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8 07:01:48

엘리(인터넷 방송인)/플레이한 게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엘리(인터넷 방송인)

1. 개요

카론 유니버스 에스더 소속 엘리가 플레이한 게임을 정리해 놓은 문서.

2. 목록

영어 A~Z / 한글 가나다 순
  • 11F: 공포 게임이라 그런지 쫄때마다 앙탈과 함께 탄식하는 모습일 보여줬다.
  • 8번 출구: 첫 끗발이 개끗발인지 원큐에 한번만 죽고 8번 출구를 나가면 클리어인 상황[1]에서 뒤로 돌아가 다시 클리어해야되는 상황을 만들었다. 이후 수십 번 0번 출구 귀환을 반복한뒤 클리어했다.
  • Angvik: 집중력 저하에도 포기하지 않았고 결국 5성까지 클리어하는데 성공했다.
  • Bad Guys at School: 상상을 초월한 똥겜이라 결국 유기했다.
  • Brain Out: 넌센스 마스터, 두뇌 트레이닝: 모바일 능지 테스트인 줄 알고 플레이했는데 광고가 너무 많고 능지 테스트가 아닌 개드립 테스트여서 유기했다.
  • Creature Romances: Kokonoe Kokoro: 메뚜기 미연시. 슬라임들의 기강을 잡았다.
  • DON'T SCREAM: 처음에는 소리 조절로 애먹었지만 진행할수록 어떻게든 비명을 억눌러 다양한 점프 스케어에도 클리어하는데 성공했다.
  • Fall Guys: 24년 1월 19일 치지직 폴 가이즈 대회 신청을 했고 다주 팀에 들어가게 된것을 알린뒤 연습했다. 대회 예선전 당일 금휘, 이글콥과 함께 5팀에 소속됐다. 셋이서 뛰어난 친화력을 보여주며 말을 놓은뒤 천엽을 연상케하는 스킨으로 깔맞춤하여 분전하였으나 탈락했다.
  • Fear & Hunger: 검열판으로 플레이했다. 다크 판타지스러운 분위기가 좋다면서도 미검열판의 적나라한 묘사에 놀랐다고 한다. 엔딩 E - 탈출을 봤다.
  • Foot Serve: 미녀가 미녀의 발을 마사지 해주는 게임. 제작자의 발에 대한 애정이 드러난다며 노리고 만든 게임이라고 평가했다. 길거리의 미녀들을 찾아다니며 발 마사지를 해주고 스타킹에 대한 고찰을 나눴다.
  • Gartic Phone: 가끔 롤 스킨을 보상으로 슬라임들이 자신이 그린 그림을 맞추게 하는 콘텐츠를 진행한다. 23년 12월 29일 아리사, 카린, 에리스와 합방을 진행했다.
  • Grand Theft Auto V: 살인마가 아닌 여미새의 모습을 보여줬다. 스트립 클럽에 가서 스트리퍼와 밀실에 들어가 방송 화면을 끄고 해피타임을 가졌다.
  • I dont Fall: 페가수스를 타고 올라가는 항아리류 게임. 3일에 걸친 시도끝에 클리어했다. 물레방아를 이용할때 날개짓을 남발하여 여러번 태초에 갔지만 결국 클리어에 성공했다. 수차례의 재도전을 통해 고인물이 된 모습을 보여 웃음을 주었다.
  • Ib: 각종 갑툭튀에 놀라는 모습을 보여줬다. ED3: 한구석의 기억을 봤다.
  • Jump King: I dont Fall 틀리어후 항아리류 뽕을 맞아 플레이했지만 4일에 걸친 노력끝에 결국 유기했다.
  • KinitoPET: 버튜버의 캠을 까버리는 암살 게임. 스트리머 모드로 진행했고 자신은 캠방이라면서 자신만만했지만 캠이 켜지지 않을까 걱정했다.
  • Lethal Company: 에스더 멤버들과의 합방 게임. 플레이할 때마다 각종 명장면을 만들어낸다.
  • Only Up!: 에스더 릴레이 온리업 방송의 네 번째 주자였다. 순조롭던 초반과 달리 점점 추락이 많아지기 시작했고 추락 영상 선대 꼴찌였던 카린의 기록을 초월, 새로운 꼴찌가 되었다. 플레이 후 카린의 최종 기록을 파이프 구간으로 착각해 행복회로를 돌리다 붉은 진실을 깨닫고 아리사에게 바통 터치하였다. 결국 마지막 주자인 아리사마저 3위를 기록하며 결국 최종 꼴찌로 공포 게임 벌칙을 확정지었다.
  • Parasocial: 버튜버의 입장에서 공포게임을 진행하였다.
  • PICO PARK: 23년 12월 29일 에리스의 방에서 에리스, 아리사, 카린과 함께 플레이했다.
  • PokéRogue: 포켓몬 상성 관계를 몰라 상성표를 보며 플레이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루기아를 뽑기도 했다.
  • POOLS: 나오지 않는 귀신과 3D 멀미로 유기했다.
  • Project Zomboid: 1화 2화 3화 마지막화 첫 외부 합방 게임. 23년 10월 15일 주루마블 뒷풀이 방송 마무리 후 급히 군장을 싸고 괴물쥐의 쥐보이드 서버에 노예로 참가했다. 엘식이라고 불리며 농사 노예를 담당, 위풍당당한 폐급의 모습을 보이며 엘윤모라는 별명을 얻었다. 마지막 날에 죽지 않고 무사히 탈출에 성공한 후 롤을 킨 뒤 너무 재미있었고 다들 자신에게 잘해주셔서 감사하다며 울컥하였다. 23년 12월 7일 에스더 멤버들과 합방을 하기도 했다.
  • Revenge Of The Colon: 호기심에 대장의 모든 이물질을 제거하지 않았고 샷건 총알을 폭파해 환자를 죽게하는 등 각종 의료사고를 내서 불명예 은퇴 엔딩을 봤다.
  • TELEFORUM: 야간경비 대체 게임. 등장인물마다 각자 다른 목소리로 더빙을 하며 진행했다. 결말 부분에서 게임 특유의 난해한 스토리에 애를 먹으며 클리어했고 스팀 리뷰에 들어가 스토리를 유추했다.
  • The Game of Sisyphus: 13시간 만에 클리어했다. 까불거리던 엘리가 점점 멘헤라가 와서 프리스타일로 노래를 만들어 부르거나 자신과 대화를 나누는 모습이 백미.
  • The Police Mystery: 몸이 작아진 경찰관이 경찰서를 수색하는 게임. 엘슬람들의 눈호강을 시켜줬다.
  • To the Moon: 감동적인 스토리에 울었다. 해피엔딩이 아닌 새드엔딩인 것 같다고 평가했다.
  • 다크 소울 3: 보스전보다 길찾기에 더 고통을 느낀다. 간간히 플레이한다.
  • 당신이 판사입니다: 재판 중에 자신이 쓰고 있던 학사모를 판사에게 씌우거나 피고인의 변호사를 지팡이로 후두려 패며 진행했다.
  • 더 라스트 오브 어스: 여주인공 이름이 똑같은 엘리여서 정감이 간다고 좋아했다. 엔딩을 보고 한편의 영화 같다는 감상평을 남겼다.
  • 두근두근 문예부!: 같은 핑뚝인 나츠키 공략을 목표로 플레이했지만 2회차때 진짜 멘헤라를 마주하고 무서워했다. 히든 엔딩까지 보고 히로인 모두가 불쌍한데 나츠키가 그나마 정상이라는 평가를 남겼다.
  • 러브, 샘: 에스더 릴레이 온리업 꼴찌 벌칙으로 플레이했다.
  • 리그 오브 레전드: 한때 메인 콘텐츠였던 게임. 방송에 해가 된다며 시참 1대1 미드빵 콘텐츠용과 합방용으로만 플레이한다. 시즌 2부터 한 올드 유저다. 제드 원챔 애호가[2]라고 할만큼 제드를 많이 플레이 하며, 솔로 킬을 하거나 극적인 상황에서 생존했을 때 다양한 BGM을 틀며 좋아한다. 롤 솔랭에서 연패가 계속되면 우울해하고 짜증을 내다가 무거운 분위기 때문에 미안하다고 자학을 하는등 멘헤라 상태가 되기 때문에 슬라임들은 롤 솔랭 방송을 싫어한다.[3]
  • 링 피트 어드벤처: 1시간을 기본으로 잡고 열심히 플레이 하는 편이다. 플레이할 때마다 엘리의 힘들어 하는 모습에 재미있어하고 응원하며 슬라임들에게 인기가 가장 많은 게임인 편이다. 본인 피셜 "하체가 튼튼한 편이라 하체 운동에는 자신 있지만 팔이나 상체 운동은 버거운 것 같다." 라고 언급 한 적이 있다.
  • 메이플스토리 월드: 직업은 도적. 닉네임 어머련아, 23년 12월 5일 시작했다. 실수로 단검 도적으로 전직해 망캐가 되자 유기했다.
  • 바니 가든: 바니걸 하나 꼬시려고 도박에 돈을 꼬라박는 순애를 보였다. 초반에는 쿨한 이미지의 미우카를 공략하려고 했으나 돈미새같은 면모에 질려 린으로 전향, 호감도를 꾸준히 올려 린 해피 엔딩을 보는데 성공했다.
  • 발로란트: 거의 배치만 본 상태. FPS 장르에 약하기도 해서 아이언에 머무는 중이다.
  • 복학생 연애 시뮬레이션: 주인공의 이름을 베스트위자 드엘리라고 짓고 진행, 이후 배드 엔딩인 상상하는 남자 엔딩을 보았다. 주인공의 처지에 동정하면서도 급발진하는 행적에는 어이없어하는 반응을 보였다.
  • 블루 아카이브: 데뷔전 학생때 블쌤이었다고 한다. 가볍게 스토리를 밀며 플레이했다.
  • 산나비: 고퀄리티의 도트 그래픽과 스토리에 극찬했다. 특히 감동적인 스토리에 사래가 들릴 정도로 오열했다.
  • 사일런트 브레스: 돈 스크림의 후속작 공포 게임. 한시간 반만에 클리어했다.
  • 승리의 여신: 니케: 1.5주년 기념 가챠를 진행했는데 3번의 시도만에 크라운을 뽑는데 성공하고 엘리의 목소리 스승인 방시우 성우가 담당한 프리바티도 뽑는등 기분좋게 가챠를 마무리했다.
  • 신칸센 0호: 엔딩 1과 엔딩 2를 봤다. 엔딩 2가 감동적이라는 평가를 내렸다.
  • 아오오니: 6.23 버전을 플레이했다. 각종 갑툭튀에 기겁했다.
  • 엘든링: 사냥개의 긴 이빨을 들고 근접 검사 빌드로 진행해 별의 세기와 미친 불의 왕 엔딩을 봤다.
  • 야간경비: 4번 플레이를 시도했으나 켜자마자 발생하는 렉으로 인해 결국 유기했다.
  • 오버워치 2: 예전에 오버워치를 좋아하고 자주 플레이했다는 언급을 했는데, 러너리그에 참가하게 되면서 방송에서도 선보이게 되었다. 탑레이팅은 플레티넘이고, 주 영웅은 리퍼, 디바, 아나라고 한다. 대회에서는 모이라로 탈유찰급이라는 좋은 평가를 받으며 팀의 우승에 일조했다.
  • 원신: 가끔 플레이한다. 24년 1월 31일 나히다 가챠에 성공한뒤 나히다에 대한 애정을 드러낸다.
  • 유괴사건: 개발사 특유의 개그요소 덕에 그렇게 무서워하지 않고 무난하게 클리어했다.
  •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 슬라임들의 추천곡들을 들으며 운전했다. 먼저 들이박고 먼저 욕하는 터프한 운전실력을 보여줬다.
  • 이터널 리턴: 선호하는 실험체라우라. 교전을 할 때마다 "좋아 이년아?"를 외쳐댄다. 개인 방송에서 키는 일은 거의 없고 뒷이리를 하거나 다른 에스더 멤버가 방송에서 플레이하고 있을 때 스쿼드 멤버로 딸려온다. 지금은 유기했다.
  • 자촬: 멀미를 유발하는 화면에 구토를 참으며 괴로워했다. 포기하면 시청중인 슬라임들한테 미안하다며 근성으로 진행하여 클리어했다.
  • 전역은 오는가: 군대의 일상에 신기해했다. 나라를 지켜주는 군인에게 진심으로 감사함을 표했다.
  • 철권 8: 시참을 통해 샌드백 체험을 했다. 스토리는 뇌절이여도 연출은 멋있다며 호평했다.
  • 카타나 제로: 도중에 컨디션 이슈가 왔지만 이를 극복하고 켠왕에 성공했다.
  • 키미가시네: 단간론파에 이어 데스 게임 장르를 플레이했다. 취향에 맞아하며 대호평을 했다.
  • 포탈: 초딩때 처음 해봤는데 당시에는 너무 어려워서 유기했다고 한다. 클리어한 후 초딩때보다 게임 실력, 경제력, 사회성이 성장한 자신이 대견하다며 울었다.
  • 포탈 2: 초중반부에서 뛰어난 피지컬을 보여주며 원활하게 진행했는데 후반부로 갈수록 어려워지는 난이도에 애를 먹었다. 결국 클리어했다.
  • 폴아웃 4: 인생게임 중 하나라 그런지 방송에서 플레이하게 된 걸 기뻐했다. 션(신스)을 놓고간 엔딩, 데리고 간 엔딩 모두 봤다. 엔딩을 본뒤 마녀박물관에 방문해 데스클로를 잡는 것으로 폴아웃 4를 마무리했다.
  • 폐심 2: 심령방송: 각종 서비스신과 주인공들의 팬티를 보며 눈호강을 했다. 진 엔딩과 각종 배드엔딩을 감상했다.

[1] 그대로 클리어했으면 당시 기준으로 한국 스트리머중 최단 시간 클리어였다.[2] 너프를 받으면 유기한다.[3] 엘리가 롤 방송에 대한 고민을 드러내자 서로 가면을 벗고 솔직해졌다. 가끔 롤 솔랭을 하겠다며 농담조로 협박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37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37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