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2 15:37:03

움베르토 노빌레


United States Congressional Gold Medal
미합중국 의회 명예 황금 훈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776년 1777년 1779년 1781년
조지 워싱턴 소장 호레이쇼 게이츠 소장 앤서니 웨인 사령관 헨리 리 3세 준장 대니얼 모건
1781년 1787년 1800년 1805년 1813년
소장 너새니얼 그린 존 폴 존스 대령 토머스 트럭스턴 준장 에드워드 프레블 대령 아이작 헐
대령 스티븐 디케이터
대령 제이콥 존스
1813년 1814년
대령 윌리엄 베인브리지 대령 올리버 해저드 페리
대령 제시 엘리엇
대위 윌리엄 워드 버로스 2세
대위 에드워드 매콜
대령 제임스 로렌스 대령 토머스 맥도너
대령 로버트 헨리
대위 스티븐 카신
1814년 1814년, 1848년 1814년
대령 루이스 워링턴 대령 존스턴 블레이클리 소장 제이콥 브라운 소장 윈필드 스콧 소장 피터 부엘 포터
준장 엘리저 윌락 리플리
대령 제임스 밀러
1814년 1815년 1816년
소장 에드먼드 P. 게인스 소장 알렉산더 마콤 소장 앤드루 잭슨 대령 찰스 스튜어트 대령 제임스 비들
1818년 1835년 1846년, 1847년, 1848년 1847년 1854년
소장 윌리엄 해리슨
주지사 아이작 셸비
대령 조지 크로간 소장 재커리 테일러 소머스 호
장교 및 승무원 구출
중령 덩컨 잉그함
1858년 1863년 1864년 1866년 1867년
프레더릭 로즈 소장 율리시스 S. 그랜트 코닐리어스 밴더빌트 로버트 크레이튼
에드윈 J. 로
조지 C. 스투퍼
사이러스 웨스트 필드
1867년 1871년 1873년 1874년, 1904년 1883년
조지 피바디 조지 F. 로빈슨 대령 재러드 크랜달 그 외 존 혼 주니어 존 폭스 슬레이터
1888년 1890년 1900년 1902년 1909년
조셉 프랜시스 수석 엔지니어 조지 W. 멜빌 그 외 중위 프랭크 H. 뉴컴 중위 데이비드 H. 자비스
소위 엘스워스 P. 버트홀프
새뮤얼 J. 콜 박사
라이트 형제
1912년 1914년 1915년 1928년
선장 아서 로스트론 폴 H. 크라이봄 그 외 로물로 세바스티안 나온
에두아르도 수아레스 무히카
찰스 린드버그 로알 아문센
움베르토 노빌레
1928년 1929년 1930년 1936년
토머스 에디슨 최초로 성공한 대서양 횡단 비행사 소령 월터 리드 준장 리처드 에벌린 버드 링컨 엘즈워스
1936년 1938년 1939년 1940년
조지 M. 코핸 리처드 올드 리치 부인
안나 불리니
하워드 휴즈 목사 프랜시스 퀸 윌리엄 시넛
1942년 1945년 1946년
롤런드 바우처 1939~1941년 미국 남극 탐험대 육군 원수 조지 C. 마셜
해군 원수 어니스트 킹
육군 원수 존 조지프 퍼싱 준장 빌리 미첼
1949년 1954년 1955년 1956년 1958년
앨번 W. 바클리 어빙 벌린 조너스 소크 박사 남북전쟁의 참전 용사 준장 하이먼 리코버
1959년 1960년 1961년 1962년
로버트 고다드 로버트 프로스트 토머스 앤서니 둘리 3세 밥 호프 샘 레이번
1962년 1968년 1969년 1973년 1977년
육군 원수 더글러스 맥아더 월트 디즈니 윈스턴 처칠 로베르토 클레멘테 매리언 앤더슨
1978년 1979년
중장 아이라 이커 로버트 F. 케네디 존 웨인 벤 아브러조
맥시 앤더슨
래리 뉴먼
휴버트 험프리
1979년 1980년 1982년
미국 적십자 케네스 테일러 1980 미국 하계 올림픽 팀 베아트릭스 여왕 대장 하이먼 리코버
1982년 1983년
프레드 워링 조 루이스 루이스 라무르 레오 라이언 대니 토머스
1984년 1985년
해리 S. 트루먼 레이디 버드 존슨 엘리 비젤 로이 윌킨스 조지 거슈윈
아이라 거슈윈
1986년 1987년 1988년
네이선 샤란스키
에비탈 샤란스키
해리 차핀 에런 코플런드 메리 래스커 제시 오언스
1988년 1990년 1991년
앤드루 와이어스 로렌스 록펠러 대장 매튜 B. 리지웨이 대장 노먼 슈워츠코프 대장 콜린 파월
1994년 1996년 1997년
랍비 메나헴 멘델 쉬니어슨 루스 그레이엄
빌리 그레이엄
프랭크 시나트라 마더 테레사 바르톨로메오스 1세
1998년 1999년
넬슨 만델라 리틀록 9인 제럴드 포드
베티 포드
로자 파크스 시어도어 헤스버그
2000년
존 오코너 찰스 M. 슐츠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로널드 레이건
낸시 레이건
나바호족 코드 토커
2002년 2003년
대장 휴 셸턴 토니 블레어 재키 로빈슨 도로시 하이트 박사 조셉 디레인
해리 & 일라이자 브릭스
레비 피어슨
2004년 2006년
마틴 루터 킹
코레타 스콧 킹
터스키기 에어맨 달라이 라마 14세 바이런 넬슨 노먼 볼로그 박사
2007년 2008년
마이클 데바키 박사 아웅 산 수 치 콘스탄티노 브루미디 에드워드 윌리엄 브룩 3세 아메리카 원주민 코드 토커
2009년 2010년
여성 공군 군무원 조종사 닐 암스트롱
버즈 올드린
존 글렌
아놀드 파머 무함마드 유누스 제100 보병대대
제442 보병연대 전투단
군사정보국
2011년 2012년 2013년
몬트포드 포인트 해병전우회 9.11 테러 참사 사망자 라울 발렌베리 애디 메이 콜린스
데니스 맥네어
캐럴 로버트슨
신시아 웨슬리
제1 특수임무단
2014년
둘리틀 특공대 멤버 미국의 공군 에이스 제2차 세계 대전
민간 항공 초계 부대 멤버
시몬 페레스 모뉴먼츠 맨
2014년 2015년 2016년
제65 보병연대 잭 니클라우스 셀마 몽고메리 행진 제2차 세계 대전 필리핀인 참전 용사 미국 전략사무국
2017년 2018년
밥 돌 래리 도비 제2차 세계 대전
중국계 미국인 참전 용사
USS 인디애나폴리스 승무원 안와르 사다트
2019년
스티브 글리슨 캐서린 존슨 크리스틴 다든 도로시 본 메리 잭슨
2019년 2020년 2021년
무명의 수여자들 그렉 르몽드 미국 국회의사당 경찰
워싱턴 광역경찰국
제369 보병연대 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에서 전사한 13명의 장병
2022년 2023년
미 육군 제23부대 본부 특수부대
제3133 신호 복무 중대
제6888 중앙우편대대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상선 선원
벤 페렌츠 에밋 틸
메이미 틸모블리
2024년
베트남 전쟁 부상자 후송 부대원 빌리 진 킹 }}}}}}}}}
<colbgcolor=#ddd,#000><colcolor=#000,#ddd> 움베르토 노빌레
Umberto Nobile
파일:노빌레.jpg
출생 1885년 1월 21일
이탈리아 왕국 라우로
사망 1978년 7월 30일 (향년 93세)
이탈리아 로마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직업 조종사, 탐험가, 항공 엔지니어, 정치인

1. 개요2. 생애3. 관련 문서

1. 개요

이탈리아의 군인, 조종사, 탐험가, 항공 엔지니어, 정치인.

2. 생애

처음에는 철도 기사였으나, 군의 의뢰로 비행선 제조에 종사하였다. 노르웨이의 탐험가 로알 아문센과 함께 비행선 노르게호(號)로 북극을 탐험, 1926년 5월에 극점을 통과하여 북극해 횡단에 성공하였다. 하지만 이것과는 별개로 동행했던 아문센과 당시 엄청난 갈등을 빚으며 원수 지간이 되고 말았다. 아문센의 주장에 따르면 노빌레는 이탈리아군 장교인 자신의 신분을 내세우면서 협의를 거부하기 일쑤였고, 이탈리아인, 노르웨이인 하는 식으로 차별을 했다고 한다. 아문센은 이후 1927년에는 우라니엔보르그에 칩거하면서 자서전 "탐험가로서 나의 삶"을 집필했는데, 어찌나 노빌레한테 불만이 많았던지 이 책에서는 자서전 전체의 ⅓ 이상을 노빌레와 있었던 갈등을 언급하는 데 할애하기도 했다.

1928년 5월 비행선 이탈리아호로 두 번째의 북극 탐험을 시도하였으나 극점을 통과한 얼마 뒤에 비행선이 조난되었다. 그를 비롯한 승무원은 구조되었으나, 구원에 나선 아문센이 도리어 사망하였다. 북극 통과 비행은 무난히 마쳤으나, 북위 81도 선상에서 이탈리아호가 추락하여 조난당해버린 것이다.

노빌레의 구조 과정은 당시 파시스트 이탈리아 언론의 정치적인 윤색과 선동 등으로 말이 많았다. 조난과 구조 당시 노빌레의 편지는 철저히 검열되었다. 이탈리아의 언론들은 노빌레를 연일 비난했다. 노빌레는 귀국 이후 불만을 토로했고, 베니토 무솔리니의 심기를 불편하게 하였다. 참사의 책임도 모두 노빌레에게만 일방적으로 전가되어 부하들을 버린 비겁한 자라는 억울한 혐의까지 받아야 했다. 결국 버티다 못한 노빌레는 사임한 후 이탈리아를 떠났다.

1931년부터 소련의 비행선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4년 간 도움을 줬다. 1939년부터는 미국 일리노이주 루이스 대학에서 항공학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에 이탈리아 공군은 전의 사고 관련된 혐의를 모두 무혐의로 인정하고 중장으로 진급시키며 복직시켰고, 그와 함께 겨우 다시 귀국할 수 있었다. 1946년에는 이탈리아 제헌 국회의원이 되어 이탈리아 공화국 헌법 초안 작성에 도움을 줬다. 이후에는 은퇴할 때까지 고향 나폴리 대학교에서 강의하며 책을 써냈다.

노르웨이에서는 전술한 아문센의 자서전 내용에 더불어 아문센의 죽음에 대한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여 노빌레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고, 자국 이탈리아에서도 다소 호불호가 갈리는 편이다.

1978년에 사망했다. 로마 외곽 비냐 디 발레에 있는 이탈리아 공군 박물관에는 노빌레를 기념하는 대규모 상설 전시가 있다.

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