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0-31 16:36:42

단의왕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목조 익조 도조 환조
효공왕후 정숙왕후 경순왕후 의혜왕후
태조 문종 덕종 예종
신의왕후 현덕왕후 소혜왕후 장순왕후
선조 원종 경종 진종
공성왕후 인헌왕후 단의왕후 효순왕후
장조 문조 순종 존령비
헌경왕후 신정왕후 순명효황후 시조비 · 선조비
}}}}}}}}}

단의왕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colbgcolor=#1b0e64>
{{{#!wiki style="padding:5px 0;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0d0730,#1b0e64 20%,#1b0e64 80%,#0d0730);margin:-5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이방석 (의안대군) 이방과 (정종)
현빈 유씨
현빈 심씨
덕빈 김씨
(정안왕후)
이방원 (태종) 이제 (양녕대군) 이도 (세종)
정빈 민씨
(원경왕후)
숙빈 김씨
(수성부부인 김씨)
경빈 심씨
(소헌왕후)
이향 (문종)
휘빈 김씨
순빈 봉씨
현덕빈 권씨
(현덕왕후)
이장 (덕종) 이황 (예종) 이융 (연산군)
수빈 한씨
(소혜왕후)
장순빈 한씨
(장순왕후)
빈궁 신씨
(거창군부인)
이호 (인종) 이부 (순회세자) 이혼 (광해군)
빈궁 박씨
(인성왕후)
덕빈 윤씨
(공회빈)
빈궁 유씨
(문성군부인)
이지 이왕 (소현세자) 이호 (효종)
빈궁 박씨
민회빈 강씨 빈궁 장씨
(인선왕후)
이연 (현종) 이순 (숙종) 이윤 (경종)
빈궁 김씨
(명성왕후)
빈궁 김씨
(인경왕후)
단의빈 심씨
(단의왕후)
이윤 (경종) 이금 (영조) 이행 (진종)
빈궁 어씨
(선의왕후)
왕세제빈

빈궁 서씨
(정성왕후)
현빈 조씨
(효순왕후)
이선 (장조) 이산 (정조) 이영 (문조)
혜빈 홍씨
(혜경궁 홍씨)
왕세손빈

빈궁 김씨
(효의왕후)
빈궁 조씨
(신정왕후)
이척 (순종)
순명비 민씨
(순명효황후)
비궁 윤씨
(순정효황후)
}}}}}}}}}


<colbgcolor=#bf1400><colcolor=#ffd400>
조선 경종의 정비
단의왕후 | 端懿王后
조선 세자 이윤의 세자빈
단의빈 심씨 | 端懿嬪 沈氏
파일:혜릉.jpg
혜릉 전경
출생 1686년 7월 1일(음력 5월 21일)
조선 한성부 회현동 우사
(現 서울특별시 중구 회현동)
사망 1718년 2월 25일(음력 2월 7일)
(향년 33세)
조선 한성부 창덕궁 장춘헌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능묘 혜릉(惠陵)
재위기간 조선 왕세자빈
1696년 6월 9일 ~ 1718년 2월 25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bf1400><colcolor=#ffd400> 본관 청송 심씨
부모 부친 청은부원군 심호
(靑恩府院君 沈浩, 1668 ~ 1704)
모친 영원부부인 고령 박씨
(靈原府夫人 高靈 朴氏, 1668 ~ 1735)
형제자매
2남 2녀 중 장녀 [ 펼치기 · 접기 ]
여동생 - 송징계(宋徵啓)의 처
남동생 - 심유현(沈維賢, ? ~ 1728)
남동생 - 심준현(沈駿賢)
배우자 경종
자녀 없음
전호 영휘전(永徽殿)
휘호 공효정목(恭孝定穆)
시호 온의빈(溫懿嬪)
→ 단의빈(端懿嬪)
단의왕후(端懿王后)
}}}}}}}}}
1. 생애2. 미디어3. 여담

[clearfix]

1. 생애

세종대왕의 국구[1]심온의 12대손이고, 명종의 국구인 심강의 7대손이며, 동서 분당의 원인을 제공한 심충겸의 6대손이다. 인조 시기에 영의정을 지낸 심열의 5대손이며, 숙종 시기에 전라도 관찰사를 지낸 심권의 증손녀이다. 금부도사로 영의정에 추증된 심봉서의 손녀이며, 첨정으로 후일 우의정, 영의정 등으로 추증된 청은부원군(靑恩府院君) 심호(沈浩)의 딸이다. 세자빈으로 책봉될 당시 증조부 심권(沈權 : 당시 종4품 부응교)이 생존한 상태[2]로 심권은 서인 핵심 인물 중 한 명이다. 1696년에 11살의 나이로 세자빈에 간택되어 경종과 가례를 올렸다.

흔히 병약한 왕세자를 곁에서 극진히 모시다가 급환을 얻어 사망한 것으로 묘사되지만, 숙종실록의 기록을 확인하면 오히려 왕세자는 건강한 편이었고 병약한 쪽은 세자빈 심씨였다. 숙환으로 풍질(風疾)[3]을 앓았고, 1701년 9월에는 말이 횡설수설하는 증상이 있어 내의원에서 약을 의논하였다. 앞서 8월에는 병으로 인현왕후의 상사에 예를 갖추지 못했다. 가례 당시에도 극심한 복통을 일으켜 식을 전부 취소해야 한다는 언급이 있었을 만큼 심각한 소동이 있었다.

경종 즉위 2년 전인 1718년 3월 8일(음력 2월 7일)(숙종 44년), 갑자기 쓰러져 죽었다. 실록의 사망 기사를 보면 사망하던 날 유시(대략 오후 5시 ~ 저녁 7시 사이)에 쓰러졌고, 2경 1점(대략 밤 9시 반 무렵)이 되어 숨을 거두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실록에서도 그녀의 죽음에 대해 '갑자기 졸(猝)'이라는 표현이나, '뜻하지 않은 상사'라는 표현이 나오는데, 상술되었듯 원래부터 병약한 체질에 앓던 병들로 인해 요절한 것으로 보인다. 왕세자인 경종이 손수 지문을 지었고, 숙종은 며느리의 죽음을 비통해하며 단의(端懿)의 시호를 추서해 단의빈이라 불리게 된다. 처음에 정한 시호는 온의(溫懿)였으나 세자빈의 12대조 심온의 이름을 범한다고 해서 단의로 바꾸었다. 같은 해 어유구의 딸이 14세(만 12세)의 나이로 세자빈에 간택되어 왕세자와 가례를 올렸다.

1720년, 경종이 즉위하자 혜릉(惠陵)[4]에의 능호와 영휘(永徽)의 전호를 받고 단의왕후로 추봉되었다. 후일 영조가 단의왕후에게 공효정목(恭孝定穆)의 휘호를 올렸다. 경종이 급서한 후 단의왕후의 동생 심유현은 경종이 노론 환관들에 의해 유폐당한 뒤 독살되었다고 주장하며 이인좌의 난에 동참하였고 그로 인해 심씨 가문은 몰락하였다.[5] [6]

2. 미디어

  • KBS장희빈》 - 배우는 박지미. 세자 경종과 혼인한 10대의 세자빈으로 등장한다. 경종의 친어머니 장희빈이 중전 자리에서 후궁 자리로 밀려난 상태인데다가, 경종은 성격이 불같은 친어머니보다 성격이 온화한 인현왕후를 더 따르다보니, 처신하기가 곤란하다. 그래도 경종보다 2살 많은 세자빈은 최대한 조심하며 두 시어머니 모두에게 맞춰주려 애쓴다. 그런데 어린 남편이 분위기 파악 못하고 장희빈 앞에서 인현왕후를 좋게 말해서, 장희빈이 이에 빡쳐서 아들 뿐 아니라 며느리에게까지 화를 내는 등 마음고생을 한다. 눈치없는 남편

3. 여담

상기 심권의 주석에서도 잠깐 이야기되었지만 심봉서의 생부에 대한 이야기거리가 있다.

심봉서의 생부 즉 심권의 형은 심추라는 인물인데 심추의 부인은 조형이라는 인물의 딸이다. 조형에게 형이 있으니 조민이라는 인물이다.
이 조민의 증손자가 바로 영조의 첫째며느리였던 효장세자빈 현빈조씨의 아버지 조문명이다.

즉 심봉서의 생가 쪽으로 족보를 계산하면 단의왕후 심씨와 현빈 조씨와는 법적으로는 시조카(효장세자)의 부인이니 질부에 가깝고, 친정으로 따지면 외가쪽 10촌 항렬이다. 8촌이 넘어가니 남이나 다름없다지만 시댁과 친가 모두 친척관계를 형성한다는 것에 의의를 둘만하다.


[1] 왕의 장인[2] 다만 단의왕후의 직계 증조부는 아니다. 심권이 아들이 없어 9살 아래의 조카(심권의 큰형의 차남)을 양자로 들였는데, 바로 그 양자가 단의왕후의 조부 심봉서이다. 이러한 이유때문인지 심권과 단의왕후는 족보상 증조부-증손녀 관계이나 나이차이는 43세에 불과하다.[3] 중풍 등의 신경 질환. 현대의 뇌졸중과 유사하다고 보면 된다.[4] 동구릉안에 있는 혜릉이고 지아비인 경종과 계비 선의왕후는 서울 의릉(懿陵)에 동원상하릉 형식으로 묻혀있다.[5] 청송심씨 전부가 몰락한것이 아니라, 단의왕후의 근친들이 몰락하였다. 청송심씨는 세도정치기까지 조선의 벌열가문으로 존재하였다[6] 시발점은 군졸 이천해가 어가를 가로 막고 영조 앞에서 경종이 독살당했다고 운운한 것이였다. 이천해를 무자비하게 고문한 끝에 이천해의 독살 소스가 심유현의 입에서 나왔다고 밝혀졌고, 심유현은 이 일로 곤욕을 치르었다. 다행히 심유현은 외척이여서 처벌을 받지 않고 관직도 제수받았지만, 끝내 영조에게 대항해 이인좌의 난에 참여했다가 실패해 주살된다. 그나마 집안이 좋아 심유현만 처리되는 선에서 끝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