == null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if 같은문서6 == null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if 같은문서7 == null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if 같은문서8 == null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if 같은문서9 == null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if 같은문서10 == null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

1 바예스 · 2 [[엑토르 베예린|베예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f8a00; font-size: .8em"]] · 3 요렌테 · 4 나탕 · 5 [[마르크 바르트라|바르트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f8a00; font-size: .8em"]] · 6 알티미라 · 7 안토니
8 P. 포르날스 · 9 C. 아빌라 · 10 에즈 압데 · 11 바캄부 · 12 로드리게스 · 13 아드리안
14 암라바트 · 16 고메스 · 17 리켈메 · 18 데오사 · 19 C. 에르난데스 · 20 로 셀소
21 로카 · 22 [[이스코|이스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f8a00; font-size: .8em"]] · 23 주니오르 · 24 [[아이토르 루이발|루이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f8a00; font-size: .8em"]] · 25 로페스
파일:CA2021 Chile.png 마누엘 펠레그리니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927 0%, #FFD200 20%, #FFD200 80%, #FFE927)"<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D200,#FFD200> 파일:안토니 등번호.png안토니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72A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E927><colcolor=#029C55> 클럽 경력 파일:상파울루 FC 로고.svg 상파울루 FC
파일:AFC 아약스 로고(1991~2025).svg AFC 아약스
2020-21 · 2021-22 · 2022-23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2022-23 · 2023-24 · 2024-25
파일:레알 베티스 발롬피에 로고.svg 레알 베티스 발롬피에
2024-25 · 2025-26
국가대표 파일: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2019).svg 브라질 (2021~ )
WC22
평가 플레이 스타일
기록 대회 기록 · 개인 수상
기타 여담 · 논란 및 사건 사고 · PL 사황 · 안산가래호 }}}}}}}}}}}}

파일:antony2526.png
<colbgcolor=#008835><colcolor=#fff> 레알 베티스 발롬피에 No. 7
안토니
Antony
본명 앙토니[1] 마테우스 두스산투스[2]
Antony Matheus Dos Santos
출생 2000년 2월 24일 ([age(2000-02-24)]세)
상파울루주 오자스쿠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브라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브라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4cm / 체중 63kg
포지션 윙어, 윙백[3]
주발 왼발
등번호 브라질 대표팀 19
레알 베티스 발롬피에 7
소속 <colbgcolor=#008835><colcolor=#fff> 유스 상파울루 FC (2010~2018)
선수 상파울루 FC (2018~2020)
AFC 아약스 (2020~2022)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2022~2025)
레알 베티스 발롬피에 (2025 / 임대)
레알 베티스 발롬피에 (2025~ )
국가대표 16경기 2골 (브라질 / 2021~)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373a3c,#ddd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8835><colcolor=#fff> 역대 등번호 브라질 대표팀 - 7번[4], 11번[5], 18번, 19번[6], 20번
상파울루 FC - 7번[7],11번[8], 39번[9]
AFC 아약스 - 11번[10], 39번[1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21번
레알 베티스 발롬피에 - 7번
종교 개신교
후원사 푸마
}}}}}}}}}}}}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
4.1. 장점4.2. 단점
5. 기록
5.1. 대회 기록5.2. 개인 수상
6. 사건 사고
6.1. 가정 폭력 혐의 무고 피해
7. 여담8. 같이 보기

1. 개요

브라질 국적의 레알 베티스 발롬피에 소속 축구 선수. 주 포지션은 윙어.

2. 클럽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안토니(2000)/클럽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토니(2000)/클럽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토니(2000)/클럽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국가대표 경력

연령별 대표팀을 두루두루 거치다 월반하여 2019년부터는 U-23 대표팀에 소집되고 있다. 덕분에 U-23 대표팀 출전 경기 수가 많은 편이다. 또한 출전 시 개인 성적도 좋아서 성인 대표팀 콜업은 시간 문제인 것으로 보인다.

2020 도쿄 올림픽 남자 축구 명단에 올랐다. 그리고 좋은 활약을 펼치면서 브라질의 대회 2연패에 적잖은 기여를 했다.

2021년 10월, A매치 명단에 포함됐다. 그리고 10월 8일 베네수엘라와의 월드컵 최종 예선에서 후반 32분 가브리엘 제주스와 교체되어 들어와 데뷔했고 하피냐의 어시스트로 데뷔 골까지 성공시켰다.

2022년 2월 22일, 월드컵 최종 예선 파라과이전 홈 경기에서 후반 16분 비니시우스 주니오르와 교체로 투입된 후에 후반 41분 에베르통 히베이루의 어시스트로 3:0을 만드는 골을 넣었다.

2022년 3월 25일, 칠레전에서는 오른쪽 윙어로 선발 출장해 비니시우스 주니오르와 필리피 코치뉴의 골을 어시스트하고 후반 32분 실려나갔고 안토니의 빈자리는 호드리구가 채웠다.

2022년 3월 30일, 발목 부상으로 약 4개월을 재활했기 때문에 2022년 7월 말까지 대표팀에 소집되지 않았다.

2022년 9월 24일, 가나와의 친선전에서 교체 출전했지만 별다른 모습을 보이지는 못했다.

2022년 11월 8일,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26인 최종명단에 승선하면서 첫번째 월드컵 출전이라는 쾌거를 이루었다.

월드컵 종료후 맨유에서의 부진이 계속되자 자연스럽게 대표팀에서 멀어졌다.

그러나 이후 레알 베티스의 임대후 좋은 폼을 보이고 브라질의 새감독인 안첼로티의 부름을 받으며 오랜만에 국가대표 발탁에 성공했다.

3.1.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2022년 11월 26일,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32강 조별예선 1라운드 세르비아와의 경기에서 후반 79분, 네이마르 주니오르가 부상으로 인하여 교체출전 하였고, 월드컵 데뷔전을 치르게 되었다. 10분 정도 출전하였고 왼발 슈팅 한차례를 보여주었다. 팀은 2:0으로 승리하였다.

2022년 11월 29일,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32강 조별예선 2라운드 스위스과의 경기에서 후반 73분에 하피냐와 교체하여 17분 정도 출전하였다. 87분에 코너킥 상황에서 패스를 받아 왼발 슈팅을 때렸으나 유효슈팅은 되지 못하였다. 팀은 1:0으로 승리하면서 16강 진출을 미리 확정지었다.

2022년 12월 3일,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32강 조별예선 3라운드 카메룬과의 경기에서 월드컵 첫 선발 데뷔전을 치르게 되었다. 전반 38분에 속공 상황에서 날카로운 왼발 슈팅이 있었으나 상대 골키퍼한테 막히고 말았다. 그 이후 별다른 활약이 없어 후반 79분에 하피냐와 교체되었다. 팀은 0:1로 패배하였다.

2022년 12월 6일,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16강 대한민국과의 경기에서는 결장하였다. 팀은 4:1로 승리하면서 8강에 진출하였다.

2022년 12월 10일,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8강 크로아티아와의 경기에서 후반 56분에 하피냐와 교체하여 64분 정도 출전하였다. 발빠른 모습을 보여주며 골문 주위를 무섭게 노렸지만 결국엔 1:1 동점이 되어 승부차기까지 갔고 승부차기에서 2:4로 크로아티아에게 패하면서 팀이 8강에서 탈락하고 말았다. 패배한게 분했는지 눈물을 흘리는 게 포착되었다.

4. 플레이 스타일

주로 우측에서 뛰는 윙어로, 중앙으로 접고 들어와 왼발로 공격을 시도하는 전형적인 인버티드 윙어다.

4.1. 장점

대다수의 브라질리언 윙어들이 그러하듯, 화려한 테크닉과 준수한 센스를 바탕에 둔 드리블을 시도한다. 에레디비시에서 활약하던 시절에는 90분당 평균 드리블 횟수가 1회 이하로 떨어지지 않았을 정도로 드리블 시도가 잦다. 주로 활약하는 우측면에 빠져 있으면, 상대 레프트백과의 1대1 대치 상황을 자주 연출한다. 드리블 시에는 무게 중심을 낮게 잡고 터치를 많이 가져가면서 상대의 타이밍을 뺏는다.

화려한 기술 구사와 함께 안토니의 플레이에서 가장 돋보이는 점은 바로 그의 왼발 킥. 아약스 시절의 전임자였던 하킴 지예흐와 비교했을 때에도 밀리지 않는 수준의 파워와 정교함을 갖추고 있다. 우측 터치라인에서 공을 받은 후, 중앙으로 접고 들어와 시야를 확보한 후에 왼발 킥을 통한 기점 혹은 득점이 되는 플레이를 시도한다. 왼발 킥에서 나오는 감아차는 슈팅과 크로스의 구질이 날카로워서, 공격을 마무리짓는 슈팅과 파이널 패스에 더해 우측면에서 오버래핑하는 라이트백이나 중앙 미드필더와의 연계 플레이를 통해 공격을 풀어내는 플레이도 자주 보여준다.[12]

공격적인 플레이뿐만 아니라 뛰어난 체력을 바탕으로 성실한 오프더볼 움직임을 가져갈 줄 아는 선수다. 활동량을 많이 가져가면서 압박과 수비에 적극 가담해준다.[13] 공이 없을 때 동료들과 맞춘 동선을 바탕에 둔 스위칭 플레이를 통해 상대 수비를 혼란시킨다. 아약스에서뿐만 아니라,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서도 이러한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는데, 경기 중 안토니가 직접 수비라인까지 내려와서 수비 가담을 해주며 볼을 낮은 위치에서부터 받아 빌드업에 적극 관여한다.

4.2. 단점

체격이 비교적 왜소하고 버티는 힘도 약한 편이라 드리블 돌파 과정에서 상대와의 몸싸움 등 경합 상황이 벌어지면 잘 이겨내지 못한다. 게다가 주력도 그리 빠르지 않아서 스피드로 상대를 벗겨내는 장면도 거의 볼 수 없다. 그나마 에레디비시에서는 준수한 킥력을 발휘할 공간이 주어지는 편이라 이를 바탕으로 발재간까지 활용하며 플레이를 해나갈 수 있었으나, 훨씬 더 빠른 템포와 저돌적인 압박이 기본이 되는 프리미어 리그에서는 왜소한 체격에 스피드도 부족하니 적극적으로 다가오는 상대 수비에 맥을 못 춘다.

때문에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에서의 안토니는 가끔 발기술이 통해 상대의 균형을 무너뜨리며 경합을 피한 상황 정도가 아니면 스스로 변수를 만들지 못한다. 드리블 성공 확률이 낮은 편인데 원 터치 플레이는 적어서 볼 소유가 길어지고, 덩달아 공격 템포가 느려지는데, 설상가상으로 공간을 활용하거나 빈 공간으로 파고드는 아군을 활용하려는 판단도 잘 내리지 못한다. 결국 수비를 앞에 두고는 거의 대다수 상황에서 볼을 쥐고 멈추는데, 이 개인적인 전진성의 부족은 팀 전체의 공격 속도 저하로 이어진다.

그렇다고 키핑한 뒤에 동료에게 연결을 잘 해주는 것도 아니라서 모하메드 살라부카요 사카처럼 힘으로 밀고 들어가거나 포스트 플레이를 통한 변수 창출도 불가능하고, 원 터치 패스나 빠른 움직임으로 수비 뒷공간을 공략하지도 못한다. 예로 든 선수들이 아무리 프리미어 리그 최상위권 공격수들이라고는 하나 안토니는 기량 및 수준을 차치하고 스타일적으로나마 저들과 비슷한 장점 하나조차도 갖추지 못한 것이다.

피지컬과 더불어 또 하나의 단점은 바로 극심한 왼발 편향. 축구 역사상 한쪽 발만 고집하는 선수들은 많이 있었지만 안토니는 그 많은 선수들도 저리가라 할 수준의 극단적인 왼발잡이다. 오른발은 거의 쓰지 못하니[14] 돌파 방향이 한쪽으로 제한되어 패턴도 읽히기 쉬운데, 문제는 왼발 편향적인 플레이가 전혀 먹히지 않음에도 끝까지 왼발만 고집하고 매번 막힌다. 맨유 이적 초반에는 상대 수비수들에게 패턴이 읽히지 않아 특유의 접고 들어오는 움직임과 왼발 중거리 슛 매크로가 잘 먹히던 때도 있었으나, 상대 수비들이 패턴을 읽고 왼발 각도를 막아서자 제대로 된 플레이가 아예 나오지도 못할 정도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킥이나 패스를 통한 연계는 물론 드리블까지 답답해진 상황이다.[15]

그리고 장점에 언급한 왼발 킥의 위력도 프리미어 리그라는 상위 수준의 리그로 넘어오면서 그 위력이 다소 평범해지고 무뎌졌다. 킥을 통한 마무리 상황에서의 판단력도 좋다고 보기 어려워 공격 상황에서 좋은 다음 상황으로 이어나갈 플레이를 만들어내질 못한다. 흐름을 의도치 않게 늦춘 상황에서 대부분의 패스가 백패스이거나, 전진성이 결여된 풀백과의 주고받기 등 공격에서 상대에게 위협을 주지 못하는 연결이 대부분이다. 여기에 더해 공이 없을 때의 움직임은 준수하나 박스 안으로 직접 침투하는 움직임은 아쉬워서 폼이 안 좋을 때에는 우측면에 홀로 고립되는 모습을 보인다.

결론적으로 안토니는 상술한 단점들로 인해 프리미어리그라는 피지컬 위주 스타일에 맞지 않는 공격수로 여겨진다. 윙어의 가장 큰 무기인 돌파와 킥 모두 애매하니 경기력이 제대로 나오긴 커녕 공격 포인트 생산력부터 처참하기 그지없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 브라질 U-23 축구 국가대표팀

5.2. 개인 수상

6. 사건 사고

6.1. 가정 폭력 혐의 무고 피해

2023년 6월 7일, 가정 폭력 혐의로 기소되었다.# 전처인 가브리엘라 카발린이 고향인 상파울루 경찰에게 '가정 폭력, 협박, 신체 상해' 혐의로 고소를 진행했으며 카발린은 자신의 부상 사진과 안토니가 보낸 협박 메시지를 증거로 제시했다. 2022년 7월에는 임신 중인 자신을 폭행했다고 주장했다. 카발린은 안토니가 클럽 경비원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팔과 머리카락을 잡아당겨 차에 밀어 넣었다고 주장했다. 당시 카발린은 임신 17주차였다고 한다. 영국으로 이사한 2023년 초에도 자신을 폭행했으며, 이 과정에서 깨진 유리잔에 손이 베였다고 한다. 또한 안토니는 이후에도 전화를 걸어 협박까지 했다고 주장했다. 카발린은 안토니의 친구들이 지역에 많이 거주하고 있어 총격을 당할수도 있다는 공포에 시달리고 있다고 한다.[16]

2023년 9월 4일, 브라질 현지 언론 UOL[17]의 단독 보도로 폭행 사진이 일부 공개되었다.# 녹취까지 있다고 한다.#

안토니 대변인 측에서 입장문을 발표했다.# 전에도 안토니가 인스타 스토리로 강하게 반박했기에 아직 많은 유나이티드 팬들은 중립을 표하고 있다. 이후 안토니는 자신의 인스타 스토리에 직접 폭행한 적 없다는 입장문을 냈다.

하지만 이 사건으로 인해 9월 국가대표에서 하차하게 되었다.[18]

2023년 9월 6일, 영국 내의 단체들이 안토니의 출장 정지를 요구하고 있다. 맨유도 혐의를 인지하고 심각하게 보고 있다고 공식 발표하였지만 경찰이 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니 추가 정보가 있을 때까지 더 이상 언급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2023년 9월 7일, 2명의 여성이 추가적으로 폭행 고발한 사실이 밝혀졌다.#

2023년 9월 10일,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의 공식 성명에 의하면 안토니와의 상호 합의 하에, 혐의가 해결될 때까지 복귀를 연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텔레그래프의 제임스 더커의 보도에 따르면, 맨유가 22-23시즌 여름 이적시장에서 안토니를 영입하기 3개월 전에 최초로 경찰에 가정폭력 신고가 접수되었지만, 맨유가 안토니 영입에 앞서 실사(due diligence) 과정을 거쳤음에도 해당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다고 한다. # 맨유 보드진의 무능력이 지속적인 비판의 대상이 되어 온 와중에, 가정폭력 혐의의 최종적인 진실과 무관하게, 영입하려는 선수에게 제기된 범죄 혐의를 실사 과정에서 포착하지 못한 점에 대해 보드진은 더욱 비판을 받을 수밖에 없다. [19] 안토니가 기소가 되어 유죄판결을 받는 최악의 경우 맨유는 82m 파운드의 (한화 약 1360억 원) 투자를 허공에 날리게 되는 것이 된다. 혐의의 진실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하더라도 실사 과정에서 혐의를 인지했다면 영입을 보류하고 다른 타겟을 알아볼 여지도 충분했을 것이다. 그러나 텐하흐의 부임 이후 보드진이 이적시장에서 감독에게 사실상 전권을 주고 감독이 원하는 선수라면 너무 많은 이적료를 지불하더라도 무조건 영입한 것이 아니냐는 의문을 팬들이 제기하고 있다.[20]

2023년 9월 18일 추가로 고발한 2명의 여성 중 한명이 고소를 취하했다. 안토니는 이 여성과의 문자 메시지 등을 직접 공개하는등 적극적으로 혐의를 부인했었다.

2023년 9월 29일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의 공식 성명으로 복귀가 확정되었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WFC와 상의하여 내린 결정이라고 한다.# 결국 10월 4일 UEFA 챔피언스 리그 A조 2차전 갈라타사라이전 후반 84분 메이슨 마운트과 교체 출전하여 복귀전을 치렀다. 하지만 아직 사건이 완전히 해결된 상태가 아니어서 그런지, 현재 안토니가 공만 잡으면 관중석에서 야유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후 2024년 8월 21일 최종적으로 증거 불충분으로 혐의를 벗었다. #

7. 여담

  • 손으로 L자 모양을 만드는 전매특허 세레머니가 있다.[21] L자 모양 셀레브레이션은 상파울루 시절 자신의 팬이면서 특별한 우정을 가지고 있는 어린 10대 소녀 '라리샤'의 "L", 또 자신의 외아들 '로렌조'의 "L"를 의미하는 중의적인 셀레브레이션이라고 밝혔다.#
  • 본인만의 시그니처 개인기가 있다. 해외에서는 "Antony's 360° Turn"이라고 불리는데, 제자리에서 공을 잡은 상태로 한 바퀴 도는 개인기를 말한다. 보통은 한 바퀴를 돌지만 경우에 따라 두 바퀴, 세 바퀴 이상 돌 때도 있다.관련 영상 그래서인지 국내에서는 팽이 개인기라고 불리고 있다. 다만 이게 보기에만 살짝 그럴 듯하지 실제로는 아무 짝에도 쓸모 없는 개인기라 주로 조롱거리로 쓰이고 있다.
  • 기구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인페르니뉴[22]라는 파벨라에서 유년기를 보냈는데, 상파울루 근방에서 가장 위험한 지역으로 꼽히며 마약상, 범죄자들의 존재는 물론 살인 사건도 비일비재하게 일어나는 곳이라고 한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자란 탓인지 겁이 없는 편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가난한 유년기를 보냈기에 축구화는커녕 맨발로 넝마인 공을 차며 어릴 적부터 축구를 해 왔다고.
    우리 집은 빈민가 한가운데에 있었다. 낡은 소파가 침대였고 집에서 20야드 떨어진 곳에는 마약상들이 우글거렸다. 주말 경기를 관람할 때도, 집 안에 있을 때도 대마초 냄새가 진동했다. 배가 고플 때면 부모님과 함께 쓰는 비좁은 침대에 옆으로 누워 잠을 청해야 했다. 등굣길을 가로막고 있던 시체를 뛰어넘어 학교로 가는 발걸음을 재촉한 일도 있었다. 이 가난한 동네 꼬마들은 어떻게든 와이파이 신호가 잡히면 유튜브를 통해 브라질 축구의 레전드들이 남긴 기술을 보고 배우기 바빴다. 이들이 이렇게 익힌 기술을 선보이는 무대는 아이와 어른이 함께 어울려 뛰는 아스팔트 리그뿐이었다.

    축구화를 살 돈이 없어 맨발로 피를 흘리며 아스팔트 위에서 공을 찼다. 마약상이 앞길을 막아서면 호나우지뉴처럼 플립플랩으로 제쳤고, 네이마르 주니오르처럼 레인보우킥으로 공을 띄워 버스 기사의 밀착 마크에서 벗어났다. 호나우두처럼 절도범의 다리 사이로 공을 빼낸 뒤 돌파하기도 했다. 공이 발 앞에 있으면 아무것도 두려울 게 없었다.#
  • 2024년에 들어서 안토니를 숭배하는 밈이 유행하고 있다. 주로 Mr. AURA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메호대전 사이에 안토니를 합성한다거나,[25] 호마리우, 호나우두, 호나우지뉴 등으로 브라질의 전성기를 그리워하는 영상에 안토니가 등장한다거나, 30 games in 30 matches, 90 minutes in 1 game, 7 celebrations in 1 goal, More goals in the EPL than Messi[26] 같은 식으로 돌려 깐다. 제일 많이 나오는 농담으로 'Antony has never lost a game that he won'인데 뜻이 '안토니는 자신이 이긴 경기는 한 번도 진 적이 없다'이며 당연한 사실을 엄청 대단한 사실마냥 돌려 까는 이 농담은 해외에서 이미 많이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첼시의 레전드 먹튀중 한명인 무드리크도 자주 사용되는데, 2008 호날두 사진에 안토니를 합성, 2012 메시 사진에 무드리크를 합성해서 2008 안토니, 2012 무드리크 등으로 사용하는 식. 한술 더 떠서 2012 니콜라 잭슨[27] ,2014 히샬리송[28], 1956 엔드릭[29] 등의 바리에이션도 있다. 레알 베티스로 가자마자 갑자기 떡상한 폼을 보여주자 진짜 GOAT였다며 밈이 현실이 됐다는 반응이 쏟아져 나왔다. 라리가 공식채널 역시 밈에 대해 알고 있는지 유튜브에서 레알 베티스 경기는 안토니의 사진을 썸네일로 쓴다. 또한 안토니의 임대 후 레알 베티스 경기 영상이 많게는 수백만 조회수를 기록할 정도로 엄청난 스타성을 자랑한다.[30]

8. 같이 보기

파일:레알 베티스 발롬피에 로고.svg
레알 베티스 발롬피에 2025-26 시즌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레알 베티스 발롬피에 2025-26 시즌 1군 스쿼드
등번호 국적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생년월일 신체 비고
1 파일:스페인 국기.svg GK 알바로 바예스 Álvaro Valles 1997.07.25 ([age(1997-07-25)]세) 191cm, 82kg
2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엑토르 베예린 Héctor Bellerín 1995.03.19 ([age(1995-03-19)]세) 178cm, 74kg
3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디에고 요렌테 Diego Llorente 1993.08.16 ([age(1993-08-16)]세) 186cm, 74kg
4 파일:브라질 국기.svg DF 나탕 Natan Souza 2001.02.06 ([age(2001-02-06)]세) 188cm, 92kg
5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마르크 바르트라 Marc Bartra 1991.01.15 ([age(1991-01-15)]세) 184cm, 70kg
6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세르지 알티미라 Sergi Altimira 2001.08.25 ([age(2001-08-25)]세) 188cm, 70kg
7 파일:브라질 국기.svg FW 안토니 Antony 2000.02.24 ([age(2000-02-24)]세) 174cm, 63kg
8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파블로 포르날스 Pablo Fornals 1996.02.22 ([age(1996-02-22)]세) 178cm, 67kg
9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FW 에세키엘 아빌라 Chimy Avila 1994.02.06 ([age(1994-02-06)]세) 173cm, 81kg
10 파일:모로코 국기.svg FW 압데 에잘줄리 Abdessamad Ezzalzouli 2001.12.17 ([age(2001-12-17)]세) 177cm, 72kg
11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FW 세드릭 바캄부 Cedric Bakambu 1991.04.11 ([age(1991-04-11)]세) 183cm, 73kg
12 파일:스위스 국기.svg DF 리카르도 로드리게스 Ricardo Rodriguez 1992.08.25 ([age(1992-08-25)]세) 182cm, 77kg
13 파일:스페인 국기.svg GK 아드리안 산미겔 Adrián San Miguel 1987.01.03 ([age(1987-01-03)]세) 190cm, 80kg
14 파일:모로코 국기.svg MF 소피앙 암라바트 Sofyan Amrabat 1996.08.21 ([age(1996-08-21)]세) cm, kg [1]
16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DF 발렌틴 고메스 Valentín Gómez 2003.06.26 ([age(2003-06-26)]세) cm, kg
17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로드리고 리켈메 Rodrigo Riquelme 2000.04.02 ([age(2000-04-02)]세) 173cm, 66kg
18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MF 넬손 데오사 Nelson Deossa 2000.02.06 ([age(2000-02-06)]세) 178cm, 72kg
19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FW 쿠초 에르난데스 Cucho Hernández 1999.04.20 ([age(1999-04-20)]세) 176cm, 66kg
2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MF 지오바니 로셀소 Giovani Lo Celso 1996.04.09 ([age(1996-04-09)]세) 177cm, 71kg
21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마르크 로카 Marc Roca 1996.11.26 ([age(1996-11-26)]세) 184cm, 74kg
22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이스코 Isco 1992.04.21 ([age(1992-04-21)]세) 175cm, 79kg
2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DF 주니오르 피르포 Junior Firpo 1996.08.22 ([age(1996-08-22)]세) 184cm, 78kg
24 파일:스페인 국기.svg FW 아이토르 루이발 Aitor Ruibal 1996.03.22 ([age(1996-03-22)]세) 180cm, 75kg
25 파일:스페인 국기.svg GK 파우 로페스 Pau Lopez 1994.12.13 ([age(1994-12-13)]세) 189cm, 82kg
<colbgcolor=#008835> 구단 정보
회장: 앙헬 아로 / 감독: 마누엘 펠레그리니 / 홈구장: 에스타디오 베니토 비야마린
출처: 공식 웹사이트,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9월 5일

[1] 페네르바흐체 SK에서 임대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72A,#FFF72A> 파일: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2019).svg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753A,#00753A> 포지션 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colbgcolor=#0B090C><colcolor=#fff> GK 12 벤투
Bento
1999년 6월 10일 ([age(1999-06-10)]세) 4 0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 알 나스르 FC
23 존 빅토르
John Victor
1996년 2월 13일 ([age(1996-02-17)]세) 0 0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노팅엄 포레스트 FC
1 우구 소자
Hugo Souza
1999년 1월 31일 ([age(1999-01-31)]세) 0 0 [[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svg
]] SC 코린치안스
DF 16 카이우 엔히키
Caio Henrique
1997년 7월 31일 ([age(1997-07-31)]세) 2 0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 AS 모나코 FC
24 카를루스 아우구스투
Carlos Augusto
2002년 7월 4일 ([age(2002-07-04)]세) 2 0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6 도글라스 산투스
Douglas Santos
1994년 3월 22일 ([age(1994-03-22)]세) 2 0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4 에데르 밀리탕
Éder Militão
1998년 1월 18일 ([age(1998-01-18)]세) 35 2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 레알 마드리드 CF
14 파브리시우 브루누
Fabricio Bruno
1996년 2월 12일 ([age(1996-02-12)]세) 3 0 [[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svg
]] 크루제이루 EC
3 가브리에우 마갈량이스
Gabriel Magalhães
1997년 12월 19일 ([age(1997-12-19)]세) 15 1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아스날 FC
15 루카스 베랄두
Lucas Beraldo
2003년 11월 24일 ([age(2003-11-24)]세) 4 0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 파리 생제르맹 FC
2 비티뉴
Vitinho
1999년 7월 23일 ([age(1999-07-23)]세) 1 0 [[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svg
]] 보타포구 FR
- 웨슬리
Wesley
2003년 9월 6일 ([age(2003-09-06)]세) 3 0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AS 로마
MF 18 안드레
André
2001년 7월 16일 ([age(2001-07-16)]세) 12 0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8 브루누 기마랑이스
Bruno Guimarães
1997년 11월 16일 ([age(1997-11-16)]세) 37 2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5 카세미루
Casemiro
1992년 2월 23일 ([age(1992-02-23)]세) 78 7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25 주앙 고메스
João Gomes
2001년 2월 12일 ([age(2001-02-12)]세) 10 0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17 조엘린통
Joelinton
1996년 8월 14일 ([age(1996-08-14)]세) 7 1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11 루카스 파케타
Lucas Paquetá
1997년 8월 27일 ([age(1997-08-27)]세) 57 12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FW 20 이스테방 윌리앙
Estêvão Willian
2007년 4월 24일 ([age(2007-04-24)]세) 7 1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첼시 FC
22 가브리엘 마르티넬리
Gabriel Martinelli
2001년 6월 18일 ([age(2001-06-18)]세) 19 2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아스날 FC
26 이고르 제주스
Igor Jesus
2001년 2월 25일 ([age(2001-02-25)]세) 4 1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노팅엄 포레스트 FC
19 루이스 엔히키
Luiz Henrique
2001년 1월 2일 ([age(2001-01-02)]세) 8 2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21 마테우스 쿠냐
Matheus Cunha
1999년 5월 27일 ([age(1999-05-27)]세) 15 1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9 히샬리송
Richarlison
1997년 5월 10일 ([age(1997-05-10)]세) 52 20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토트넘 홋스퍼 FC
10 호드리구
Rodrygo
2001년 1월 9일 ([age(2001-01-09)]세) 33 7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 레알 마드리드 CF
7 비니시우스 주니오르
Vinícius Júnior
2000년 7월 12일 ([age(2000-07-12)]세) 41 7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 레알 마드리드 CF
일정 친선 경기 2025년 10월 10일(금) 원정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2025년 10월 14일(화) 원정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일본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10월 10일
}}}}}}}}} ||
안토니의 기타 정보
{{{#!folding ▼ 연도별 전 세계 축구 이적료 1위
2021
잭 그릴리쉬
(1억 1700만 €)
2022
안토니
(9500만 €)
2023
데클란 라이스
(1억 1160만€)
}}} ||
1 A. 베케르 · 2 다닐루 · 3 T. 시우바 · 4 마르퀴뇨스 · 5 카세미루 · 6 알렉스 산드루 · 7 L. 파케타 · 8 프레드 · 9 히샬리송
10 네이마르 JR · 11 하피냐 · 12 웨베르통 · 13 다니 아우베스 · 14 E. 밀리탕 · 15 파비뉴 · 16 알렉스 텔리스 · 17 브루누 G.
18 G. 제주스 · 19 안토니 · 20 비니 JR · 21 호드리구 · 22 E. 히베이루 · 23 에데르송 · 24 브레메르 · 25 페드루 · 26 마르티넬리
파일:브라질 국기.svg 치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4bbe; font-size: 0.8em;" 파일:브라질 국기.svg 클라우지우 타파레우

[1] /ɐ̃ˈto.ni/[2] 외국 인명의 관사는 뒷말과 붙여서 표기하는 것이 한국어의 원칙이다.[3] 2020 도쿄 올림픽 당시 윙백으로 뛰었던적이 있다. 이후 윙백으로 뛰지 않다가 최근 2023-24 시즌 폼이 최악으로 치닫으면서 벤치로 밀려난 후부터 가끔 왼쪽 윙백 자리에 땜빵으로 나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맨유에 새로 부임한 후벵 아모링 감독의 첫 훈련에서도 오른쪽 윙백 자리에서 뛰었고 이후 아모링 체제에서 출전할때마다 오른쪽 윙백을 맡으면서 나쁘지 않은 활약을 하고 있다.[4] 브라질 청소년 국가대표팀 당시 등번호[5] 2020 도쿄 올림픽 당시 등번호[6]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당시 등번호[7] 18-19 시즌[8] 19-20 시즌[9] 1군 콜업 당시 등번호[10] 21-22시즌, 22-23시즌[11] 20-21시즌[12] 따라서 라이트백의 공격 능력에 따라 경기력이 좌우되는 경우가 있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서도 시즌 전반기 공격적으로 뛰어난 모습을 보인 디오구 달로트와 뛰어난 합을 보이곤 했다. 그러나, 중후반기에 비교적 공격 능력이 좋지 않은 아론 완비사카 혹은 폼이 떨어진 달로트와 합을 맞출 때면 다소 좋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곤 한다.[13] 애초에 패스 앤 무브와 팀 단위의 압박 및 수비를 중시하는 텐 하흐 체제의 아약스 시스템에 잘 녹아들었던 선수인 만큼, 이러한 부분은 놀랍지 않다는 평이 대다수다. 요한 크루이프의 축구 철학을 모티브로 하고 있는 아약스에서는 이러한 공격수의 수비가담을 필수 요소로 여기고 있고, 안토니도 아약스 생활을 하면서 이러한 요소들을 직간접적으로 익혔을 가능성이 높다.[14] 하지만 베티스에 와서는 오른발로 기록한 공격포인트가 제법 늘었다.[15] 이게 절정이었을 때는 수비수 한명이 오른쪽은 아예 내주고 가만히 서있다시피 하는데도 볼터치를 이십여번하는 동안 오히려 뒤로 몇미터를 물러나기까지 했을 정도였다. 혼자서 거의 1분여를 날려먹는 것은 덤.[16] 안토니는 파벨라에서 자란 것으로 알려져 있다.[17] 가브리에우 제주스의 아스널 이적을 가장 먼저 맞추는 등 브라질 관련으로는 공신력 1타로 유명한 언론사이다.[18] 공식 성명문에 따르면 아직 조사가 필요하기에 하차시킨 것으로 보인다.[19] 프로 스포츠에서 선수가 범죄 혐의로 수사를 받거나 기소를 당하는 경우 구단의 평판이 떨어지며 손해를 입는 것을 넘어, 선수를 기용조차 하지 못하게 되어 엄청난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구단의 경영진은 선수 영입시에 선수의 특성과 능력을 평가하는 것을 넘어 선수의 가정사나 범죄 이력 등 선수의 뒷배경에 대해서도 기본적으로 조사할 의무가 있다. 특히 미디어와 SNS의 발달로 선수의 돌출 행동이 일으키는 파급 효과가 갈수록 커지고 있기에, 근래 스포츠 구단들은 선수 영입에 앞서 선수의 성격이나 일반적인 평판에 대해서도 조사를 거치고, 영입을 결정하는 데에 있어서도 성격과 평판이 결코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한다고 한다.[20] 구단 입장에선 선수 1명 영입하는 거지만, 다른 회사와 비교하면 수 천억 원의 규모의 자산 매입을 결정하는 것이다. 만일 이 과정에서 경영진이 실사를 태만히 한 결과 회사가 손해를 입는다면 상법상 대표이사를 비롯한 경영진이 손해를 배상할 책임을 지게 되고, 주주총회에서 해임될 수도 있다. 특히 NYSE에 상장된 맨유의 경우 경영진의 의무위반이 주주에게 끼치는 영향은 막대하다. 물론 현실적으론 글레이저 가문이 맨유의 지분의 절대다수를 차지하며 차등의결권을 통해 의결권도 독점하고 있기에 현재의 경영진이 쫓겨나거나 법적 책임을 물을 가능성은 0에 가깝다.[21] 파일:안토니 셀레브레이션 1.jpg[22] 호나우지뉴가 작은 호나우두라는 데서 짐작할 수 있듯이, 인페르노(Inferno)에 -inho가 붙어 작은 지옥이라는 뜻이다.[23] 에레디비시에서 가장 유명하고 상징적인 더비인 데다가 각각 공격수와 수비수라는 포지션상 신경전이 있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대부분의 선수들이 큰 마찰이 아닌 이상, 경기장에서 일어났던 일은 경기장에서 풀고 밖에서는 잘 지내므로 맨유에서 팀 동료로 뛰게 된 둘의 관계는 걱정할 필요가 없다.[24] 파일:sonic doll antony.jpg[25] 이때 달리는 댓글들은 보통 "왜 GOAT 안토니 사이에 호날두, 메시같은 쩌리들을 끼워파냐" 라는 식의 댓글들이 달린다.(...)[26] 누구나 아는 사실이지만 메시는 EPL에서 뛴 적이 없다.[27] 잭슨은 주로 첼시의 레전드 스트라이커 디디에 드록바와 합성된다.[28] 히샬리송은 주로 브라질 국가대표팀 선배 네이마르 주니오르와 합성된다.[29] 인터뷰에서 자신의 우상이 바비 찰튼이라고 밝힌 뒤로 엔드릭을 옛날 세대 축구선수로 합성하는 등의 밈이있다.[30] 이 중 베티스의 승리로 끝난 레알 마드리드전은 한 달만에 무려 천 만 조회수를 기록했다. 역시나 이 경기의 썸네일은 안토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