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min-height: 3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목조 | 효공왕후 | 익조 | 정숙왕후 |
덕릉德陵 | 안릉安陵 | 지릉智陵 | 숙릉淑陵 | |
도조 | 경순왕후 | 환조 | 의혜왕후 | |
의릉義陵 | 순릉純陵 | 정릉定陵 | 화릉和陵 | |
태조 | 신의왕후 | 신덕왕후 | 정종, 정안왕후 | |
건원릉健元陵 | 제릉齊陵 | 정릉貞陵 | 후릉厚陵 | |
태종, 원경왕후 | 세종, 소헌왕후 | 문종, 현덕왕후 | 단종 | |
헌릉獻陵 | 영릉英陵 | 현릉顯陵 | 장릉莊陵 | |
정순왕후 | 세조, 정희왕후 | 덕종, 소혜왕후 | 예종, 안순왕후 | |
사릉思陵 | 광릉光陵 | 경릉敬陵 | 창릉昌陵 | |
장순왕후 | 성종, 정현왕후 | 공혜왕후 | 제헌왕후 | |
공릉恭陵 | 선릉宣陵 | 순릉順陵 | | |
연산군, 거창군부인 | 중종 | 단경왕후 | 장경왕후 | |
연산군묘燕山君墓 | 정릉靖陵 | 온릉溫陵 | 희릉禧陵 | |
문정왕후 | 인종, 인성왕후 | 명종, 인순왕후 | 선조, 의인왕후, 인목왕후 | |
태릉泰陵 | 효릉孝陵 | 강릉康陵 | 목릉穆陵 | |
공성왕후 | 광해군, 문성군부인 | 원종, 인헌왕후 | 인조, 인열왕후 | |
| 광해군묘光海君墓 | 장릉章陵 | 장릉長陵 | |
경기 [[남양주시|{{{#bf1400 | ||||
효종, 인선왕후 | 현종, 명성왕후 | 장렬왕후 | 숙종, 인현왕후, 인경왕후 | |
영릉寧陵 | 숭릉崇陵 | 휘릉徽陵 | 명릉明陵 | |
인경왕후 | 옥산부대빈 | 경종, 선의왕후 | 단의왕후 | |
익릉翼陵 | 대빈묘大嬪墓 | 의릉懿陵 | 혜릉惠陵 | |
영조, 정순왕후 | 정성왕후 | 진종, 효순왕후 | 장조, 헌경왕후 | |
원릉元陵 | 홍릉弘陵 | 영릉永陵 | 융릉隆陵 | |
정조, 효의왕후 | 순조, 순원왕후 | 문조, 신정왕후 | 헌종, 효현왕후, 효정왕후 | |
건릉健陵 | 인릉仁陵 | 수릉綏陵 | 경릉景陵 | |
철종, 철인왕후 | 고종, 명성황후 | 순종, 순명효황후, 순정효황후 | ||
예릉睿陵 | 홍릉洪陵 | 유릉裕陵 | ||
폐지된 능호 | ||||
소릉昭陵 | 회릉懷陵 | 숙릉肅陵 | 성릉成陵 | 문릉文陵 | ||||
1. 개요
昌陵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동산동 서오릉 경내에 위치한 조선 8대 임금인 예종과 계비 안순왕후 한씨가 안장되어 있는 왕릉이다. 예종은 20세의 젊은 나이로 승하(昇遐)[1]하였는데, 왕좌에 등극했을 때도 건강이 매우 안 좋았던 것으로 기록되었다.
2. 상세
북한산에서 발원하여 이 능 일대를 거쳐 한강으로 흘러나가는 하천인 '창릉천'과 해당 지역 일대의 행정동인 창릉동, 그리고 해당 지역에 조성될 예정인 신도시인 창릉신도시도 이 능의 이름에서 따왔다.창릉으로 가는 보통의 관람로는 홍릉에서 이어지는 길이다. 금천교를 지나 홍살문으로 이어지는 정석적인 길인데, 이 구간은 2000년대 초반까지는 서오릉과 붙어 있는 제60보병사단의 경계 안쪽에 속하면서 일반인의 통행이 제한되었다가 노무현 정권 시기에 현재의 경계로 조정되어 관람이 가능하게 되었다.
문제는 이 부대가 그간 문화재를 함부로 훼손하고 장난을 쳤다는 점이다. 창릉 금천교는 비호교라고 한글 이름이 써있는데 여기서 비호가 해당 부대의 과거 명칭이다.(현재는 권율부대로 개칭) 이 부대는 서오릉에서 내려오는 물줄기를 막아다 인공연못을 만들어 부대원 휴식장소로 개발하기도 했고 창릉에서 내려오는 물줄기 옆으로 수영장과 방갈로를 만들어서 계절마다 써먹고 면회객들에게 숙식장소로 제공하기도 했다고 한다.
이 부대와 문화재청의 경계 문제는 현재진행형이며, 서오릉이 전체적으로 그런 편이지만 비호교에서 창릉까지의 길에서는 절대 엉뚱한 길로 새지 말자. 저 부대에서는 각도에 따라 창릉, 홍릉의 경역이 훤히 보일 정도이며 창릉 주변의 탐방객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대화도 가능할만큼 지척에 막사가 있다. 창릉 북쪽(일반인은 탐방이 제한된다)의 조림지대는 서오릉에선 가기 곤란하지만 오히려 군부대에서는 길도 나있을 만큼(...) 서오릉은 여러모로 군 관계 시설의 영향을 받고 있다. 이는 숙종과 계비인 인현왕후 민씨, 인원왕후 김씨가 안장되어 있는 명릉 관람에서 이어진다.
[1] 임금이 세상을 떠났음을 지칭하는 왕실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