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점의 종류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0%; min-height: 2em;" {{{#!folding [ 운영 방식별 분류 ] {{{#!wiki style="margin: -5px 0;" | <colbgcolor=#eee,#000> 도매상 | 도매 시장 |
| 소매상 | • 공공 시장 - 지방 정부 소유 건물이나 땅에 개별 점포가 입점 전통시장 · 수산시장 · 야시장 · 시전 · 벼룩시장 · 5일장 • 기업형 소매 시장 - 기업 소유 건물이나 땅에 개별 브랜드가 입점 쇼핑몰 · 백화점 · 면세점 · 아울렛 • 소매점 단독 슈퍼마켓(슈퍼마트) · 할인점(울트라마트) · 편의점 · 대리점 · 체인점 · 플래그십 스토어 · 팝업스토어 · 노점 · 노포 · 구멍가게 |
- [ 업종별 분류 ]
| | |
| 루이 비통 메종 서울 | |
| 언어별 명칭 | |
| 한국어 | 플래그십 스토어 |
| 영어 | Flagship Store |
| 일본어 | フラッグシップストア |
1. 개요
플래그십 스토어를 한국어로 쉽게 풀이하자면 주력/대표 매장이라고 할 수 있다. 영단어 플래그십(기함)이 지휘선을 뜻하는 것에서 파생되어 '주력 상품'을 의미하게 된 것과 마찬가지로, 플래그십 스토어는 당 지부의 중소규모 매점을 통솔하는 굵은 가지, 즉 대표적인 매장을 의미한다.브랜드에 따라선, 플래그십 스토어란 용어 외 '글로벌 스토어', '메가 스테이지', '에피센터'와 같은 조금씩 다른 용어로 이를 표현하기도 한다.
2. 현황
처음에는 주로 해외 유명 브랜드 업체에서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강조하고 홍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하였다. 이후 시간이 흘러 디지털 제품 및 SPA 브랜드, 패션 잡화 브랜드, 스포츠 브랜드, 슈즈 멀티숍, 가구나 대형서점까지 업계 전반에서 다양하고 폭넓게 사용되기 시작하였다.플래그십 스토어는 대개 임대료가 많이 비싼 대형 상권 지대[1]에 설치되어 운영하기 때문에[2] 매출이 높더라도 큰 수익을 기대하긴 힘들다. 고로 애초부터 브랜드나 제품의 홍보 효과를 겸해서 설치하는 것. 마찬가지 이유로 플래그십 스토어의 세일즈 직원은 판매 능력보다는 제품 홍보 능력이 높은 직원을 배치하는데, 당연히 초보는 이런 홍보가 상대적으로 힘들기 때문에 매장에서 직접 뽑기보다는 자사 매장에서 숙련된 직원을 데려오는 경우가 많다.
3. 개념
'본점'과는 다른 개념이다. 플래그십 스토어는 국가별, 도시별로 다수를 설치할 수도 있지만 본점은 하나이다.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보통 본점은 1호점, 즉 가장 먼저 개점한 점포가 차지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이마트와 합작하여 세운 '스타벅스 커피 코리아'의 1호점은 스타벅스 이대R점, 본점은 서울 중구 소공로에 위치한 스타벅스 환구단점(구 소공동점)이었지만 국내 스타벅스 플래그십 스토어는 스타벅스 더종로R점이다.[3] 또 애플도 미국에 본점, 삼성도 한국에 본점을 내고 있지만 북미나 중국, 일본 곳곳에 초대형 플래그십 스토어를 설치하는 것과 같은 맥락. 물론 사업을 확장하면서 더 큰 점포를 개점하고 거기를 본점으로 변경할 수는 있다. CGV도 1호점은 서울시 광진구 강변 테크노마트에 위치한 CGV 강변이지만, 플래그십 스토어는 CGV 용산아이파크몰이다.시장 트렌드의 변화, 신제품에 대한 반응을 보기 위해서 설립하는 안테나숍, 특정 제품군의 다양한 브랜드를 진열하여 판매하는 편집숍과 다소 혼동되어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4. 대한민국에 위치한 플래그십 스토어
물론 해당 기업 내에서도 플래그십 스토어가 어디냐에 대해선 평이 조금씩 다를 수도 있다.4.1. 패션
4.1.1. 명품/럭셔리
- 주요 명품 시계 브랜드 (가나다순)
- 주요 명품 주얼리 브랜드 (가나다순)
- 주요 명품 패션 브랜드 (가나다순)
- 겐조
겐조 청담 플래그십 스토어[11]- 구찌
- 구찌 청담 플래그십
구찌 가옥[12]- 꼼데가르송[13]
- 꼼데가르송 한남점
- 끌로에
끌로에 청담 플래그십 스토어[14]- 돌체앤가바나
- 돌체앤가바나 서울 청담 플래그십
- 로로피아나
- 로로피아나 청담 플래그십 스토어
- 로에베
- 까사 로에베 서울
- 리모와
- 리모와 청담 플래그십
- 리모와 명동점
- 릭 오웬스
릭 오웬스 도산 플래그십 스토어[15]- 막스마라
- 막스마라 청담 플래그십
- 몽클레르
- 몽클레르 서울 플래그십 스토어
- 미우미우
- 미우미우 청담점
- 버버리
- 버버리 서울 플래그십 스토어
- 베르사체
- 브루넬로 쿠치넬리
- 브루넬로 쿠치넬리 청담점
- 생 로랑
- 생 로랑 서울 플래그십 스토어
- 셀린느
- 셀린느 청담 플래그십
- 아르마니
- 에르노
- 에르노 청담점
- 지방시
지방시 청담 플래그십 스토어[17]- 코치
코치 청담 플래그십 스토어[18]- 크롬하츠
- 크롬하츠 청담
- 크리스챤 디올
- 하우스 오브 디올
- 디올 성수
- 키톤
- 키톤 청담 플래그십 스토어
- 토리버치
토리버치 청담 플래그십 스토어[19]- 페라가모
- 페라가모 서울 플래그십 스토어
- 펜디
- 팔라초 펜디 서울
- 프라다
- 프라다 청담 플래그십
4.1.2. 매스티지/컨템포러리
- 주요 매스티지 패션 브랜드 (가나다순)
- 주요 컨템포러리 패션 브랜드 (가나다순)
4.1.3. 캐주얼
4.1.4. SPA
4.2. 백화점
4.3. 대형마트
4.4. 영화관
| '''[[대한민국|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colbgcolor=#e42313> 용산아이파크몰 | <colbgcolor=#e02d2d> 월드타워 | <colbgcolor=#351f65> 코엑스 | <colbgcolor=#e60012> 신도림 | |
| 20개관 3,680석 | 20개관 4,180석 | 20개관 2,687석 | 10개관 1,263석 | }}}}}}}}} |
4.5. 자동차 전시장
- 현대자동차
- 제네시스
- 기아
- KG모빌리티
- GM 한국사업장
- 르노코리아
- 로터스자동차코리아
- 로터스 플래그십 전시장
- 서울 플래그십 전시장
- 포르쉐 코리아
- 포르쉐 스튜디오
- 포르쉐 스튜디오 분당
- 포르쉐 스튜디오 송도
- 포르쉐 스튜디오 송파
- 포르쉐 스튜디오 청담
- 포르쉐 스튜디오 한남
4.6. 전자·가전 전시장
4.7. F&B
4.8. 기타
- G2존 - 영등포점, 가산점
- 건담베이스 - 건담베이스 아이파크몰점
- 게임D - 대연점, 남포점
- 교보문고 - 광화문점
- 나이키 - 강남점, 서울점[93]
- 놀부부대찌개 - 타임스퀘어점
- 뉴발란스 - 강남점
- 다이소 - 명동역점, 코엑스몰점
- 디즈니 스토어 - 현대백화점
- 라코스테 - 가로수길점
- 무인양품 - 신촌점, 여의도점
- 묘약 - 인사동 쌈지길 플래그십 스토어
- 스와치 - 명동점
- 스페셜라이즈드 - 한남점
- 아디다스 - 강남점[94], 명동점[95]
- 아미 - 가로수길점
- 아이존 팝 - 기흥액트몬점
- 애니메이트 - 서울홍대점
- 애니플러스샵 - 서울합정점
- 언더아머 - 스타필드 코엑스몰점[96]
- 영풍문고 - 종로점, 여의도점
- 올리브영 - 올리브영N 성수[97]
- 짱오락실 - 홍대점, 부천점
- 카카오프렌즈 - 홍대 플래그십 스토어[98]
- 트라이엄프 - 강동점[99], 강서점, 수원점[100]
- 팝마트 - 홍대 플래그십 스토어
- 퍼니랜드 - 홍대점
- 펀시티 - 건대점
- 한솥도시락 - 청담 플래그십
- 한샘 - 한샘 플래그십 논현
5. 관련 문서
[1] 대표적인 예시로 뉴욕의 5번가에 가보면 각종 유명 브랜드의 플래그십 스토어가 밀집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물론 뉴욕 전체로 봐도 플래그십 스토어가 많긴 하지만.[2] 물론 예외도 있다. 예를 들어 에르메스는 특유의 이미지를 고려해 서울의 대형 상권인 명동 등이 아니라 강남구의 공원 옆에 플래그십 스토어를 설치했다.[3] 현재는 소공동점을 환구단점으로 리뉴얼하고 본점을 스타벅스 별다방점으로 이전하면서 본점도 플래그십 매장으로 취급하고 있다.[예정1] 2025년 하반기 오픈 예정[5] 2008년 9월에 개점하여 2016년 3월에는 매장을 확장하는 대규모 리뉴얼까지 진행했지만 결국 코로나19를 극복하지 못하고 2021년에 폐점하였다. 2016년 대규모 리뉴얼 당시 기사[6] 별도의 플래그십 스토어는 존재하지 않지만 해당 백화점에 입점한 매장을 개점 당시부터 플래그십 스토어로 취급하고 있다. #[7] 최소 2008년 이전부터 영업해왔으며, 2010년 10월과 2018년 2월에는 매장 리뉴얼까지 진행했지만 결국 코로나19를 극복하지 못하고 2021년 여름에 폐점하였다. 2010년 리뉴얼 당시 기사 2018년 리뉴얼 당시 모습[예정2] 2025년 11월 오픈 예정[9] 별도의 플래그십 스토어는 존재하지 않지만 해당 백화점에 입점한 매장을 2023년 4월부터 '하이주얼리 플래그십 스토어'로 지정하였다. # #[예정3] 2027년 오픈 예정 # # #[11] 2016년 4월에 개점하였으나 코로나19를 극복하지 못하고 2021년 초에 폐점하였다. 이후 약 2년 동안 텅텅 비어있다가 현재는 해당 위치에 프라다의 플래그십 스토어가 이전하여 오픈하였다.[12] 2025년 9월까지만 영업하고 10월에 폐점한 것으로 추측된다. #[13] 메인 라인인 '꼼 데 가르송'만 해당된다. 엔트리 라인인 '꼼데가르송 PLAY'는 컨템포러리로 분류된다.[14] 2019년 2월에 개점하였으나 코로나19를 극복하지 못하고 2021년 말에 폐점하였다.[15] 2010년에 개점하였으나 코로나19를 극복하지 못하고 2020년에 폐점하였다. #[16] 별도의 플래그십 스토어는 존재하지 않지만 해당 백화점에 입점한 매장을 개점 당시부터 플래그십 스토어로 취급하고 있다. #[17] 2013년 4월에 가건물 상태로 개점하여 1년 동안 영업하다가 2014년 4월에 1주년 기념 그랜드 오프닝 파티와 함께 정식으로 개점하였지만 실적 부진으로 인해 2018년 3~4월에 폐점하였다. 현재는 해당 부지에 돌체앤가바나의 플래그십 스토어가 이전하여 오픈하였다. 2014년 4월 4일에 열린 1주년 기념 그랜드 오프닝 파티 당시 모습 관련 블로그[18] 2006년 4월에 개점하였으나 2012년 말~2013년 초에 일자미상으로 폐점하였다. 해당 부지는 2018년 3~4월까지 영업했던 지방시의 플래그십 스토어를 거쳐 현재는 돌체앤가바나의 플래그십 스토어가 영업 중이다. 2005년 개점 준비 당시 기사[19] 2010년 6월에 개점하였으나 코로나19를 극복하지 못하고 2020년 11월에 폐점하였다.[20] SPAO 1호점이자 전국 최대 규모의 매장이다.[21] # # #[22] 2025년에 공개된 무신사의 메가 플래그십 스토어 브랜드이다. 메가라는 이름에 걸맞게 플래그십 스토어 중에서도 엄청난 면적을 자랑한다.[예정4] 2025년 12월 오픈 예정[예정5] 2026년 오픈 예정[25] 2023년에 공개된 무신사의 플래그십 스토어 브랜드이다. 무신사 스탠다드보다 한 단계 높은 플래그십 매장 전용 브랜드인만큼 사실상 모든 매장이 플래그십 스토어에 해당된다.[26] 2023년 10월 27일 오픈. 무신사 최초의 플래그십 스토어이며, 전국 최대 규모의 매장이다. 2025년 2월에 리뉴얼 오픈하였다. # #[27] 2023년 11월 17일 오픈. 무신사의 두 번째 플래그십 스토어이며, 수도권 최초의 무신사 스토어이다. # # #[28] 2024년 9월 13일 오픈. # 각종 지도 앱에서는 특수문자 표기 문제로 @ 없이 '무신사 스토어 성수 대림창고'로 등록되어 있다.[29] 2025년 8월 1일 오픈. # # #[30] 무신사 최초의 오프라인 매장이자 무신사 스탠다드의 첫 번째 플래그십 스토어이다. # #[31] 무신사 스탠다드의 두 번째 플래그십 스토어이다. #[32] 5층짜리 건물을 통째로 사용하며, 서울 최대 규모의 매장이다. # # #[33] 패션 불황을 견디지 못하고 2020년 10월 25일에 폐점하였다. # 참고로 2022년 말에 개점한 강남대로점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34] # # #[35] 기존의 LG전자 베스트샵 청구점을 리모델링하여 매장이 매우 넓다. 1~2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탑텐과 탑텐 키즈가 모두 입점해있다. #[36] 세 지점 모두 에비뉴엘이 존재한다.[2조] 연매출 2조 이상 점포[38] 매출 집계는 백화점(본관) + 에비뉴엘(신관) + 영플라자를 모두 포함한다.[3조] 연매출 3조 이상 점포[에루샤] 에루샤(에르메스, 루이 비통, 샤넬) 입점 점포[41] 매출 집계는 백화점(본관) + 에비뉴엘(신관) + 월드몰 + 캐슬플라자를 모두 포함한다.[1조] 연매출 1조 이상 점포[43] 매출 집계는 백화점 + 에비뉴엘을 모두 포함한다.[1조] [에루샤] [3조] [에루샤] [2조] [에루샤] [50] 전세계에서 가장 큰 백화점으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1조] [에루샤] [53] 수도권 외 지방 점포의 총괄 운영을 담당하는 제2운영본부가 위치해있으며, 전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백화점이다.[1조] [에루샤] [1조] [1조] [1조] [1조] [에루샤] [61] 3대 명품 브랜드인 에르메스, 루이 비통, 샤넬을 모두 대한민국 최초로 입점시킨 백화점이다.[62] 주요 백화점 브랜드 중 유일하게 연매출이 1조가 넘는 점포가 없으며, 3대 명품 브랜드인 에르메스, 루이 비통, 샤넬이 입점한 점포가 하나도 없다.[63] 구로본점이 폐점된 후 평택점이 서류상 본점이 되긴 했지만 플래그십으로 내세우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64] 구로본점 폐점 이후로 사실상 본점 역할을 맡고 있는 핵심 점포이다.[65] 구.삼성플라자[66] 더 타운몰(구.이마트타운)이라는 플래그십 브랜드를 별도로 보유하고 있다. 2024년에는 스타필드마켓을 런칭하였고, 주요 점포들을 스타필드마켓으로 리뉴얼하는 등 사실상 새로운 플래그십 브랜드가 되었다. 기존의 더 타운몰 브랜드도 그대로 사용 중이지만 더 타운몰 킨텍스점처럼 스타필드마켓으로 리뉴얼 된 점포도 있다.[67] 더 타운몰 1호점. 전국 이마트 매출 1위 지점이며, 더 타운몰로 리뉴얼 되기 전부터 지금은 폐점된 성수점과 함께 플래그십 점포였다. 서울권 이마트 점포 중 최대 규모이기도 하다.[68] 더 타운몰 2호점. 전국 이마트 매출 3위 지점이다.[69] 스타필드마켓 1호점. 전국 이마트 매출 2위 지점이다.[70] 스타필드마켓 2호점. 더 타운몰 3호점. 이마트타운 1호점.[71] 스타필드마켓 3호점.[72] 스타필드마켓 4호점. 비수도권에서 최초로 스타필드마켓으로 전환된 지점이다.[73] 롯데마트 제타플렉스라는 플래그십 브랜드를 별도로 보유하고 있다.[74] 롯데마트 제타플렉스 1호점.[75] 롯데마트 제타플렉스 2호점.[76] 기존에 플래그십 브랜드라고 볼 수 있는 THE PLUS MALL과 CORNERS가 있었으나 2022년 이후로 해당 점포 대부분을 메가푸드마켓으로 리뉴얼하였으며, 동시에 메가푸드마켓 신규 점포도 다수 오픈하면서 사실상 새로운 플래그십 브랜드가 되었다.[77] 메가푸드마켓 라이브 1호점. 홈플러스 본사 소재지이다.[78] 서울에서 최초로 메가푸드마켓으로 전환된 지점이며, 전국 홈플러스 중 세 번째로 큰 점포이다.[79] 메가푸드마켓 라이브 3호점. 경기도에서 최초로 메가푸드마켓으로 전환된 지점이며, 전국 홈플러스 점포 중 매출 최상위권을 기록하고 있다.[80] 메가푸드마켓 1호점. 메가푸드마켓 라이브 2호점.[81] CORNERS 2호점.[82] THE PLUS MALL 1호점. CORNERS 1호점. 부산에서 최초로 메가푸드마켓으로 전환된 지점이며, 전국 홈플러스 점포 중 최대 규모이다.[83] 메가푸드마켓 2.0 1호점. 메가푸드마켓 라이브 4호점.[84] 비수도권에서 최초로 메가푸드마켓으로 전환된 지점이며, 전국 홈플러스 중 두 번째로 큰 점포이다.[85] 각 지역의 플래그십 점포 역할을 맡고 있다.[86] 2023년에 상하이 지점이 오픈하기 전까지 약 20년 동안 전 세계 코스트코 점포 중에서 매출 1위를 유지하였다.[87] 현대자동차의 고성능 서브 브랜드인 현대 N 전용 특별 전시장이었다.[88] 구.BEAT 360[89] 구.GM대우 테마 라운지[90] 전세계 500번째 매장.[91] 지금까지 개장한 Apple Store 중 가장 넓은 매장.[92] 본점은 금정구에 있다.[93] 명동거리 안에 있으며 2021년 8월 12일에 롯데백화점 본점 바로 맞은 편에 있는 눈스퀘어 1F~3F에 확장이전하면서 전에 있던 장소보다 대중교통의 접근성이 훨씬 나아졌다. 참고로 롯본 에비뉴엘동과 본관동에 걸친 나이키메가샵도 플래그십 수준까지는 아니더라도 상당히 큰 규모에 탄탄한 라인업을 자랑한다.[94] 퍼포먼스+오리지널스를 모두 취급하는 지점이다.[95] 명동점의 경우 퍼포먼스+오리지널스를 모두 취급하는 명동 브랜드센터점과 오리지널스 라인만 취급하는 오리지널스 명동점으로 분점되어 있다.[96] 코로나19로 서울특별시 내에 위치한 다른 플래그십 점포들이 극심한 매출 부진으로 모두 문을 닫았는데 유일하게 남아있던 강남점마저 강남대로변의 지가도 오르면서 코엑스몰로 이전했다.[97] 전국 최대 규모 매장이다.[98] 원래 강남, 부산 광복동에도 플래그십 스토어가 있었으나 광복동점은 2024년 6월, 강남점은 2025년 1월 폐점되어 홍대점 하나만 남았다.[99] 국내 1호점이자 트라이엄프코리아의 본사이다.[100] 소재지는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