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9 01:15:58

디지털포용법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e3f7f5,#203030><tablebgcolor=#e3f7f5,#203030>
파일:대한민국 국장.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e3f7f5,#203030><tablebgcolor=#e3f7f5,#203030> }}}}}}
{{{#fff,#ddd {{{#!wiki style="min-height: 26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8879,#003324> 헌법
憲法
조문 <colbgcolor=#fafafa,#1F2023>전문 · 총강 · 기본권 · 통치구조 (국회 / 정부 / 법원 / 헌법재판소 / 선거관리 / 지방자치) · 경제 · 헌법개정
부속
법령
[총강] 국적법 · 재외동포법 · 영해법 · 북한이탈주민법 · 남북교류협력법 · 국가공무원법 · 정당법 · 정치자금법 · 문화기본법 / [기본권] 국가인권위원회법 · 형사소송법 · 출입국관리법 · 개인정보 보호법 · 통신비밀보호법 · 방송법 · 신문법 · 언론중재법 · 집시법 · 공직선거법 · 청원법 · 국민참여재판법 · 형사보상법 · 국가배상법 · 범죄피해자 보호법 · 교육기본법 · 최저임금법 · 근로기준법 · 남녀고용평등법 · 노동조합법 · 공무원노조법 · 환경정책기본법 / [국회] 국회법(국회사무처법 · 국회도서관법 · 국회예산정책처법 · 국회입법조사처법) · 법령공포법 · 국가재정법 · 국감국조법 · 국회증언감정법 · 인사청문회법 / [정부] 대통령직인수법 · 국민투표법 · 국군조직법 · 계엄법 · 사면법 · 상훈법 · 대통령기록물법 · 전직대통령법 · 국무회의 규정(차관회의 규정) · 정부조직법(검사정원법 · 검찰청법 · 경찰법 · 국가정보원법) · 감사원법 / [법원] 법원조직법(법관징계법 · 법원설치법 · 판사정원법) · 군사법원법 /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소법 / [선거관리] 선거관리위원회법 / [지방자치] 지방자치법 · 주민등록법 · 주민소환법 · 주민투표법 · 교육자치법
학자 유진오 · 김철수 · 계희열 · 권영성 · 허영 · 성낙인 · 정종섭 · 장영수 · 정회철 · 김하열
결정례 주요 헌재결정례 · 노무현 탄핵 심판(2004헌나1) · 박근혜 탄핵 심판(2016헌나1) · 통합진보당 해산 심판(2013헌다1) · 윤석열 탄핵 심판(2024헌나8) · 군가산점 제도 위헌(98헌마363) · 게리맨더링 관련 결정례 모음(95헌마224 등)
사회법
社會法
경제법 공정거래법 · 기업활동 규제완화에 관한 특별조치법 · 무역거래기반조성에 관한 법률 · 물가안정법 · 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 · 부정경쟁방지법 · 소비자기본법 · 약관법 · 유통산업발전법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 할부거래에 관한 법률
노동법 고용보험법 · 공무원노조법 · 교원노조법 · 근로기준법 (/내용) ·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 남녀고용평등법 · 노동조합법 · 산업재해보상보험법 · 임금채권보장법 · 채용절차법 · 최저임금법 · 파견법
사회보장법 국민건강보험법 · 국민연금법 · 기초생활보장법 · 노인복지법 · 아동복지법 · 사회보장기본법 · 장애인복지법 · 장애인연금법
육법행정법형사법민사법현행 법률
[[틀:대한민국 헌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3f7f5; font-size: .9em;"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법률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3f7f5,#203030><tablebgcolor=#e3f7f5,#203030> 파일:대한민국 국장.svg디지털포용법
Digital Inclusion Act
}}} ||
<colbgcolor=#008879,#003324><colcolor=white> 제정 2025년 1월 21일
법률 제20672호[1]
소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디지털포용정책팀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법률]

1. 개요2. 내용3. 연혁4. 시행5. 접근성 Accessibility6. 관련 해외 규정7. 한국의 경우8. 주의 사항

1. 개요

디지털포용 증진과 관련 산업의 육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사회구성원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통합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법.

2. 내용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디지털포용법/내용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디지털포용법/내용#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디지털포용법/내용#|]]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연혁

  • 2024년 12월 20일 고동진 의원 등 108명의 국민의힘 의원들이 발의한 '디지털포용법안'을 중심으로 김장겸, 박충권, 김선교, 임오경, 박민규 의원이 각각 발의한 개정안을 하나의 법률 대안으로 병합해 2024년 12월 26일 제22대 국회 제420회 제1차 본회의에서 투표 의원 263인 중 찬성 의원 263인으로 가결되었다. 법률이 통과되기에 앞서 2024년 11월 22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AI 기본법과 함께 "대한민국이 AI 기술 입국을 하는 길에 중요한 첫걸음을 뗐다"며 AI 분야에 많은 지원을 당부했고 법안이 통과되자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앞으로 디지털포용법 목적 달성을 위해 모든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발언했다.#

4. 시행

당장 내년인 26년 1월 22일부터 전국 공공기관에서 시행되는 법령으로 안그래도 일에 치이고 민원에 치이는 공무원들에게 최대 고민거리이다. 그래도 어떻해 까라면 까야지 현재 디지털포용법에 대한 정보도 해외자료 밖에 없어서 골치가 아플 예정이다. 디지털 포용이라는 개념의 기초가 되는 접근성이라는 개념부터 알아야 하는데 이것부터 진입장벽이 상상 이상으로 높다.

5. 접근성 Accessibility

'접근성'이라는 개념 자체가 비장애인에게는 굉장히 생소 할 수 있다. 국립장애인도서관에 따르면 시각장애, 시력장애, 광각장애, 색각장애, 굴절장애, 조절장애, 양안시장애 등 다양한 시력 장애가 존재하고 저시력자 혹은 노화로 인한 시력 장애 또한 접근성이라는 개념의 도움이 필요하다.

또한 접근성은 시력장애만을 포괄하지 않는다. 청각장애는 물론이며, 거동이 불편한 환자 혹은 키오스크 등이 어려운 노령층, 그리고 발달장애를 겪고 있는 사람들 등의 디지털 소외계층을 위해 만들어진 표현이자 개념으로 모든 사회구성원들이 차별없이, 그리고 소외없이 사회의 많은 서비스와 프로덕트를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누릴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한다.

6. 관련 해외 규정

이러한 접근성 중에서도 독서경험, 혹은 디지털 경험의 차원에서 다양한 국제 표준 규정들이 존재한다. 다만 웹 기반 표준 국제 규정인 WCAG(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자료의 경우 영문으로 빼곡하게 50장의 페이지로 구성되어있고, 유럽에서 규정하는 EN 301 549(EU표준) 또한 만만치 않은 양을 자랑한다.


7. 한국의 경우

한국의 경우에는 KWCAG라는 규정 등이 있는데 업데이트 되기 전의 해외 표준 규정들을 가져와서 K만 붙여놓은 것이라고 볼 수 있어 해당 자료 확인 시 주의가 필요하다. 즉, 정부가 제시하고 당장 내년인 26년 1월부터 시행하겠다 선포한 디지털 포용법은 아직 그 규정이 명확하게 정리된 자료도 없고 공공기관의 실무자들이 이미 많은 일을 하면서 병행할 수 있는 수준의 양이 아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과 예산, 그리고 인력이 반드시 필요한 상황으로 ???:차라리 죽여줘 크고 작은 난관이 다양하게 눈 앞에 펼쳐질 예정이다. 실무진의 입장에서는 무시무시한 아마겟돈이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지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기관이나 기업은 찾기 어려운 상황이기도 하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유튜브에서 디지털 포용법을 위해 국립장애인도서관이나 대표적인 접근성 관련 기업[(1)] 자료들을 확인해볼 수 있다. 디지털 포용법이라는 개념부터 접근성의 필요성 그리고 이 둘 모두를 기반으로 공공기관 실무자들이 갈려가면서 만들어야 할 디지털 접근성 PDF 자료들을 어떻게 만들고 어떻게 검수하고 어떻게 배포하는지 등등의 자료들이 옛날 자료들도 조금 있어 영상들이 러프한 편이긴 하다 도움이 될 수도 있다.

8. 주의 사항

일부 TTS기반 업체들이 접근성을 위해 자신들의 서비스 혹은 프로덕트가 도움이 될 수 있다며 간도 크지 어필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제대로된 접근성을 기대하긴 어렵다. 이러한 단순 TTS 서비스 업체들은 단순한 오디오북 시연에 그치기 때문이다. 이미 오디오북은 협력사에서 개발한 DAISY라는 유서깊은 서비스가 국장도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진정으로 접근성을 마주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진 않는다.
[1] 2026.1.22. 시행예정[법률] [(1)] 보인정보기술(https://boini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