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colbgcolor=#004e6a,#010101><colcolor=#ffffff,#dddddd> 스토리 | |
콘텐츠 | ||
시스템 | ||
아이템 | ||
기타 |
[[원신/무기/한손검| 한손검 ]] | [[원신/무기/양손검| 양손검 ]] | [[원신/무기/장병기| 장병기 ]] | [[원신/무기/법구| 법구 ]] | [[원신/무기/활| 활 ]] |
1. 개요
한손검 Sword | ||
언어별 표기 |
역설적으로 이런 넓은 캐릭터 풀 때문에 성능과 범용성을 모두 잡은 탈4성급 무기[2]가 없는 무기군이기도 한데, 역할군이 워낙 많아 캐릭터마다 필요한 무기가 죄다 다르기 때문이다. 범용성에 중점을 둔 기행 무기나 고성능으로 나오는 한정 4성 무기는 성능 자체가 애매하고 한손검 서포터와 한손검 딜러 둘 다 채용할 수 있는 4성 무기가 없다.
한손검 캐릭터들만의 특징으로, 평타의 첫타를 칠때 사정거리가 약간 모자르면 유효타가 들어가게끔 자동으로 적에게 접근한다. 대검 캐릭터들로 공격을 시작하기 전에 한손검이나 장병기 캐릭터로 선타를 친 뒤 스위칭하는 전법이 유효하다. 타르탈리아의 근접 모드나 라이덴 쇼군의 일반 공격도 시스템 상으로는 한손검과 속성을 공유하는지 동일하게 적용된다.
특이하게 이나즈마 출신의 한손검 캐릭터들은 칼집이 없음에도 공격모션 후에 칼을 납도하는 동작이 있으며[3], 납도 모션을 취하는 순간에는 노란색 미츠도모에 형상이 손에 나타났다가 칼날이 일정한 부분에 닿는 순간 검과 함께 사라진다.[4]
[1] 카즈하, 치치는 예외. 다만 카즈하는 6돌파를 하면 메인딜러로 사용이 가능하다.[2] 타 무기군에는 적어도 1개씩은 존재한다. 양손검은 이무기 검, 장병기는 어획, 법구는 음유시인의 악장과 황금 호박 프로토타입, 활은 절현이 탈4성급으로 꼽힌다.[3] 사무라이로 대표되는 도검주의 문화가 강한 근대 일본의 이미지 때문인듯하다.[4] 라이덴 쇼군은 납도 시 나타나는 미츠도모에가 파란색이며, 문양이 사라지면서 특유의 공간을 가르는 이펙트가 한번 번뜩인다. 신이라서 일반 한손검 캐릭터와 차별을 둔듯.
2. 5성
2.1. 상시 기원 획득
2.1.1. 매의 검
외형 변화 전
| 한손검 매의 검 | ||||
페보니우스 기사단의 영혼은 천 년이 지난 지금도, 마치 예전에 이 검을 휘두르던 여걸처럼 정의의 바람으로 간악한 자들을 물리쳐주길 바라고 있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8 ~ 674 | ||||
추가 능력치 | 물리 피해 보너스 9.0% ~ 41.3% | ||||
무기 스킬 | 서풍 매의 투쟁 공격력이 20/25/30/35/40% 증가한다. 피해를 받으면 발동: 투쟁의 깃발을 높이든 서풍 매의 영혼이 깨어나 공격력 100/115/130/145/160%만큼의 HP를 회복하고 주변의 적에게 공격력 200/230/260/290/320%의 피해를 준다. 해당 효과는 15초마다 1번 발동한다 | ||||
획득 경로 | 기원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매의 검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물리 피해 보너스 | |
0 | 1 | 48 | 9.0% | ||
20 | 133 | 15.9% | |||
1 | 164 | ||||
40 | 261 | 23.2% | |||
2 | 292 | ||||
50 | 341 | 26.8% | |||
3 | 373 | ||||
60 | 423 | 30.4% | |||
4 | 455 | ||||
70 | 506 | 34.1% | |||
5 | 537 | ||||
80 | 590 | 37.7% | |||
6 | 621 | ||||
90 | 674 | 41.3%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5성=inline, 아이템이름=매의 검, 돌파1이름=고탑 왕의 잔해, 돌파2이름=고탑 왕의 절망, 돌파3이름=고탑 왕의 조각, 돌파4이름=고탑 왕의 깨진 꿈, 상급1이름=무거운 나팔, 상급2이름=흑동 나팔, 상급3이름=흑수정 나팔, 일반1이름=견고한 화살촉, 일반2이름=날카로운 화살촉, 일반3이름=역전의 화살촉, )] | |
|
기초공격력이 높고, 추가 능력치가 물리 피해 보너스인 한손검. 현재까지 두 옵션을 모두 활용 가능한 물리딜러 한손검 캐릭터가 없으므로 범용성이 상당히 낮다. 무기 스킬의 HP회복도 피해를 입은 후 회복되는 유형이라 소소하게 도움이 될뿐 보험은 못 된다. 장점으로는 한손검 중 안개를 가르는 회광과 함께 가장 높은 수치의 기초 공격력으로, 기초 공격력에 기반한 서포터 캐릭터가 공격력만 보고 채용할 수 있다.
베넷이 종결 무기로 사용한다. 베넷의 원소 폭발은 기초공격력에 따른 공격력 버프 효과를 부여하므로 가장 높은 공격력 버프량[5]을 공급할 수 있다. 단점으로는 기초공격력 이외의 옵션이 없는 수준이기 때문에 세팅에서 원소 충전 효율 요구량이 상당히 높다. 이런 원충 문제 때문에 공격력 버프를 약간 포기하고 원충 세팅이 수월한 천공의 검을 사용하는 유저도 많다.
진도 힐량이 공격력을 따라가는 만큼 본인의 딜과 힐량을 올리기에도 유용하게 쓸 수 있다. 물론 진은 딜량을 적극적으로 챙기는 편이 아니고 힐량도 충분해서 보통은 원충세팅이 편한 원충무기를 사용하는 편.
한 때, 예외적으로 각청이 두 옵션 모두 사용했었다. 다만 매의 검 각청은 물리 피해에 특화된 게 아니라 서비스 초기 번개 속성의 악재를 극복하기 위한 차선책으로 사용하였다. 때문에 다른 5성 무기가 나오자 빠르게 사장되었다.
2번째 돌파 시, 천공 시리즈처럼 형광색으로 눈에 띄게 바뀐다. 때문에 외형에 대해서도 호불호가 갈리는 편. 그외에는 무기 디자인이 진과 어울린다. 초대 페보니우스 단장 바네사가 페보니우스 성당을 세운 뒤에 사용했던 검이라는 설정도 진과 연결점이 존재한다.
여행자를 주력으로 사용하는 초반에 획득하면 여타 5성 무기보다도 좋은 무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일반 공격은 케이아의 계수가 더 높기는 하지만 속성 변경이 가능한 여행자의 포텐셜이 높은 편이고[6] 5성 캐릭터로 다양한 파티 구성을 짤 수 있게될 때 까지는 여행자는 필수적이므로 어차피 육성을 해야 하는데, 이 때 필연적으로 일반공격내지 강공격을 자주 쓰게 되므로, 물리 데미지를 올려주면서 회복 및 범위 공격이 붙은 매의 검은 큰 도움이 된다. 특히 파티내에 전문 힐러를 두지 않는 최근 메타를 고려하면 매의 검은 바람 행자의 회복 특성과 맞물려서 생존성을 크게 높혀주기도 하니, 초보자 친화적인 무기라 할 수 있겠다. 허나 반대로 멤버 구성이 완료된 중반 이후에 획득은 함정카드[7]로 작용하니 계륵인 무기.
[5] 버프량 자체는 안개를 가르는 회광과 같은 수치이다. 물론 가치가 높은 무기인 회광을 베넷에 쥐어줄 사람은 거의 없으므로...[6] 특히 풀 속성 추가 이후 여행자의 평가는 크게 변하였다. 물론 이전에도 편리한 유틸성으로 여행자를 활용한 공략법은 있어왔고, 향후 물/불/얼음 속성 추가 이후 더욱 가치가 올라갈 것이다.[7] 물론 없는 것 보다야 낫지만, 다른 5성 무기/캐릭터 획득 기회를 앗아갔다는 점에서 결국은 손해이다.
2.1.2. 천공의 검
외형 변화 전
| 한손검 천공의 검 | ||||
풍룡의 영광을 상징하는 기사검. 잃어버렸다가 오늘날 되찾았다. 현재 검에 바람 신의 축복이 깃들어 있으며, 푸른 하늘과 바람의 힘을 지니고 있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6 ~ 608 | ||||
추가 능력치 | 원소 충전 효율 12.0% ~ 55.1% | ||||
무기 스킬 | 높은 하늘을 뚫는 이빨 치명타 확률이 4/5/6/7/8% 증가한다. 원소폭발 발동 시 파공의 기세를 획득한다: 이동속도+10%, 공격속도+10%. 일반 공격과 강공격이 명중 시 추가로 공격력 20/25/30/35/40%의 피해를 준다. 지속 시간: 12초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획득 경로 | 기원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천공의 검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원소 충전 효율 | |
0 | 1 | 46 | 12.0% | ||
20 | 122 | 21.2% | |||
1 | 153 | ||||
40 | 235 | 30.9% | |||
2 | 266 | ||||
50 | 308 | 35.7% | |||
3 | 340 | ||||
60 | 382 | 40.6% | |||
4 | 414 | ||||
70 | 457 | 45.4% | |||
5 | 488 | ||||
80 | 532 | 50.3% | |||
6 | 563 | ||||
90 | 608 | 55.1%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5성=inline, 아이템이름=천공의 검, 돌파1이름=칼바람 울프의 젖니, 돌파2이름=칼바람 울프의 이빨, 돌파3이름=칼바람 울프의 부서진 이빨, 돌파4이름=칼바람 울프의 그리운 고향, 상급1이름=지맥의 낡은 가지, 상급2이름=지맥의 마른 잎, 상급3이름=지맥의 새싹, 일반1이름=슬라임 응축액, 일반2이름=슬라임청, 일반3이름=슬라임 원액, )] | |
|
베넷, 진 등 원소 폭발 의존도가 높은 한손검 서포터 캐릭터가 쓰기 좋은 무기. 원소 충전 효율과 5성 무기의 높은 공격력을 챙길 수 있다. 다른 천공 시리즈 무기보다 기초 공격력이 낮고 추가 능력치가 높게 설계되어 있고, 무기 스킬의 가치와 재련 효율은 낮은 편에 속한다.
한손검 중 높은 수준의 기초 공격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진과 베넷 등 기초공격력과 원소 충전 효율 옵션 모두를 사용하는 서포터들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기초공격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서포터 캐릭터라면 페보니우스 검의 파티 지원 효과를 누리는 편이 낫다. 절연의 기치 세트를 사용하는 서브딜러 캐릭터도 사용할 수는 있으나 이쪽도 페보니우스 검, 제례검, 아메노마 카케우치카타나 등의 효율 좋은 4성 무기가 포진하고 있어 애매하다.
달빛 속 광경 스토리 중 조왕신 이야기에 대해 다루는 컷신 애니메이션의 마지막 부분에서 여행자가 천공의 검을 들고 있다.[8]
2.2. 한정 기원 획득
2.2.1. 참봉의 칼날
외형 변화 전
| 한손검 참봉의 칼날 | ||||
어떤 특정한 계약을 상징하는 날카로운 검으로 과거 산봉우리를 베어냈다고 전해진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6 ~ 608 | ||||
추가 능력치 | 공격력 10.8% ~ 49.6% | ||||
무기 스킬 | 금빛의 옥 · 제군의 길 보호막 강화 효과가 20/25/30/35/40% 증가한다. 공격 명중 후 공격력이 4/5/6/7/8% 증가한다. 지속 시간: 8초. 최대 중첩수: 5회. 해당 효과는 0.3초마다 1번 발동한다. 또한 보호막 존재 시 해당 효과의 공격력 증가 효과가 100% 증가한다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획득 경로 | 기원(기간 한정)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참봉의 칼날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공격력 | |
0 | 1 | 46 | 10.8% | ||
20 | 122 | 19.1% | |||
1 | 153 | ||||
40 | 235 | 27.8% | |||
2 | 266 | ||||
50 | 308 | 32.2% | |||
3 | 340 | ||||
60 | 382 | 36.5% | |||
4 | 414 | ||||
70 | 457 | 40.9% | |||
5 | 488 | ||||
80 | 532 | 45.3% | |||
6 | 553 | ||||
90 | 608 | 49.6% | }}}}}}}}} |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5성=inline, 아이템이름=참봉의 칼날, 돌파1이름=고운한림의 매끄러운 모래, 돌파2이름=고운한림의 휘암, 돌파3이름=고운한림의 해골, 돌파4이름=고운한림의 신체, 상급1이름=사냥꾼의 제도, 상급2이름=특수 요원의 제도, 상급3이름=검사관의 제도, 일반1이름=부서진 가면, 일반2이름=오염된 가면, 일반3이름=불길한 가면, )] | |||||
|
보호막 관련 효과와 공격력을 주는 제군 시리즈의 5성 한손검. 처음 등장한 순수 딜러용 한손검이다.
다만 제군 시리즈가 공유하는 여러 단점들 때문에 범용 종결급 무기로 취급되진 못하는데, 최대 포텐셜을 위해서는 보호막 서포터가 전제조건이기 때문. 그렇다고 무기 스킬을 위해 보호막 서포터를 일부러 대동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므로 일반적으로는 그냥 보호막 서포터 없이 사용한다.
다른 단점으로는 게임 초창기에 나온 무기라 여러모로 기믹이 구식이라는 것도 문제. 일단 스탯이 모조리 공격력에만 몰려 있어서 효율이 매우 떨어진다. 피해 증가보다 효율이 낮은 공격력 올인 무기이면서 딱히 수치 보정이 되어 있지도 않고, 스택 예열을 요구하면서 지속시간도 은근히 짧은데 대기 상태에서는 스택 갱신도 되지 않아 서브 딜러는 제대로 사용할 수도 없다.
카미사토 아야카가 전용 무기 회광이 없을 때 회광 바로 다음가는 준종결급 무기로 사용할 수 있다. 아야카는 높은 기초 공격력을 가진 캐릭터이고 베넷 파티를 사용하지 않으며 높은 치명타 피해 세팅을 하기 때문에 공격력%가 고효율을 보여주는 캐릭터이기 때문. 무기 스킬의 공격력 %는 아야카에게는 보호막 없이도 충분히 좋은 성능이며 무기 스킬의 짧은 지속시간도 아야카의 원소폭발에 적용시키기에는 충분한 시간이다. 다만 스택을 쌓고 원소 폭발을 사용해야 하므로 사이클이 불편해진다는 단점이 있고, 회광에 비해 성유물 세팅이 까다롭다는 문제가 있다.
1.2버전에 출시되어 복각이 총 두 번 이루어졌다. 먼저 1.5버전 종려 복각 당시에 종려의 전용 무기 관홍의 창을 밀어내고 속세의 자물쇠와 함께 복각되었다. 그리고 무려 15개월이 지나고서야[9] 2.8 후반 비뢰의 고동의 함정 픽으로 재복각하였다.
설정상으로는 암왕제군이 계약을 어겼을 때 말하는 '바위를 먹는 형벌'에서 언급되는 바위가 이 참봉의 칼날로 도려낸 산봉우리이다.
[9] 한정 무기 중에선 가장 긴 텀이며, 기존 기록은 14개월로 관홍의 창이 가지고 있었다. 정작 관홍의 창이 14개월 만에 복각된 원인을 제공한 무기가 참봉의 칼날이란 점이 아이러니.
2.2.2. 반암결록
한손검 반암결록 | |||||
순수한 비취옥을 섬세하게 조각해 만든 의례 보검. 검을 휘두르면 탄식의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4 ~ 542 | ||||
추가 능력치 | 치명타 확률 9.6% ~ 44.1% | ||||
무기 스킬 | 수호자의 무구한 마음 HP가 20/25/30/35/40% 증가하고, 이 무기를 장착한 캐릭터 HP 최대치의 1.2/1.5/1.8/2.1/2.4%에 해당하는 공격력 보너스를 획득한다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획득 경로 | 기원(기간 한정)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반암결록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치명타 확률 | |
0 | 1 | 44 | 9.6% | ||
20 | 110 | 17.0% | |||
1 | 141 | ||||
40 | 210 | 24.7% | |||
2 | 241 | ||||
50 | 275 | 28.6% | |||
3 | 307 | ||||
60 | 341 | 32.5% | |||
4 | 373 | ||||
70 | 408 | 36.3% | |||
5 | 439 | ||||
80 | 475 | 40.2% | |||
6 | 506 | ||||
90 | 542 | 44.1%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5성=inline, 아이템이름=반암결록, 돌파1이름=안개구름 속의 흑연단, 돌파2이름=안개구름 속의 수은단, 돌파3이름=안개구름 속의 금단, 돌파4이름=안개구름 속의 전환, 상급1이름=안개꽃 가루, 상급2이름=안개풀 주머니, 상급3이름=안개 등심, 일반1이름=보물찾기 까마귀 휘장, 일반2이름=실버 까마귀 휘장, 일반3이름=골드 까마귀 휘장, )] | |
|
1.3 패치로 추가된 한손검. 기초 공격력이 낮은 대신 90레벨 기준 44.1%라는 압도적인 치명타 확률 수치를 가진 무기로, 맨몸에 무기만 장착해도 50%에 가까운 치명타 확률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5성 한손검 중에서는 못 쓰는 캐릭터를 찾기가 더 힘들 정도로 최상의 범용성을 가진 무기로 평가받고 있다. 다시 말해 누구에게 쥐어 주어도 제 몫을 발휘할 수 있는 성능을 지녔다는 것. 전용 무기가 확보되지 않은 한손검 메인 딜러들 대부분이 사용할 수 있고, 스킬만 쓰고 퇴장하는 서브 딜러들에게도 세팅의 편의성과 더불어 준수한 딜링 성능을 보여준다. 치명타 세팅을 하는 한손검 캐릭터가 출시되면 일단 반암결록을 끼워 볼 정도로 명실상부한 국밥 무기.
무기 스킬은 HP를 증가시키며 HP에 비례하여 공격력을 1재련 기준 1.2% 증가시켜 주는 단순한 옵션이다. 비슷한 옵션을 가진 호마봉과 비교하면 HP 50% 이상에서 0.8%, HP 50% 미만에서 1.8%로 HP 50% 유지가 가능한 호두를 제외하면 범용성 측면에서 반암결록 쪽이 우세하다. 이는 90레벨 기준 일반적인 세팅에서 대략 공격력 27%~33% 가량에 해당되는 수치인데[10] 다른 5성 무기들의 스킬과 비교했을 때 옵션 양이 꽤 적게 들어간 편이다. 때문에 재련 효율이 좋지 않으나, 치명타 확률 세팅의 이점으로 높은 범용성을 가지기 때문에 굳이 재련을 하기보다는 여러 캐릭터에 나누어 사용하는 유저가 많다.
특히 카미사토 아야토에게는 전용 무기 급의 좋은 시너지를 보이는데, 스킬 피해에 HP 계수가 일부 들어가는 이례적인 설계를 지니고 나왔기 때문이다. 전용 무기로 설계된 후츠의 범용성이 처참한 데에 비해(3.3 버전 기준 아직도 전용 캐릭터인 아야토만 좋은 효율을 보인다.) 두 무기 간의 딜링 성능은 아주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11] 같은 원석 대비 범용성이 뛰어난 반암결록을 뽑아쓰는 것.
아야토와 더불어 알하이탐에게도 전용 무기 바로 다음가는 성능을 보인다. 알하이탐의 캐릭터 특성 상 무기의 의존도가 낮은데다 반암결록은 알하이탐의 전용 무기인 잎을 가르는 빛과 동일한 공격력 수치와 동급의 치명타 수치를 가지고 있어 공격력의 비중이 낮은 알하이탐과 시너지가 좋다. 무엇보다 룩이 전용 무기 급으로 잘 어울린다는 평가가 많다.
각청도 종결 무기로 사용할 수 있다. 회광과 비교할 때 서로 일장일단이 있는 무기로 데미지는 회광이 소폭 높으나 각청의 돌파스탯이 치명타 피해이기 때문에 회광에 비해 반암결록의 치명타 세팅이 훨씬 쉽고 회광처럼 스택 관리가 필요하지 않아 좀 더 무지성 플레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행추에게도 5성 종결 무기로 꼽힌다. 다만 이쪽은 제례검이라는 4성 종결 무기가 있어서 채용률이 높지는 않다. 반암결록 쪽이 딜링 성능은 확실히 뛰어나지만 제례검보다 원충세팅이 어렵기 때문에 반암행추의 최대 문제점인 원충 부족을 같은 물 원소 캐릭터인 야란이 보조하는 식으로 운용한다. 특히 HP까지 올려주는 물 공명을 반암결록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단, 이런 식으로 원충 요원이 더 있는 게 아니라면 행추의 원충을 극단적으로 끌어올려야 한다.
카미사토 아야카도 쓸 수 있으나 치확이 과도하게 높아져 사실상 얼음 4셋을 포기해야 한다.[12] 원소 폭발에 몰빵하는 절연 성유물을 쓰던지. 굳이 얼음 4셋을 쓰고 싶다면 치확을 성유물에서 거의 가져오지 않아야 한다. 이런 단점에도 불구하고 반암 자체가 범용성이 훌륭한 무기다보니 후츠 등과 더불어 전용무기 다음가는 성능을 보여주긴 한다.
여담으로 검 이름에 있는 결록이라는 명칭은 전국시대에 송의 보옥인 '결록(結綠)'에서 따왔다. 결록은 당대 최고라 불리던 4개의 보옥중 하나로 전국책 진(秦)권3(秦策三)에 범수가 진소양왕 36년[13]에 올린 상소문에서 언급한다. 해당 구절은 "군주는 카리스마가 있어야 한다. 착하기만 한 군주는 좋은 신하들을 다 뺏긴다. 천하의 보물들도 사라진 이후에 유명해졌는데 사라지고 난 이후의 유명세는 무슨 소용이 있냐."라는 내용이다.
"신이 듣건데, 주에는 지액(砥厄)이 있으며, 송에는 결록(结绿)이 있으며, 양에는 현려(悬黎)가 있으며, 초에는 화박(和璞)[14]이 있었으니 이 네 보물은 장인이 잃어버린 이후에 천하에서 모두가 알게 되었습니다.
臣聞周有砥厄, 宋有結綠, 梁有懸黎, 楚有和璞, 此四寶者, 工之所失也, 而爲天下名器.
전국책, 진(秦)권3(秦策三) 中
臣聞周有砥厄, 宋有結綠, 梁有懸黎, 楚有和璞, 此四寶者, 工之所失也, 而爲天下名器.
전국책, 진(秦)권3(秦策三) 中
[10] 아야카 27.4%, 각청 28.2%, 행추 28.9%, 아야토 30.2%, 케이아 33.3%. 기초 공격력이 낮을수록, 기초 HP가 높을수록 효율이 높게 나타난다.[11] 1재련 기준 10% 이내[12] 얼음4 세트 기준으로 치확 45%를 초과하면 안되는데, 반암결록 44.1% + 기본 5%만으로도 이미 4.1% 초과다. 여기에 성유물에서 치확 부옵이 하나씩 붙을 때마다 옵션 낭비인 셈.[13] 기원전 271년.[14] 장병기 화박연 또한 여기서 이름이 유래된 것이다.
2.2.3. 오래된 자유의 서약
외형 변화 전
| 한손검 오래된 자유의 서약 | ||||
오래된 노래처럼 푸른 검. 바람의 나라의 자유 맹세처럼 예리한 무기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6 ~ 608 | ||||
추가 능력치 | 원소 마스터리 43 ~ 198 | ||||
무기 스킬 | 항쟁의 실천곡 바람 속을 유랑하는 「천년의 대악장」의 일부분으로 가하는 피해가 10/12.5/15/17.5/20% 증가한다. 원소 반응을 발동할 시 캐릭터는 투쟁의 부적을 1장 획득하며, 0.5초마다 한 번씩 발동하고 캐릭터가 대기 상태일 때도 발동 할 수 있다. 투쟁의 부적 2장 보유 시 부적을 모두 사용하면 파티 내 모든 캐릭터가 12초동안 「천년의 대악장·투쟁의 노래」 효과를 획득한다. 이때 일반 공격, 강공격, 낙하 공격 피해는 16/20/24/28/32% 증가하고, 공격력은 20/25/30/35/40% 증가한다. 발동 후 20초 동안은 투쟁의 부적을 획득할 수 없으며, 「천년의 대악장」 발동 효과는 동일 수치의 다른 효과들과 중첩되지 않는다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획득 경로 | 기원(기간 한정)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오래된 자유의 서약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원소 마스터리 | |
0 | 1 | 46 | 43 | ||
20 | 122 | 76 | |||
1 | 153 | ||||
40 | 235 | 111 | |||
2 | 266 | ||||
50 | 308 | 129 | |||
3 | 340 | ||||
60 | 382 | 146 | |||
4 | 414 | ||||
70 | 457 | 164 | |||
5 | 488 | ||||
80 | 532 | 181 | |||
6 | 563 | ||||
90 | 608 | 198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5성=inline, 아이템이름=오래된 자유의 서약, 돌파1이름=라이언 투사의 족쇄, 돌파2이름=라이언 투사의 쇠사슬, 돌파3이름=라이언 투사의 수갑, 돌파4이름=라이언 투사의 이념, 상급1이름=혼돈의 장치, 상급2이름=혼돈의 회로, 상급3이름=혼돈의 노심, 일반1이름=이능 두루마리, 일반2이름=봉마의 두루마리, 일반3이름=금주의 두루마리 )] | |
|
종말 탄식의 노래, 송뢰가 울릴 무렵의 뒤를 잇는 '천년의 대악장' 시리즈 무기. 종말 탄식의 노래의 검 버전이라는 점에서 따와 '종탄검' 혹은 '서약' 정도로 부른다.
성능상으로는 동시기에 함께 추가된 카즈하에게 특화된 무기로 설계되었지만, 정작 PV 등지에서 카즈하가 사용하는 무기는 서약이 아니라 3성인 흘호 생선회칼이다.[15] 설정, 스토리, 룩 등을 감안하면 원래는 진의 전용 무기였던 것으로 추정되며, 실제로 1.6버전 PV까지만 해도 진이 이 무기를 들고 다녔다.[16] 애초에 「천년의 대악장」 시리즈 자체가 몬드의 무기이며 기존의 종탄/송뢰도 각각 몬드 캐릭터에게 매칭되었음을 생각하면, 이나즈마 출신이자 리월의 함대에 의탁중인 카즈하에게는 어울리지 않는다. 다만 작중 바람 속성이 상징하는 것이 '자유'이고, 카즈하도 자유와 연관이 깊어서 최소한의 연결고리는 존재한다. 룩이 안 어울릴 뿐.[17]
추가 능력치로 원소 마스터리를 200pt 가까이 올려주는 데다가 카즈하의 원소 전투 스킬 특성상 스킬 한번으로 바로 무기 스킬 버프를 발동할 수 있어서 카즈하의 종결무기로 활용된다. 1재련 기준으로 카즈하가 장비하는 경우, 원마 상승에 의한 원소 피해 버프 증가분까지 포함해서 공격력 20%와 피증 24%의 추가 지원이 가능해지는 셈.
주의할 것은 서약의 버프로 올라가는 피해 증가는 일반 공격, 강공격, 낙하 공격으로 한정되어 있다는 것. 따라서 모든 평타가 원소폭발 피해로 취급되는 라이덴 쇼군과 함께 사용할 때는 이 효과를 온전히 받을 수 없음에 유의해야 한다.
카즈하 외에는 진, 쿠키 시노부 등이 사용할 수 있다. 진의 경우에는 파루잔 출시 전까지 소와 함께 사용해 왔는데, 4돌 이상에 풀재련 서약을 장착한 경우 피해 증가 32%/공격력 40%/내성 감소 40%의 무시무시한 버프 효과를 가지게 된다.
쿠키 시노부는 풀 원소 출시 이후 원소 마스터리가 필요하게 되었는데, 현존 한손검 중 가장 높은 원마 수치를 가진 서약은 이 요건을 충족해준다. 또 사이노와 같은 일반 공격 위주의 캐릭터와 함께 사용할 경우 고성능의 버프를 제공해 줄 수도 있다.
그외에는 가끔 알베도가 채용하는 경우도 있다. 알베도 본인의 딜은 기대할 수 없지만 바위 파티 메인 딜러인 아라타키 이토 혹은 노엘에게 버프를 주기 위해서 사용한다. 풀 원소 여행자는 원소 게이지를 채우기 위해 크시포스나 원충 무기를 주는 것이 더 낫다.
스킬 설명문에는 “ 「천년의 대악장」의 수치 효과 중 동일 유형의 수치 효과는 중첩될 수 없다”라고 되어있지만, 보다 정확히는 나중에 발동한 효과가 먼저 발동한 효과를 덮어쓰는 구조다. 때문에 재련 수가 다른 천년의 대악장 시리즈를 동시에 사용하면 오히려 손해를 볼 수도 있다.[18]
[15] 전설 임무에서 흘호 생선회칼을 쓰는 배경 설정도 나왔다. 리월에서 적당히 괜찮아보이는 칼을 골라서 쓰는 것 뿐이라고...[16] 1.6버전 PV 2분 7초 경에서 확인 가능하다.[17] 이후 카즈하의 전설 임무를 클리어 하면 카즈하와 어울리는 디자인의 4성 한손검을 얻을 수 있게 되었으나 이쪽은 성능이 카즈하와 맞지 않는다.[18] 예를 들어 5재련 서약 스킬을 발동하면 공격력 40% / 피증 32% 버프를 받지만, 이후에 바로 1재련 종탄노 스킬을 발동하면 공격력 20% / 피증 32% / 원마 100 버프를 받게 된다.
2.2.4. 안개를 가르는 회광
한손검 안개를 가르는 회광 | |||||
차가운 자색으로 반짝이는 태도, 이름에 「회광」이 들어간 것은 한때 산산이 부서져버렸던 과거 때문이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8 ~ 674 | ||||
추가 능력치 | 치명타 피해 9.6% ~ 44.1% | ||||
무기 스킬 | 무절(霧切) 어검 모든 원소의 피해 보너스를 12/15/18/21/24% 획득하고 「무절(霧切)의 문장」을 획득한다. 무절의 문장: 1/2/3스택의 무절의 문장 보유 시, 각각 8/16/28%·10/20/35%·12/24/42%·14/28/49%·16/32/56%에 해당하는 자신의 원소 타입의 원소 피해 보너스를 획득한다. 캐릭터가 무절의 문장 1스택을 획득할 수 있는 상황: 일반 공격으로 원소 피해를 가하면 5초간 지속. 원소폭발을 발동하면 10초간 지속. 이 외에 캐릭터의 원소 에너지가 100% 미만일 때, 무절의 문장을 1스택 획득한다. 해당 무절의 문장은 캐릭터의 원소 에너지가 가득 차면 사라진다. 무절의 문장의 각 스택 지속 시간은 따로 계산된다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획득 경로 | 기원(기간 한정)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안개를 가르는 회광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치명타 피해 | |
0 | 1 | 48 | 9.6% | ||
20 | 133 | 17% | |||
1 | 164 | ||||
40 | 261 | 24.7% | |||
2 | 292 | ||||
50 | 341 | 28.6% | |||
3 | 373 | ||||
60 | 423 | 32.5% | |||
4 | 455 | ||||
70 | 506 | 36.3% | |||
5 | 537 | ||||
80 | 590 | 40.2% | |||
6 | 621 | ||||
90 | 674 | 44.1%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5성=inline, 아이템이름=안개를 가르는 회광, 돌파1이름=먼바다의 산호 가지, 돌파2이름=먼바다의 옥빛 가지, 돌파3이름=먼바다의 마노 가지, 돌파4이름=먼바다의 금빛 가지, 상급1이름=혼돈의 기관, 상급2이름=혼돈의 중추, 상급3이름=혼돈의 눈동자, 일반1이름=오래된 코등이, 일반2이름=카게우치 코등이, 일반3이름=명검 코등이, )] | |
|
버전 2.0 업데이트에 추가된 기간 한정 기원 5성 한손검. 약칭은 '회광'.
반암결록과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한손검 캐릭터들에게 준종결을 보장하는 범용성이 높은 무기이다. 기초 공격력이 매우 높고 추가 능력치로 치명타 피해를 보정받으며 무기 스킬로 매우 높은 수치의 피해 증가 옵션까지 받을 수 있다. 덕분에 동시기에 함께 픽업한 아야카의 종결 무기로 사용되며, 각청의 종결 무기로서도 각광받는다.
특히 각청의 경우 원소 폭발의 쿨타임이 짧고 필요 에너지도 적어서 피해 증가 옵션을 더 자주 받을 수 있고, 무기 외형마저 번개 딜러인 각청과 잘 어울리기 때문에 아야카보다 오히려 각청의 전용 무기 같다는 반응도 많다.[19] 다만 필요 에너지가 적다고 해서 반드시 좋다고만 할 수는 없는데, 피해 증가 스택의 조건 중 하나가 원소 에너지 100% 미만이므로 쿨타임이 돌아오기도 전에 에너지가 완충된다면 오히려 손해를 볼 수도 있다. 때문에 각청으로 이 무기를 사용한다면 원충 스탯은 되도록 배제해주는 것이 좋다. 2별 이상[20]의 각청이라면 더더욱. 원충 스텟을 배제한만큼 성유물에서 치명타 확률 및 피해 등 딜 관련 옵션을 따로 챙기는 게 더 이득이다.
기초 공격력이 매의 검과 함께 공동 1위라는 점 덕에 베넷의 종결 무기로서도 활용 가능하다. 추가 능력치를 완전히 버리고 무기스킬도 절반은 버려야 하는 매의 검과 달리, 이쪽은 일반 공격 조건 스택을 포기하더라도[21] 1재련 기준 치피 44.1%와 원피증 28%를 얻을 수 있으므로 서포팅과 서브딜링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일반 공격으로 원소 피해를 줄 수 있는 한손검 캐릭터는 아야카, 각청, 카즈하[22], 베넷[23], 여행자[24], 아야토가 있으며, 중운이나 6돌 베넷, 캔디스의 원소 부여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효과를 받을 수 있다. 또한 발동 조건은 일반 공격이라고 되어있지만 실제로는 강공격 시전 시 일반 공격이 빗나가고 강공격만 적중했을 때도 효과가 발동한다.
무절의 문장을 1스택이라도 획득 시, 검에서 보랏빛이 은은하게 빛난다.
스토리가 비뢰의 고동에서 이어진다.
2.0 업데이트 PV에서 라이덴 쇼군이 자신의 가슴에서 뽑아낸 검이 이것이 아니냐는 반응이 있었다. 일단 라이덴의 검은 명확하게 회광보다 길며, 외형적으로는 특히 사각형 코등이에서 차이가 두드러진다. 후에 2.1 버전에서 라이덴 쇼군이 출시되면서 그녀가 사용하는 검은 전대 번개의 신 라이덴 마코토에게 물려받은 "몽상의 일심"이라는 태도로 밝혀졌고 라이덴 전설 임무 2막에 더 자세히 언급된다.[25]
무기 이름은 원신에서도 대표적인 오역으로 꼽히는데, 무기 이름만 보면 마치 안개를 가를 정도로 예리한 회광이라는 검이란 것 같지만 사실 “안개를 가르는”, 무기 스킬의 “무절”, 무기 스토리의 “키리기리”[26]는 모두 중국어 원문이 “雾切”로 같은 단어다. 일본어판에서는 “[ruby(霧切, ruby=きりぎり)]”, 영어판에서는 “Mistsplitter”로 통일해서 번역했지만 한국어판에서만 일관성이 없는 모습을 보인다. 스토리에 따르면 “무절(키리기리)”은 과거에 존재했던 명검의 이름이고, 현재 플레이어가 사용하는 이 무기는 무절(키리기리)의 파편을 재활용한(회광/Reforged) 무기이다.[27] 따라서 “안개를 가르는 회광”은 굳이 단어를 해석해서 풀어 쓴 탓에 본래 의미 조차 해치게 된 심각한 오역이고 “무절의 회광” 또는 “빛을 되찾은 무절”, "키리기리의 회광"으로 번역해야한다. 같은 시리즈의 후발주자들이 모두 "○○의 ○○" 라는 형식으로 맞춰지면서 더더욱 혼자만 튀는 이름이 되었다. 그나마 2.1버전에서 무기 스토리의 "키리기리"가 "무절"로 통일되었지만 정작 가장 중요한 이름은 여전히 그대로다.
[19] 색 배합은 말할 것도 없고, 룩도 일본도 외형이지만 의외로 각청에게도 잘 어울리며, 무기 스킬 또한 각청에게 유용한 옵션이다.[20] 5초마다 원소 입자를 추가 생성[21] 6돌의 경우 이 조건마저도 살릴 수 있다.[22] 6별 한정. 낙하 공격으로는 옵션을 발동시킬 수 없다.[23] 6별 한정. 원소 폭발 장판 내에서만 가능.[24] 바람 한정. 일반 공격 마지막의 원소 추가타로 발동된다. 특이하게도 발동 방식이 같은 바위 행자 패시브로는 발동하지 않는다.[25] 스토리 상으로 몽상의 일심은 라이덴 에이의 영혼이 담겨있는 영물이자 내면세계인 일심정토로 들어가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아이템이라, 아무리 무기 선택이 자유롭다지만 그 상징성이 너무나 크기 때문에 아라타키 이토의 금쇄봉처럼 게임 내에서 착용한 무기와는 별개로 원소폭발 발동 시에만 꺼내는 무기로 고정되었다.[26] 2.0버전 기준 텍스트[27] 참고로 회광(回光)은 회광반조의 회광과 같은 단어로, "빛을 되돌리다" 혹은 "빛이 되돌아오다"라는 의미이니 칼날이 다시 빛나게 된 무절이라는 쪽이 정확한 해석이다.
2.2.5. 하란 월백의 후츠
외형 변화 전
| 한손검 하란 월백의 후츠 | ||||
후츠가 명을 받들어 단조한 걸작. 파도처럼 밀려드는 기세를 보고 「하란(波乱)」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6 ~ 608 | ||||
추가 능력치 | 치명타 확률 7.2% ~ 33.1% | ||||
무기 스킬 | 흐르는 칼날 모든 원소 피해 보너스를 12/15/18/21/24% 획득한다. 근처 파티 내 다른 캐릭터가 원소전투 스킬 발동 시, 해당 무기를 장착한 캐릭터가 「하스이」 효과를 1스택 획득한다. 최대 중첩수: 2스택, 0.3초마다 최대 1회 발동한다. 해당 무기를 장착한 캐릭터가 원소전투 스킬 발동 시, 쌓여있는 「하스이」스택이 있다면 스택을 소모하여 「하란」을 획득한다. 소모한 스택마다 일반 공격 피해가 20/25/30/35/40% 증가한다. 지속 시간: 8초 | ||||
획득 경로 | 기원(기간 한정)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하란 월백의 후츠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치명타 확률 | |
0 | 1 | 46 | 7.2% | ||
20 | 122 | 12.7% | |||
1 | 153 | ||||
40 | 235 | 18.5% | |||
2 | 266 | ||||
50 | 308 | 21.4% | |||
3 | 340 | ||||
60 | 382 | 24.4% | |||
4 | 414 | ||||
70 | 457 | 27.3% | |||
5 | 488 | ||||
80 | 532 | 30.2% | |||
6 | 585 | ||||
90 | 608 | 33.1%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5성=inline, 아이템이름=하란 월백의 후츠, 돌파1이름=나루카미 어령의 은혜, 돌파2이름=나루카미 어령의 환희, 돌파3이름=나루카미 어령의 친애, 돌파4이름=나루카미 어령의 용맹, 상급1이름=어두운 조각상, 상급2이름=흑야의 조각상, 상급3이름=그윽한 조각상, 일반1이름=오래된 코등이, 일반2이름=카게우치 코등이, 일반3이름=명검 코등이 )] | |
|
성능이 일반 공격 위주의 캐릭터에게 맞춰져 있는데, 아야토가 출시된 2.6 패치 시점에서 일반 공격이 주력인 캐릭터는 아야토 뿐이라 다른 한손검 캐릭터는 비뢰의 고동처럼 능력치만 보고 채용하는 게 좋다.
그래도 일단 일반공격 한정으로는 좋은 스펙으로, 1재련 기준 총 52%의 피해증가 수치는 풀스택 아모스의 활과 동급인 수준이다. 게다가 아모스와 달리 이쪽은 추가 능력치가 치명타 확률이라는 고평가받는 옵션이고 스택을 쌓는 조건이 어렵지도 않다. 하스이 스택은 장착한 캐릭터의 오른손의 빛나는 이펙트로 확인할 수 있다. 한손검 딜러 중에서는 당장은 아야토밖에 해당사항이 없지만, 일반 공격을 딜링 수단으로 사용하는 캐릭터이기만 하면 누구나 쓸 수 있는 좋은 잠재력을 지닌 무기인 셈이다. 이미 평타 예능 세팅에서 널리 활약하는 걸 보면 충분히 성능은 입증된 셈.
이름은 안개를 가르는 회광과 마찬가지로 오역이다. 하다 못해 회광은 무기 스킬과 스토리, 같은 무기 시리즈의 작명법으로 대강 이런 이름이라고 유추라도 할 수 있지만 이쪽은 그런 것도 없다. 스토리를 읽어보면 '후츠([ruby(経津, ruby=ふつ)])'라는 도공이 만든 '하란겟파쿠([ruby(波乱月白, ruby=はらんげっぱく)])' 라는 검이고 도공의 이름을 맨 뒤에 붙이는 일본도의 명명법상 '하란겟파쿠 후츠'가 된 것인데, 굳이 '의'를 붙여서 마치 하란과 월백이 후츠를 수식하는 말인 것처럼 보이거나 하란이란 사람이 만든 월백의 후츠란 검으로 보이게 하란과 후츠는 일본식으로 그대로 읽고 월백은 굳이 한국식 한자 독음으로 적어놓아 엉망으로 번역한 것. 올바른 번역을 한다면 원문을 그대로 옮긴 '하란겟파쿠 후츠', 아니면 적당히 의역한 '후츠의 하란겟파쿠'나 '후츠의 파란월백(波乱月白)' 정도로 번역해야한다.
[28] 우인단과 대면하는 부분과 영상 후반부에는 월백의 후츠의 돌파 전 버전을 들고 있다.
2.2.6. 성현의 열쇠
외형 변화 전
| 한손검 성현의 열쇠 | ||||
흑요석으로 만든 한 쌍의 세크헴 중 하나. 모래바다 끝에 숨겨진 낙원의 문을 열 수 있는 열쇠라고 한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4 ~ 542 | ||||
추가 능력치 | HP 14.4% ~ 66.2% | ||||
무기 스킬 | 모래바다에 잠긴 서사시 HP가 20/25/30/35/40% 증가한다. 원소전투 스킬이 적을 명중하면 20초 동안 지속되는 「웅장한 시편」 효과를 획득한다: 장착한 캐릭터 HP 최대치의 0.12/0.15/0.18/0.21/0.24%만큼 원소 마스터리를 획득한다. 해당 효과는 0.3초마다 최대 1회 발동할 수 있다. 최대 중첩수: 3스택. 해당 효과가 3스택 중첩 또는 3스택 중첩 지속 시간이 갱신되면 장착한 캐릭터 HP 최대치의 0.2/0.25/0.3/0.35/0.4%만큼 근처 파티 내 모든 캐릭터의 원소 마스터리가 증가한다. 지속 시간: 20초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획득 경로 | 기원(기간 한정)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성현의 열쇠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HP | |
0 | 1 | 44 | 14.4% | ||
20 | 110 | 25.4% | |||
1 | 141 | ||||
40 | 210 | 37.1% | |||
2 | 241 | ||||
50 | 275 | 42.9% | |||
3 | 307 | ||||
60 | 341 | 48.8% | |||
4 | 373 | ||||
70 | 408 | 54.6% | |||
5 | 439 | ||||
80 | 475 | 60.3% | |||
6 | 506 | ||||
90 | 542 | 66.2%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5성=inline, 아이템이름=성현의 열쇠, 돌파1이름=숲의 이슬을 닮은 동 부적, 돌파2이름=숲의 이슬을 닮은 철 부적, 돌파3이름=숲의 이슬을 닮은 은 부적, 돌파4이름=숲의 이슬을 닮은 금 부적, 상급1이름=파손된 결정, 상급2이름=혼탁한 결정, 상급3이름=찬란하게 빛나는 결정, 일반1이름=빛바랜 붉은 비단, 일반2이름=장식된 붉은 비단, 일반3이름=금자수 붉은 비단, )] | |
|
무기 단일으로 챙겨지는 HP%만 총 86.2(1재련)%-106.2(5재련)%인데, 성유물 주 옵션으로 제공하는 HP%가 20레벨에서 46.6%이므로 거의 성유물 두 개 정도의 수치를 한번에 챙기는 셈이다. 게다가 3.1시점에서 HP% 옵션의 한손검이 반암결록의 20%를 제외하면 아예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현재 HP% 옵션만 보고 사용할 수 있는 무기로선 사실상 유일하다고 봐도 무방하다. 때문에 닐루는 전용무기의 유무 차이가 상당히 큰 편이다. 다만 전무가 없다고 해서 닐루를 못 쓰는 것은 결코 아니니 집착할 필요는 없다.[30] 다르게 말하자면 전용무기로 높아지는 고점이 크다는 것.
무기 스킬은 원소전투 스킬을 적에게 3회 명중시켰을 때 착용자와 파티원에게 원소 마스터리를 공급하는 20초 버프를 부여한다. 또한 이 버프량은 기존의 종탄 시리즈와 같은 고정 수치가 아니고, 5성 무기 중 최초이자 유일하게 착용자 스탯 비례로 파티 버프량이 늘어나는 효과다. 1재련 무기를 착용한 닐루의 경우 HP 70000 세팅에서 파티원 모두에게 140pt, 본인은 140+252pt의 원소 마스터리가 증가한다.[31] 기존에 원마 버프 용도로는 최고봉이었던 종말 탄식의 노래가 재련 수치에 따라 100pt~200pt이고 카즈하의 2돌 효과로 증가하는 원마가 8초 한정 200pt임을 생각하면 가히 최상급의 수치. 단, 버프 자체는 캐릭터를 교체해도 지속되지만 버프를 발동시키기 위한 스택은 장착한 캐릭터가 필드 위에서 e스킬을 명중시켰을 때만 증가하고 장착한 캐릭터가 대기중일 때는 쌓이지 않는다. 대신 지속시간 갱신이 가능해서 한 번 3스택을 쌓아둔 이후로는 E를 리필하는 것으로 무한 유지가 된다.
닐루 이외에도 쿠키 시노부가 사용할 수 있다. 주요 스탯으로 HP와 원소 마스터리를 동시에 써먹는 것은 물론 돌파 스탯조차 HP라서 궁합만 따지면 제 2의 무기 주인이라 해도 무방할 정도. 힐러 세팅 시 힐량 증가를 위한 HP 옵션만 보고 사용하고, 만개팟 원마 세팅시 무기 스킬로 본인 원마+파티원 원마를 수급하면서 힐량 증가까지 노릴 수 있어 효율이 상당히 좋다. 성유물 주 옵션은 전부 원마로 두고 부 옵션으로만 체력을 챙겨도 HP 4만 정도는 달성할 수 있으므로 이때 성현의 열쇠가 제공하는 원소 마스터리는 파티원에게 80pt, 시노부 본인에게 80+144pt라는 대단한 수치다. 현탐 없는 상시 지속임을 감안하면 종탄보다도 원마 평균 버프량이 높고, 본인이 얻는 원마는 추가 능력치가 원소 마스터리 무기인 서약보다 높아지는 수준.
단 시노부의 경우 별자리 4돌파가 이루어져야 원활한 사용이 가능하다. 시노부의 4돌파 평타에 e스킬 판정이 들어가 1스택을 수급할 수 있어 e평q[32] 후 스왑하면 바로 3스택 버프가 돌아간다. 한 번 스킬이 발동된 후엔 지속시간 20초 안에 e스킬을 다시 명중시킬 시 남은 지속시간이 갱신되므로 사이클 자체는 처음 한 번만 돌리면 이후엔 e만 갱신하면 무한 지속인 셈. 별자리 돌파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시노부가 온필드에서 e스킬 3틱의 시간을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33] 이 경우 다른 원마 한손검을 채용하는 편이 낫다. 마침 서약이나 크시포스 등 원마를 확보하면서 파티에도 기여하는 한손검 경쟁자가 많기까지 해서 열쇠의 인기나 사용률이 높지는 않다.
HP 계수 보호막을 지닌 레일라에게도 좋은 무기다. HP 옵션만 보고 보호막 올인 운용을 한다면 페보세팅 종려에 비견되는 보호막 수치를 달성할 수 있다. 다만 종려는 4성 페보창과 3성 흑술창이 세팅을 양분하는 데 반해 이쪽은 4성 페보검과 5성 한정 무기가 비교대상인지라, 상기한 쿠키 시노부와 마찬가지로 5성 전용 무기가 과연 4성 캐릭터에게 주어질 여유가 있을까 하는 최대 장벽이 존재한다.
전용 무기로 출시된 만큼 성능은 닐루에게 잘 맞지만 대신 룩이 역대급으로 안어울린다는 평이 있다.[34] 무기의 스토리도 툴레이툴라 출신 무사인 크시포스의 과거 이야기라 우림지역 캐릭터인 닐루와는 연관이 없다. 이는 방랑자의 전용 무기도 마찬가진데, 이쪽은 무기 이름부터 대놓고 툴레이툴라의 기억이며, 닐루와 같은 우림지역 캐릭터인 방랑자와는 전혀 무관한 스토리를 갖고 있다.
[29] 사용자인 코코미가 닐루처럼 공격력보다 HP의 비중이 높은데도 쓸데없이 기초 공격력을 높게 책정하여 욕을 먹었다.[30] 다른 사례로 카미사토 아야카가 전용무기 유무에 따라 딜량이 무려 30% 가까이도 차이날 수 있지만, 자체 스펙이 워낙 좋은 덕에 딜 보정 스킬 효과가 전무한 4성 단조검을 들고도 충분히 딜러 역할을 해낼 수 있는 것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31] 닐루의 특성 효과를 최대치로 받는 HP 74,444 기준으로는 파티원 149pt, 본인 149+268pt에 달한다. 만약 5재련이라면 이의 2배로 무려 파티원 298pt, 본인 298+536pt가 된다. 상한선이 없기 때문에 특성 효율을 무시하고 체력을 더 올리면 그만큼 버프량이 더 늘어난다.[32] q는 스택에 영향이 없고 만개트리거 겸 e스킬 2틱까지 걸리는 시간을 무적 상태로 안전하게 버티기 위한 용도이므로 원충이 부족하다면 q를 사용하지 않고 그냥 e스킬 2틱을 기다려도 된다.[33] 시노부는 e스킬 후 빠르게 퇴장하고 다른 캐릭터가 원핵을 계속 생성하는 운용을 하는데, 시노부가 오래 나와있는 것 자체가 씨앗 갯수에서 손해가 난다.[34] 묵직한 느낌이 드는 외형이어서 하늘하늘한 느낌의 닐루랑 이질감이 들 정도로 안 어울린다. 그래서인지 심할 경우 족발, 몽둥이라는 멸칭으로 불리며 닐루 소개 영상에선 같은 픽업의 4성 무기인 크시포스의 달빛을 착용하고 나온다.
2.2.7. 잎을 가르는 빛
외형 변화 전
| 한손검 잎을 가르는 빛 | ||||
진귀한 하얀 나뭇가지로 만들어진 도금된 검. 한때 숲을 침식한 암흑의 독을 수도 없이 베어냈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4 ~ 542 | ||||
추가 능력치 | 치명타 피해 19.2% ~ 88.2% | ||||
무기 스킬 | 하얀 달 가지 치명타 확률이 4/5/6/7/8% 증가한다. 일반 공격으로 적에게 원소 피해를 준 후, 일반 공격과 원소전투 스킬의 가하는 피해가 원소 마스터리의 120/150/180/210/240%만큼 증가하는 「가지치기」 효과를 획득한다. 해당 효과는 28회 발동하거나 12초가 지나면 사라진다. 「가지치기」 효과는 12초마다 최대 1회 획득할 수 있다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획득 경로 | 기원(기간 한정)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잎을 가르는 빛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치명타 피해 | |
0 | 1 | 44 | 19.2% | ||
20 | 110 | 33.9% | |||
1 | 141 | ||||
40 | 210 | 49.4% | |||
2 | 241 | ||||
50 | 275 | 57.2% | |||
3 | 307 | ||||
60 | 341 | 65.0% | |||
4 | 373 | ||||
70 | 408 | 72.7% | |||
5 | 439 | ||||
80 | 475 | 80.4% | |||
6 | 506 | ||||
90 | 542 | 88.2%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5성=inline, 아이템이름=잎을 가르는 빛, 돌파1이름=숲의 이슬을 닮은 동 부적, 돌파2이름=숲의 이슬을 닮은 철 부적, 돌파3이름=숲의 이슬을 닮은 은 부적, 돌파4이름=숲의 이슬을 닮은 금 부적, 상급1이름=부서진 갑골, 상급2이름=견고한 갑골, 상급3이름=문양이 새겨진 갑골, 일반1이름=빛바랜 붉은 비단, 일반2이름=장식된 붉은 비단, 일반3이름=금자수 붉은 비단, )] | |
|
알하이탐의 전용 무기로 출시된 한손검. 원마 계수를 지닌 알하이탐에 맞춰 기초 공격력 44족에 추가 능력치가 최대치로 붙어 나왔다. 88.2%의 높은 치명타 피해에 더해 무기 스킬로도 천공의 검과 동일한 수준인 1재련 기준 치명타 확률 4%를 제공하는데, 이를 추가 능력치와 합산하면 치명타 밸류가 총 96.2%로 가장 높은 치명타 옵션을 가진 5성 무기가 된다.
무기 스킬은 같은 시리즈인 사냥꾼의 길과 마찬가지로 원소 마스터리를 계수로 전환하는 계수추가형 버프이다. 알하이탐은 원소 마스터리 스탯을 주력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알하이탐과 좋은 시너지를 보이도록 설계된 옵션이다. 타수와 시간 제한 또한 알하이탐의 온필드 딜사이클에 잘 맞춰져 있어서 불편함 없이 활용할 수 있다. 효과가 발동하면 특유의 효과음과 함께 새싹 같은 문양이 머리 위에 뜨고, 검에는 녹색 아우라가 지속적으로 남는 등 이펙트도 알찬 편이다.
다만 무기 성능을 제대로 발휘하려면 원소 마스터리를 충분히 챙길 필요가 있다. 원마가 낮을 경우 다른 5성 한손검인 반암결록과의 딜 차이가 크지 않게 되기도 한다. 성유물 옵션 및 각종 버프 수단을 동원해 원마를 높게 끌어올림으로써 전용무기의 가치에 걸맞는 격차를 체감할 수 있다.
알하이탐 이외의 캐릭터가 사용할 때는 원소 마스터리가 주력인 한손검 딜러 캐릭터가 없기 때문에[35] 무기 스킬의 효과를 제대로 누리긴 어렵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치명타 옵션 제공량이 역대 최고 수치이기 때문에 사냥꾼의 길과 마찬가지로 치명타 옵션만 보고 사용할 수도 있는 무기이다.
[35] 그나마 각청이 원소 마스터리를 사용하기는 하지만 그마저도 주력으로 챙기는 캐릭터는 아니고, 하필 강공격과 원소 폭발 위주로 사용하는 캐릭터라 무기 스킬과 궁합이 좋지 않다.
3. 4성
3.1. 상시 기원 획득
3.1.1. 페보니우스 검
외형 변화 전
| 한손검 페보니우스 검 | ||||
페보니우스 기사단의 제식 장검. 가볍고 예리할 뿐만 아니라 원소의 힘을 쉽게 끌어낼 수 있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1 ~ 454 | ||||
추가 능력치 | 원소 충전 효율 13.3% ~ 61.3% | ||||
무기 스킬 | 바람과 함께 치명타 시 60/70/80/90/100%의 확률로 소량의 원소 구슬이 생성되고 캐릭터의 원소 에너지를 6pt 회복한다. 해당 효과는 12/10.5/9/7.5/6초마다 1회만 발동한다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획득 경로 | 기원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페보니우스 검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원소 충전 효율 | |
0 | 1 | 41 | 13.3% | ||
20 | 99 | 23.6% | |||
1 | 125 | ||||
40 | 184 | 34.3% | |||
2 | 210 | ||||
50 | 238 | 39.7% | |||
3 | 264 | ||||
60 | 293 | 45.1% | |||
4 | 319 | ||||
70 | 347 | 50.5% | |||
5 | 373 | ||||
80 | 401 | 55.9% | |||
6 | 427 | ||||
90 | 454 | 61.3%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4성=inline, 아이템이름=페보니우스 검, 돌파1이름=고탑 왕의 잔해, 돌파2이름=고탑 왕의 절망, 돌파3이름=고탑 왕의 조각, 돌파4이름=고탑 왕의 깨진 꿈, 상급1이름=무거운 나팔, 상급2이름=흑동 나팔, 상급3이름=흑수정 나팔, 일반1이름=견고한 화살촉, 일반2이름=날카로운 화살촉, 일반3이름=역전의 화살촉, )] | |
|
주로 비교되는 무기는 같은 4성의 제례검이다. 치치, 행추같이 원소 전투스킬의 쿨타임이 길고 가치가 높은 캐릭터는 제례검을 선호하며, 진같이 쿨타임이 빠르며 배터리로써 사용되는 캐릭터는 페보니우스 검을 선호한다. 풀행자는 원소 전투 스킬로 풀 원소 부착, 원소 폭발의존도 모두 높아 상황에 맞게 무기를 선택한다.
진이 도감, 가챠, 캐릭터카드, 게임 플레이 트레일러, 일곱 성인의 소환의 캐릭터 카드에서 사용하는 무기이며, 전신 일러스트와 데인 여담에서는 2번째 돌파 버전을 들고 있다.
솜씨 체험에서 체험 대상 캐릭터가 아닌 체험용 캐릭터는 대부분 이 검을 착용하고 있다. 체험 특성상 원소폭발을 체험하기 쉽게 하기위해 그런 듯.[36]
[36] 이례적으로 1.3버전의 체험용 각청은 페보니우스 검이 아닌 반암결록을 들고 등장했다. 이 때를 기점으로 몇몇 체험용 캐릭터들은 각자의 종결급이나 준종결급 무기를 들고 나오기 시작했다. 레이저, 벤티, 타르탈리아등이 그 예.
3.1.2. 피리검
외형 변화 전
| 한손검 피리검 | ||||
가는 검의 녹슨 표면 아래에 화려한 장식이 은은히 드러난다. 너무 가벼워 휘두를 때 손에 아무런 느낌이 안 든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2 ~ 510 | ||||
추가 능력치 | 공격력 9.0% ~ 41.3% | ||||
무기 스킬 | 화음 일반 공격 또는 강공격 명중 시 화음을 1개 획득한다. 5개의 화음을 모은 후 음률의 힘으로 주변의 적에게 공격력 100/125/150/175/200%의 피해를 준다. 화음 최대 유지 시간: 30초. 0.5초마다 최대 1개의 화음을 획득한다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획득 경로 | 기원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피리검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공격력 | |
0 | 1 | 42 | 9.0% | ||
20 | 109 | 15.9% | |||
1 | 135 | ||||
40 | 205 | 23.2% | |||
2 | 231 | ||||
50 | 266 | 26.8% | |||
3 | 292 | ||||
60 | 327 | 30.4% | |||
4 | 353 | ||||
70 | 388 | 34.1% | |||
5 | 414 | ||||
80 | 449 | 37.7% | |||
6 | 475 | ||||
90 | 510 | 41.3%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4성=inline, 아이템이름=피리검, 돌파1이름=칼바람 울프의 젖니, 돌파2이름=칼바람 울프의 이빨, 돌파3이름=칼바람 울프의 부서진 이빨, 돌파4이름=칼바람 울프의 그리운 고향, 상급1이름=지맥의 낡은 가지, 상급2이름=지맥의 마른 잎, 상급3이름=지맥의 새싹, 일반1이름=슬라임 응축액, 일반2이름=슬라임청, 일반3이름=슬라임 원액, )] | |
|
이벤트에서 5성 한손검 딜러 캐릭터들이 체험 캐릭터로 등장 시 항상 장비하는 무기이다.
스토리는 떠돌이 악단의 피리 연주자 겸 가수였던 여기사의 이야기다.
3.1.3. 제례검
외형 변화 전
| 한손검 제례검 | ||||
기나긴 세월을 거쳐 석화한 검은 의례적인 장식이 여전히 선명하게 보인다. 시간의 바람에 씻긴 축복의 힘을 보유하고 있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1 ~ 454 | ||||
추가 능력치 | 원소 충전 효율 13.3% ~ 61.3% | ||||
무기 스킬 | 침착 원소전투 스킬로 피해를 줄 때 40/50/60/70/80%의 확률로 해당 스킬의 재발동 대기시간이 초기화된다. 해당 효과는 30/26/22/19/16초마다 1회만 발동한다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획득 경로 | 기원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제례검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원소 충전 효율 | |
0 | 1 | 41 | 13.3% | ||
20 | 99 | 23.6% | |||
1 | 125 | ||||
40 | 184 | 34.3% | |||
2 | 210 | ||||
50 | 238 | 39.7% | |||
3 | 264 | ||||
60 | 293 | 45.1% | |||
4 | 319 | ||||
70 | 347 | 50.5% | |||
5 | 373 | ||||
80 | 401 | 55.9% | |||
6 | 427 | ||||
90 | 454 | 61.3%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4성=inline, 아이템이름=제례검, 돌파1이름=라이언 투사의 족쇄, 돌파2이름=라이언 투사의 쇠사슬, 돌파3이름=라이언 투사의 수갑, 돌파4이름=라이언 투사의 이념, 상급1이름=혼돈의 장치, 상급2이름=혼돈의 회로, 상급3이름=혼돈의 노심, 일반1이름=이능 두루마리, 일반2이름=봉마의 두루마리, 일반3이름=금주의 두루마리, )] | |
|
매우 희소한 쿨타임 관련 옵션을 가지고 있어 무기 가치와 재련 효율이 매우 높다. 주로 사용하는 캐릭터는 행추, 치치, 풀행자가 있다. 행추의 경우에는 제례검을 가장 잘 사용하는 캐릭터다. 원소 스킬의 대미지도 높은데다 종결 조합이 맞춰지기 전까지는 범용적으로 쓰기 좋고, 한 번 쓸때마다 2번씩 맞기 때문에 체감 확률도 높아진다. 치치는 원소 스킬 쿨타임이 30초나 되는지라 끊임 없이 힐을 하려면 필수급이고, 풀행자는 원소 부착과 풀부착과 원소 충전을 위해서 사용한다. 그 외 자체 딜은 포기하더라도 원소폭발의 가동률을 올리고 싶으면 대부분 채용이 가능하다. 카즈하도 자체 확산딜과 버프는 조금 포기하더라도 단순히 몹몰이만을 더 중점적으로 사용할 때 이 무기를 들 수 있다.
단점은 재련에 비례해 쿨타임이 줄어들기 때문에 재련 의존도가 높다는 것. 예시로 행추는 원소 스킬 쿨타임이 21초로 3재련 제례검의 스킬 쿨타임인 22초로 비슷해서 3재 이상과 2재 이하의 차이가 꽤 크다.
알베도가 전신 일러스트에서 들고 있는 무기이기도 하다.
무기 설정은 진의 가문인 군힐드 가문에 대해 다루고 있다.
3.1.4. 용의 포효
외형 변화 전
| 한손검 용의 포효 | ||||
조각 문양은 조금 과장된 느낌이 있지만 검의 유연도와 예리함은 손색이 없다. 공기를 가를 때 용의 포효가 들리는 듯하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2 ~ 510 | ||||
추가 능력치 | 공격력 9.0% ~ 41.3% | ||||
무기 스킬 | 따끈따끈 찌릿찌릿 불 원소 또는 번개 원소의 영향을 받은 적에게 가하는 피해가 20/24/28/32/36% 증가한다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활| | ||||
획득 경로 | 기원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용의 포효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공격력 | |
0 | 1 | 42 | 9.0% | ||
20 | 109 | 15.9% | |||
1 | 135 | ||||
40 | 205 | 23.2% | |||
2 | 231 | ||||
50 | 266 | 26.8% | |||
3 | 292 | ||||
60 | 327 | 30.4% | |||
4 | 353 | ||||
70 | 388 | 34.1% | |||
5 | 414 | ||||
80 | 449 | 37.7% | |||
6 | 475 | ||||
90 | 510 | 41.3%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4성=inline, 아이템이름=용의 포효, 돌파1이름=고운한림의 매끄러운 모래, 돌파2이름=고운한림의 휘암, 돌파3이름=고운한림의 해골, 돌파4이름=고운한림의 신체, 상급1이름=사냥꾼의 제도, 상급2이름=특수 요원의 제도, 상급3이름=검사관의 제도, 일반1이름=보물찾기 까마귀 휘장, 일반2이름=실버 까마귀 휘장, 일반3이름=골드 까마귀 휘장, )] | |
|
비슷한 포지션의 칠흑검과 비교 했을 때는 추가 능력치가 공퍼라 성유물 세팅 난이도가 높다. 다만 칠흑검에 비해 무기 스킬 적용 범위가 넓어 최종 셋팅에선 확실하게 용의 포효가 더 강하며, 번개 같은 분노 4세트를 활용하는 촉진 각청일 경우에는 차이가 더 벌어진다.
각청에게 주로 추천되는 무기이나, 꼭 각청이 쓸 필요는 없다. 원소 부착이 조건이기 때문이다. 이 점을 이용했던 캐릭터가 행추로. 무기 풀이 좁았던 서비스 초창기에 엠버의 화살비 같이 원소 부착 주기가 짧은 스킬을 활용해 단시간 폭딜을 넣을 수 있었다.
각청의 공식 PV, 캐릭터 플레이 영상, 데인 여담, 리월 메인 스토리 마신 전투씬, 공식 피규어, 일곱 성인의 소환의 캐릭터 카드에서 착용한 무기다. 성능상으로나 설정상으로나 각청 전용 무기인 셈.
[37] 해당 시리즈 무기는 번역의 비일관성으로 인해 전혀 관계없는 무기로 보이지만, 중국어(匣里) 내지 일본어(匣中) 명칭은 같은 시리즈임을 알 수 있는 명칭이고, 무기 스토리에서도 '리월에서 전해지는 무기'라는 점을 해당 무기 모두가 명시하고 있다
3.2. 한정 기원 획득
3.2.1. 뒷골목의 섬광
외형 변화 전
| |||||
어두운색의 곧은 장검. 뒷골목을 누비던 도적이 사용하던 검이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5 ~ 620 | ||||
추가 능력치 | 원소 마스터리 12 ~ 55 | ||||
무기 스킬 | 골목의 레인저 캐릭터가 가하는 피해가 12/15/18/21/24% 증가한다. 피해를 받은 후, 피해 증가 효과가 5초 동안 사라진다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획득 경로 | 기원(기간 한정)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뒷골목의 섬광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원소 마스터리 | |
0 | 1 | 45 | 12 | ||
20 | 128 | 21 | |||
1 | 154 | ||||
40 | 247 | 31 | |||
2 | 273 | ||||
50 | 321 | 36 | |||
3 | 347 | ||||
60 | 395 | 41 | |||
4 | 421 | ||||
70 | 470 | 45 | |||
5 | 496 | ||||
80 | 545 | 50 | |||
6 | 571 | ||||
90 | 620 | 55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4성=inline, 아이템이름=뒷골목의 섬광, 돌파1이름=고탑 왕의 잔해, 돌파2이름=고탑 왕의 절망, 돌파3이름=고탑 왕의 조각, 돌파4이름=고탑 왕의 깨진 꿈, 상급1이름=무거운 나팔, 상급2이름=흑동 나팔, 상급3이름=흑수정 나팔, 일반1이름=이능 두루마리, 일반2이름=봉마의 두루마리, 일반3이름=금주의 두루마리, )] | |
|
외형적으로는 페보니우스 검의 팔레트 스왑 무기다.
무기 스토리는 과거 몬드 귀족 강점기에 의적으로 활동했던 파르치팔에 대한 이야기다. 스토리를 보면 페보니우스 검이 이 무기를 본따 만들어진 것이라고 하는데, 로렌스 가문의 체제 붕괴 이후 페보니우스 기사단이 버려진 이 검을 수습해 재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3.2.2. 크시포스의 달빛
외형 변화 전
| 한손검 크시포스의 달빛 | ||||
달빛이 반짝이는 고대의 양날 검. 안에는 지금은 침묵한 지니가 깃들어 있다고 한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2 ~ 510 | ||||
추가 능력치 | 원소 마스터리 36 ~ 165 | ||||
무기 스킬 | 지니의 속삭임 10초마다 아래의 효과가 발생한다: 장착한 캐릭터의 원소 마스터리 1pt당 해당 캐릭터의 원소 충전 효율이 0.036/0.045/0.054/0.063/0.072%만큼 증가하고, 해당 증가량의 30%만큼 근처 파티 내 다른 캐릭터의 원소 충전 효율이 증가한다. 지속 시간: 12초. 동명의 무기를 여러 개 장착 시 해당 효과는 중첩이 가능하다. 캐릭터가 대기 상태일 때도 발동된다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획득 방법 | 기원(기간 한정)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크시포스의 달빛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원소 마스터리 | |
0 | 1 | 42 | 36 | ||
20 | 109 | 64 | |||
1 | 135 | ||||
40 | 205 | 93 | |||
2 | 231 | ||||
50 | 266 | 107 | |||
3 | 292 | ||||
60 | 327 | 122 | |||
4 | 353 | ||||
70 | 388 | 136 | |||
5 | 414 | ||||
80 | 449 | 151 | |||
6 | 475 | ||||
90 | 510 | 165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4성=inline, 아이템이름=크시포스의 달빛, 돌파1이름=숲의 이슬을 닮은 동 부적, 돌파2이름=숲의 이슬을 닮은 철 부적, 돌파3이름=숲의 이슬을 닮은 은 부적, 돌파4이름=숲의 이슬을 닮은 금 부적, 상급1이름=파손된 결정, 상급2이름=혼탁한 결정, 상급3이름=찬란하게 빛나는 결정, 일반1이름=빛바랜 붉은 비단, 일반2이름=장식된 붉은 비단, 일반3이름=금자수 붉은 비단, )] | |
|
무기 스킬에 계산되는 원소 마스터리 스탯은 장착한 캐릭터에게 부여된 스탯에도 적용이 되기 때문에 다른 무기의 버프나 각종 캐릭터들의 원마 버프등으로 착용한 캐릭터의 원마가 상승한다면 효율은 더 올라간다. 10초마다 갱신되는 방식이므로 그 사이클 마다 원소 마스터리를 재측정하여 버프가 갱신된다. 반대로 크시포스의 달빛이 다른 캐릭터에게 부여하는 원소 충전 효율 버프는 절연의 기치 성유물 4세트 옵션이나 라이덴 쇼군처럼 원충 스탯을 주 스탯으로 이용하는 캐릭터의 스탯으로 계산되지 않는다. QnA로 설명이 된 부분인데, 특정 스탯에 기반해 스탯 버프를 주는 효과가 서로 영향을 받을 경우 무한 중첩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효과는 서로 영향을 주지 않도록 막아놓았다.
압도적인 성능으로 테스트 버전에서 한 차례 너프를 먹었음에도 불구하고 5재련 무기의 경우 5성 무기인 서약과 비교된다. 범용성이나 딜링 성능은 대부분의 경우 5성 무기인 서약이 우세하나, 사용하는 파티의 사용 편의성과 세팅 난이도를 고려할 때 크시포스가 유리한 경우가 존재한다. 아야카나 향릉처럼 카즈하와 주로 조합되면서 원소폭발을 돌리기 빡빡한 파티원에게 원충을 공급해서 파티에 기름칠을 해 준다거나, 요구 원충 세팅이 덜 된 캐릭터를 파티에 투입이 가능하게 해 주고, 아예 파티원의 원충 스탯을 다른 스탯으로 돌려서 세팅이 가능한 것도 장점. 특히 명함 카즈하의 경우 본인이 받는 효과만으로 원충 사이클을 생략하고 딜을 더 넣을 수 있어서 충분히 그 편의성이 체감될 수준이다.
문제는 4성 픽업 무기는 운이 없으면 5성보다도 뽑기 어렵다는 것. 크시포스 5재련의 난이도는 5성 서약 1재련의 기댓값을 아득히 뛰어넘는다. 물론 서약과 크시포스는 각각 다른 추가적인 사용처가 있기 때문에 서약을 보유했다고 해서 사용가치가 사라지는 무기는 아니다. 1재련만으로도 충분한 성능을 내는 무기인데다 크시포스의 원충 스킬은 파티 내에 크시포스의 달빛을 장착한 캐릭터 수 만큼 중첩되기 때문에 두 자루 이상을 보유하고 일부러 재련하지 않는 유저도 많은 편.
쿠키 시노부도 만개 조합에서 종결 무기로 사용한다. 시노부 역시 카즈하와 똑같이 원소 마스터리를 극한까지 끌어올리는 세팅을 하기 때문에 무기 스킬을 잘 활용하며, 시노부의 원소 충전 효율은 큰 의미가 없지만 만개 파티가 모두 원소 충전 효율에 목마른 캐릭터들이다 보니 가치가 상당히 높다. 주력으로 사용되는 나행시/나야시 엔진만 해도 나히다, 행추, 야란 모두 원소 충전 효율이 중요한 캐릭터들이고, 온필드 딜러로 기용되는 사이노, 카미사토 아야토, 알하이탐 모두 원소 충전 효율을 높게 챙겨야 하는 캐릭터들이다. 즉 자신을 제외한 파티의 모든 캐릭터가 크시포스의 원충 공급을 사용하므로 카즈하보다 크시포스의 중요도가 높다. 문제는 시노부 만개 파티가 크시포스의 픽업이 지난 이후에서야 급부상했다는 것.[38] 시노부를 위해 크시포스의 복각만을 기다리는 유저가 많다. 만약 자신이 만개 파티를 사용하고 서약과 크시포스를 모두 가지고 있다면 서약을 카즈하에게, 크시포스를 시노부에게 주는 것이 효율이 좋다. 무엇보다 시노부가 크시포스를 착용할 경우 원마 몰빵 세팅만으로 번개원소 공급 + 만생탄 딜링 + 회복에 이어 원충 지원까지 하는 어마어마한 덱압축 능력을 지닌 서포터가 된다.[39]
닐루의 경우에도 원마 스탯이 유효하고 풀 원소 파티원들이 대부분 원충 문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카즈하와 같은 이유로 4성 전무 취급이다. 다만 닐루는 HP스탯을 우선시하기 때문에 추가 능력치를 통해 원소 마스터리 스탯을 챙겨오더라도 파티 원충 부여가 카즈하처럼 높지는 않다. 닐루의 주 스탯인 체력계수 한손검이 5성 성현의 열쇠 이외에 아예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전무를 제외한 여타 무기들간의 딜량 차이는 미미한 편.
이외에도 원소 마스터리를 주력으로 쓰면서도 원소 충전 효율을 많이 요구하는 풀행자 정도가 사용이 가능하나 풀행자에 원마 성유물까지 가는 종결 유저가 아니라면 일반적인 원소 충전 효율 성유물에 제례검이나 페보니우스 검 등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닐루가 3.1 버전 PV, 캐릭터 플레이 영상, 데인 여담에서 해당 무기의 2번째 돌파 버전을 사용한다. 또한, 알하이탐이 수메르 마신 임무 3막에서 사이노와 전투를 벌일 때 해당 무기의 돌파 전 버전을 들고 있으며, 3.1 버전 키 비주얼 일러스트에서는 해당 무기의 2번째 돌파 버전을 들고 있다. 레일라 또한 캐릭터 플레이 영상에서 사용한다.
[38] 크시포스의 픽업은 3.1 후반이었는데, 시노부는 3.2 나히다 출시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두각을 드러냈다.[39] 이로 인해 덱 압축을 장점으로 들고온 같은 번개원소 힐러인 도리가 오히려 시노부의 하위호환 취급당하는 현상마저 생길 정도이다.
3.3. 교환 획득
3.3.1. 왕실의 장검
외형 변화 전
| 한손검 왕실의 장검 | ||||
몬드를 지배했던 옛 귀족의 패검. 정교한 장식과 문양은 소유자의 귀한 신분을 드러내고 있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2 ~ 510 | ||||
추가 능력치 | 공격력 9.0% ~ 41.3% | ||||
무기 스킬 | 집중 공격으로 피해를 줄 때마다 치명타 확률이 8/10/12/14/16% 증가한다. 최대 중첩수: 5회. 공격 시 치명타가 발생하면 모든 집중 효과가 사라진다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획득 경로 | 스타라이트 교환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왕실의 장검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공격력 | |
0 | 1 | 42 | 9.0% | ||
20 | 109 | 15.9% | |||
1 | 135 | ||||
40 | 205 | 23.2% | |||
2 | 231 | ||||
50 | 266 | 26.8% | |||
3 | 292 | ||||
60 | 327 | 30.4% | |||
4 | 353 | ||||
70 | 388 | 34.1% | |||
5 | 414 | ||||
80 | 449 | 37.7% | |||
6 | 475 | ||||
90 | 510 | 41.3%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4성=inline, 아이템이름=왕실의 장검, 돌파1이름=고탑 왕의 잔해, 돌파2이름=고탑 왕의 절망, 돌파3이름=고탑 왕의 조각, 돌파4이름=고탑 왕의 깨진 꿈, 상급1이름=무거운 나팔, 상급2이름=흑동 나팔, 상급3이름=흑수정 나팔, 일반1이름=부서진 가면, 일반2이름=오염된 가면, 일반3이름=불길한 가면, )] | |
|
여담으로 무기 설명에 적힌 옛 귀족은 다름 아닌 로렌스 가문을 뜻한다.
베넷이 게임 플레이 트레일러에서, 알베도가 캐릭터 플레이 영상과 데인 여담에서 사용한다.
외형은 제례검의 팔레트 스왑.
3.3.2. 흑암 장검
외형 변화 전
| 한손검 흑암 장검 | ||||
흑암으로 주조한 장검. 검은색의 검신은 핏빛을 은은히 내뿜는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4 ~ 565 | ||||
추가 능력치 | 치명타 피해 8.0% ~ 36.8% | ||||
무기 스킬 | 승승장구 적을 처치한 후 공격력이 12/15/18/21/24% 증가한다. 지속 시간: 30초. 최대 중첩수: 3회. 중첩 1회당 지속 시간은 독립 계산한다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획득 경로 | 스타라이트 교환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흑암 장검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치명타 피해 | |
0 | 1 | 44 | 8.0% | ||
20 | 119 | 14.1% | |||
1 | 144 | ||||
40 | 226 | 20.6% | |||
2 | 252 | ||||
50 | 293 | 23.8% | |||
3 | 319 | ||||
60 | 361 | 27,1% | |||
4 | 387 | ||||
70 | 429 | 30.3% | |||
5 | 455 | ||||
80 | 497 | 33.5% | |||
6 | 523 | ||||
90 | 565 | 36.8%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4성=inline, 아이템이름=흑암 장검, 돌파1이름=고운한림의 매끄러운 모래, 돌파2이름=고운한림의 휘암, 돌파3이름=고운한림의 해골, 돌파4이름=고운한림의 신체, 상급1이름=사냥꾼의 제도, 상급2이름=특수 요원의 제도, 상급3이름=검사관의 제도, 일반1이름=견고한 화살촉, 일반2이름=날카로운 화살촉, 일반3이름=역전의 화살촉, )] | |
|
[40] 스택의 형태는 검붉은 구슬이 하나씩 나타나 검의 코등이 주위를 회전한다.
3.3.3. 칠흑검
외형 변화 전
| 한손검 칠흑검 | ||||
분쟁과 살상을 갈망하는 칠흑 장검. 사람을 피비린내 나는 전투에 극도로 미치도록 만든다고 한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2 ~ 510 | ||||
추가 능력치 | 치명타 확률 6.0% ~ 27.6% | ||||
무기 스킬 | 「정의」 일반 공격과 강공격으로 가하는 피해가 20/25/30/35/40% 증가한다. 또한 일반 공격과 강공격이 치명타 시 공격력의 60/70/80/90/100%에 해당하는 HP를 회복한다. 해당 효과는 5초마다 1번 발동한다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획득 경로 | 진주 기행 Lv.30 보상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칠흑검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치명타 확률 | |
0 | 1 | 42 | 6.0% | ||
20 | 109 | 10.6% | |||
1 | 135 | ||||
40 | 205 | 15.5% | |||
2 | 231 | ||||
50 | 266 | 17.9% | |||
3 | 292 | ||||
60 | 327 | 20.3% | |||
4 | 353 | ||||
70 | 388 | 22.7% | |||
5 | 414 | ||||
80 | 449 | 25.1% | |||
6 | 475 | ||||
90 | 510 | 27.6%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4성=inline, 아이템이름=칠흑검, 돌파1이름=칼바람 울프의 젖니, 돌파2이름=칼바람 울프의 이빨, 돌파3이름=칼바람 울프의 부서진 이빨, 돌파4이름=칼바람 울프의 그리운 고향, 상급1이름=지맥의 낡은 가지, 상급2이름=지맥의 마른 잎, 상급3이름=지맥의 새싹, 일반1이름=슬라임 응축액, 일반2이름=슬라임청, 일반3이름=슬라임 원액, )] | |
|
일반공격과 강공격 위주의 캐릭터가 쓰기 좋은 무기. 녹슨 활이 워낙에 높은 수치여서 그렇지, 5재련의 피해 증가 40%도 4성치고는 결코 적은 수치가 아니다. 녹슨 활과 달리 강공격 피해도 올려준다는 것이 특징. 덤으로 치명타 시 착용자의 HP가 회복되는 효과도 있는데, 5재련 시 5초마다 공격력의 100%로 생각보다 힐량이 꽤 나오는 편. 기행 무기 시리즈 공통점으로 추가 능력치가 치명타 확률이라 성유물 세팅 난이도가 내려가는 것도 장점이다.
잘 사용하는 캐릭터로는 일반공격 메인딜러인 카미사토 아야토가 4성 종결급으로 활용한다. 자버프를 쓰고 딜타임을 길게 가져가는 아야토 입장에선 맞으면서 맞딜을 할 수 있게 해주는 힐 옵션까지 쏠쏠하게 활용할 수 있다.
알하이탐 역시 일반공격 필드딜러라 무기 스킬을 활용하기 매우 쉬우며, 치확을 유효옵으로 사용할 수 있어 마찬가지로 4성 무기들 중에서는 종결 무기로 채용하는 편이다.
아야토, 알하이탐 외에는 한손검 캐릭터 중 일반공격/강공격 딜러가 없기 때문에 딱히 원픽으로 사용하는 캐릭터는 없고, 각청이나 아야카가 무기와 성유물 세팅이 갖춰지기 전에 평타로 딜하려고 임시로 기용하기도 한다.
스토리는 100년 전 페보니우스 기사단의 백색기사가 쓰던 검. 피에 물든 기사도 성유물 세트 스토리와 연결되며, 외형 분위기가 굉장히 흡사하다.
3.4. 이벤트 획득
3.4.1. 부식의 검
외형 변화 전
| 한손검 부식의 검 | ||||
생명을 갈망하는 섬뜩한 검. 드래곤마저 부식할 수 있는 독을 가지고 있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2 ~ 510 | ||||
추가 능력치 | 원소 충전 효율 10% ~ 45.9% | ||||
무기 스킬 | 끝없는 갈망 원소전투 스킬로 가하는 피해가 16/20/24/28/32% 증가하고 원소전투 스킬의 치명타 확률이 6/7.5/9/10.5/12% 증가한다 | ||||
획득 경로 | 「백악과 흑룡」 이벤트 참여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부식의 검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원소 충전 효율 | |
0 | 1 | 42 | 10% | ||
20 | 109 | 17.7% | |||
1 | 135 | ||||
40 | 205 | 25.8% | |||
2 | 231 | ||||
50 | 266 | 29.8% | |||
3 | 292 | ||||
60 | 327 | 33.8% | |||
4 | 353 | ||||
70 | 388 | 37.9% | |||
5 | 414 | ||||
80 | 449 | 41.9% | |||
6 | 475 | ||||
90 | 510 | 45.9%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4성=inline, 아이템이름=부식의 검, 돌파1이름=라이언 투사의 족쇄, 돌파2이름=라이언 투사의 쇠사슬, 돌파3이름=라이언 투사의 수갑, 돌파4이름=라이언 투사의 이념, 상급1이름=무거운 나팔, 상급2이름=흑동 나팔, 상급3이름=흑수정 나팔, 일반1이름=신병의 휘장, 일반2이름=사관의 휘장, 일반3이름=위관의 휘장, )] | |
|
무기 스킬, 기초 공격력, 추가 능력치가 절묘하게 어우러져 원소 전투 스킬이 준수한 캐릭터에게 잘 어울리는 무기다. 특히 잘 사용하는 캐릭터는 진과 알하이탐으로, 진은 풍압검의 한 방 딜을 한 층 더 올릴 수 있고 추가 능력치로 원소 충전 효율까지 챙길 수 있어 딜과 힐을 같이 챙길 수 있는 진의 4성 종결 무기 중 하나다. 알하이탐은 딜의 원천인 빛조각이 원소전투 스킬 판정이라 무기 효과를 온전히 다 받고 원충을 어느정도 챙겨야 하는 알하이탐에게 원충도 유효하다.
문제는 1.2 버전 이후로 이 무기를 복각한 적이 단 한 번도 없어서 3.4 버전이 넘어가는 현재까지 얻을 방법이 없다. 비교적 서비스 초기 시절에 배포했기에 대부분 올드비 유저들만이 지니고 있어 이 점이 심하게 부각되는 편이다.
알베도의 설명에 따르면, 어떠한 저주로 인해 여행자만 사용할 수 있다고 하지만, 실제 게임에서는 당연히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오히려 여행자 전용에 더 가까운 건 바로 위의 강림의 검. 일단 굳이 여행자로 이 무기를 사용한다고 하면 바람으로 쓰든 바위로 쓰든 원소 스킬 계수가 높은 편이므로 성능상으로도 어울리는 무기이긴 하다.
- 전용 재련 아이템 - 부식된 용의 정수
재련 재료 부식된 용의 정수 | |
「부식의 검」 전용 재련 아이템. 드래곤 스파인의 지맥에 퍼져있는 「두린」의 독을 정제하여 얻은 물질이다. 이 물질에 친화적인 「피를 갈망하는 검」에 사용한다면 검의 힘을 증가시킬 수 있다 | |
획득 경로 | 「백악과 흑룡」 이벤트 상점 교환 |
3.4.2. 진사의 방추
외형 변화 전
| 한손검 진사의 방추 | ||||
이 세계에 존재하지 않는 물질로 만든 검, 그 힘은 드래곤을 침식했던 부식의 독마저 막아낼 수 있을 것 같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1 ~ 454 | ||||
추가 능력치 | 방어력 15.0% ~ 69.0% | ||||
무기 스킬 | 무구한 마음 원소전투 스킬 피해량이 방어력의 40/50/60/70/80%만큼 증가한다. 해당 효과는 1.5초마다 최대 1회 발동되며, 원소전투 스킬로 피해를 가한 다음 0.1초 후에 효과가 사라진다 | ||||
획득 방법 | 「눈보라 속 그림자」 이벤트 참여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진사의 방추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방어력 | |
0 | 1 | 41 | 15.0% | ||
20 | 99 | 26.5% | |||
1 | 125 | ||||
40 | 184 | 38.7% | |||
2 | 210 | ||||
50 | 238 | 44.7% | |||
3 | 264 | ||||
60 | 293 | 50.8% | |||
4 | 319 | ||||
70 | 347 | 56.8% | |||
5 | 373 | ||||
80 | 401 | 62.9% | |||
6 | 427 | ||||
90 | 454 | 69.0%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4성=inline, 아이템이름=진사의 방추, 돌파1이름=고탑 왕의 잔해, 돌파2이름=고탑 왕의 절망, 돌파3이름=고탑 왕의 조각, 돌파4이름=고탑 왕의 깨진 꿈, 상급1이름=혼돈의 장치, 상급2이름=혼돈의 회로, 상급3이름=혼돈의 노심, 일반1이름=부서진 가면, 일반2이름=오염된 가면, 일반3이름=불길한 가면, )] | |
|
4성 한손검 중 유일하게 추가 능력치로 방어력이 붙어있다. 색상 배색, 무기 성능, 연금술로 보이는 설정 모두 알베도에게 잘 어울린다. 2.3 업데이트 때 복각한 알베도가 눈보라 속 그림자 이벤트 PV와 캐릭터 체험에서도 이 무기를 들고 있다.
무기 스킬의 피해량 증가는 종려의 특성 ‘호의호식’이나 법구 불멸의 달빛과 같은 메커니즘으로, 스킬의 계수에 방어력의 40~80%만큼 추가 계수가 들어가는 방식이다. 즉, 원소 스킬 레벨10인 알베도가 5재련 진사를 장비한다면 찰나의 꽃 피해 계수가 방어력의 240%에서 방어력의 320%로 증가하므로 최종 데미지가 무려 1.3배로 증가하는 셈. 1.5초마다 한 번만 적용된 후 0.1초가 지나면 사라지기에, 알베도의 원소 전투 스킬 사용시 설치 후 처음으로 터트리는 꽃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주로 비교되는 대상은 여명신검이다. 대미지 고점과 세팅 난이도는 여명신검이 더 좋지만 바위 파티에 딱히 힐러가 없는데다가 침식 기믹이 나올 수도 있어, 범용성은 진사의 방추가 더 좋다.
이벤트 한정 무기라 이벤트 종료 이후 알베도를 획득한 후발주자들의 불만이 있다. 반대로 이미 있는 유저들에게는 알베도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사용할 곳이 없다. 알베도에게 맞춰나온 무기기 때문에 알베도 외에는 사용하기가 힘들다. 이토 출시 이후로 바위 원소의 컨셉이 방어력으로 통일되었기 때문에 추후에 바위속성 한손검이 나오면 채용할 여지는 있다. 다만 이런 경우에도 무기 성능을 온전히 사용하기는 힘들 것이다.
- 전용 재련 아이템 - 「용매」
재련 재료 「용매」 | |
「진사의 방추」 전용 재련 아이템. 은은하게 속세를 초월한 빛을 뿜어내는 은백색 액체. 지상의 존재에겐 뼈도 부식하는 맹독성을 지니고 있지만, 물질을 승화하는 힘도 있다 | |
획득 경로 | 「눈보라 속 그림자」 이벤트 상점 교환 |
3.4.3. 꽃잎비
외형 변화 전
| 한손검 꽃잎비 | ||||
기름종이로 만든 약간 특별한 우산. 오랜 여행으로 비바람에는 익숙해졌지만, 이 우산을 쓴 채 조용히 비가 내리는 풍경을 감상하면 나름의 운치를 느낄 수 있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2 ~ 510 | ||||
추가 능력치 | 원소 마스터리 36 ~ 165 | ||||
무기 스킬 | 괴담 · 빗속을 거니는 외다리 공격이 적을 명중 후, 명중한 1명의 적에게 「우산의 장난」 상태를 부여한다. 지속 시간: 10초. 해당 효과는 15초마다 최대 1회 발동한다. 해당 효과가 지속 중일 때 대상이 사망하면 효과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즉시 초기화된다. 장착 캐릭터가 「우산의 장난」 상태의 적에게 가하는 피해가 16/20/24/28/32% 증가한다 | ||||
획득 방법 | 「아키츠 숲 담력 시험」 이벤트 획득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꽃잎비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원소 마스터리 | |
0 | 1 | 42 | 36 | ||
20 | 109 | 64 | |||
1 | 135 | ||||
40 | 205 | 93 | |||
2 | 231 | ||||
50 | 266 | 107 | |||
3 | 292 | ||||
60 | 327 | 122 | |||
4 | 353 | ||||
70 | 388 | 136 | |||
5 | 414 | ||||
80 | 449 | 151 | |||
6 | 475 | ||||
90 | 510 | 165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4성=inline, 아이템이름=꽃잎비, 돌파1이름=나루카미 어령의 은혜, 돌파2이름=나루카미 어령의 환희, 돌파3이름=나루카미 어령의 친애, 돌파4이름=나루카미 어령의 용맹, 상급1이름=파손된 결정, 상급2이름=혼탁한 결정, 상급3이름=찬란하게 빛나는 결정, 일반1이름=오래된 코등이, 일반2이름=카게우치 코등이, 일반3이름=명검 코등이, )] | |
|
3.3 버전 이벤트 아키츠 숲 담력 시험에서 배포한 한손검 무기. 크시포스의 달빛, 강철 벌침과 동일한 공격력 수치와 원소 마스터리 수치를 배정받았다. 풀 원소와 조합하는 촉진 조합 각청이 쓸 수 있는데 풀 원소 덕분에 각청도 원소 마스터리를 유용하게 쓸 수 있고, 풀 재련 기준으로 피해량이 32% 증가하는데 이는 용의 포효 4재련과 동일한 수치이다. 용의 포효는 공격력을 올려주고 꽃잎비는 원소 마스터리를 올려주니 성유물과 파티 상태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카즈하도 쓸 수 있을것 같지만 오직 장착 캐릭터가 가하는 피해만 증가하기 때문에 딜러로 쓰는게 아닌 이상 무기 효과를 제대로 볼 수가 없다.
역시 가장 잘 쓰는 캐릭터는 알하이탐으로 단일 대상이라면 상당한 효율을 보여주는 편이라 4성 종결무기중 하나로 꼽히고있다.
무기 옵션을 제외하고 원소 마스터리를 주는 4성 한손검이라고 생각해 본다면 기존의 강철 벌침이 하던 역할을 그대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 가성비가 좋은 무기로 활용할 수 있다. 다른 원소 마스터리 한손검인 뒷골목의 섬광, 크시포스의 달빛은 한정 기원인데다 단조 원형이 들어가는 강철 벌침과는 달리 이벤트만 참가하면 사실상 공짜로 주는 무기에 이벤트 무기들이 으레 그렇듯 해당 버전 이벤트 진행 중에 1.5배의 강화 효과를 받기 때문에 무기 레벨업을 하는데 들어가는 재화도 적어 원소 마스터리 한손검을 주로 착용하게 되는 카에데하라 카즈하, 쿠키 시노부, 닐루 등에게 줄 수 있는 좋은 무기로 활약 가능하다.
카고츠루베 잇신 처럼 무기에서 붉게 일렁이는 이펙트가 있으며 눈이 계속 움직인다. 무기의 외형으로 보아 모티브는 일본의 우산 요괴 카라카사.
참고사항으로 고유 효과인 「우산의 장난」 상태는 단 1명의 적에게만 부여하기 때문에 필드 몬스터 전투보다는 토벌 같은 보스전에 훨씬 적합하다. 만약 강철 벌침과 꽃잎비를 모두 보유하고 있다면 시기에 따라 골라 사용하는 것도 좋다.
- 전용 재련 아이템 - 우산용 분말
재련 재료 우산용 분말 | |
「꽃잎비」 전용 재련 아이템. 대나무와 우산을 서로 이어 붙일 때 사용된다. 시간이 흘러 과거의 비가 안개가 되어 사라지더라도, 추억은 우산에 아래 드리운 꿈의 그늘 속에 남아서 그리움을 이어준다 | |
획득 경로 | 「아키츠 숲 담력 시험」 이벤트 상점 교환 |
3.5. 게임 내 획득
3.5.1. 강림의 검
외형 변화 전
| 한손검 강림의 검 | ||||
외형이 독특한 검. 이 세상의 검이 아닌 것 같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39 ~ 440[41] | ||||
추가 능력치 | 공격력 7.7% ~ 35.2% | ||||
무기 스킬 | 현세 강림 다음 플랫폼에서만 적용: "PlayStation Network" 일반 공격과 강공격 명중 후 50%의 확률로 작은 범위 내에 공격력 200%의 피해를 준다. 해당 효과는 10초마다 1회 발동한다. 또한 여행자가 강림의 검을 장착하면 공격력이 66pt 증가한다 | ||||
획득 경로 | PS4/PS5 유저만 획득 가능하며 기본 지급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강림의 검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공격력 | |
0 | 1 | 39 | 7.7% | ||
20 | 94 | 13.5% | |||
1 | 120 | ||||
40 | 176 | 19.7% | |||
2 | 202 | ||||
50 | 229 | 22.8% | |||
3 | 255 | ||||
60 | 282 | 25.9% | |||
4 | 308 | ||||
70 | 335 | 29.0% | |||
5 | 361 | ||||
80 | 388 | 32.1% | |||
6 | 414 | ||||
90 | 440 | 35.2%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4성=inline, 아이템이름=강림의 검, 돌파1이름=칼바람 울프의 젖니, 돌파2이름=칼바람 울프의 이빨, 돌파3이름=칼바람 울프의 부서진 이빨, 돌파4이름=칼바람 울프의 그리운 고향, 상급1이름=지맥의 낡은 가지, 상급2이름=지맥의 마른 잎, 상급3이름=지맥의 새싹, 일반1이름=신병의 휘장, 일반2이름=사관의 휘장, 일반3이름=위관의 휘장, )] | |
|
포식자 활과 더불어 단 둘 뿐인 특정 캐릭터가 착용시 공격력이 상승하는 무기로, 공격력 상승 효과의 수치는 2성 맛없는 공격력 증가 요리랑 같은 수치다.
[41] 기초 공격력 규칙에서 예외인 무기다.
3.5.2. 카고츠루베 잇신
외형 변화 전
| 한손검 카고츠루베 잇신 | ||||
머나먼 북방의 왕국에서 탄생한 명검. 오직 「잇신」이란 두 글자를 위해 귀향길에서 수많은 죄악을 저지른 바 있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2 ~ 510 | ||||
추가 능력치 | 공격력 9.0% ~ 41.3% | ||||
무기 스킬 | 투명한 잇신의 기술 일반 공격, 강공격, 낙하 공격이 적에게 명중 시, 날카로운 바람으로 공격력의 180%에 해당하는 범위 피해를 주고, 공격력이 15% 증가한다. 지속 시간: 8초. 해당 효과는 8초마다 최대 1회 발동한다 | ||||
획득 방법 | 붉은 단풍의 장 제1막 완료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카고츠루베 잇신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공격력 | |
0 | 1 | 42 | 9.0% | ||
20 | 109 | 15.9% | |||
1 | 135 | ||||
40 | 205 | 23.2% | |||
2 | 231 | ||||
50 | 266 | 26.8% | |||
3 | 292 | ||||
60 | 327 | 30.4% | |||
4 | 353 | ||||
70 | 388 | 34.1% | |||
5 | 414 | ||||
80 | 449 | 37.7% | |||
6 | 475 | ||||
90 | 510 | 41.3%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4성=inline, 아이템이름=카고츠루베 잇신, 돌파1이름=금석극화의 가면, 돌파2이름=금석극화의 호교, 돌파3이름=금석극화의 일각, 돌파4이름=금석극화의 귀인, 상급1이름=어두운 조각상, 상급2이름=흑야의 조각상, 상급3이름=그윽한 조각상, 일반1이름=떠도는 정령 코어 껍데기, 일반2이름=떠도는 정령 코어, 일반3이름=떠도는 정령 결정화 코어, )] | |
|
카즈하의 전설 임무를 진행하면서 카즈하가 사용할 때의 이름은 『잇신의 기술』 명검. 전설 임무 완료 후 습득하게 되면 이름이 카고츠루베 잇신으로 바뀐다. 무기의 소유자는 카즈하이고 여행자에게 빌려주겠다는 언급도 없었지만 여행자의 무기칸에 보관되어 있고 다른 캐릭터도 장비할 수 있다.
하지만 무기의 실성능은 카즈하에게 전혀 어울리지 않는다. 카즈하의 전설 임무에서 지급되는 등 룩부터 스토리까지 카즈하를 위해 맞춘 무기지만 정작 게임 내에서는 주력으로 쓸 수 없다는 점에서 불만 여론이 매우 컸다. 이렇게 낸 이유에 관해서는 추후에 나올 풀 원소 캐릭터에 대한 완급 조절 혹은 한정 픽업 캐릭터인 카즈하에게 누구나 획득 가능한 4성 전용 무기를 무료로 지급하는 것이 형평성이 맞지 않는다는 추측이 존재한다.[44]
일단 추가 능력치가 공격력이라 쓸 수는 있지만 성능이 애매하여 계륵이다. 일/강/낙공 시 공격력 상승이라는 효과로 인해 메인딜러가 사용해야 하는데, 마땅히 사용할만한 캐릭터가 적다. 그나마 잘 활용할 수 있는 캐릭터를 찾는다면, 일반공격이나 강공격을 주로 쓰는 평타딜러이자 공격력% 증가 버프를 잘 활용할 수 있는 카미사토 아야토와 각청 정도를 꼽을 수 있다. 각각 칠흑검, 용의 포효라는 종결급 4성 무기가 존재하기 때문에 두 무기가 없을 때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알하이 탐이 있는데, 5성 무기가 없어도 사실상 4성 종결무기인 칠흑검이 있고, 무과금 유저라도 꽃잎비(1인 상대)하고 강철벌침이 존재한다.
외형면에 있어서는 붉은 오오라가 상시 검을 휘감고 있어 5성 무기들보다도 간지가 넘치기에, 외형만으로 사용한다는 평도 종종 볼 수 있다. 소소하지만 다른 무기들과 납・발도 효과음이 다르다.
파루잔과 함께 사용하는 3바람 조합[45]에서 카즈하가 사용해 볼 수는 있겠지만 역시나 공격력에 치중한 능력치 탓에 치명타나 피해증가를 제공하는 무기보다 선호도가 떨어진다.
[42] 무기 인벤토리를 열어보면 아예 1재련 상태가 풀재련 무기처럼 노란색으로 표시되어있다. 데이터 상으로도 2재련 이상이 아예 없다는 뜻.[43] 요도(妖刀). 명칭 그대로 요사스러운 검이란 뜻으로나 검을 소재로 한 동양풍 판타지 장르에서 서양 판타지의 마검이나 저주받은 검의 위치에 해당한다. 때문에 영문판에서는 '저주받은 검'이란 식으로 설명된다.[44] 클레나 알베도도 4성 전용 무기를 무료로 준 전적이 있긴 하지만, 이쪽은 상시 컨텐츠인 전설 임무 보상이 아닌 기간 한정 이벤트 보상으로만 지급되었었다.[45] 바람 원소 메인 딜러 + 파루잔 + 카즈하(서브 딜러)
=====# 「잇신의 기술」 명검 #=====
한손검 「잇신의 기술」 명검 | |||||
불길한 보라색 기운이 감도는 괴이한 요도(妖刀). 사용자의 마음을 조종하는 강력한 힘이 깃들어 있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510 | ||||
추가 능력치 | 공격력 41.3% | ||||
무기 스킬 | 배회하는 칼날 일반 공격, 강공격, 낙하 공격이 적에게 명중 시, 원령을 발동해 공격력의 180%에 해당하는 범위 피해를 주고, 공격력의 100%에 해당하는 HP를 회복한다. 해당 효과는 8초마다 최대 1회 발동한다. 해당 무기를 장착한 캐릭터가 가하는 피해가 50% 감소한다. | ||||
획득 방법 | 획득 불가[A]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잇신의 기술」 명검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공격력 | |
0 | 1 | 42 | 9.0% | ||
20 | 109 | 15.9% | |||
1 | 135 | ||||
40 | 205 | 23.2% | |||
2 | 231 | ||||
50 | 266 | 26.8% | |||
3 | 292 | ||||
60 | 327 | 30.4% | |||
4 | 353 | ||||
70 | 388 | 34.1% | |||
5 | 414 | ||||
80 | 449 | 37.7% | |||
6 | 475 | ||||
90 | 510 | 41.3% |
전설임무 스토리 도중 카즈하가 사용하게 되는 검. 정화되지 않은 상태의 요도이다. 카고츠루베 잇신과 비교했을 때 공격력 증가 효과 대신 체력 회복 효과가 달려있으며, 무엇보다 가하는 피해 감소 50% 효과가 있어 여러 의미로 원신 역사상 전무후무한 무기라고 할 수 있다.[47]
한손검 「잇신의 기술」 명검 | |
불길한 보라색 기운이 감도는 괴이한 요도(妖刀). 검에 숨겨진 사악한 힘과 포악함이 일부 약화되었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510 |
추가 능력치 | 공격력 20.7% |
무기 스킬 | 배회하는 칼날 일반 공격, 강공격, 낙하 공격이 적에게 명중 시, 원령을 발동해 공격력의 180%에 해당하는 범위 피해를 주고, 공격력의 100%에 해당하는 HP를 회복한다. 해당 효과는 8초마다 최대 1회 발동한다. 해당 무기를 장착한 캐릭터가 가하는 피해가 50% 감소한다. |
획득 방법 | 획득 불가[A] |
언어별 표기 |
한손검 「잇신의 기술」 명검 | |||||
형편없이 파손된 요도(妖刀)가 그 실체를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검에 들어 있던 선천적 능력은 이미 기나긴 여정에 소모되어 사라진 지 오래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510 | ||||
추가 능력치 | 공격력 0.0% | ||||
무기 스킬 | 배회하는 칼날 일반 공격, 강공격, 낙하 공격이 적에게 명중 시, 원령을 발동해 공격력의 180%에 해당하는 범위 피해를 준다. 해당 효과는 8초마다 최대 1회 발동한다. 해당 무기를 장착한 캐릭터가 가하는 피해가 50% 감소한다. | ||||
획득 방법 | 획득 불가[A]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잇신의 기술」 명검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공격력 | |
0 | 1 | 42 | 0.0% | ||
20 | 109 | ||||
1 | 135 | ||||
40 | 205 | ||||
2 | 231 | ||||
50 | 266 | ||||
3 | 292 | ||||
60 | 327 | ||||
4 | 353 | ||||
70 | 388 | ||||
5 | 414 | ||||
80 | 449 | ||||
6 | 475 | ||||
90 | 510 |
「잇신의 기술」 명검의 낡아버린 상태. 회복 효과가 사라졌으며 추가 능력치 또한 없다. 정확히는 추가 능력치의 공격력이 0.0%로 표시된다.
[A] 붉은 단풍의 장 제1막에서만 일시적으로 사용 가능.[47] 가하는 피해 감소는 여러번 선보인 적 있지만, 무기 스킬로는 이 무기와 탄궁, 녹슨 활 뿐이다. 그마저도 녹슨 활은 강공격 피해 10% 감소에 그친다.[A] [A]
3.6. 게임 내 제작
3.6.1. 참암 프로토타입
외형 변화 전
| 한손검 참암 프로토타입 | ||||
흑암 공장에 은밀히 보관된 오래된 장검. 수많은 바위를 베어도 칼날이 무뎌지지 않는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4 ~ 565 | ||||
추가 능력치 | 물리 피해 보너스 7.5% ~ 34.5% | ||||
무기 스킬 | 부서진 바위 일반 공격 또는 강공격 명중 시 공격력과 방어력이 4/5/6/7/8% 증가한다. 지속 시간: 6초. 최대 중첩수: 4회. 해당 효과는 0.3초마다 1회만 발동한다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단조 재료 | 북대륙의 한손검 원형 × 1, 백철 × 50, 수정덩이 × 50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참암 프로토타입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물리 피해 보너스 | |
0 | 1 | 44 | 7.5% | ||
20 | 119 | 13.3% | |||
1 | 144 | ||||
40 | 226 | 19.3% | |||
2 | 252 | ||||
50 | 293 | 22.4% | |||
3 | 319 | ||||
60 | 361 | 25.4% | |||
4 | 387 | ||||
70 | 429 | 28.4% | |||
5 | 455 | ||||
80 | 497 | 31.5% | |||
6 | 523 | ||||
90 | 565 | 34.5%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4성=inline, 아이템이름=참암 프로토타입, 돌파1이름=안개구름 속의 흑연단, 돌파2이름=안개구름 속의 수은단, 돌파3이름=안개구름 속의 금단, 돌파4이름=안개구름 속의 전환, 상급1이름=안개꽃 가루, 상급2이름=안개풀 주머니, 상급3이름=안개 등심, 일반1이름=신병의 휘장, 일반2이름=사관의 휘장, 일반3이름=위관의 휘장, )] | |
|
쉽게 얻을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무과금 유저가 캐릭터가 매우 적을 때 케이아에게 주어, 초반 한정 메인딜을 시킬 수 있다. 그외에는 높은 기초 공격력만 보고 베넷에게 주는 게 고려되었으나, 수메르 단조 한손검인 원목 검이 추가 된 이후로는 원목 검을 얻기 전까지 임시로 쓰는 정도.
치치가 자신의 캐릭터 플레이 영상과 데인 여담에서 사용하는 무기이며, 1.6 PV에서는 여행자가 남십자 무술대회에서 사용하는 무기로 나온다.
추가 능력치와 무기 스킬이 동일 시리즈 무기와는 어울리지 않는편이다. 물리 데미지 증가는 강철궁나 유월창[50]과 동일한 시리즈인 강철 벌침[51]이 더 어울리건만, 어째선지 강철 벌침의 추가 능력치가 원소 마스터리이고 본 무기가 물리 데미지이다. 무기 스킬 또한 강철 벌침 시리즈 양손검인 백영검과 본 무기가 같기에[52] 더욱 이질감이 든다. 만약 강철 벌침과 성능이 반대였다면 여행자에게 적절한 무기가 되었겠지만, 3.~ 버전인 현재까지 물리 데미지를 주축으로 하는 한손검 캐릭터가 없다는 점에서 버려질 운명을 피할 수가 없다.
[50] 두 무기 모두 추가 능력치가 물리 데미지 증가이다.[51] 이름부터가 강철인 만큼 물리 데미지가 더 어울린다.[52] 한손검과 양손검의 차이를 고려해서인지 수치상 약간의 차이는 있다.
3.6.2. 강철 벌침
외형 변화 전
| 한손검 강철 벌침 | ||||
외형이 유려하고 가늘고 긴 래피어. 이국에서 상로를 거쳐 리월로 전해져 온 기이한 병기이다. 가볍기 그지없고 검날이 매우 날카롭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2 ~ 510 | ||||
추가 능력치 | 원소 마스터리 36 ~ 165 | ||||
무기 스킬 | 에너지 주입 가시 원소 피해를 가한 후 6초 동안 캐릭터가 가하는 피해가 6/7.5/9/10.5/12% 증가한다. 최대 중첩수: 2회. 해당 효과는 1초마다 1번 발동한다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단조 재료 | 북대륙의 한손검 원형 × 1, 백철 × 50, 수정덩이 × 50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강철 벌침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원소 마스터리 | |
0 | 1 | 42 | 36 | ||
20 | 109 | 64 | |||
1 | 135 | ||||
40 | 205 | 93 | |||
2 | 231 | ||||
50 | 266 | 107 | |||
3 | 292 | ||||
60 | 327 | 122 | |||
4 | 353 | ||||
70 | 388 | 136 | |||
5 | 414 | ||||
80 | 449 | 151 | |||
6 | 475 | ||||
90 | 510 | 165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4성=inline, 아이템이름=강철 벌침, 돌파1이름=흑운철 한 알, 돌파2이름=흑운철 조각, 돌파3이름=흑운철 일각, 돌파4이름=흑운철 덩이, 상급1이름=약한 뼛조각, 상급2이름=단단한 뼛조각, 상급3이름=석화한 뼛조각, 일반1이름=구라구라 꽃꿀, 일반2이름=반짝반짝 꽃꿀, 일반3이름=원소 꽃꿀, )] | |
|
추가 능력치가 원소 마스터리이기 때문에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지만, 원소 마스터리를 주요 능력치로 사용하는 카에데하라 카즈하와 쿠키 시노부의 등장으로 사용처가 생겼다. 다만 이들에게는 3성 무기 암철검이라는 선택지가 있기 때문에 서포팅 하나를 보고 아까운 원형을 소모해 단조하는 것은 생각해 봐야 할 문제. 카즈하에게 암철검과 강철 벌침의 효율은 카즈하 특성의 피해량 증가 수치 0.96% 차이로 거의 차이가 없는 편이고, 공짜 수급이 가능한 암철검이 가성비 면에서 압도한다. 물론 암철검은 1개밖에 얻을 수 없으므로 카즈하와 시노부를 모두 사용한다면 강철 벌침을 단조해서 시노부에게 줄 필요가 있다.
3.1 버전에서 같은 추가 능력치에 자신과 파티원에게 원소 충전 효율을 주는 크시포스의 달빛이 추가되어 벌침의 서포터 무기로서의 입지가 위태로워졌다. 물론 크시포스의 달빛은 한정 무기이기 때문에 접근성 면에서는 벌침이 압도한다. 3.3 버전에서 같은 추가 능력치를 가진 무기인 꽃잎비를 배포했으므로 이벤트에 참여했다면 꽃잎비를 사용하면 된다.
알하이탐은 공격력도 쓰면서 원소마스터리가 주옵이며 원소 피해를 쉽게 가할 수 있는 캐릭터 특유의 특성때문에 해당 무기의 공격력, 부옵(원소마스터리), 무기 스킬까지 알뜰하게 잘 써먹을 수 있는 단조무기로서는 최상의 궁합을 자랑하는 편에 속한다. 칠흑검이 없거나 다른 캐릭터를 쥐어줘야한다면, 혹은 단조 원형만 있다면 5개 무료 재련이 가능한 벌침이 4성 준종결 무기가 되는 편.
이외 주로 사용하는 캐릭터는 쿠키 시노부, 닐루, 각청같은 원소마스터리를 잘 써먹을 수 있는 캐릭터들이 있다. 이 중 각청에게는 피해 증가 최대 24%와 원소 마스터리 165pt라는 좋은 효과를 주어 각청의 딜 상승에 도움을 준다. 단, 용포나 기행검이 있다면 그 쪽이 더 채용 순위가 더 높다. 활성반응의 원마효율은 250pt정도 넘어가면 떨어지기 시작하는데 이는 교관, 종탄, 풀공명, 나히다
무기 스토리는 과거 몬드 귀족 강점기에 의적으로 활동하다 리월로 도망친 파르치팔에 대한 이야기로, 뒷골목 시리즈, 이무기 검, 몰락한 마음 성유물 세트와 스토리가 이어진다.
3.6.3. 아메노마 카게우치가타나
외형 변화 전
| |||||
하늘을 나는 텐구 마저 벨 수 있다는 전설의 명사가 주문한 검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1 ~ 454 | ||||
추가 능력치 | 공격력 12.0% ~ 55.1% | ||||
무기 스킬 | 이와쿠라의 후손 원소전투 스킬 발동 후 계승의 씨앗을 1개 획득하고, 해당 효과는 5초마다 최대 1회 발동된다. 계승의 씨앗 지속시간: 30초. 동시에 최대 3개까지 존재할 수 있다. 원소폭발 발동 후 보유 중인 계승의 씨앗이 모두 소모되며, 2초 후 소모된 계승의 씨앗의 개수에 따라 하나당 해당 캐릭터의 원소 에너지를 6/7.5/9/10.5/12pt 회복한다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단조 재료 | 북대륙의 한손검 원형 × 1, 자수정 덩이 × 50, 백철 × 50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아메노마 카게우치가타나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공격력 | |
0 | 1 | 41 | 12.0% | ||
20 | 99 | 21.2% | |||
1 | 125 | ||||
40 | 184 | 30.9% | |||
2 | 210 | ||||
50 | 238 | 35.7% | |||
3 | 264 | ||||
60 | 293 | 40.6% | |||
4 | 319 | ||||
70 | 347 | 45.4% | |||
5 | 373 | ||||
80 | 401 | 50.3% | |||
6 | 427 | ||||
90 | 454 | 55.1%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4성=inline, 아이템이름=아메노마 카게우치가타나, 돌파1이름=먼바다의 산호 가지, 돌파2이름=먼바다의 옥빛 가지, 돌파3이름=먼바다의 마노 가지, 돌파4이름=먼바다의 금빛 가지, 상급1이름=혼돈의 기관, 상급2이름=혼돈의 중추, 상급3이름=혼돈의 눈동자, 일반1이름=오래된 코등이, 일반2이름=카게우치 코등이, 일반3이름=명검 코등이, )] | |
|
원소 폭발 의존도이 높으면서 원충 부담이 있고, 다른 곳에서 치명타를 챙기기 편한 카미사토 아야카가 특히 잘 사용한다.스택 발동 조건이 단순히 원소 스킬 사용으로, 유지 시간이 30초로 길다.[53] 게다가 각 스택 유지시간이 독립적이 아니라 갱신형이라서[54] 전투 시작하자 마자 바로 E를 눌러 미리 1스택을 쌓으면 원소폭발 발동 전 많은 스택을 유지하기 편하다.
단점으로는 기초 공격력이 41로 매우 낮아, 공격력% 효율이 떨어진다.
외형적인 부분에서 인기가 상당히 높은 무기지만 디자인이 크게 잘 빠졌다기보다는, 다른 이나즈마 무기가 이상하게 생긴 게 크게 작용한다.
여담으로 이름이 100% 일본어로 된 무기인데, 이름을 한국어로 풀어쓴다면 '아메노마의 예비 복제 칼' 정도가 된다. 여기서 "아메노마"는 무기 스토리에서 언급하는 "하쿠엔 미치미츠 아메노마 또는 그 검을 만든 장인 "아메노마"를 뜻하며, "카게우치(影打)"는 장인이 일본도를 만들 때 같은 칼을 여러 자루 만들어서 그 중에 가장 좋은 것[55]을 의뢰인에게 넘겨주고 남은 칼들을 뜻한다. 참고로 원본인 하쿠엔 미치미츠 아메노마는 어떠한 경위로 흘러들어온 것인지 몰라도 연하궁에 녹슨 채로 버려져 있다.
아야카가 2.0 PV[56], 캐릭터 플레이 영상, 데인 여담에서 들고 나오는 무기다. 전형적인 일본의 카타나 디자인이어서 아야카의 전용무기인 안개를 가르는 회광보다도 외형 측면에서 더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쿠키 시노부가 2.7 PV와 캐릭터 플레이 영상, 데인 여담에서 카게우치가타나의 2번째 돌파 버전을 사용한다.
[53] 스택은 코등이 부근에 작고 어두운 보라색 구체가 하나씩 생성되어 천천히 돈다.[54] 스택을 쌓고 30초 내로 E스킬을 다시 발동만 하면 기존 스택은 유지된채 1스택이 추가된다.[55] 이것을 "신우치(真打)"라고 한다. 참고로 신우치는 라쿠고 용어로 라쿠고가 중 최고의 계급을 의미하기도 한다.[56] 2.0 PV에서는 카게우치가타나의 2번째 돌파 버전을 들고 나온다.
3.6.4. 원목 검
외형 변화 전
| 한손검 원목 검 | ||||
아란나라의 이야기에서 획득한 무기. 검의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숲속의 적을 관통할 수 있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4 ~ 565 | ||||
추가 능력치 | 원소 충전 효율 6.7% ~ 30.6% | ||||
무기 스킬 | 숲의 비호 연소, 활성, 촉진, 발산, 개화, 만개 혹은 발화 발동 후, 캐릭터 주변에 최대 10초 동안 존재하는 「유식의 잎사귀」가 생성된다. 유식의 잎사귀를 습득한 캐릭터는 원소 마스터리가 60/75/90/105/120pt 증가한다. 지속 시간: 12초. 해당 방식으로 20초마다 유식의 잎사귀를 최대 1개 생성한다. 캐릭터가 대기 상태일 때도 발동된다. 유식의 잎사귀 효과는 중첩되지 않는다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단조 재료 | 중앙 대륙의 한손검 원형 × 1, 수정덩이 × 50, 백철 × 50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원목 검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원소 충전 효율 | |
0 | 1 | 44 | 6.7% | ||
20 | 119 | 11.8% | |||
1 | 144 | ||||
40 | 226 | 17.2% | |||
2 | 252 | ||||
50 | 293 | 19.9% | |||
3 | 319 | ||||
60 | 361 | 22.6% | |||
4 | 387 | ||||
70 | 429 | 25.2% | |||
5 | 455 | ||||
80 | 497 | 27.9% | |||
6 | 524 | ||||
90 | 565 | 30.6%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4성=inline, 아이템이름=원목 검, 돌파1이름=숲의 이슬을 닮은 동 부적, 돌파2이름=숲의 이슬을 닮은 철 부적, 돌파3이름=숲의 이슬을 닮은 은 부적, 돌파4이름=숲의 이슬을 닮은 금 부적, 상급1이름=혼돈 용기, 상급2이름=혼돈 모듈, 상급3이름=혼돈 볼트, 일반1이름=빛바랜 붉은 비단, 일반2이름=장식된 붉은 비단, 일반3이름=금자수 붉은 비단, )] | |
|
기초 공격력이 참암 프로토타입과 동일하게 매우 높으면서 추가 능력치로 원소 충전 효율 옵션을 가진 한손검.
원소 마스터리를 상승시켜주는 무기 스킬은 향릉의 누룽지가 사라질때 남기는 고추와 비슷한 원리로 이 무기를 장비한 캐릭터가 대기 상태여도 발동시킬 수 있다. 문제는 드롭되는 기믹 물체가 눈에 정말 안 띄는 초록색 나뭇잎이기 때문에 가시성이 좋지 않아 찾아서 습득하기 힘들고, 적용받을 캐릭터가 직접 습득해야 해서 원소 마스터리 상승 효과를 원할 때 누리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20초당 1회 생성 제한이 있는 탓에 실수로 다른 캐릭터가 습득하면 20초 동안 버프는 없는 꼴이 되는 건 덤. 나뭇잎을 주울 수 있는 범위도 굉장히 좁아서 바로 그 자리에 서야 먹어지는 수준인데 적의 충돌판정 범위 내에 드롭된 경우 주워먹는게 불가능하다. 즉, 무기 스킬 나뭇잎을 의식하고 직접 움직여 습득하는 플레이는 딜로스가 커서 어쩌다 우연하게 들어오는 버프로 취급하는 정도.
이 무기를 활용할 수 있는 캐릭터는 바로 베넷. 높은 기초공격력으로 원소 폭발 버프에 기여하면서 원소 충전 효율도 같이 올려주기 때문에 4성 종결 무기 취급이다. 물론 기초공격력과 원소 충전 효율을 보고 사용하는 것으로 무기 스킬은 발동조건이 까다로워 없는 것보단 낫다 정도의 보너스. 같은 기초공격력을 가지는 참암에 비해 원소 충전 효율을 더 챙길 수 있는데다 단조무기이기 때문에 5성 매의 검이나 천공의 검 등이 없다면 최선의 선택지이다. 베넷 외의 다른 한손검 서포터가 쓰기에는 제례검이나 페보검에 밀려 애매모호하다.
다만 참암은 모험 등급 10레벨만 달성하면 1자루를 공짜로 줘서 초심자도 쉽게 얻을 수 있지만 원목 검은 층암거연을 지나 수메르까지 가서, 원신 사상 최대 길이를 자랑하는 숲의 책 퀘스트를 어느 정도는 진행해야[57] 도면을 얻을 수 있고 제작에는 중앙 대륙 검 원형이 필요한데 이것도 북대륙의 검 원형을 꿈의 용매 2개를 소비해서 연금으로 바꾸거나 꿈나무 레벨을 4까지 올려야 하나 얻는다는 점에서 초심자가 획득하기에는 꽤나 난이도가 있다. 하지만 모든 무기군 중 딱 원목 검 레시피만 얻고 싶다면 1장을 끝내고 2장 첫 퀘스트인 아란나라의 세계만 하면 되는데다 마신임무와 완전히 별개로 수메르 지역에 진입만 하면 시작할 수 있는 퀘스트기 때문에 4성 한손검 풀이 너무 적다면 고려해볼만 하다. 다만 중앙대륙 원형은 꿈의 나무 4레벨까지 올려야 주기 때문에 수메르 상자를 좀 열어야 한다.
4. 3성
4.1. 상시 기원 획득
4.1.1. 차가운 칼날
외형 변화 전
| 한손검 차가운 칼날 | ||||
여러 번 단조한 파인 스틸로 만든 듬직한 무기. 전 주인들의 수많은 모험을 지켜봤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39 ~ 401 | ||||
추가 능력치 | 공격력 7.7% ~ 35.2% | ||||
무기 스킬 | 해빙의 물 물 원소 또는 얼음 원소의 영향을 받은 적에게 가하는 피해가 12/15/18/21/24% 증가한다 | ||||
획득 경로 | 기원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차가운 칼날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공격력 | |
0 | 1 | 39 | 7.7% | ||
20 | 94 | 13.5% | |||
1 | 113 | ||||
40 | 169 | 19.7% | |||
2 | 189 | ||||
50 | 216 | 22.8% | |||
3 | 236 | ||||
60 | 263 | 25.9% | |||
4 | 282 | ||||
70 | 309 | 29.0% | |||
5 | 329 | ||||
80 | 355 | 32.1% | |||
6 | 375 | ||||
90 | 401 | 35.2%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3성=inline, 아이템이름=차가운 칼날, 돌파1이름=고탑 왕의 잔해, 돌파2이름=고탑 왕의 절망, 돌파3이름=고탑 왕의 조각, 돌파4이름=고탑 왕의 깨진 꿈, 상급1이름=무거운 나팔, 상급2이름=흑동 나팔, 상급3이름=흑수정 나팔, 일반1이름=견고한 화살촉, 일반2이름=날카로운 화살촉, 일반3이름=역전의 화살촉, )] | |
|
드래곤 스파인 업데이트로 추가된 NPC중 대장장이인 오르방이 만든 무기로, 몬드 서브퀘스트에서 볼 수 있는 허먼이 모험가 시절 쓰던 칼이다.
케이아가 캐릭터 플레이 영상에서 들고 있는 무기이다.
같은 3성 무기인 여명신검과 팔레트 스왑인 무기.
[57] 퀘스트 무대 자체도 3.0 기준 공개된 수메르 전역을 다루는 데다가, 그 퀘스트도 많아, 논스톱으로 한다면 최소 8시간 이상은 각오해야 한다.
4.1.2. 여명신검
외형 변화 전
| 한손검 여명신검 | ||||
오래전 아침 햇살처럼 빛나던 보검. 이 검을 가진 자는 근거 없는 자신감에 가득 차게 된다. 검신의 빛나던 발광 재료는 이미 사라졌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39 ~ 401 | ||||
추가 능력치 | 치명타 피해 10.2% ~ 46.9% | ||||
무기 스킬 | 격려 HP가 90% 초과 시 치명타 확률이 14/17.5/21/24.5/28% 증가한다 | ||||
획득 경로 | 기원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여명신검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치명타 피해 | |
0 | 1 | 39 | 10.2% | ||
20 | 94 | 18.0% | |||
1 | 113 | ||||
40 | 169 | 26.3% | |||
2 | 189 | ||||
50 | 216 | 30.4% | |||
3 | 236 | ||||
60 | 263 | 34.5% | |||
4 | 282 | ||||
70 | 309 | 38.6% | |||
5 | 329 | ||||
80 | 355 | 42.7% | |||
6 | 375 | ||||
90 | 401 | 46.9%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3성=inline, 아이템이름=여명신검, 돌파1이름=칼바람 울프의 젖니, 돌파2이름=칼바람 울프의 이빨, 돌파3이름=칼바람 울프의 부서진 이빨, 돌파4이름=칼바람 울프의 그리운 고향, 상급1이름=지맥의 낡은 가지, 상급2이름=지맥의 마른 잎, 상급3이름=지맥의 새싹, 일반1이름=슬라임 응축액, 일반2이름=슬라임청, 일반3이름=슬라임 원액, )] | |
|
추가 능력치와 무기 스킬로 치명타 확률과 피해를 모두 챙겨주는 무기. 무기 스킬만 계속 유지시킬 수만 있다면 엄청난 가성비를 보여주지만, 체력을 90% 넘겨야한다는 조건은 툭 치면 바로 꺼지는 것과 다를 바 없으므로 퍼펙트 플레이가 강요된다.
그래도 치확과 치피를 꽤나 높은 수치로 제공하기에 초중반 한손검 딜러를 키울 때는 도움이 되는 편이며, 힐러 또는 보호막 캐릭터를 기용하는 것으로 체력 유지 난이도를 완화시킬 수가 있다.
과거에는 알베도의 준 종결 무기로 평가되었다. 그 이유는 알베도는 스킬만 사용하고 바로 빠지기에 체력 패널티 조건을 무시할 수 있으며, 방어력 기반으로 딜을 하므로 낮은 기초 공격력도 문제되지 않고 높은 치명타 확률/피해라는 장점만 쏙 빼먹을 수가 있기 때문. 3성 무기라서 가성비가 엄청나게 좋다는 것도 장점.
허나 이마저도 옛날 이야기. 2.1 패치 이후부터 파티 전체에 지속 피해를 가하는 침식 기믹이 추가되었는데, 피해를 아예 받지 않아야 하는 여명신검은 이 요소에 정면으로 저격당했다. 이제는 알베도도 페보니우스 검 같은 다른 4성 무기로 갈아타는 상황. 거기다가 2.2 패치부터 침식과 비슷한 능력을 가진 수계 늑대가 추가되었고 2.3 버전에서 알베도 전용 무기인 '진사의 방추'가 추가되면서 여명신검 알베도는 과거의 영광으로 남게 되었다.
베넷이 가챠 일러스트에서 들고 있는 무기가 여명신검이랑 매우 비슷하며, 케이아가 향릉 캐릭터 플레이 영상에서 사용한다.
스토리 내적으로는 케이아 전설 임무 때문인지 은근히 드립으로 잘 나온다. 요이미야 전설퀘 1막에서 '어둠을 베는 성검'이라는 언급이나, 츠루미섬 월드 퀘스트에서 스미다의 마을 최고의 명검을 얻었냐는 질문에 여행자와 페이몬이 장검[여명을 베고 승리를 가져다준다는 여명신검]을 받았다고 답하는 등...
같은 3성 무기인 차가운 칼날과 팔레트 스왑인 무기.
4.1.3. 비천어검
외형 변화 전
| 한손검 비천어검 | ||||
믿음직한 강철검, 전설에 의하면 유명한 「어검 공자」가 이 검을 이용해 하늘을 날려고 시도했었다고 한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38 ~ 354 | ||||
추가 능력치 | 원소 충전 효율 11.3% ~ 52.1% | ||||
무기 스킬 | 결심 원소폭발 발동 후 공격력과 이동속도가 12/15/18/21/24% 증가한다. 지속 시간: 15초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획득 경로 | 기원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비천어검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원소 충전 효율 | |
0 | 1 | 38 | 11.3% | ||
20 | 86 | 20.0% | |||
1 | 105 | ||||
40 | 151 | 29.2% | |||
2 | 171 | ||||
50 | 193 | 33.8% | |||
3 | 212 | ||||
60 | 234 | 38.3% | |||
4 | 253 | ||||
70 | 274 | 42.9% | |||
5 | 294 | ||||
80 | 314 | 47.5% | |||
6 | 334 | ||||
90 | 354 | 52.1%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3성=inline, 아이템이름=비천어검, 돌파1이름=흑운철 한 알, 돌파2이름=흑운철 조각, 돌파3이름=흑운철 일각, 돌파4이름=흑운철 덩이, 상급1이름=약한 뼛조각, 상급2이름=단단한 뼛조각, 상급3이름=석화한 뼛조각, 일반1이름=신병의 휘장, 일반2이름=사관의 휘장, 일반3이름=위관의 휘장, )] | |
|
여담으로 5성 무기인 반암결록과 룩이 비슷하다.
비슷한 이름을 가진 양손검인 비천대어검은 어검 공자가 비천어검으로 날아오르지 못하자 두 번째로 사용한 무기이다.
행추가 일곱 성인의 소환 카드에서 장비하고 있는 무기이다.
같은 3성 무기인 암철검과 팔레트 스왑인 무기.
4.2. 게임 내 획득
4.2.1. 여행자의 검
외형 변화 전
| 한손검 여행자의 검 | ||||
손에 딱 맞는 강철검. 칼자루에 가위, 돋보기, 부싯깃 등 여행에 필요한 용품들이 들어있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0 ~ 448 | ||||
추가 능력치 | 방어력 6.4% ~ 29.3% | ||||
무기 스킬 | 여정 원소 구슬 또는 원소 입자를 획득 시 HP를 1/1.25/1.5/1.75/2% 회복한다 | ||||
획득 경로 | 몬드 보물상자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여행자의 검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방어력 | |
0 | 1 | 40 | 6.4% | ||
20 | 102 | 11.3% | |||
1 | 121 | ||||
40 | 187 | 16.4% | |||
2 | 207 | ||||
50 | 239 | 19.0% | |||
3 | 259 | ||||
60 | 292 | 21.6% | |||
4 | 311 | ||||
70 | 344 | 24.1% | |||
5 | 363 | ||||
80 | 396 | 26.7% | |||
6 | 415 | ||||
90 | 448 | 29.3%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3성=inline, 아이템이름=여행자의 검, 돌파1이름=라이언 투사의 족쇄, 돌파2이름=라이언 투사의 쇠사슬, 돌파3이름=라이언 투사의 수갑, 돌파4이름=라이언 투사의 이념, 상급1이름=혼돈의 장치, 상급2이름=혼돈의 회로, 상급3이름=혼돈의 노심, 일반1이름=이능 두루마리, 일반2이름=봉마의 두루마리, 일반3이름=금주의 두루마리, )] | |
|
기원에서 등장하지 않고 무기의 수급처가 오직 몬드 보물 상자 뿐이기 때문에 만약 무기 수집을 중요시한다면 무기를 강화할 때 이 무기는 갈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성현의 열쇠가 없는 닐루가 온필드 딜러 역할을 수행할 경우 상당히 좋은 무기로, 무기의 힐링 옵션 하나로 개화의 자해딜을 버틸수 있게 해 준다. 힐링 옵션만 보고 채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강화할 필요가 아예 없으므로 1레벨 무기를 쓰면 된다. 닐루가 이 무기를 채용할 수 있는 이유는 전무를 제외한 여타 무기간 데미지 차이가 사실상 없는 수준이기 때문.[58] HP세팅을 하는 닐루에게 5재련의 2% 회복은 상당히 큰 수치이기 때문에 힐러 대신 행추나 야란 등 서브딜러 기용까지 가능해져 훌륭한 덱압축 능력을 수행하는 무기가 된다. 닐루와 상당히 잘 어울리는 룩은 덤. 의외의 단점은 입수 경로인데, 이미 무기를 다 갈아버리고 몬드 상자도 다 열어버린 후라면 추가적으로 획득할 방법이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 외에 추가 능력치인 방어력만 보고 알베도의 초반 무기로 써볼 만 하다. 그러나 이 경우 3성 여명신검의 효율이 더 좋으니 사실상 버리는 카드.
2.3 버전 이벤트인 눈보라 속 그림자의 스토리 2막에서 베넷이 여행자, 엠버, 유라와 함께 가짜 알베도를 상대로 전투를 벌일 때 해당 무기를 사용한다.
여행자의 검이라고 진짜 여행자에게 주는 경우도 있는데 어쨌든 3성 무기이니 만큼 1성이나 2성보단 낫고 흘호 생선회칼은 리월에 가야 얻을수 있고 초반에 문제가 될 체력 회복을 벌충해주는 무기이기에 아직 몬드도 다 못 뚫은 뉴비들은 줘도 나쁘진 않다.
흘호 생선회칼과 유이하게 독자적인 디자인을 갖는 3성 한손검이다.
[58] 성현의 열쇠나 반암결록 정도를 제외하면 현존하는 한손검 중 HP계수인 한손검이 아예 존재하지 않는데, 공격력이 무의미하고 HP계수만 데미지에 관여하는 닐루의 특성상 유틸성만 보고 무기를 채용해도 여타 무기에 비해 데미지가 하락하거나 하지 않는다.
4.2.2. 흘호 생선회칼
외형 변화 전
| 한손검 흘호 생선회칼 | ||||
회를 뜨는데 쓰이는 좁고 긴 예리한 철검. 아주 날카롭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39 ~ 401 | ||||
추가 능력치 | 공격력 7.7% ~ 35.2% | ||||
무기 스킬 | 결 공격 명중 시 50%의 확률로 단일 타깃에게 공격력 240/280/320/360/400%의 피해를 준다. 해당 효과는 15/14/13/12/11초마다 1회만 발동한다 | ||||
획득 경로 | 리월 보물상자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흘호 생선회칼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공격력 | |
0 | 1 | 39 | 7.7% | ||
20 | 94 | 13.5% | |||
1 | 113 | ||||
40 | 169 | 19.7% | |||
2 | 189 | ||||
50 | 216 | 22.8% | |||
3 | 236 | ||||
60 | 263 | 25.9% | |||
4 | 282 | ||||
70 | 309 | 29.0% | |||
5 | 329 | ||||
80 | 355 | 32.1% | |||
6 | 375 | ||||
90 | 401 | 35.2%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3성=inline, 아이템이름=흘호 생선회칼, 돌파1이름=안개구름 속의 흑연단, 돌파2이름=안개구름 속의 수은단, 돌파3이름=안개구름 속의 금단, 돌파4이름=안개구름 속의 전환, 상급1이름=안개꽃 가루, 상급2이름=안개풀 주머니, 상급3이름=안개 등심, 일반1이름=보물찾기 까마귀 휘장, 일반2이름=실버 까마귀 휘장, 일반3이름=골드 까마귀 휘장, )] | |
|
양손검의 훌륭한 대화수단, 활의 탄궁, 법구의 드래곤 슬레이어 영웅담, 장병기의 백술창과 동급의 고성능 3성 무기. 성능상으로는 4성 피리검의 하위호환에 가깝지만 보물상자 노가다로 얻을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며 무과금 유저라면 특히나 더 가치가 높다. 게임 후반으로 갈수록 기초공격력의 차이가 커져 쓰기 힘들어지지만 3성이라 강화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거쳐가는 가성비 무기로 사용하기 좋다.
카에데하라 카즈하가 메인 스토리에서 사용하는 검이 이 검이다. 리월 출신 3성 무기, 그것도 설정상 고작 생선회나 뜨는 칼임에도 스토리 한정으로 무사들을 상대로 무쌍을 찍거나 라이덴 쇼군의 무상의 일태도를 되받아치는 등 취급이 매우 좋게 나온다. 후에 추가된 카즈하의 전설 임무에서 밝혀지기를, 리월에서 떠돌아다니다가 아무렇게나 골라든 검이라고 언급한다. 이 검을 대단한 명검이라고 생각하고 있던 잇신의 기술 명검은 이 이야기를 듣자 큰 충격을 받고 깨달음을 얻는다.
여행자의 검과 유이하게 독자적인 디자인을 갖는 3성 한손검이다.
4.2.3. 암철검
외형 변화 전
| 한손검 암철검 | ||||
그저 조금 검은 강철검일 뿐이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39 ~ 401 | ||||
추가 능력치 | 원소 마스터리 31 ~ 141 | ||||
무기 스킬 | 과전류 과부하, 초전도, 감전, 활성, 촉진, 만개 혹은 번개 원소 확산 반응 발동 후 12초 동안 공격력이 20/25/30/35/40% 증가한다 | ||||
획득 경로 | 리월항 남동쪽 NPC '쾌도진'에게 대화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암철검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원소 마스터리 | |
0 | 1 | 39 | 31 | ||
20 | 94 | 54 | |||
1 | 113 | ||||
40 | 169 | 79 | |||
2 | 189 | ||||
50 | 216 | 91 | |||
3 | 236 | ||||
60 | 263 | 104 | |||
4 | 282 | ||||
70 | 309 | 116 | |||
5 | 329 | ||||
80 | 355 | 128 | |||
6 | 375 | ||||
90 | 401 | 141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3성=inline, 아이템이름=암철검, 돌파1이름=고운한림의 매끄러운 모래, 돌파2이름=고운한림의 휘암, 돌파3이름=고운한림의 해골, 돌파4이름=고운한림의 신체, 상급1이름=사냥꾼의 제도, 상급2이름=특수 요원의 제도, 상급3이름=검사관의 제도, 일반1이름=부서진 가면, 일반2이름=오염된 가면, 일반3이름=불길한 가면, )] | |
|
암철검을 주나 강철벌침을 주나 카즈하에겐 큰 차이가 없다. 90레벨 기준 강철벌침은 원소 마스터리 165, 암철검 141로 고작 피증 버프 0.96% 차이이기 때문. 한손검 원형과 기타 재화를 아낄 수 있다는 것도 큰 메리트. 여담으로 외형 면에서 암철검이 카즈하에게 잘 어울리기도 한다.
리월항 만민당과 영발 상점 중간 위치 먹거리 노점에서 장사 중인 쾌도진과 대화하여 얻는 것이 유일한 획득 방법이다. 도감 목록에 추가되지 않아서 이 무기의 존재 자체를 모르는 사람들도 많다. 시스템적으로 재련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한번만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재련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자칫 무기 재료로 사용해버리면 다시는 얻을 수 없기 때문에 바로 잠가두거나 사용하지 않는 한손검 캐릭터에게 끼워두는게 좋다.
원신 CBT 버전에서는 기원에서 나오던 무기였다.
같은 3성 무기인 비천어검과 팔레트 스왑인 무기.
5. 2성
5.1. 실버 소드
외형 변화 전
| 한손검 실버 소드 | |||
퇴마에 사용되는 실버 소드. 모두가 알다시피 원재료는 순은이 아니라 은 합금이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33 ~ 243 | |||
획득 경로 | 상자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실버 소드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
0 | 1 | 33 | ||
20 | 80 | |||
1 | 91 | |||
40 | 139 | |||
2 | 151 | |||
50 | 174 | |||
3 | 186 | |||
60 | 209 | |||
4 | 220 | |||
70 | 243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1~2성, 등급2성=inline, 아이템이름=실버 소드, 돌파1이름=고탑 왕의 잔해, 돌파2이름=고탑 왕의 절망, 돌파3이름=고탑 왕의 조각, 돌파4이름=고탑 왕의 깨진 꿈, 상급1이름=무거운 나팔, 상급2이름=흑동 나팔, 상급3이름=흑수정 나팔, 일반1이름=견고한 화살촉, 일반2이름=날카로운 화살촉, 일반3이름=역전의 화살촉, )] | |
|
행추가 가챠 일러스트에서 들고 있는 무기이기도 하다.
6. 1성
6.1. 무인검
외형 변화 전
| 한손검 무인검 | |||
젊은이의 꿈, 여정에 오른 흥분——이 두 가지의 소중한 자질이 아직 부족하다면 용기로 때우자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23 ~ 185 | |||
획득 경로 | 상자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무인검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
0 | 1 | 23 | ||
20 | 56 | |||
1 | 68 | |||
40 | 102 | |||
2 | 113 | |||
50 | 130 | |||
3 | 141 | |||
60 | 158 | |||
4 | 169 | |||
70 | 185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1~2성, 등급1성=inline, 아이템이름=무인검, 돌파1이름=고탑 왕의 잔해, 돌파2이름=고탑 왕의 절망, 돌파3이름=고탑 왕의 조각, 돌파4이름=고탑 왕의 깨진 꿈, 상급1이름=무거운 나팔, 상급2이름=흑동 나팔, 상급3이름=흑수정 나팔, 일반1이름=견고한 화살촉, 일반2이름=날카로운 화살촉, 일반3이름=역전의 화살촉, )] | |
|
[59] 여행자와 페이몬의 이별을 암시하는 스토리의 가능성이 있다는 추측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