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9%; min-height: 2em;" {{{#!folding [ 고한사북 ] {{{#!wiki style="margin: -5px 0;"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3772b8><colcolor=#fff> 수도권 | ↔동서울 | ↔부천,안양 | ↔의정부 | ↔인천 |
| ↔서울남부 | ↔수원,안산 | ↔김포공항,인천공항 | |||
| 강원 | ↔원주 | ↔강릉 | |||
| 충청 | ↔제천의정부발 천안발 | ↔천안,제천 | ↔청주,대전복합 | ||
| 영남 | ↔대구북부(직행) | ↔포항,울진,부산 | ↔울산 | ↔마산,창원 | |
| 호남 | ↔광주 | ||||
| 운행중단 |
- [ 정선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부산(노포) ] {{{#!wiki style="margin: -5px 0;"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E5007F><colcolor=#fff> 고속버스 및 전환시외 (고속버스 전산망 사용 노선) | ||||
| 수도권 | ↔서울경부 | ↔동서울 | ↔인천 | ↔성남 | |
| ↔용인 | |||||
| 충청 | ↔청주 | ↔연무대,논산,내포,홍성 | ↔유성 | ↔당진,서산 | |
| 호남 | ↔광주 | ↔순천,여수 | ↔전주 | ||
| 대구/경북 | ↔동대구 | ||||
| 운휴/폐지 | | | | | |
| 시외버스 (시외버스 전산망 사용 노선) | |||||
| 수도권 | ↔인천공항 | ↔오산,수원,안산 | ↔이천 | ||
| 강원 | ↔원주,홍천,춘천 | ↔호산,태백,고한 | ↔강릉,속초 | ↔삼척,동해,강릉,속초,간성,거진 | |
| 충청 | ↔충주 | ↔제천 | |||
| 대구/경북 | ↔울진,부구 | ↔안동,영주 | ↔경주(시외),포항 | ↔구미,상주,점촌 | |
| ↔영천 | |||||
| 경남 | ↔마산 | ↔마산남부 | ↔진주 | ||
| ↔창원,진해 | ↔언양 | ↔고현,통영 | |||
| 호남 | ↔군산,익산 | ||||
| 운휴/폐지 | | | | | |
- [ 부산서부(사상)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E5007F><colcolor=#fff><-6> 고속버스 및 전환시외 (고속버스 전산망 사용 노선) ||
수도권 ↔서울경부 ↔동서울 충청/호남 ↔당진,서산 ↔광주,나주 ↔여수 운휴/폐지 ↔인천↔용인↔성남↔수원↔청주↔대전복합↔세종시외버스 및 전환고속 (시외버스 전산망 사용 노선) 수도권 ↔서울남부 ↔인천공항 호남 ↔전주 ↔남원 ↔장계 ↔목포,진도 ↔순천 ↔완도 ↔고흥,녹동/나로도 ↔구례, 화엄사 대구/경북 ↔경주,포항 ↔현풍,고령,거창 ↔창녕,대구서부 경남 ↔ 마산/창원 ↔함안,의령,합천 ↔밀양(직행) ↔밀양(완행) ↔진주 ↔삼천포 ↔함양 ↔통영(직행) ↔남마산,고성,통영 ↔고현,장승포 ↔용원 ↔진해(완행) ↔진교,남해 ↔율하 ↔진영 ↔장유
- [ 동래 ]
- [ 해운대 ]
- [ 김해공항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E5007F><colcolor=#fff><width=5000px> 부산/경남 ||<width=22.5%> ↔진주 ||<width=22.5%> ↔고현,장승포 ||<width=22.5%> ↔창원,마산 ||<width=22.5%> ↔장유,창원,마산 ||
대구/경북 ↔경주,포항 ↔동대구 ↔구미 ,대전복합충청/호남 ↔유성,세종,천안 ↔동광양,순천,광주 ← 동광양,순천,여수
| |
| 영암고속 차량 |
1. 개요
고한사북공영버스터미널에서 태백버스정류장을 거쳐 부산종합버스터미널까지 잇는 노선. 금아여행 시간은 운행 거리 584.8km, 영암고속 시간대는 622.8km.2. 노선 정보
| 시외버스 고한 ↔ 부산 | |||||
| 기점 |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고한읍 고한읍(고한사북공영버스터미널) | 종점 |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부산종합버스터미널) | ||
| 종점행 | 첫차 | 06:30 | 기점행 | 첫차 | 07:28 |
| 막차 | 16:40 | 막차 | 15:31 | ||
| 배차간격 | 1일 3회 | ||||
| 운수사명 | 금아여행, 영암고속 | 인가대수 | |||
| 상세 노선 | 고한사북 - 38번 국도 - 태백 - 38번 국도 - 416번 지방도 - 7번 국도 - (호산)[1] - (부구)[2] - 7번 국도 - 울진 - 7번 국도 - 포항 - 7번 국도 - 유강터널 -경주IC - 경부고속도로 - 노포IC - 부산 | ||||
3. 특징
- 영암, 화성고속 시간은 개통 때부터 31석이었고 금아여행 시간은 꽤 최근까지만 해도 45석 일반고속이었으나 2021년에 28석 우등고속으로 전환되었으며 2025년 8월까지 서비스 우등으로 운행했다.
- 날짜 미상으로 금아여행 배차도 고한으로 연장되었다.
- 영암고속 한정으로 포항-부산 간 구간 승차가 가능하다.
- 요금이 비싼 편이다. 성인 1명 기준으로 부산에서 고한까지 이용할 시 52,400원이 부과된다. 이는 경주IC부터 고한까지 계속 국도를 타기 때문이다. 다만 30%가 아닌 20%만 할증하기 때문에 태백에서 부산까지는 48,800원으로 태백-광주의 52,000원에 이은 태백터미널 요금 2위 노선이 되었다.
- 7번 국도 이용으로 인해 거리 대비 요금이 꽤 비싸다. 창원 노선 개설과 관련하여 부산 ~ 태백/고한 이동은 후술할 대로 특별한 이유가 있지 않는 한 이 노선을 절대로 이용하면 안되고 창원 노선을 이용하여 마산에서 환승해야한다. 목적지가 태백인 경우에도 아주 급하지 않는 한 창원 노선을 이용한 뒤 고한에서 다시 환승하는 것이 권장된다.
- 이러한 이유로 2025년 7월 21일부로 시외버스 고한-창원 노선이 개통된 이후로는 부산을 오갈 때 부산 ↔ 고한 노선보다 서부산으로 가서 부산사상-마산 노선을 타고 마산시외버스터미널에서 고한-창원 노선으로 환승하는 것이 요금 면에서 더욱 권장된다. 소요시간은 비슷해도 '고한~마산' 32,900 + '마산~서부산' 4,300(우등 5,600) = 합계 37,200(우등 38,500)원에 이동, 편도 13,900~15,200원 (왕복 27,800~30,400원)이나 절약할 수 있다. 부산사상-마산 노선은 시내버스 급으로 자주 운행하므로 부산 방면에 한해 환승 대기 시간에 크게 구애받지 않으며[3], 시간이 잘 맞을 경우 마산에서 부산-(동래 경유)-마산 노선을 이용해 마산~동래 구간(4,600원)을 이용하면 마찬가지로 동래 지역을 오가는데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다.[4]
- 특히 목적지가 명지, 녹산과 같은 서부산권이나 진해, 용원 쪽인 경우에는 태백을 오가는 경로에도 고한 ↔ 창원 노선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마산에서 3002번을 타고 용원에서 명지신도시로 가는 노선을 이용하면 된다. 이 경우 태백 ↔ 고한 ↔ 용원을 기준으로 37,650원이 나온다. 태백 ~ 고한 구간에서 시외버스 대신 정선군 농어촌버스를 이용하면 조금 더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다.
4. 시간표
| 고한 → 부산 | 부산 → 고한 | ||||||||
| 회차 | 고한 | 태백 | 울진 | 비고 | 회차 | 부산 | 포항 | 울진 | 비고 |
| 1(영암) | 0630 | 0650 | 0820 | 호산경유 | 1(영암) | 0728 | 0905 | 1055 | 호산경유 |
| 2(영암) | 1420 | 1440 | 1608 | 호산경유 | 2(금아) | 0934 | 1120 | 1310 | 부구경유 |
| 3(금아) | 1640 | 1705 | 1825 | 부구경유 | 3(영암) | 1531 | 1710 | 1900 | 호산경유 |
5. 사건사고
2000년대 중반 이 노선 문제로 인해 신한일고속과 영암고속이 크게 싸운 일이 있었다. 문제는 당시 부산 - 포항 노선이 신한일고속의 주요 밥줄 노선이었던데다가 평상시에도 아성고속과 견제가 심하던 노선이라는 것. 밥줄이 날아가는데 가만 있을 리 없는 신한일고속에서는 임의 결행에 노포동터미널에 배차원까지 상주시키고 태백행 박차홈을 막는 등의 방해를 했고, 영암고속에서도 박차장이 아니라 저 멀리서 승객을 태워버리고 대놓고 신한일고속에 대해 좋지 않은 소문을 마구 퍼뜨리는 강수를 뒀다. 이로 인해 사태가 점점 커져서 지역 신문에까지 보도된 전적이 있다.이 사건 이후로 오랫동안 영암고속, 화성고속과 신한일고속은 만나기만 하면 으르렁거렸지만 이후에 신한일고속이 신진버스에 인수된 이후 신진버스가 개선 작업을 한 뒤에 많이 나아져서 영암고속과 금아여행 기사들끼리 만나면 담소를 나누기도 한다는 모양.
6. 연계 철도역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노포역
- 일반 철도역: 울진역(ITX-마음, 누리로), 태백역(ITX-마음, 무궁화호)
7. 둘러보기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9%; min-height: 2em;" {{{#!folding [ 포항(고속) ] {{{#!wiki style="margin: -5px 0;"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서울경부 | | |
- [ 포항(시외)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5000px><|3><colbgcolor=#00a4da><colcolor=#ffffff> 대구/경북 ||<width=25%> ↔동대구(직통) ||<width=25%> ↔대구서부(직통) ||<width=25%> ↔대구북부 ||
↔하양(1) ↔ 경산(경주경유) ↔ 구미(경주경유) ↔ 안동 / 영주 / 예천 ↔ 울진 수도권 ↔ 동서울 ↔ 성남 ↔안산, 인천 ↔오산, 수원, 서수원 ↔오산, 수원, 서수원, 안산, 인천 ↔ 인천공항 부산/울산/경남 ↔부산(노포)(경주경유) ↔ 부산(서부) ↔ 부산(해운대) ↔김해공항 ↔ 양산, 마산 ↔ 양산, 창원 ↔ 언양, 김해 ↔ 울산(직통 / 직행) ↔ 진주 ↔ 거제(고현), 통영 ↔ 부산노포(직통) 대전/세종/충청 ↔ 충주 ↔ 세종, 천안 강원(영서) ↔원주,횡성,홍천,춘천 강원(영동) 7번 국도 시외직행 노선(2) ↔ 태백, 고한사북 호남 ↔ 광주, 목포 ↔ 순천, 여수 ↔ 전주 운행중단 ↔ 청주 ↔ 경주경유 동대구 ↔ 경주경유 대구서부 ↔ 경산(직통) ↔ 김천 ↔ 구미, 충주(직통) 7번 국도 완행 노선(울진 이북행) ↔ 이천, 경기광주, 하남 폐선 ↔ 대구북부(직통) ↔ 경산(완행) ↔ 성주 ↔ 밀양 ↔ 광양 ↔ 동서울(직통 / 영동,옥천경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울진 ] {{{#!wiki style="margin: -5px 0"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3858a2><colcolor=#fff> 수도권 | ↔동서울 (영주 경유) (호산 경유) | ↔인천,수원,안산 | |
| 경북 | ↔포항 | ↔포항,부산 | ↔동대구 | |
| ↔영주 | ||||
| ↔강구,영해,후포,평해 | ↔구미,점촌,상주,안동,경북도청 | |||
| 강원 | ↔속초,강릉,동해,삼척 | ↔거진 | ↔태백,고한사북 | |
| 폐지 | | |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colbgcolor=#038c5e><colcolor=#ffffff> 수도권 | ↔동서울 | ↔부천,안양 | ↔의정부 | ↔인천 |
| ↔수원,안산 | ↔서울남부 | ↔김포공항,인천공항 | ↔고양 | ||
| 강원 | ↔원주 | ↔강릉 | |||
| 충청 | ↔제천의정부발 천안발 | ↔천안,제천 | ↔청주,대전복합 | ||
| 영남 | ↔대구북부(직행) | ↔안동,봉화 | ↔포항,울진,부산 | ||
| 호남 | ↔광주 | ||||
| 운행중단 | ↔영주,예천,상주,대전복합 |
[1] 영암고속 차량만 정차한다.[2] 금아여행 차량만 정차한다.[3] 반면 고한 방면의 경우 마산발 고한행 출발시각 1시간 30분 전에는 부산서부를 떠나야 한다.[4] 특히 부산 방면 한정으로 부산서부(사상) 노선은 터미널에 내려 도시철도 사상역까지 이동거리가 제법 있지만 (동래경유) 부산 노선은 도시철도 동래역 1번 출구 바로 앞에 내려주기 때문에 편리하게 도시철도로 환승이 가능하다. 반면 마산 방면은 동래역에서 동래시외버스정류소까지 약 5분 가량 도보 이동이 필요하여 사상 쪽과 큰 차이가 없다.[5] 꼭 틀린 말은 아닌 게, 노포동 ~ 고한 노선은 국도 이용으로 인해 요금이 매우 비싸기 때문이다. 부산사상이나 창원/마산 출발로 하면 고속도로 이용으로 요금이 저렴해지기 때문. 거기에 부산, 창원/마산 등 동부 경남 수요 뿐 아니라 마산을 경유함으로써 진주, 사천, 남해 등지에서 고한, 태백으로 가는 서부 경남 수요까지 잡을 수 있다. 다만 부산에서는 대구부산고속도로를 이용할 자리에 남해고속도로 ~ 남해제1지선 ~ 중부내륙고속도로를 이용하므로 국도 이용보다는 저렴하겠지만 굴곡으로 인해 요금 상승 요인이 될 수는 있다. 물론 표준 운임보다 싸게 받을 수 있는 시외버스 특성상 부산서부 착발은 창원1터널 ~ 칠원JC 운임으로 신고하고 실제 인가는 남해제1지선 쪽으로 받고 운행하면 되긴 한다. 게다가 창원/마산 ~ 태백 노선으로 우회 신설되었을 경우 자주 있는 부산사상 ~ 마산 노선으로 연계시키면 되기 때문에 아쉬울 건 없기도 하고. 게다가 천일여객과 신흥여객 입장에서는 중앙고속도로가 현재 혹은 한때 자기네 영역인데다 두 회사 모두 창원, 마산 착발 안동, 원주 노선을 운행해본 경험이 있기 때문에 영암고속과 어떻게 잘 협의가 된다면 별 문제가 없을 가능성이 좀 더 있다. 창원/마산 출발일 경우 영주IC에서 진출한 후 고한까지 국도 이용 구간이 100km에 불과한 반면, 부산출발 노선의 경우 국도 이용 구간이 240km에 달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진짜로 창원/마산 ~ (영주) ~ 태백 ~ 고한 노선이 생긴다면, 부산사상에서 출발한 후 마산에서 환승하는 것을 권장할 정도가 되어 노포동 출발 노선은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다. 경상도발 고속도로경유 태백,고한행이 안 나오는 이유는... 경상도에서는 강원도 승객이 잘 없다만, 요금 논란을 보면 차라리 7번 국도 경유 노선은 포항으로 단축시키거나, 현행대로 운행하되 부산에서 승차한 승객들은 울진, 호산까지만 승차 허용하고, 포항에서 탑승한 승객만 고한까지 이동을 허용, 부산/경남 ~ 태백/고한 구간 이동은 창원/마산행으로 일원화시킨 후 부산 방면은 마산에서 환승을 유도하는 게 나을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