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8 00:08:06

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

AI 기본법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e3f7f5,#203030><tablebgcolor=#e3f7f5,#203030>
파일:대한민국 국장.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e3f7f5,#203030><tablebgcolor=#e3f7f5,#203030> }}}}}}
{{{#fff,#ddd {{{#!wiki style="min-height: 26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8879,#003324> 헌법
憲法
조문 <colbgcolor=#fafafa,#1F2023>전문 · 총강 · 기본권 · 통치구조 (국회 / 정부 / 법원 / 헌법재판소 / 선거관리 / 지방자치) · 경제 · 헌법개정
부속
법령
[총강] 국적법 · 재외동포법 · 영해법 · 북한이탈주민법 · 남북교류협력법 · 국가공무원법 · 정당법 · 정치자금법 / [기본권] 국가인권위원회법 · 형사소송법 · 출입국관리법 · 개인정보 보호법 · 통신비밀보호법 · 방송법 · 신문법 · 언론중재법 · 집시법 · 공직선거법 · 청원법 · 국민참여재판법 · 형사보상법 · 국가배상법 · 범죄피해자 보호법 · 교육기본법 · 최저임금법 · 근로기준법 · 남녀고용평등법 · 노동조합법 · 공무원노조법 / [국회] 국회법(국회사무처법 · 국회도서관법 · 국회예산정책처법 · 국회입법조사처법) · 법령공포법 · 국가재정법 · 국감국조법 · 국회증언감정법 · 인사청문회법 / [정부] 대통령직인수법 · 국민투표법 · 국군조직법 · 계엄법 · 사면법 · 상훈법 · 대통령기록물법 · 전직대통령법 · 국무회의 규정 · 정부조직법(검사정원법 · 검찰청법 · 경찰법 · 국가정보원법) · 감사원법 / [법원] 법원조직법(법관징계법 · 법원설치법 · 판사정원법) · 군사법원법 /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소법 / [선거관리] 선거관리위원회법 / [지방자치] 지방자치법 · 주민등록법 · 주민소환법 · 주민투표법 · 교육자치법
학자 유진오 · 김철수 · 계희열 · 권영성 · 허영 · 성낙인 · 정종섭 · 장영수 · 정회철 · 김하열
결정례 주요 헌재결정례 · 노무현 탄핵 심판(2004헌나1) · 박근혜 탄핵 심판(2016헌나1) · 통합진보당 해산 심판(2013헌다1) · 윤석열 탄핵 심판(2024헌나8) · 군가산점 제도 위헌(98헌마363) · 게리맨더링 관련 결정례 모음(95헌마224 등)
사회법
社會法
경제법 공정거래법 · 기업활동 규제완화에 관한 특별조치법 · 무역거래기반조성에 관한 법률 · 물가안정법 · 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 · 부정경쟁방지법 · 소비자기본법 · 약관법 · 유통산업발전법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 할부거래에 관한 법률
노동법 고용보험법 · 공무원노조법 · 교원노조법 · 근로기준법 (/내용) ·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 남녀고용평등법 · 노동조합법 · 산업재해보상보험법 · 임금채권보장법 · 채용절차법 · 최저임금법 · 파견법
사회보장법 국민건강보험법 · 국민연금법 · 기초생활보장법 · 노인복지법 · 아동복지법 · 사회보장기본법 · 장애인복지법 · 장애인연금법
육법행정법형사법민사법현행 법률
[[틀:대한민국 헌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3f7f5; font-size: .9em;"
}}}}}}}}}}}}

<keepall>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10px); padding-top: 5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e61e2b 10px, transparent 10px calc(100% - 10px), #e61e2b 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e61e2b> 구성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 인사 · 민관합동위원회 · 국민통합위원회 ·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 국방혁신위원회 · 지방시대위원회 · 국가교육위원회 · 10ㆍ29이태원참사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한 특별조사위원회
여당 국민의힘
정책 방향 외교 · 적폐청산 · 국방혁신 4.0 · 국민제안 · 청년보좌역 · 2030 자문단 · 규제혁신 · 여성가족부 폐지 공약 · 주 69시간 근무제 · 과학방역 · 대통령 집무실 이전 · 디지털교과서(AIDT) · 디지털플랫폼정부 · 윤석열 정부 행정안전부의 경찰 통제 강화 · 한전 전력판매 독점 폐지 · 빚투 구제 · 대학 일반재정지원을 위한 평가체제 · 청년도약계좌 · 청년형 소득공제장기펀드 · 일일브리핑 · 담대한 구상 · 북한방송 개방 · 대북 독자제재 · 강제징용 피해배상금 제3자 변제안 · 국가보훈처 승격 · YTN 민영화 · 재외동포청 설립 · K-라이스벨트 · 국가첨단산업벨트 조성계획 · 고향사랑기부제 · 워싱턴 선언 · KCC한빛체 · 우주항공청 설립 · 마약과의 전쟁 · 글로컬대학 30 · 9.19 남북 군사합의 효력 정지 · 어촌복지버스 · IPEF 가입 · CHIP4 가입 · 대구경북통합신공항 · 늘봄학교 · 한국-쿠바 수교 · 수능 출제 방침 지시 ·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 의사인력 수급 개선 · 기업 밸류업 · 해외직구 급증에 따른 소비자 안전 강화 및 기업 경쟁력 제고 방안 · 8.15 통일 독트린 · AI 기본법
평가 정치 (인사) · 경제 (노동 · 부동산) · 사회·문화 · 외교 (미국 · 중국 · 일본 · 북한) · 안보·국방 · 지지율
기타 임기 초 지지율 급락 사태 (원인) · 퇴진 운동 (2024년 윤석열 탄핵 촉구 집회) · 카르텔 · 비상경제민생회의 · 비상계엄 선포
타임라인
2022년 출범 이전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2023년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2024년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비상계엄)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윤석열 개인과 관련된 문서는 틀:윤석열 참고
파일:slogan-removebg-preview.png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법률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3f7f5,#203030><tablebgcolor=#e3f7f5,#203030> 파일:대한민국 국장.svg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
Basic Act on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Creation of a Foundation for Trust
}}} ||
<colbgcolor=#008879,#003324><colcolor=white> 제정 2025년 1월 21일
법률 제20676호
시행 2026년 1월 22일
소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기반정책과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법률]
1. 개요2. 연혁3. 주요 프로그램4. 생성형 AI
4.1. 트랜스포머(인공신경망)
5. 디지털포용법6. 법률 전문7. 관련문서

1. 개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4년 12월 26일자로 국회 본회의에서 ‘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이하 AI기본법) 제정안이 의결됐다고 밝혔다.[2][3] 한편 AI기본법은 2026년 1월 중 시행을 예정하고 있다.

2. 연혁

인공지능(AI)에 관한 국가 차원의 거버너스 체계 정립과 AI 산업의 체계적 육성, AI 위험의 사전예방 등의 내용을 담은 법안이 4년 넘는 논의 끝에 드디어 결실을 보았다는 점에서 이번 AI기본법의 시행 에정은 의미가 깊다. 이는 AI기본법의 초안들이 2021년 7월 국회에서 법안으로 구체적으로 발의된 이후 약 3년6개월만에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논의된 법안으로 제22대 국회에서 여야 합의로 19개 법안을 병합함으로써 맺은 결실이라는 점에서 EU에 이어 세계에서 2번째로 본격적인 시행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4]

3. 주요 프로그램

(1) 국가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인공지능기본계획을 3년마다 수립·시행
(2) 국가인공지능위원회(대통령직속) 운영의 법적 근거
(3) AI 산업육성을 위해 R&D 지원, 표준화, 학습용데이터 시책 수립, AI 도입·활용 지원 등에 대한 정부 지원의 근거를 마련
(4) AI 생태계의 형성 및 발전을 지원
(5) 특히 심층적으로 고영향 AI와 생성형 AI에 대한 안전 및 신뢰 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조치
한편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관 '25. 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안(대안)'은 재적300인중 재석 264인에서 찬성260인과 반대1인 기권3인으로 통과됐다.

4. 생성형 AI

4.1. 트랜스포머(인공신경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트랜스포머(인공신경망)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트랜스포머(인공신경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트랜스포머(인공신경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디지털포용법

한편 디지털포용법은 'AI·디지털 기술을 활용할 줄 아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 사이의 디지털격차는 사회·경제적 불평등으로 이어져 새로운 문제가 되고 있다'는 유상임장관의 언급한바와같이 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AI기본법과 함께 '24. 디지털포용법안(대안)'으로 국회를 통과됐다.

6. 법률 전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법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법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법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관련문서


[법률] [2]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3] \[2200675\] 인공지능산업 육성 및 신뢰 확보에 관한 법률안(김성원의원 등 11인)#[4] 의안정보시스템 \[2111261\] 인공지능 육성 및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법률안(정필모의원 등 23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