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0 21:26:21

고령군·성주군·칠곡군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고령군/정치
#!if 문서명2 != null
, [[성주군/정치]]
#!if 문서명3 != null
, [[칠곡군/정치]]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 제22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포항 북 포항 남·울릉 경주 김천
김정재 이상휘 김석기 송언석
안동·예천 구미 갑 구미 을 영주·영양·봉화
김형동 구자근 강명구 임종득
영천·청도 상주·문경 경산 의성·청송·영덕·울진
이만희 임이자 조지연 박형수
고령·성주·칠곡
정희용
선거 결과
}}}
비례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국회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파일:국회휘장.svg
고령군·성주군·칠곡군
고령군, 성주군, 칠곡군
高靈郡·星州郡·漆谷郡
Goryeong–Seongju–Chilgok
}}}
<nopad> 파일:국회선거구 고령군·성주군·칠곡군.svg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인구 175,724명[1]
상위 행정구역 경상북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고령군 전역
대가야읍, 덕곡면, 운수면, 성산면, 다산면, 개진면, 우곡면, 쌍림면

성주군 전역
성주읍, 선남면, 용암면, 수륜면, 가천면, 금수강산면, 대가면, 벽진면, 초전면, 월항면

칠곡군 전역
왜관읍, 북삼읍, 석적읍, 지천면, 동명면, 가산면, 약목면, 기산면
신설년도 2004년
이전 선거구 고령군·성주군, 칠곡군
국회의원

정희용


1. 개요

2004년 17대 총선 때부터 기존의 고령군·성주군 선거구에 칠곡군이 합류해 지금의 고령군·성주군·칠곡군 선거구가 되었다. 그 이인기, 이완영의 지역구였던 곳이다. 현 국회의원은 국민의힘 정희용 의원이다.

농어촌버스칠곡군성주군경일교통, 고령군대가야여객에서 운영하는데 둘은 서로 계열 관계다.

선거구 내에서 기차를 탈 수 있는 철도역은 왜관역, 신동역, 약목역 3개로 모두 칠곡군에 있다.

2. 특징

칠곡군 치고는 인구가 많은 편(약 11만)인데다, 대구구미위성도시에 가까운 지역이다. 대구와 구미에 있던 공장들이 지가가 저렴하고 고속도로가 있는 칠곡군으로 꽤 옮겨 왔으며 지천면, 동명면, 가산면대구광역시 시내버스에 크게 의존하는 등 대구·칠곡과 생활권을 공유한다. 그리고 북삼읍, 석적읍은 옆동네인 사실상 구미시와 같은 생활권에 속하며, 구미국가산업단지로 통근하는 청년층과 외지인의 비중도 제법 높다. 그렇기 때문에 경북 군 지역을 통틀어서 민주당 지지세가 상대적으로 나오는 편이다.[2]

반면, 칠곡군과 같은 선거구를 구성하는 고령군성주군 두 곳은 전형적인 농촌이라 고령화와 토박이 비율이 상당히 높아서 보수세가 매우 강한 지역이다.[3] 그렇기 때문에 국민의힘 지지세가 엄청 강하다.

3. 역대 국회의원 목록

<rowcolor=#fff> 대수 당선인 당적 임기
제17대 이인기

[[한나라당|
한나라당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제18대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제19대 이완영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제20대 2016년 5월 30일 ~ 2019년 6월 13일[4]
제21대 정희용

[[미래통합당|
미래통합당
]]
2020년 5월 30일 ~ 2024년 5월 29일
제22대

2024년 5월 30일 ~

3.1.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고령군·성주군·칠곡군
고령군 일원[고령], 성주군 일원[성주], 칠곡군 일원[칠곡]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인기(李仁基) 49,586 1위


[[한나라당|
한나라당
]]
60.99% 당선
3 조창래(趙昌來) 31,711 2위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
39.00% 낙선
선거인 수 143,718 투표율
58.09%
투표 수 83,480
무효표 수 2,183

3.2.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고령군·성주군·칠곡군
고령군 일원[고령], 성주군 일원[성주], 칠곡군 일원[칠곡]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2 석호익(石鎬益) 37,515 2위


[[한나라당|
한나라당
]]
47.04% 낙선
6 전춘길(田春吉) 2,859 3위


[[평화통일가정당|
평화통일가정당
]]
3.58% 낙선
7 이인기(李仁基) 39,375 1위


49.37% 당선
선거인 수 153,500 투표율
53.03%
투표 수 81,400
무효표 수 1,651

3.3.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고령군·성주군·칠곡군
고령군 일원[고령], 성주군 일원[성주], 칠곡군 일원[칠곡]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완영(李完永) 42,569 1위


50.49% 당선
2 최국태(崔國泰) 9,897 3위


[[민주통합당|
민주통합당
]]
11.73% 낙선
6 황옥성(黃玉星) 505 5위

0.59% 낙선
7 석호익(石鎬益) 28,139 2위


33.37% 낙선
8 송우근(宋宇根) 3,193 4위


3.78% 낙선
선거인 수 161,254 투표율
53.01%
투표 수 85,479
무효표 수 1,176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고령군·성주군·칠곡군 출구조사 결과
<colbgcolor=#eee,#353535> 후보 이완영 석호익 격차
전체 52.6% 29.3% 23.3%p

3.4.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고령군·성주군·칠곡군
고령군 일원[고령], 성주군 일원[성주], 칠곡군 일원[칠곡]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완영(李完永) 57,427 1위


69.48% 당선
2 박장호(朴壯鎬) 25,222 2위

30.51% 낙선
선거인 수 167,318 투표율
51.18%
투표 수 85,450
무효표 수 2,801
||<-5><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c1d1f><tablebordercolor=#c9252b><bgcolor=#c9252b> 20대 총선 경북 고령군·성주군·칠곡군 개표 결과 ||
정당 새누리당 더불어민주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이완영 박장호
득표수
(득표율)
57,427
(69.48%)
25,222
(30.51%)
+32,205
(△38.97)
85,450
(51.17%)
20대 총선 경북 고령군 개표 결과
후보 이완영 박장호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1,242
(73.15%)
4,125
(26.84%)
+7,117
(△46.31)
15,926
(53.16%)
대가야읍[17] 71.66% 28.33% △43.33
덕곡면 77.03% 22.96% △54.07
운수면 79.91% 20.08% △59.83
성산면 77.17% 22.82% △54.35
다산면 70.47% 29.52% △40.95
개진면 78.93% 21.06% △57.87
우곡면 80.04% 19.95% △60.09
쌍림면 79.55% 20.44% △59.11
후보 이완영 박장호 격차
거소·선상투표 73.88% 26.11% △47.77
관외사전투표 53.61% 46.38% △7.23
국외부재자투표 36.36% 63.63% ▼27.27
20대 총선 경북 성주군 개표 결과
후보 이완영 박장호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7,691
(77.31%)
5,191
(22.68%)
+12,500
(△54.63)
23,736
(59.47%)
성주읍 72.89% 27.10% △45.79
선남면 80.75% 19.24% △61.51
용암면 80.47% 19.52% △60.95
수륜면[18] 80.88% 19.11% △61.77
가천면 79.93% 20.06% △59.87
금수면 76.16% 23.83% △52.33
대가면 81.32% 18.67% △62.65
벽진면 82.81% 17.18% △65.63
초전면 82.72% 17.27% △65.45
월항면 83.31% 16.68% △66.63
후보 이완영 박장호 격차
거소·선상투표 80.81% 19.18% △61.63
관외사전투표 59.03% 40.96% △18.07
국외부재자투표 27.26% 72.73% ▼45.47
20대 총선 경북 칠곡군 개표 결과
후보 이완영 박장호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8,494
(64.17%)
15,906
(35.82%)
+12,588
(△28.35)
45,788
(46.85%)
왜관읍[A] 68.06% 31.93% △36.13
북삼읍 65.57% 34.42% △31.15
석적읍[B] 44.68% 55.31% ▼10.63
지천면[C] 81.79% 18.20% △63.59
동명면 77.92% 22.07% △55.85
가산면[D] 82.23% 17.76% △64.47
약목면 74.61% 25.38% △49.23
기산면[E] 75.24% 24.75% △50.49
후보 이완영 박장호 격차
거소·선상투표 72.35% 27.64% △44.71
관외사전투표 52.07% 47.92% △4.15
국외부재자투표 29.08% 70.91% ▼41.83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고령군·성주군·칠곡군 출구조사 결과
<colbgcolor=#eee,#353535> 후보 이완영 박장호 격차
전체 74.0% 26.0% 48.0%p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파일:dldhksdud2.jpg 파일:20대 총선 박장호 벽보.jpg }}}}}}}}}

3.5.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고령군·성주군·칠곡군
고령군 일원[고령], 성주군 일원[성주], 칠곡군 일원[칠곡]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장세호(張世浩) 24,988 2위

24.02% 낙선
2 정희용(鄭熙溶) 65,236 1위


[[미래통합당|
미래통합당
]]
62.71% 당선
7 정한석(鄭翰錫) 1,075 4위


[[국가혁명배당금당|
국가혁명배당금당
]]
1.03% 낙선
8 김현기(金玄基) 12,727 3위


12.23% 낙선
선거인 수 165,644 투표율
63.82%
투표 수 105,749
무효표 수 1,723
||<-10><tablealign=center><bgcolor=#ef426f><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ef426f> 21대 총선 경북 고령군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무소속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장세호 정희용 김현기
득표수
(득표율)
3,282
(17.20%)
13,112
(68.74%)
2,467
(12.93%)
- 9,830
(▼51.54)
19,452
(67.32%)
대가야읍 17.19% 64.93% 16.89% ▼47.74 63.10
덕곡면 10.50% 77.20% 10.94% △66.26 71.40
운수면 16.30% 68.18% 13.75% ▼51.88 69.10
성산면 12.07% 70.86% 15.55% △55.31 66.86
다산면 20.45% 69.69% 8.99% ▼49.24 62.86
개진면 10.93% 76.88% 11.02% △65.86 65.43
우곡면 11.29% 73.83% 13.57% △60.26 68.04
쌍림면 12.93% 74.59% 11.25% ▼61.66 66.76
후보 장세호 정희용 김현기 격차
거소·선상투표 24.05% 56.96% 13.29% ▼32.91
관외사전투표 28.61% 58.80% 11.96% ▼30.19
재외투표 50.00% 50.00% 0 0
||<-10><tablealign=center><bgcolor=#ef426f><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ef426f> 21대 총선 경북 성주군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무소속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장세호 정희용 김현기
득표수
(득표율)
4,941
(18.49%)
16,986
(63.57%)
4,539
(16.98%)
- 12,045
(▼45.08)
27,228
(68.19%)
성주읍 22.15% 58.47% 18.72% ▼36.32 61.78
선남면 13.63% 71.36% 14.08% △57.27 66.33
용암면[27] 15.24% 60.80% 23.08% △37.72 66.71
수륜면 14.89% 68.64% 15.70% △52.94 67.41
가천면 17.29% 67.00% 14.09% ▼49.71 76.28
금수면 16.50% 66.57% 15.65% ▼50.07 75.43
대가면 16.94% 59.52% 22.82% △36.69 68.22
벽진면 15.44% 67.18% 16.40% △50.77 68.05
초전면 17.52% 66.57% 14.55% ▼49.05 63.87
월항면 13.81% 70.56% 14.84% △55.72 67.94
후보 장세호 정희용 김현기 격차
거소·선상투표 17.85% 60.71% 16.96% ▼42.86
관외사전투표 28.87% 54.62% 15.34% ▼25.75
재외투표 53.33% 33.33% 13.33% △20.00
||<-10><tablealign=center><bgcolor=#ef426f><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ef426f> 21대 총선 경북 칠곡군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무소속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장세호 정희용 김현기
득표수
(득표율)
16,765
(28.78%)
35,138
(60.33%)
5,721
(9.82%)
- 18,373
(▼31.55)
59,069
(61.00%)
왜관읍[A][29] 27.71% 60.35% 11.13% ▼32.64 61.82
북삼읍 29.07% 63.00% 6.75% ▼33.93 57.55
석적읍[B] 38.20% 48.52% 11.98% ▼10.33 50.34
지천면[C] 14.64% 75.08% 9.69% ▼60.43 64.31
동명면 16.78% 71.70% 10.76% ▼54.92 66.87
가산면[D] 16.98% 76.37% 5.86% ▼59.39 65.42
약목면 22.12% 70.58% 6.28% ▼48.47 62.44
기산면[E][34] 29.40% 60.62% 8.76% ▼31.21 68.71
후보 장세호 정희용 김현기 격차
거소·선상투표 33.14% 48.57% 13.14% ▼15.43
관외사전투표 36.82% 49.29% 12.30% ▼12.48
재외투표 60.00% 33.33% 6.66% △26.67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고령군·성주군·칠곡군 출구조사 결과
<colbgcolor=#eee,#353535> 후보 장세호 정희용 격차
전체 23.8% 65.4% 41.6%p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파일:장세호 2020.jpg 파일:21대 총선 정희용 벽보_화질개선.jpg 파일:21대 총선 정한석 벽보.jpg 파일:김현기 21대 총선.jpg }}}}}}}}}

3.6.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고령군·성주군·칠곡군
고령군 일원[고령], 성주군 일원[성주], 칠곡군 일원[칠곡]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정석원(鄭錫元) 21,901 2위

21.47% 낙선
2 정희용(鄭熙溶) 77,692 1위


76.25% 당선
7 박영찬(朴永讚) 2,317 3위


2.27% 낙선
선거인 수 160,408 투표율
64.40%
투표 수 103,307
무효표 수 1,397
||<-8><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e61e2b><bgcolor=#e61e2b> 22대 총선 경북 고령군·성주군·칠곡군 개표 결과 ||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정석원 정희용
득표수
(득표율)
21,901
(21.47%)
77,692
(76.25%)
-55,791
(▼54.78)
103,307
(64.40%)
22대 총선 경북 고령군 개표 결과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정석원 정희용
득표수
(득표율)
3,336
(17.60%)
15,175
(80.17%)
-11,839
(▼62.57)
19,230
(69.68%)
대가야읍 18.15% 79.71% ▼61.56 64.98
덕곡면 12.93% 85.63% ▼72.70 73.26
운수면 14.34% 84.03% ▼69.69 73.46
성산면 12.60% 84.28% ▼71.68 70.91
다산면[38] 21.27% 76.83% ▼55.56 64.31
개진면 11.11% 86.97% ▼75.86 69.23
우곡면 13.75% 84.04% ▼70.29 70.85
쌍림면 11.81% 85.99% ▼74.18 69.27
후보 정석원 정희용 격차
거소·선상투표 33.67% 54.08% ▼20.41
관외사전투표 25.43% 71.63% ▼46.20
재외투표 36.36% 63.63% ▼27.27
22대 총선 경북 성주군 개표 결과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정석원 정희용
득표수
(득표율)
4,662
(16.72%)
22,645
(81.22%)
-17,983
(▼64.50)
28,267
(72.83%)
성주읍 20.62% 77.45% ▼56.83 65.34
선남면 11.34% 87.07% ▼75.73 71.06
용암면 12.26% 86.25% ▼73.99 72.19
수륜면 14.27% 83.01% ▼68.47 73.22
가천면 16.96% 81.76% ▼64.80 74.85
금수면[39] 14.73% 83.15% ▼68.42 78.92
대가면 18.22% 79.93% ▼61.71 75.00
벽진면 14.77% 83.39% ▼68.62 74.41
초전면 15.39% 82.81% ▼67.42 71.75
월항면 12.45% 85.32% ▼72.87 71.40
후보 정석원 정희용 격차
거소·선상투표 11.03% 80.68% ▼69.65
관외사전투표 23.56% 73.13% ▼49.57
재외투표 41.17% 52.94% ▼11.77
22대 총선 경북 칠곡군 개표 결과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정석원 정희용
득표수
(득표율)
13,903
(25.23%)
39,872
(72.36%)
-25,969
(▼47.13)
55,810
(59.15%)
왜관읍[A][41] 22.18% 75.83% ▼53.65 59.70
북삼읍 26.86% 70.62% ▼43.76 55.31
석적읍[B] 37.01% 60.48% ▼23.47 47.28
지천면[C] 11.96% 85.97% ▼74.01 66.98
동명면 14.00% 84.03% ▼70.03 66.76
가산면[D] 13.35% 85.10% ▼71.75 65.39
약목면 16.68% 80.45% ▼63.77 62.14
기산면[E] 19.70% 78.15% ▼58.45 72.44
후보 정석원 정희용 격차
거소·선상투표 23.77% 74.59% ▼50.82
관외사전투표 33.04% 63.30% ▼30.26
재외투표 63.38% 35.21% △28.17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고령군·성주군·칠곡군 출구조사 결과
<colbgcolor=#eee,#353535> 후보 정석원 정희용 격차
전체 23.0% 75.2% 52.2%p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파일:22대 총선 정석원 선거벽보.jpg 파일:22대 총선 정희용 벽보.jpg 파일:22대 총선 박영찬 선거벽보.jpg }}}}}}}}}


전국적으로 정권심판 역풍이 거세게 불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역 의원인 국민의힘 정희용 후보가 지난 대선 못지않는 77%에 육박한 득표율을 얻어 트리플스코어 격차로 매우 싱겁게 재선에 성공하였다. 또한 정희용 후보의 득표율은 해당 선거구 역대 최고치이기도 하다. 심지어 세 지역 모두 어마어마한 격차로 대승하였는데, 고령군성주군에서 80% 이상 득표율을 얻어 선거비 전액보전(15%)을 겨우 넘긴 군의원 출신인 더불어민주당 정석원 후보를 아예 4배차로 압도하였고, 본인의 고향이면서 득표율이 상대적으로 적게 나올 수 있는 칠곡군 역시 72.4% 득표율을 기록하며 거의 3배차로 따똘리며 성과를 냈다.

특히 칠곡군에서 외지인과 청년들이 밀집하여 그나마 민주당 지지세가 제일 강한 석적읍마저 정희용 의원에게 60% 이상 득표율을 허용하며, 그야말로 더불어민주당에게 난공불락의 요새임을 그대로 증명했다. 애초에 이 지역구가 보수정당 지지세가 엄청 강한것도 사실이지만, 정희용 의원이 지역구 관리를 매우 뛰어날 정도로 보수층에서 압도적인 지지를 받고있어 후보 개인기가 높은 것도 작용되어 이런 결과가 나올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1] 2025년 9월 기준[2] 역으로 뒤집자면, 호남 군에서 보수성향이 가장 강한 전북 무주군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이는 국민의힘이 호남 전체에서도 그나마 힘을 쓰는 곳이고, 그 중 무풍면김천시거창군과의 접경 지역이라서 영남 생활권을 공유한다.[3] 게다가 두 곳 모두 더불어민주당 입장에서 선거비보전도 기대하기 어려운 지역이라 당선될 가능성은 사실상 제로에 가깝다. 그나마 고령군 다산면이 어느 정도 대구광역시의 위성도시 역할도 맡고 있다.[4] 당선 무효로 의원직 상실, 잔여 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고령] 대가야읍, 덕곡면, 운수면, 성산면, 다산면, 개진면, 우곡면, 쌍림면[성주] 성주읍, 선남면, 용암면, 수륜면, 가천면, 금수강산면, 대가면, 벽진면, 초전면, 월항면[칠곡] 왜관읍, 북삼읍, 석적읍, 지천면, 동명면, 가산면, 약목면, 기산면[고령] 대가야읍, 덕곡면, 운수면, 성산면, 다산면, 개진면, 우곡면, 쌍림면[성주] 성주읍, 선남면, 용암면, 수륜면, 가천면, 금수강산면, 대가면, 벽진면, 초전면, 월항면[칠곡] 왜관읍, 북삼읍, 석적읍, 지천면, 동명면, 가산면, 약목면, 기산면[고령] 대가야읍, 덕곡면, 운수면, 성산면, 다산면, 개진면, 우곡면, 쌍림면[성주] 성주읍, 선남면, 용암면, 수륜면, 가천면, 금수강산면, 대가면, 벽진면, 초전면, 월항면[칠곡] 왜관읍, 북삼읍, 석적읍, 지천면, 동명면, 가산면, 약목면, 기산면[고령] 대가야읍, 덕곡면, 운수면, 성산면, 다산면, 개진면, 우곡면, 쌍림면[성주] 성주읍, 선남면, 용암면, 수륜면, 가천면, 금수강산면, 대가면, 벽진면, 초전면, 월항면[칠곡] 왜관읍, 북삼읍, 석적읍, 지천면, 동명면, 가산면, 약목면, 기산면[17] 박장호 후보의 고향[18] 이완영 후보의 고향[A] 미군부대가 있는 동네[B] 구미국가산업단지 및 배후 주거지[C] 영진전문대학교 글로벌캠퍼스가 있는 동네[D] 대구예술대학교가 있는 동네[E] 경북과학대학교가 있는 동네[고령] 대가야읍, 덕곡면, 운수면, 성산면, 다산면, 개진면, 우곡면, 쌍림면[성주] 성주읍, 선남면, 용암면, 수륜면, 가천면, 금수강산면, 대가면, 벽진면, 초전면, 월항면[칠곡] 왜관읍, 북삼읍, 석적읍, 지천면, 동명면, 가산면, 약목면, 기산면[27] 김현기 후보의 고향[A] 미군부대가 있는 동네[29] 정희용 후보의 고향[B] 구미국가산업단지 및 배후 주거지[C] 영진전문대학교 글로벌캠퍼스가 있는 동네[D] 대구예술대학교가 있는 동네[E] 경북과학대학교가 있는 동네[34] 장세호 후보의 고향[고령] 대가야읍, 덕곡면, 운수면, 성산면, 다산면, 개진면, 우곡면, 쌍림면[성주] 성주읍, 선남면, 용암면, 수륜면, 가천면, 금수강산면, 대가면, 벽진면, 초전면, 월항면[칠곡] 왜관읍, 북삼읍, 석적읍, 지천면, 동명면, 가산면, 약목면, 기산면[38] 정석원 후보의 고향[39] 2024년 8월 1일, 금수강산면으로 개칭[A] 미군부대가 있는 동네[41] 정희용 후보의 고향[B] 구미국가산업단지 및 배후 주거지[C] 영진전문대학교 글로벌캠퍼스가 있는 동네[D] 대구예술대학교가 있는 동네[E] 경북과학대학교가 있는 동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