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0 09:27:18

강명구(정치인)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북 구미시 을)
제21대
김영식
제22대
강명구
현직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경상북도 당협위원장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25deg, #00b5e2 21.8px, transparent 21.8px), linear-gradient(315deg, #ffffff 50.5px, transparent 50.5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181818,#e5e5e5
도당위원장
박형수
포항 북 포항 남·울릉 경주 김천
김정재 이상휘 김석기 송언석
안동·예천 구미 갑 구미 을 영주·영양·봉화
김형동 구자근 강명구 임종득
영천·청도 상주·문경 경산 의성·청송·영덕·울진
이만희 임이자 조지연 박형수
고령·성주·칠곡
정희용
}}}}}}}}}}}}}}}}}}
<colbgcolor=#e61e2b><colcolor=#fff>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강명구
姜明求 | Kang Myeong-ku
파일:100151851.jpg
출생 1977년 6월 7일 ([age(1977-06-07)]세)
경상북도 선산군 무을면 안곡리 안실마을
(現 경상북도 구미시 무을면 안곡리)[1]
거주지 경상북도 구미시 산동읍 인덕리 중흥S-클래스에코시티
현직 제22대 국회의원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비서실장
국민의힘 원내부대표
국민의힘 구미시 을 당협위원장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톡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e61e2b> 가족 배우자, 슬하 2녀
학력 무을초등학교 (졸업)
무을중학교 (전학)
선산중학교 (졸업)
성의종합고등학교 (42회 / 졸업)
안동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영학 96 / 학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정치학[2] / 석사[3])
맨체스터 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 행정학[4] / 석사)
병역 육군 국군기무사령부 병장 만기전역
(1998년 5월 21일 ~ 2000년 7월 20일)[5]
소속 정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지역구 경상북도 구미시 을
의원 선수 1
의원 대수 22
소속 위원회 국회운영위원회
정무위원회
경력 안동대학교 총학생회장
김용태 국회의원 보좌관
존스 홉킨스 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객원연구원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객원교수
자유한국당 영등포갑 당협위원장
미래통합당 서울특별시당 청년위원장
대통령비서실 선임행정관 (윤석열 정부)
대통령비서실 국정기획비서관 (윤석열 정부)
제22대 국회의원 (경북 구미시 을 / 국민의힘)
}}}}}}}}}
1. 개요2. 생애
2.1. 정치 활동
3. 여담4. 소속 정당5. 선거 이력6.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정치인.

2. 생애

1977년 6월 7일, 경상북도 선산군(現 경상북도 구미시) 무을면에서 2남 1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부모님이 소를 키워 생계를 꾸려 나갔으며, 지금도 고향에서 소를 키우고 있다고 한다. 어릴 때부터 집에서 기르던 소를 보면서 성장했고, 사람들로부터 종종 우직한 '황소'같다는 소리를 많이 들었다고 한다.

무을초등학교선산중학교, 김천시 성의종합고등학교(42회)를 졸업하고 1996년 안동대학교 경영학과(96학번)에 입학하였다. 1998년 5월 21일 육군에 입대하여 국군기무사령부에서 구난차량 운전병으로 복무했고, 2000년 7월 20일 병장으로 만기전역하였다.

1990년대 후반, 2000년대 초반은 운동권 학생회가 계속해서 이어지던 시기였다. 복학 후 안동대학교 총학생회장 출마를 선언하면서 스스로 '비운동권'임을 선언했다. 이념이나 정치보다는 학생들의 실질적인 복지 개선에 더 많이 신경쓰는 총학생회가 되겠다는 것이 그의 입장이었다. 초기 학생회를 구성할 때는 운동권 성향의 학생들과 조화를 이루기 어려웠다고 한다. 하지만 학생 복지에 최선을 다하고자 하는 그의 진정성을 많은 사람들이 알게 되어 인정받기 시작하였다.

2.1. 정치 활동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 캠프에 합류하여 2030 선거대책위원회 부단장을 맡으면서 정계에 입문하였다.

2007년 8월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비교정치 전공으로 정치학 석사학위를 취득했으며, 2008년 9월 영국 맨체스터대학교 대학원 정치학·행정학과에 입학해 2009년 11월 공공정책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에서 객원연구원으로 근무했고,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객원교수를 지내기도 했다.

이후 김용태 전 의원 비서관을 거쳐 4급 보좌관에 기용되었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자유한국당 후보로 서울특별시의회 의원 양천구 제3선거구에 출마하였지만 더불어민주당 우형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19년 자유한국당 영등포구 갑 당협위원장을 맡았다.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영등포구 갑미래통합당 공천을 신청했으나 탈락했다.

2021년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캠프 일정총괄팀장으로 합류하였고, 윤석열 대통령 당선 이후 부속실 선임행정관으로 임명되었다. 2023년 6월 해양수산부차관으로 임명된 박성훈의 후임으로 대통령비서실 국정기획비서관이 되었다.

2023년 12월 27일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출마를 위해 국정기획비서관직을 사직하고 다음날 구미시 을 지역구에 국민의힘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2024년 3월 17일 경선에서 승리한 데 이어# 본선에서도 65.29%를 얻으며 더불어민주당 김현권 후보를 꺾고 제22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고향인 무을면에서 87.64%의 몰표를 받고 4년 전 김현권 전 의원이 유일하게 승리했던 산동읍까지 탈환하는 데 성공했다.

3. 여담

  • 슬하에 3녀를 둔 딸부자 아빠이다. 배우자는 8살 연하라고 한다. 출판기념회에서 본인 왈 “연예인들은 12살 연하랑도 결혼하는데 나는 이 정도면 괜찮지 않냐”라고 발언한 적이 있다.
  • 강명구의 최신 저서인 『다시, 대한민국』에 따르면, 윤석열은 “강명구 위원장은 의원 보좌관을 오래 했고, 당협위원장도 하지 않았습니까. 선거를 해봤잖아요. 일정과 메시지를 모두 맡길테니 내일부터 강명구 위원장이 시키는대로 할게요”라고 할 정도로 해당 내용을 보면 상당히 신뢰 관계가 두텁다고 알려져 있다. 물론 정치인 저서란게 흔히 그렇듯 본인한테 유리하게 과장하는 측면은 있다고 봐야겠으나, 어쨌든 윤석열 정부에서 국정기획비서관까지 지내긴 했다.
  •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출마를 위해 윤석열 대통령에게 출마 의사를 계속 표방했지만, 윤석열은 “안 돼, 맨 마지막에 나가”라고 말하며 강명구 비서관을 계속 곁에 두고 싶어했다고 한다. 그렇게 총 3번의 문을 두드렸으나, 거절을 당했다는 일화를 소개했다. #

4.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2 - 2012 정계 입문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2 - 2017 당명 변경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7 - 2020 당명 변경


[[미래통합당|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20 합당[7]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0 - 현재 당명 변경

5. 선거 이력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61E2B><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E61E2B><rowcolor=#fff>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201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 양천 3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13,041 (27.99%) 낙선 (2위)
2024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구미 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61,166 (65.29%) 당선 (1위) 초선
역대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강명구7회지.png 파일:22대 총선 강명구 벽보.jpg
7회 지선 (서울 양천구 제3선거구) 22대 총선 (경북 구미시 을) }}}}}}}}}

6. 둘러보기

강명구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민국 대통령실 심볼.svg 대통령비서실 국정기획비서관
윤석열 정부
초대
박성훈
2대
강명구
3대
김동조
}}}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 제22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포항 북 경주 김천
김정재 이상휘 김석기 송언석
구미 갑 구미 을
김형동 구자근 강명구 임종득
경산
이만희 임이자 조지연 박형수
정희용
}}}
비례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E61E2B><tablebgcolor=#E61E2B>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E61E2B><tablebgcolor=#E61E2B>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강대식 강명구 강민국 강선영 강승규
고동진 곽규택 구자근 권성동 권영세
권영진 김건 김기웅 김기현 김대식
김도읍 김미애 김민전 김상욱 김상훈
김석기 김선교 김성원 김소희 김승수
김예지 김용태 김위상 김은혜 김장겸
김재섭 김정재 김종양 김태호 김형동
김희정 나경원 박대출 박덕흠 박상웅
박성민 박성훈 박수민 박수영 박정하
박정훈 박준태 박충권 박형수 배준영
배현진 백종헌 서명옥 서범수 서일준
서지영 서천호 성일종 송석준 송언석
신동욱 신성범 안상훈 안철수 엄태영
우재준 유상범 유영하 유용원 윤상현
윤영석 윤재옥 윤한홍 이달희 이만희
이상휘 이성권 이양수 이인선 이종배
이종욱 이철규 이헌승 인요한 임이자
임종득 장동혁 정동만 정성국 정연욱
정점식 정희용 조경태 조배숙 조승환
조은희 조정훈 조지연 주진우 주호영
진종오 최보윤 최수진 최은석 최형두
추경호 한기호 한지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50%;"
{{{#!folding [ 인물 및 단체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colbgcolor=#bc002d,#000><colcolor=#fff> 연루
인물
<colbgcolor=#bc002d,#000><colcolor=#fff> 지휘부[*참조
    
: 2024년 제52회(12월 3일 밤) 국무회의 참석자
    
: 충암파 또는 용현파로 지목된 인물. 이하 동일]
우두머리
(수괴)[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3px 1px; padding: 4px 6px; background: linear-gradient(#f993 55%, #288d2633 45%); border-radius: 4px; font:1em/1 math; font-family:revert"
중요임무
종사
[2]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3px 1px; padding: 4px 6px; background: linear-gradient(#f993 55%, #288d2633 45%); border-radius: 4px; font:1em/1 math; font-family:revert"
모의 참여
지휘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3px 1px; padding: 4px 6px; background: #9993; border-radius: 4px; font:1em/1 math; font-family:revert"
지휘부 외
국방부 내 인물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3px 1px; padding: 4px 6px; background: #9993; border-radius: 4px; font:1em/1 math; font-family:revert"
행정부 등
수사 대상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3px 1px; padding: 4px 6px; background: #9993; border-radius: 4px; font:1em/1 math; font-family:revert"
선전​·선동 혐의
피고발
[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3px 1px; padding: 4px 6px; background: #9993; border-radius: 4px; font:1em/1 math; font-family:revert"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3px 1px; padding: 4px 6px; background: #9993; border-radius: 4px; font:1em/1 math; font-family:revert"
관련 인물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3px 1px; padding: 4px 6px; background: #9993; border-radius: 4px; font:1em/1 math; font-family:revert"
윤석열 대통령 변호인단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3px 1px; padding: 4px 6px; background: #9993; border-radius: 4px; font:1em/1 math; font-family:revert"{{{#!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3px 1px; padding: 4px 6px; background: #9993; border-radius: 4px; font:1em/1 math; font-family:revert"
관련 단체 윤석열 정부 · 대통령실(대통령경호처) · 국민의힘(친윤) · 자유통일당 · 국가정보원 · 검찰청 · 사랑제일교회 · 극우 유튜버 · 윤석열 변호인단 · 충암파 · 용현파 · 반공청년단 · 백골단
국방부(국군방첩사령부 · 수도방위사령부 · 육군특수전사령부 · 정보사령부 · 제1군단(제2기갑여단))
경찰청(서울특별시경찰청 · 경기도남부경찰청 · 기동본부 · 국회경비대 · 국가수사본부)
관련 둘러보기 틀 [[틀:윤석열 정부 비상계엄/지휘부|{{{#!wiki style="margin: 3px 1px; padding: 2px 3px; background-color: #bc002d; color: #fff;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000" dark-style="background-color: #000; color: #e0e0e0; border: 1px solid #520a0a"]]
{{{#!folding [ 각주 ]
}}}}}}}}}
[ 관련 문서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bc002d,#000><colcolor=#fff><|9> 전개 ||<colbgcolor=#bc002d,#000><colcolor=#fff> 선포 및 해제 ||선포 전 정황 · 햄버거 회동 · 계엄 선포와 해제 ||
해제 이후
2024년 12월

해제 이후 · 1~2주차 · 3주차 · 4주차 · 대통령 대국민 담화 ·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
2025년 1월

1주차 · 2주차 · 3주차(윤석열 대통령 체포 & 윤석열 대통령 구속) · 4주차(윤석열 대통령 구속 기소) · 5주차 ·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
2025년 2월

1주차 · 2주차 · 3주차 · 4주차 ·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
2025년 3월

1주차(윤석열 대통령 구속 취소) · 2주차 · 3주차 · 4주차 ·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 ·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3; font-size: 0.88em"
2025년 4월}}}
1주차(윤석열 대통령 파면) ·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 윤석열 대통령 파면 이후 ||
수사 및 재판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3; font-size: 0.88em"
수사 주체}}}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 국방부 조사본부 · 검찰청 특별수사본부 · 국방부 검찰단 ||
수사

검찰·군검찰 주요 수사 내역 및 특별검사 수사 요구 · 경찰·공수처·국방부 조사본부 공동조사 및 주요 수사 내역 · 윤석열 대통령 내란 혐의 수사
재판

윤석열 정부 비상계엄/재판 · 윤석열 대통령 내란우두머리 혐의 재판(공소장)
반응
영향 및 평가 반응(국내 반응) · 영향(김건희 여사 특검법, 윤석열 특검) · 평가
시위
탄핵 찬성

2024년 윤석열 탄핵 촉구 집회(전개) · 전국농민회총연맹 트랙터 행진[단발]
탄핵 반대

윤석열 대통령 지키기 국민대회 ·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 · 서울서부지방법원 점거 폭동[단발] · 국가인권위원회 점거 사태[단발] · 전국대학생연합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
탄핵​ 심판
탄핵
소추
발의
최상목 기획재정부장관 탄핵소추
가결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2차) ·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소추 · 박성재 법무부장관 탄핵소추 · 조지호 경찰청장 탄핵소추
폐기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1차)[사유1] · 김용현 국방부장관 탄핵소추[사유2] · 이상민 행정안전부장관 탄핵소추[사유2]
진행 중
심리 중
조지호 경찰청장 탄핵 심판
종료
인용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결정문)
기각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심판 · 박성재 법무부장관 탄핵 심판
의혹 및 논란 친윤계 계엄 동조 의혹 · 부정선거 음모론에 바탕한 계엄령 · 총리-여당 당정협력 담화 · 2024년 평양 무인기 대북전단 살포 사건
관련 문서 계엄 이전 명태균 게이트 · 2017년 계엄령 문건 사건 · 나무위키 한국군 장성 문서 임시조치 요청 사건 · 2024년 의료정책 추진 반대 집단행동
계엄 이후 윤석열 대통령 탄핵론 · 내란청산·사회대개혁 비상행동 · 코리아 디스카운트 · 대한민국 연예계 입국금지 요구 CIA 집단민원 사태 · 구미시 이승환 공연 취소 논란 · 석열산성 · 더불어민주당 내란선동죄 고발 사건 · 전한길 부정선거 음모론 주장 논란 · 계몽령 · 2.13 헌법재판소 폭동 모의 사건 · 키세스단 · 대통령 국민변호인단 · 힘내라 대한민국 · 새로운 대한민국
파면 이후 윤 어게인 · Make Korea Great Again
관련 청원 윤석열 탄핵소추안 즉각 발의 요청 청원 · 윤석열 특검법 제정 촉구 청원 · 국민의힘 해산 청원 · 헌법재판소 판사탄핵에 관한 청원
그 외 특집 프로그램 · 여담 · STOP THE STEAL
관련 둘러보기 틀 [[틀: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 및 심판|{{{#!wiki style="margin: 3px 1px; padding: 2px 3px; background-color: #bc002d; color: #fff;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000" dark-style="background-color: #000; color: #e0e0e0; border: 1px solid #520a0a"]] [[틀:윤석열 정부 비상계엄/재판|{{{#!wiki style="margin: 3px 1px; padding: 2px 3px; background-color: #bc002d; color: #fff;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000" dark-style="background-color: #000; color: #e0e0e0; border: 1px solid #520a0a"]] [[틀:윤석열 정부 비상계엄/주요 사건|{{{#!wiki style="margin: 3px 1px; padding: 2px 3px; background-color: #bc002d; color: #fff;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000" dark-style="background-color: #000; color: #e0e0e0; border: 1px solid #520a0a"]] [[틀:윤석열 정부 비상계엄과 부정선거 음모론|{{{#!wiki style="margin: 3px 1px; padding: 2px 3px; background-color: #bc002d; color: #fff;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000" dark-style="background-color: #000; color: #e0e0e0; border: 1px solid #520a0a"]]
{{{#!folding [ 각주 ]
}}} ||
[1] 형법 제87조에서 정한 내란 혐의로 사법부(서울중앙지법)에서 지휘부를 내란중요임무종사 혐의로 구속함에 따라 동조 제1호인 우두머리(수괴)에 해당하는 인물. 수사기관 영장, 출석요구서, 공소장 등 문서에 내란 우두머리 적시, 형 미확정. 2020년 형법 개정으로 '수괴'에서 '우두머리'라는 순우리말로 변경됨. 국가보안법, 군형법 등은 '수괴' 표현 유지[2] 형법 제87조에 따라 사법부(서울중앙지법)에서 해당 인물들을 내란중요임무종사 혐의를 적용, 구속영장을 발부했거나 검찰에서 중요 내란중요임무종사 공범으로 지목함에 따라 제2호 내란중요임무종사로 기입.[3] 형법 제87조에 따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및 사법부에서 해당 인물들을 내란 혐의로 소환을 통보함. 해당 인물들은 계엄 선포 이전 국무회의에 참석 및 참관 대상인 국무위원 및 정부 인사로서 내란을 방조했는지 여부가 수사 대상임.[4] 형법 제90조 2항에 근거한 내란 선전·선동 피고발인 목록.[단발] 여러번 계속 진행되지 않고 단발성으로 그친 시위.[단발] [단발] [사유1] 의결정족수 미달로 인한 투표불성립으로 탄핵소추안 자동폐기[사유2] 탄핵소추 대상자의 사임으로 탄핵소추안 폐기[사유2] 탄핵소추 대상자의 사임으로 탄핵소추안 폐기


[1] #[2] 비교정치 전공.[3] 석사 학위 논문: 제17대 국회 e-정치참여에 관한 연구: 국회 홈페이지를 중심으로(2007.8.)[4] 공공정책 전공.[5] 병무청 공직자등의 병역사항열람 참조.[6] 물론 지리적으로 구미시도 의성군과 인접한 동네이지만 의성군은 안동시 생활권에 속하기 때문에 구미시와 교류가 적다. 실제로 구미시와 교류를 많이 하는 지역은 칠곡군군위군이다.[7] 새로운보수당, 미래를향한전진4.0과 신설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