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colbgcolor=#004e6a,#010101><colcolor=#ffffff,#dddddd> 스토리 | |
콘텐츠 | ||
시스템 | ||
아이템 | ||
기타 |
[[원신/무기/한손검| 한손검 ]] | [[원신/무기/양손검| 양손검 ]] | [[원신/무기/장병기| 장병기 ]] | [[원신/무기/법구| 법구 ]] | [[원신/무기/활| 활 ]] |
1. 개요
장병기 Polearm | ||
언어별 표기 |
빠르고 긴 일반공격을 가진 것이 특징이지만, 세 가지 종류의 평타 모두 하자가 있다. 일반공격의 공격속도는 한손검보다 빠르나, 찌르기·내려찍기 위주의 공격이 많아 공격 범위가 좁다. 슬라임 등 중소형 적을 공격할 때는 심한 반동을 받아서 일반공격을 사용하기 불편하다. 소, 종려, 라이덴을 제외한 캐릭터 대부분의 강공격 모션은 일명 향릉호라 불리는 모션으로 창을 앞세우고 드릴처럼 회전해 돌진하는 형태다. 공격속도가 매우 느리며 점프와 대쉬 등으로 캔슬하기 힘들다.[1] 낙하공격의 경우에는 아예 모든 캐릭터가 빙글빙글 회전하면서 창을 내리꽂는다.[2]
게임 초창기에는 장병기를 사용하는 캐릭터가 향릉뿐이었고, 이후 추가된 캐릭터도 당시 3성 취급을 받던 종려였던지라 최악의 무기군으로 꼽혔었다. 1.3 버전 패치 이후에는 종려가 상향을 받고, 스킬을 통해 일반공격이 대체된다라는 특성이 확고해졌다. 라이덴 쇼군이 예상을 깨고 한손검이 아닌 장병기 캐릭터로 출시되면서, 집정관 캐릭터를 둘이나 배출한 명문 무기군이 되었다.
기원으로 얻는 상시 4성 무기가 용학살창, 페보니우스 장창 뿐인지라. 기원에서도 한 버전 간격으로 저 둘만 나오는 편이며, 다른 무기에 비해 저 두가지만 잔뜩 쌓여있을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3성 무기의 경우 다른 무기군은 5종류 이상씩 되는 판에 장병기 혼자 흑술창, 미늘창, 백술창으로 고작 3종류다. 이 때문에 전 무기군을 통틀어 4성 이하의 개수만 세어보면 가장 무기가 적다. 하지만 괜찮은 성능을 가진 5성 무기들도 제법 있고, 그 4성 무기들 중에도 결투의 창, 어획 등 좋은 성능을 가진 무기들도 있어서 무기 풀은 양손검에 비하면 좋은 편이다.
다른 무기군에 비해 무기 종류가 현저히 적은 대신, 장병기 캐릭터들이 요구하는 능력치가 편중되어 필요한 무기는 한정되는 편이라 부담이 적은편이다. 예를 들어 5성 무기를 제외한다면, HP를 주 스텟으로 사용하는 종려, 캔디스, 요요는 HP를 올려주는 3성무기 흑술창, 원소 폭발의 딜링 기여도가 높은 향릉과 라이덴은 교환무기 어획[3]을 쥐어주는 등 대체로 획일화 된 편.다만 무기 종류가 적은건 단점으로도 작용하는데, 방어력을 올려주는 무기가 없는 무기군이라[4] 방어력을 주 스텟으로 사용하는 캐릭터에게 쥐어줄 무기가 없다시피한 문제가 발생한다[5]. 3성 무기인 흑술창과 백술창[6]이 중후반 까지 현역으로서 쓰인다는 점 또한 장병기 무기군의 한계점.
[1] 3.3버전 기준이며, 예외적으로는 호두가 있다. 일반 상태의 강공격은 다른 캐릭터와 같지만, 나비의 서 사용 시에는 고유한 강공격 모션을 사용한다.[2] 소는 나자의 춤 발동 시 고유한 낙하공격을 사용하며, 라이덴 쇼군은 착지 시 회전 방향이 반시계방향이라 모션이 미묘하게 다르다.[3] 다만 어획은 한 자루만 얻을 수 있으므로 향릉과 라이덴을 동시에 운용할 경우 한 명은 다른 무기를 쥐어주어야 하는 한계가 있다.[4] 변칙적인 경우를 포함하자면 결투의 창이 있긴 하다. 사실 방어력을 직접적으로 올려주는 무기군은 한손검과 양손검 뿐이라, 딱히 장병기만의 문제는 아니지만 그렇더라도 근접 무기군에 방어력을 올려주는 무기가 없다는것은 모순으로 받아들여지는 점이기도 하다.[5] 3.4버전 현재 운근 단 하나뿐이기는 하다.[6] 치명타 확률을 올려준다. 결투의 창이 기행 보상인 만큼 다수 획득이 어렵기에 대체제로 쓰일 수 밖에 없다.
2. 5성
2.1. 상시 기원 획득
2.1.1. 화박연
외형 변화 전
| |||||
마신의 비취옥이 변화한 장창. 고대 바다 괴수를 무찌를 정도의 무게와 예리함을 가지고 있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8 ~ 674 | ||||
추가 능력치 | 치명타 확률 4.8% ~ 22.1% | ||||
무기 스킬 | 정의의 솔개창 적 명중 시 자신의 공격력이 3.2/3.9/4.6/5.3/6% 증가한다. 지속 시간: 6초. 최대 중첩수: 7회. 해당 효과는 0.3초마다 1번 발동한다. 최대 중첩 시 피해가 12/15/18/21/24% 증가한다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획득 경로 | 기원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화박연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치명타 확률 | |
0 | 1 | 48 | 4.8% | ||
20 | 133 | 8.5% | |||
1 | 164 | ||||
40 | 261 | 12.4% | |||
2 | 292 | ||||
50 | 341 | 14.3% | |||
3 | 373 | ||||
60 | 423 | 16.2% | |||
4 | 455 | ||||
70 | 506 | 18.2% | |||
5 | 537 | ||||
80 | 590 | 20.1% | |||
6 | 621 | ||||
90 | 674 | 22.1%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5성=inline, 아이템이름=화박연, 돌파1이름=고운한림의 매끄러운 모래, 돌파2이름=고운한림의 휘암, 돌파3이름=고운한림의 해골, 돌파4이름=고운한림의 신체, 상급1이름=사냥꾼의 제도, 상급2이름=특수 요원의 제도, 상급3이름=검사관의 제도, 일반1이름=신병의 휘장, 일반2이름=사관의 휘장, 일반3이름=위관의 휘장, )] | |
|
높은 기초 공격력 및 치명타 확률을 보유하고 있으며, 무기 스킬로 공격력% 및 피해 증가 보너스를 제공 가능한 상시 5성 장병기이다. 무기 스킬의 공격력 버프 효과는 적 공격으로 스택을 쌓는 방식인데, 스택 간 쿨다운이 0.3초로 길고[7] 스택의 지속 시간도 6초로 짧은 편이다. 풀스택을 쌓았을 때 창날 부분이 빛나게 된다. 필드에서 장시간 공격을 가하는 메인 딜러를 위한 무기라고 볼 수 있다.
무기의 기초 공격력과 추가 능력치는 반비례하는 관계이므로 화박연의 기초 공격력이 높다는 점은 무기의 추가 능력치인 치명타 확률 제공량은 낮다는 점으로 연결된다. 때문에 화박연을 들고 치명타 피해 왕관을 착용하는 세팅을 할 경우 치명타 스탯이 불균형해지기 쉽다는 단점도 있다.[8] 다만 이 단점은 화박연을 전용 무기로 사용하는 소의 경우에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소는 돌파 능력치로 약 19%의 추가 치명타 확률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소가 화박연과 치명타 피해 왕관을 함께 사용할 경우 균형잡힌 치명타 세팅이 가능하다.
소 이외에는 사이노가 적색 사막의 지팡이가 없을 때 준종결 무기로 사용할 수 있다. 사이노는 장시간 필드에서 적을 공격하는 메인 딜러이면서 화박연의 제공 스탯이 모두 중요하기 때문이다.
다른 장병기 온필드 딜러가 사용하기에는 애매하다. 호두나 라이덴 쇼군 역시 화박연을 사용할 수는 있으나 온필드 딜타임이 상대적으로 짧아 예열에 불리하고, 공격력 보다는 체력, 원소 마스터리, 원소 충전 효율 등의 능력치를 우선시하므로 화박연보다는 4성 무기쪽인 용학살창이나 어획 등을 사용하기 때문. 쓸 일이 있다면 무기 스킬은 어느정도 포기하고 기용한다.
서브 딜러들이 사용할 경우 무기의 높은 기초 능력치를 보고 사용하게 된다. 이 경우 시간을 들여 스택을 쌓는 것보다 빠르게 스킬을 굴리는 것이 더 높은 DPS를 발휘하므로, 무기 스킬은 무시하고 사용하는 것이 좋다.
초기 무기여서인지 수치가 요즘에 나온 무기에 비해서 살짝 이상하게 책정되었다. 1재련 기준 스택당 같은 증가 수치(3.2%)를 가지는 식재(재련당 +0.8%p)와는 달리, 재련당 +0.7%p 증가하여 5재련의 공격력 증가 수치가 1재련의 정확히 2배가 되지 않는다.
창 이름에 있는 '화박'은 전국시대에 초의 보옥인 화박(和璞)에서 따왔다. 화박은 당대 최고라 불리던 4개의 보옥중 하나로 전국책 진(秦)권3(秦策三)에 범수가 진소양왕 36년[9]에 올린 상소문에서 언급한다. 해당 구절은 "군주는 카리스마가 있어야 한다. 착하기만 한 군주는 좋은 신하들을 다 뺏긴다. 천하의 보물들도 사라진 이후에 유명해졌는데 사라지고 난 이후의 유명세는 무슨 소용이 있냐."라는 내용이다.
"신이 듣건대, 주에는 지액(砥厄)이 있으며, 송에는 결록(结绿)[10]이 있으며, 양에는 현려(悬黎)가 있으며, 초에는 화박(和璞)이 있었으니 이 네 보물은 장인이 잃어버린 이후에 천하에서 모두가 알게 되었습니다."
臣聞周有砥厄, 宋有結綠, 梁有懸黎, 楚有和璞, 此四寶者, 工之所失也, 而爲天下名器.
전국책, 진(秦)권3(秦策三) 中
臣聞周有砥厄, 宋有結綠, 梁有懸黎, 楚有和璞, 此四寶者, 工之所失也, 而爲天下名器.
전국책, 진(秦)권3(秦策三) 中
[7] 다단 히트로 짧은 시간에 많은 스택을 쌓는 것이 불가능하다.[8] 기본 치명타 스탯이 불균형할 경우, 성유물 부 옵션으로 치명타 확률이나 치명타 피해 중 어느 한 쪽만 많이 챙겨야 하므로 세팅 난이도가 올라간다.[9] 기원전 271년.[10] 한손검 반암결록은 여기서 이름이 유래한 것이다.
2.1.2. 천공의 마루
외형 변화 전
| |||||
바람 드래곤의 확고한 결심을 상징하는 창. 곧게 뻗은 창대가 하늘을 가리키며, 창공과 강한 바람의 힘을 품고 있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8 ~ 674 | ||||
추가 능력치 | 원소 충전 효율 8.0% ~ 36.8% | ||||
무기 스킬 | 검은 날개를 절단하는 이빨 치명타 확률이 8/10/12/14/16%, 일반 공격 속도가 12% 증가한다. 또한 일반 공격과 강공격이 적을 명중 시 50%의 확률로 진공 칼날을 날려 작은 범위 내의 적에게 추가로 공격력 40/55/70/85/100%의 피해를 준다. 해당 효과는 2초마다 1회 발동한다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획득 경로 | 기원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천공의 마루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원소 충전 효율 | |
0 | 1 | 48 | 8.0% | ||
20 | 133 | 14.1% | |||
1 | 164 | ||||
40 | 261 | 20.6% | |||
2 | 292 | ||||
50 | 341 | 23.8% | |||
3 | 373 | ||||
60 | 423 | 27.1% | |||
4 | 455 | ||||
70 | 506 | 30.3% | |||
5 | 537 | ||||
80 | 590 | 33.5% | |||
6 | 621 | ||||
90 | 674 | 36.8%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5성=inline, 아이템이름=천공의 마루, 돌파1이름=라이언 투사의 족쇄, 돌파2이름=라이언 투사의 쇠사슬, 돌파3이름=라이언 투사의 수갑, 돌파4이름=라이언 투사의 이념, 상급1이름=혼돈의 장치, 상급2이름=혼돈의 회로, 상급3이름=혼돈의 노심, 일반1이름=이능 두루마리, 일반2이름=봉마의 두루마리, 일반3이름=금주의 두루마리, )] | |
|
다소 어중간한 위치임에도, 라이덴 쇼군과 신학이 준종결 무기로 사용한다는 점 때문에 무기의 가치는 높다.[11] 라이덴 쇼군의 경우에는 원소 충전 효율 기반 딜러임에도 일반 공격을 사용하는 특이한 사례이며, 신학은 원소 충전과 기초 공격력이 중요하기 때문에 사용한다.
여담으로 마루는 상시 무기들 중에서 첫 픽업이 가장 늦은 무기다. 2번 3번씩 픽업을 받은 무기도 많은 판국에 유독 마루만 1년 가까이 열외되었다. 이 때문에 미호요도 마루의 낮은 성능을 인지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설이 돌았다. 그러다가 2.0버전에서 드디어 안개를 가르는 회광 픽업에서 함정픽으로 등장했다.
[11] 이나즈마 업데이트 전까지는 원충 옵션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장병기 캐릭터가 드물어서 박한 평가를 받았다. 마루의 평가가 떡상한 시점은 보통 신학 출시를 기점으로 잡는 편.
2.2. 한정 기원 획득
2.2.1. 관홍의 창
외형 변화 전
| |||||
모든 걸 관통할 수 있을 것만 같은 날카로운 장창. 휘두를 때, 마치 창끝으로 공기를 가르는듯한 착각마저 든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6 ~ 608 | ||||
추가 능력치 | 공격력 10.8% ~ 49.6% | ||||
무기 스킬 | 금빛의 옥 · 제군의 길 보호막 강화 효과가 20/25/30/35/40% 증가한다. 공격 명중 후 공격력이 4/5/6/7/8% 증가한다. 지속 시간: 8초. 최대 중첩수: 5회. 해당 효과는 0.3초마다 1번 발동한다. 또한 보호막 존재 시 해당 효과의 공격력 증가 효과가 100% 증가한다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획득 경로 | 기원(기간 한정)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관홍의 창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공격력 | |
0 | 1 | 46 | 10.8% | ||
20 | 122 | 19.1% | |||
1 | 153 | ||||
40 | 235 | 27.8% | |||
2 | 266 | ||||
50 | 308 | 32.2% | |||
3 | 340 | ||||
60 | 382 | 36.5% | |||
4 | 414 | ||||
70 | 457 | 40.9% | |||
5 | 488 | ||||
80 | 532 | 45.3% | |||
6 | 563 | ||||
90 | 608 | 49.6%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5성=inline, 아이템이름=관홍의 창, 돌파1이름=흑운철 한 알, 돌파2이름=흑운철 조각, 돌파3이름=흑운철 일각, 돌파4이름=흑운철 덩이, 상급1이름=약한 뼛조각, 상급2이름=단단한 뼛조각, 상급3이름=석화한 뼛조각, 일반1이름=보물찾기 까마귀 휘장, 일반2이름=실버 까마귀 휘장, 일반3이름=골드 까마귀 휘장, )] | |
|
다만 종려가 쓰기에는 힘든 무기다. 종려는 공격력보다 체력을 챙겨 아군에게 보호막을 씌워준다. 때문에 보호막 강화 효과[13] 와 나와있을 때만 쌓을 수 있는 공격력 증가 스택은 종려가 쓰기 힘들다.
또한 챙기기 어려운 치명타 관련 옵션이 아니라 챙기기 쉬운 공격력%라는 것도 단점이다. 공격력 스탯의 경우 상세 정보창 기준 추가 공격력(녹색)이 기본 공격력(흰색)의 140~150%쯤일 때까지가 적당하고 그 이상으로 챙기는 건 효율이 떨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관홍창은 1재련으로도 추가 능력치까지 합쳐 89.6%의 공격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유로 종려보다는 소의 준종결 무기였다. 자체적으로 치명타 확률을 챙기기 쉽고, 기본 공격력이 높으며, 필드에 나와 스택을 쌓는 시간이 많은 동시에 종려와 시너지가 좋기 때문이다. 하지만 소의 전용 성유물인 진사 왕생록의 추가 이후에는 공격력%가 과다해져서 화박연에 비해 크게 밀리게 되었다. 다만 공격력이 중요한 캐릭터에게는 아직도 좋기 때문에 신학은 식재가 없을 때 사용한다.
설정과 디자인 상 종려에게 적합한 무기는 관홍의 창이지만, 성능적으로는 호마의 지팡이가 종려에게 제일 잘 맞는 옵션을 보유하고 있다. 때문에 미호요 측도 캐릭터 PV와 전설 임무 중 체험, 데인 여담, 전신 일러스트, 종려가 복각되는 1.5버전 PV에서도 야타용왕과 맞서는 종려는 정상적으로 관홍창을 들고 있어 전용무기 푸쉬를 받았다. 하지만 무기 기원은 종려의 전용 무기인 관홍창이 없었고[14], 체험 이벤트에서 관홍창 대신 호마의 지팡이를 들고 있었다. 또한 종려 전설 임무 1장에서 체험용 종려 캐릭터가 드는 무기도 기존에 들고 있던 관홍의 창을 들고 있던 것이 2.1버전 패치 이후 뜬금없이 호마의 지팡이로 변경되었다. 그러다가 2.3버전 때는 전설 임무에서 종려가 다시 관홍의 창 세팅으로 등장하여 전용무기로써 푸쉬도 일정치 못하다.#
관홍을 비롯해 제군 시리즈의 하자가 심한 이유는 캐릭터마다 전용 무기를 쥐어주는 한정 무기 시스템이 정립되기 전에 나왔기 때문이다. 최초의 캐릭터 전무는 호마의 지팡이 때부터 시작됐으며[15] 관홍의 창은 처음에는 종려 전무 목적으로 나온 의미가 매우 약했다. 제군 시리즈 전원이 보호막 캐릭터와 같이 쓸 범용 무기처럼 설계된 것으로도 알 수 있다. 그렇다보니 미호요 측에서도 종려의 전용 무기를 관홍의 창으로 보는 것은 애매하다고 보고 위와 같이 무기를 왔다갔다 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결국 2.3 버전 이후로는 종려의 전용 무기를 관홍의 창으로 확정지었지만 옵션은 변경하지 않아 여전히 룩과 설정 외의 성능적 요소에서는 유저들에게 외면받고 있다.[16]
여담으로, 클로즈 베타 때는 '곤오단홍' 이라는 이름으로 상주 기원에서도 나오는 무기였다. 부가 능력치가 공격력%인 것은 동일했으나 무기 스킬은 지금과 완전히 달랐고 천공의 마루와 비슷했다. 재련 없는 기준으로 '공격 속도 10% 증가, 종류에 상관 없이 원소의 영향을 받는 적에게 24% 피해 증가'라는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17]
[12] 캐릭터 플레이 영상 + 데인 여담에서는 관홍창의 2번째 돌파 전 버전을 들고 있다.[13] 보호막의 총량을 늘려주는 것이 아니라, 보호막이 씌워져있는 캐릭터가 받는 대미지를 줄여준다[14] 동일 시기 픽업 5성 캐릭터와 무기가 서로 매치되지 않는 케이스는 런칭 이후 최초다.[15] 호마의 지팡이 이전까지 나왔던 한정 무기는 제군 시리즈와 반암결록밖에 없었다.[16] 지금 상황에서 관홍의 창을 뽑는 경우는 호마의 지팡이, 페보니우스 장창, 흑술창 등 종려의 실전용 무기들이 모두 있는 상황에서 마지막으로 룩까지 챙기려고 뽑는 경우가 대부분이다.[17] 하지만 이 옵션으로 나왔어도 종려에게는 도움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원소의 영향을 받는 적에게 가하는 피해 증가' 옵션은 바위 원소는 부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캐릭터로 원소 부착을 꾸준히 해 놓아야 하는 불편함이 생기기 때문. 폭발적인 능력치 상승도 없어서 지금의 관홍보다도 더 좋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2.2.2. 호마의 지팡이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5성=inline, 아이템이름=호마의 지팡이, 돌파1이름=흑운철 한 알, 돌파2이름=흑운철 조각, 돌파3이름=흑운철 일각, 돌파4이름=흑운철 덩이, 상급1이름=지맥의 낡은 가지, 상급2이름=지맥의 마른 잎, 상급3이름=지맥의 새싹, 일반1이름=슬라임 응축액, 일반2이름=슬라임청, 일반3이름=슬라임 원액, )] | |
|
앞서 추가된 반암결록과 비슷한 컨셉으로 HP 증가와 함께 HP 기반 공격력 보너스를 부여하는 무기. 반암결록과 다른 점은 상시 적용되는 공격력 증가량이 살짝 낮은 대신 HP가 절반 미만일 때 추가 공격력 보너스가 붙는다. 이 때는 반암결록의 약 1.5배에 달하는 수준의 공격력 보너스를 얻을 수 있다.
HP에 비례하여 공격력 보너스를 얻는 무기 고유스킬 자체가 호두의 원소전투 스킬 효과를 떼어다 붙인 수준이다. HP를 절반 이하로 유지해야 한다는 까다로운 조건 역시 호두는 원소스킬에 붙은 자해 효과와 원소 폭발, 패시브 특성의 HP 절반 이하 조건 때문에 사실상 기본 전제나 다름없다. 때문에 호두가 호마의 지팡이를 착용했을 때 가장 좋은 효과를 발휘한다.
호두 외에는 HP와 공격력, 치명타를 사용하는 종려와 잘 맞는다. 대부분의 상황에서 종려와 같이 나온 관홍의 창을 압도할 수 있다. 다만 자체적으로 HP를 깎는 스킬이 없어 무기스킬을 온전히 사용하기 힘들다.
소는 HP가 유효 옵션은 아니지만, 나자의 춤 덕분에 HP를 낮추기 쉽다. 다만 베넷을 사용하거나 진사 왕생록 성유물을 사용하면 공격력이 너무 몰리게 되어 화박연보다 효율이 나쁘다.
HP가 50% 아래일 경우 무기에서 발산하는 듯한 소리가 미약하게 나며, 무기 상단부 중앙에서 붉은 빛이 난다.
최초 픽업 당시에는 운명의 궤도 시스템이 없어서 운이 없다면 몇백만원을 때려박아도 잘 뜨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덕분에 영미권에서는 "Staff of Homeless"라는 별명이 생기기도 했으며, 국내에서는 당시 호마의 지팡이와 픽업되었던 늑대의 말로가 뜬 유저에게 "늑말을 먹는 형벌"이라고 부르기도 했었다.
2.2.3. 예초의 번개
외형 변화 전
| |||||
「절초」에 사용되는 치도. 이에 대항하려는 적군 역시 갈대처럼 쓰러질 것이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6 ~ 608 | ||||
추가 능력치 | 원소 충전 효율 12.0% ~ 55.1% | ||||
무기 스킬 | 불시의 꿈·영원한 부뚜막 원소 충전 효율이 100%를 초과할 경우, 공격력이 초과된 부분의 28/35/42/49/56%만큼 증가하며, 해당 방식을 통해 최대 80/90/100/110/120% 증가할 수 있다. 원소폭발 발동 후 12초 동안 원소 충전 효율이 30/35/40/45/50% 증가한다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획득 경로 | 기원(기간 한정)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예초의 번개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원소 충전 효율 | |
0 | 1 | 46 | 12.0% | ||
20 | 122 | 16.4% | |||
1 | 153 | ||||
40 | 235 | 26.1% | |||
2 | 266 | ||||
50 | 308 | 30.9% | |||
3 | 340 | ||||
60 | 382 | 35.7% | |||
4 | 414 | ||||
70 | 488 | 40.6% | |||
5 | 510 | ||||
80 | 532 | 50.3% | |||
6 | 563 | ||||
90 | 608 | 55.1%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5성=inline, 아이템이름=예초의 번개, 돌파1이름=금석극화의 가면, 돌파2이름=금석극화의 호교, 돌파3이름=금석극화의 일각, 돌파4이름=금석극화의 귀인, 상급1이름=혼돈의 기관, 상급2이름=혼돈의 중추, 상급3이름=혼돈의 눈동자, 일반1이름=오래된 코등이, 일반2이름=카게우치 코등이, 일반3이름=명검 코등이, )] | |
|
원충과 딜을 동시에 취한 무기라는 점에서 천공의 마루와 유사하나, 이쪽은 원소 폭발만 써도 된다. 또한 원소 폭발 사용 시 원소 충전 효율을 제공하여 원소 충전 효율과 원소 폭발 의존도가 높은 캐릭터가 사용하기 좋다. 3.1버전 현재까지 예초의 번개를 종결 무기로 사용하는 캐릭터는 라이덴 쇼군과 향릉이 있다. 두 캐릭터 모두 절연의 기치와 같이 사용하여 얻는 상호 시너지를 온전히 사용할 수 있다.
두 캐릭터 모두에게 줄 예초의 번개가 없다면, 향릉보단 라이덴 쇼군에게 주는 것이 추천된다. 라이덴의 돌파 특성과 기타 요인을 통해 추가적인 능력치를 얻을 수 얻어, 대미지 증가 폭이 더 크기 때문이다.
성능 외적인 얘기로, 2.1 패치에서 처음으로 출시됐을 때는 무공의 검과 픽업 되었으며, 2.5 패치에서는 불멸의 달빛과 함께 나왔는데, 두 무기 모두 5성 무기 중에서도 범용성과 성능이 좋지 않은 함정픽 무기였기 때문에 일부러 예초 뽑으려는 사람들에게 리스크를 지게 하려는 것이냐며 해당 무기의 픽업 기간 때마다 유저들의 원성이 자자했었다. 이후 3.3 패치에서 처음으로 함정픽이 아닌 무기인 하란 월백의 후츠와 함께 픽업됐다.
무기의 이름은 일본 명칭 기준으로 "[ruby(草薙の稲光, ruby=くさなぎのいなびかり)]"이며, "쿠사나기노이나비카리"라 읽는다. 이는 일본 황실의 삼종신기 중 하나인 "[ruby(草薙剣, ruby=くさなぎのつるぎ)](쿠사나기노츠루기 / 쿠사나기의 검)"에서 '츠루기(검)' 대신 '[ruby(稲光, ruby=いなびかり)](이나비카리 / 번개)' 를 넣어서 만든 단어로 보인다. "쿠사나기"의 어원이나 "적군이 갈대처럼 쓰러지게 될 것이다."라는 무기 설명을 감안하면 엄연히 틀린 번역은 아니지만, 고유명사를 조금 더 살리는 방향으로 번역했다면 '쿠사나기의 번개' 정도의 명칭으로 번역되었을 것이다.[18] 하지만 변경없이 직역되어서 마치 예초기를 연상케 하는 이름이 되었다. 영어 명칭의 경우에도 테스트 서버에서는 직역되어 "Grasscutter's Light(잔디깎이의 빛)"라는, 예초기 느낌이 풀풀 풍기는 이름이었다가 "Engulfing Lightning(번개 포식자)"라는 이름으로 바뀌어서 예초기스러운 느낌에서 벗어났다. 예초기에 익숙한 한국인 플레이어들에게는 소소한 웃음거리가 되었지만, 진짜 오역인 안개를 가르는 회광과 하란 월백의 후츠에 비하면 양반이다.
[18] 실제로 이후 나온 같은 시리즈의 법구 무기는 '신악의 진의'가 아닌, 일본어 명칭을 반영한 '카구라의 진의'로 번역되었다.
2.2.4. 식재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5성=inline, 아이템이름=식재, 돌파1이름=안개구름 속의 흑연단, 돌파2이름=안개구름 속의 수은단, 돌파3이름=안개구름 속의 금단, 돌파4이름=안개구름 속의 전환, 상급1이름=안개꽃 가루, 상급2이름=안개풀 주머니, 상급3이름=안개 등심, 일반1이름=구라구라 꽃꿀, 일반2이름=반짝반짝 꽃꿀, 일반3이름=원소 꽃꿀, )] | |
|
무기 스킬의 공격력 증가량은 온필드에서는 1재련 기준 최대 19.2%로 화박연보다 소폭 낮으며, 대기 중에는 38.4% 증가한다. 기초 공격력, 추가 능력치, 무기 스킬이 모두 공격력에 극단적으로 집중되어 있어서 공격력이 중요하며 스킬만 쓰고 빠지는 신학에게 안성맞춤이다. 단 원소 충전 효율을 성유물에서 최대한 끌어올려야 하기 때문에 성유물 세팅 난이도가 상당히 어려운 편[19]이다.
신학 이외의 캐릭터는 써먹기 어려운 범용성이 낮은 무기다. 많은 장병기 딜러들이 공격력이 아닌 기타 특수한 스탯[20]의 중요도가 높아 공격력 몰빵이 매우 비효율적이고, 무기 스킬이 스냅샷형 원소 폭발과 맞지 않아 신학을 제외하면 활용성이 상당히 떨어진다. 공격력을 사용하는 사이노나 소 정도가 써먹을 수는 있으나 기대 딜량이 높지 않고 이런 부류의 무기들이 그렇듯이 치명타 옵션의 성유물 세팅 난이도가 급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스토리에 따르면 부사가 죽기전에 쓰던 무기이다.[21]
[19] 이런 문제 때문에 신학은 전용무기보다는 1번 별자리 돌파가 우선시되는 경향이 있다.[20] HP% 세팅의 호두/종려, 원충 세팅의 라이덴/향릉 등.[21] 다만 2.8 마신임무 중간장에서 부사의 퍼스널 컬러가 보라색으로 나오고, 제각기 무기를 가지고 있던 다른 선중야차 멤버와는 달리 무기를 가지고 있는 모습이 나오지 않은 데다가 혼자서 엄청난 근육질의 거구였던 모습으로 보아 체술로 싸우는 무투파였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식재가 출시된 건 2.4 였으니, 나중에 본격적으로 선중야차의 설정을 다듬으며 부사의 캐릭터도 변경되었던 것 같다.
2.2.5. 적색 사막의 지팡이
외형 변화 전
| 장병기 적색 사막의 지팡이 | ||||
흑요석으로 만든 한 쌍의 세크헴 중 하나. 사막의 백성을 이끄는 권위를 가지고 있지만 지금은 이를 알아보는 신하는 없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4 ~ 542 | ||||
추가 능력치 | 치명타 확률 9.6% ~ 44.1% | ||||
무기 스킬 | 신기루 끝의 뜨거운 꿈 장착한 캐릭터 원소 마스터리의 52/65/78/91/104%에 해당하는 공격력 보너스를 획득한다. 원소전투 스킬이 적을 명중하면 10초 동안 「적색 사막의 꿈」 효과를 획득한다: 장착한 캐릭터 원소 마스터리의 28/35/42/49/56%만큼 공격력 보너스를 획득한다. 해당 효과 최대 중첩수: 3스택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획득 경로 | 기원(기간 한정)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적색 사막의 지팡이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치명타 확률 | |
0 | 1 | 44 | 9.6% | ||
20 | 110 | 17.0% | |||
1 | 141 | ||||
40 | 210 | 24.7% | |||
2 | 241 | ||||
50 | 275 | 28.6% | |||
3 | 307 | ||||
60 | 341 | 32.5% | |||
4 | 373 | ||||
70 | 408 | 36.3% | |||
5 | 439 | ||||
80 | 475 | 40.2% | |||
6 | 506 | ||||
90 | 542 | 44.1%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5성=inline, 아이템이름=적색 사막의 지팡이, 돌파1이름=오아시스 화원의 추억, 돌파2이름=오아시스 화원의 은혜, 돌파3이름=오아시스 화원의 애념, 돌파4이름=오아시스 화원의 진리, 상급1이름=혼돈 용기, 상급2이름=혼돈 모듈, 상급3이름=혼돈 볼트, 일반1이름=버섯몬 포자, 일반2이름=형광 포자 분말, 일반3이름=포낭 결정 가루, )] | |
|
원소 마스터리를 주력으로 사용하는 사이노에게 어울리는 무기로, 기초 공격력이 낮은 대신 사이노에게 필요한 치명타 확률을 대폭 올려준다. 부족한 기초 공격력은 원소 마스터리에 비례하는 공격력 보너스로 보완할 수 있다.
1재련 풀스택 기준 원소 마스터리의 136%만큼 공격력이 증가한다. 원소 마스터리가 400~500 이상일 때 높은 효율을 보여주므로, 자체적으로 외부에서 원소 마스터리를 끌어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무기를 장착한 사이노에게는 공격력%보다 원소 마스터리의 가치가 더 높아진다.
참고로 스택 발동에 쿨타임이 없기 때문에 바로 3스택을 채우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주의할 점으로 설탕과 나히다의 패시브처럼 특정 스탯에 비례하여[22] 주는 원소 마스터리는 이 무기의 스킬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한다. 그러나 종말 탄식의 노래나 카즈하 2돌파처럼 고정된 수치로 제공받는 원마 수치는 무기 스킬에 영향을 줄 수 있다.[23][24]
사이노는 패시브에 덤으로 주는 원소 마스터리 계수가 따로 있어서 원소 마스터리가 큰 효과를 보지만, 생각보다 원소 마스터리에 비례한 공격력 증가로 효과를 볼 수 있는 캐릭터가 많지 않다는 점이 이 무기의 범용성에 발목을 잡는다. 사이노 외에 이 무기를 사용한다면 사실상 높은 치명타 확률을 보고 사용하는 정도.
그나마 호두와 향릉이 원소 마스터리를 사용하지만 향릉은 화륜을 쿨마다 돌리면서 절연의 피증을 극대화하기 위해 원충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캐릭터가 나와 있을 때 누룽지의 공격이 3번 명중해야 해서 무기 스킬을 잘 활용하지 못한다. 호두는 혈매향이 원소 전투 스킬 판정이지만 다수전이 아닌 이상 단기간에 스택을 쌓기가 어렵다. 호두가 이 무기를 사용한다면 원소 마스터리를 많이 주는 도금 세트를 사용하는 걸 권장한다. 물론 딜량으로 호마봉을 따라올 수는 없고, 어디까지나 있을 때 사용하는 수준.
독특하게도 이 무기가 종결 무기가 아닌 4성 캐릭터 캔디스가 캐릭터 PV와 데인 여담에서 사용한다. 이는 캔디스가 적왕의 후예이기 때문이다.
[22] 설탕의 작은 혜풍은 설탕 자신의 원소 마스터리의 20%, 나히다의 정선으로 포용한 명론은 원소 마스터리가 가장 높은 캐릭터의 원소 마스터리의 25%만큼의 원소 마스터리를 제공한다.[23] 해당 법칙에 대해서는 아직 공식 정보 공개가 없어 유저들의 자체 조사로 정리되고 있다.# 간단히 요약하자면 스탯창에 반영되는 스탯끼리는 비례 계산이 중복 적용되지 않는다. 스탯창에 반영되는 스탯은 공격력, 원소 피해 보너스, 원소 마스터리, 치명타 등이 있고, 반영되지 않는 스탯은 평타/E/Q 등의 피해 증가량이나 추가 계수 등이 있다. 설탕과 나히다의 패시브는 본인 원마에 비례한 원마 버프를 뿌려주는 것이며, 이를 받는 사이노의 적사지 역시 원마에 비례하는 공격력을 얻는 방식이라 비례식을 2번 거칠 수 없다는 법칙에 위배되는 것.[24] 이는 스탯끼리 서로 버프를 주고받으며 무한중첩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 수치 버프는 해당 이슈와 상관이 없으므로 제한에 걸리지 않는다. 현재까지 이 구분법에서 예외가 되는 사례는 절연의 기치 성유물만이 확인되었다.
3. 4성
3.1. 상시 기원 획득
3.1.1. 용학살창
외형 변화 전
| |||||
금빛 용이 휘감겨 있는 매우 날카로운 창. 대체로 보아 진짜로 쉽게 용을 죽일 수 있을지도 모른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1 ~ 454 | ||||
추가 능력치 | 원소 마스터리 48 ~ 221 | ||||
무기 스킬 | 따끈따끈 첨벙첨벙 물 원소 또는 불 원소의 영향을 받은 적에게 가하는 피해가 20/24/28/32/36% 증가한다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활| | ||||
획득 경로 | 기원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용학살창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원소 마스터리 | |
0 | 1 | 41 | 48 | ||
20 | 99 | 85 | |||
1 | 125 | ||||
40 | 184 | 124 | |||
2 | 210 | ||||
50 | 238 | 143 | |||
3 | 264 | ||||
60 | 293 | 162 | |||
4 | 319 | ||||
70 | 347 | 182 | |||
5 | 373 | ||||
80 | 401 | 201 | |||
6 | 427 | ||||
90 | 454 | 221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4성=inline, 아이템이름=용학살창, 돌파1이름=안개구름 속의 흑연단, 돌파2이름=안개구름 속의 수은단, 돌파3이름=안개구름 속의 금단, 돌파4이름=안개구름 속의 전환, 상급1이름=안개꽃 가루, 상급2이름=안개풀 주머니, 상급3이름=안개 등심, 일반1이름=이능 두루마리, 일반2이름=봉마의 두루마리, 일반3이름=금주의 두루마리, )] | |
|
호두의 경우 무기 공격력의 영향이 적고, 물 속성 서브 딜러들과 조합되어 거의 대부분 증발 반응을 가져가기 때문에 피해 증가와 원소 마스터리의 효율이 높아 4성 종결 무기로 사용된다. 호두에게는 호마의 지팡이 바로 다음 가는 성능으로 5재련 기준 여타 5성 무기들보다 나은 기대 딜량을 보여준다. 3.2버전에서 생긴 의외의 단점으로는 종려 대신 레일라를 사용할 때 궁합이 좋지 않다는 점인데, 불이나 물 원소가 부착되어있어야 하기에 얼음 원소를 부착하여 융해를 일으키는 경우 피해량 증가 효과를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토마 같은 경우에는 원소 마스터리를 보고 발화 세팅에서 채용하기도 한다. 다만 성유물에서 원소 충전 효율과 원소 마스터리, 실드량을 모두 고려해야 되기 때문에 세팅이 쉬운 편은 아니고, 원소 마스터리와 원소 충전 모두를 보조하는 4성 단조무기 키타인 십자창이 존재하기 때문에 세팅여부에 따라 취사선택하여 사용하는 무기다.
운근이 공식 일러스트에서 용학살창의 2번째 돌파 버전을 들고 있고, 향릉도 공식 PV[27] 신규 지역 예고(리월) 영상과 본인의 캐릭터 플레이 영상에서 들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5] 해당 시리즈 무기는 번역의 비일관성으로 인해 전혀 관계없는 무기로 보이지만, 중국어(匣里) 내지 일본어(匣中) 명칭은 같은 시리즈임을 알 수 있는 명칭이고, 무기 스토리에서도 '리월에서 전해지는 무기'라는 점을 해당 무기 모두가 명시하고 있다[26] 어획 등 원소 충전 효율을 올려주는 무기로 원소 폭발을 꾸준히 돌리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주로 사용하는 무기는 아니다.[27] 기원 일러스트에서는 3성 백술창을, 전신 일러스트에서는 철촉창의 2번째 돌파 버전을 들고 있다.
3.1.2. 페보니우스 장창
외형 변화 전
| |||||
페보니우스 기사단의 제식용 창. 곧게 선 창대에 창 끝으로 산들바람이 넘실댄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4 ~ 565 | ||||
추가 능력치 | 원소 충전 효율 6.7% ~ 30.6% | ||||
무기 스킬 | 바람과 함께 치명타 시 60/70/80/90/100%의 확률로 소량의 원소 구슬이 생성되고 캐릭터의 원소 에너지를 6pt 회복한다. 해당 효과는 12/10.5/9/7.5/6초마다 1회만 발동한다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획득 경로 | 기원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페보니우스 장창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원소 충전 효율 | |
0 | 1 | 44 | 6.7% | ||
20 | 119 | 11.8% | |||
1 | 144 | ||||
40 | 226 | 17.2% | |||
2 | 252 | ||||
50 | 293 | 19.9% | |||
3 | 319 | ||||
60 | 361 | 22.6% | |||
4 | 387 | ||||
70 | 429 | 25.2% | |||
5 | 455 | ||||
80 | 497 | 27.9% | |||
6 | 523 | ||||
90 | 565 | 30.6%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4성=inline, 아이템이름=페보니우스 장창, 돌파1이름=라이언 투사의 족쇄, 돌파2이름=라이언 투사의 쇠사슬, 돌파3이름=라이언 투사의 수갑, 돌파4이름=라이언 투사의 이념, 상급1이름=혼돈의 장치, 상급2이름=혼돈의 회로, 상급3이름=혼돈의 노심, 일반1이름=슬라임 응축액, 일반2이름=슬라임청, 일반3이름=슬라임 원액, )] | |
|
다른 무기는 4성 서포터용으로 제례 무기군과 페보니우스 무기군이 입지를 양분하는데 반해[30], 장병기는 제례가 없고 페보니우스 장창 뿐이라 상대적으로 효용성이 높다. 서포터형 장병기 캐릭터에겐 국밥 수준의 취급을 받는 무기라서 사용처가 무궁무진한데, 페보니우스 시리즈 답게 튀지 않고 깔끔한 디자인 덕분에 누구한테 쥐어줘도 나름 어울린다는 점도 소소한 장점이다. 특히 자체적으로 원소 입자를 생성할 수 없는 종려에게는 종결 무기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31]
다만 장병기군에는 추가 능력치로 원충을 달고 있는 별의 낫이 페보니우스 창의 대체제 역할을 하고 있다. 페보니우스 창보다 원충 자체는 더 높으나 무기스킬로 원충구슬을 뽑아낼 수 없는데,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페보니우스 창이 더 우위에 있다. 하지만 페보니우스 창은 무기 스킬을 터뜨리기 위해서 어느 정도 치명타 확률을 세팅해 줄 필요가 있는데, 운근처럼 딜에 기여하지 않는 서포터들은 이 치명타 확률이 캐릭터 성능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이런 경우는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고 치명타 확률에 투자하지 않아도 되는 별의 낫을 사용하는 것도 좋은 선택이다.
스토리는 과거 1,000년 전 몬드 귀족의 사생아였던 에버하트에 대한 이야기다.
[28] 운근의 경우 자체 원소 수급 능력이 부족해 치명타 확률을 최대한 성유물에서 가져오고 페보니우스 창을 착용하는 세팅이 필수적이다.[29] 물론 라이덴에게 최고의 4성 무기는 어획이지만, 어획 제작 과정이 꽤 길고 번거롭기 때문에 임시로 페보창이나 별의 낫을 써도 된다.[30] 법구는 제례의 악장 추가 능력치가 원소 마스터리라 사용처가 꽤 다르지만, 그쪽 같은 경우 아예 드래곤 슬레이어 영웅담이라는 탈3성 무기가 있어 페보니우스 비전의 입지가 나쁜 편이다.[31] 가성비 세팅에서 종려의 무기는 대부분 흑술창이지만, 굳이 흑술창이 아니어도 충분히 보호막이 단단한 종려이기 때문에 페보니우스 장창으로 파티 유틸을 늘리고 본인 원소 수급 능력 역시 늘리는 유저들 역시 많이 보인다.
3.2. 한정 기원 획득
3.2.1. 천암장창
외형 변화 전
| |||||
고운각의 바위를 정밀히 가공하여 만든 창. 창끝이 견고하기 그지없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4 ~ 565 | ||||
추가 능력치 | 공격력 6.0% ~ 27.6% | ||||
무기 스킬 | 천암결·일심 파티 내에 리월 출신 캐릭터가 1명 존재할 때마다 해당 무기를 장착한 캐릭터의 공격력이 7/8/9/10/11% 증가하고 치명타 확률이 3/4/5/6/7% 증가한다. 최대 중첩수:4회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획득 경로 | 기원(기간 한정)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천암장창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공격력 % | |
0 | 1 | 44 | 6.0% | ||
20 | 119 | 10.6% | |||
1 | 144 | ||||
40 | 226 | 15.5% | |||
2 | 252 | ||||
50 | 293 | 17.9% | |||
3 | 319 | ||||
60 | 361 | 20.3% | |||
4 | 387 | ||||
70 | 429 | 22.7% | |||
5 | 455 | ||||
80 | 497 | 25.1% | |||
6 | 523 | ||||
90 | 565 | 27.6%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4성=inline, 아이템이름=천암장창, 돌파1이름=흑운철 한 알, 돌파2이름=흑운철 조각, 돌파3이름=흑운철 일각, 돌파4이름=흑운철 덩이, 상급1이름=약한 뼛조각, 상급2이름=단단한 뼛조각, 상급3이름=석화한 뼛조각, 일반1이름=견고한 화살촉, 일반2이름=날카로운 화살촉, 일반3이름=역전의 화살촉, )] | |
|
문제는 아직까지도 천암장창의 효과를 제대로 누릴 수 있는 파티 조합이 없다는 점이다. 리월 파티 편성을 고려해 보면 그나마 공퍼 장병기를 사용할 만한 캐릭터가 호야행종, 감향종베의 딜세팅 종려 정도인데 딜종려 자체가 잘 쓰이는 메타가 아닌지라...
신학이 페보니우스 창이나 지느러미같은 무기가 없을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대기 중에 공격력 증가 효과를 받을 수 없는 건 아쉽지만, 높은 기초공에 공격력% 추가 능력치를 가진 무기라 쓸만하다. 물론 지느러미와 동일하게 한정 무기이므로 이 무기의 픽업 시점을 놓치면 재련이 힘들어지는 단점도 공유한다.
참고로 타르탈리아의 경우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리월 쪽 캐릭터로 일단 분류되고 있지만, 역시 스네즈나야 출신 캐릭터여서 그런지 천암장창의 리월 캐릭터 패시브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북두한테 의탁하고 있는 남십자함대 소속의 카즈하 또한 해당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아무래도 스토리 내에서의 요소와는 상관없이 태어난 국가나 신의 눈의 출처로 분류하는 모양.
달빛 속 광경 스토리 중 조왕신 이야기에 대해 다루는 컷신 애니메이션의 마지막 부분에서 향릉이 천암장창의 2번째 돌파 버전을 들고 있다.[33]
[32] 5재련을 해도 1재련 5성 무기를 이기기 힘든 게 보통이지만, 천암장창 4스택은 정말로 반피 옵션을 받은 호마의 지팡이를 제외한 모든 1재련 5성 장병기를 능가하는 수치를 보여준다.[33] 이 때 향릉과 같이 나오는 여행자는 천공의 검을, 각청은 용의 포효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나온다.
3.2.2. 파도 베는 지느러미
외형 변화 전
| |||||
바닷속 반짝이는 재료로 만든 치도. 한때 텐구 일족이 소유했던 무기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5 ~ 620 | ||||
추가 능력치 | 공격력 3.0% ~ 13.8% | ||||
무기 스킬 | 파도를 지배하는 와타츠미의 백성 파티 내 모든 캐릭터의 원소 에너지 최대치의 총합을 기반으로, 1pt마다 해당 무기를 장착한 캐릭터의 원소폭발 피해가 0.12/0.15/0.18/0.21/0.24% 증가한다. 해당 방식을 통해 원소폭발로 가하는 피해가 최대 40/50/60/70/80%까지 증가한다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획득 경로 | 기원(기간 한정)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파도 베는 지느러미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공격력 % | |
0 | 1 | 45 | 3.0% | ||
20 | 134 | 5.3% | |||
1 | 160 | ||||
40 | 261 | 7.7% | |||
2 | 287 | ||||
50 | 340 | 8.9% | |||
3 | 366 | ||||
60 | 419 | 10.1% | |||
4 | 441 | ||||
70 | 499 | 11.4% | |||
5 | 525 | ||||
80 | 579 | 12.6% | |||
6 | 605 | ||||
90 | 620 | 13.8%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4성=inline, 아이템이름=파도 베는 지느러미, 돌파1이름=금석극화의 가면, 돌파2이름=금석극화의 호교, 돌파3이름=금석극화의 일각, 돌파4이름=금석극화의 귀인, 상급1이름=맹수 발톱, 상급2이름=맹수의 날카로운 발톱, 상급3이름=맹수의 귀신 발톱, 일반1이름=오래된 코등이, 일반2이름=카게우치 코등이, 일반3이름=명검 코등이, )] | |
|
1재련 기준으로 얻을 수 있는 피해량 수치의 예시는 아래와 같다.[34] 5재련의 경우 %가 정확히 2배이다.
<rowcolor=#fff> 파티원 에너지 평균 | 파티 에너지 합계 | 피해량 증가 |
40pt | 160pt | 19.2% |
60pt | 240pt | 28.8% |
80pt | 320pt | 38.4% |
85pt[35] | 340pt | 40% |
90렙 기준 620이라는 높은 기초 공격력을 지녔으며[36] 추가 능력치의 수치가 낮아 공격력 % 과다를 막고 성유물로 얻을 수 있는 효율이 높다. 주로 사용하는 캐릭터는 원소폭발의 성능이 좋으면서 요구 에너지도 많은 라이덴 쇼군, 향릉, 로자리아나 높은 공격력을 필요로 하는 신학이 있다.
파티조합, 치명타, 원소 에너지 충전등 문제가 해결됐을 때, 고점이 매우 높은 무기다. 세 요소를 모두 사용해야 되기 때문에 파티경직성, 제련 난이도, 세팅 난이도 모두 크게 올라간다. 다만 어떻게든 풀재련을 달성했다면 최소 38.4%를 제공하기 때문에 충분한 폭발력을 제공해준다.
파티 에너지 합계가 310pt로 충분히 높은 라이덴/향릉/행추/베넷 국대 조합에서 라이덴 또는 향릉이[37] 어획을 나눠쓰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사용하게 된다. 물론 성유물을 통해 원소 충전 효율을 충분히 올려주어야만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점이 높고 저점이 낮은 편에 속한다.
파티 버프에 기초공격력과 공격력% 스탯이 중요한 신학이 원소 충전 효율을 충분히 세팅했을 경우 채용한다. 그 외에는 로자리아가 충분한 치명타 확률을 확보했을 때 사용할 수 있다.
[34] 출시 당시의 캐릭터 조합으로는 무기스킬의 최대 피해량 수치에 도달할 수 없었으나, 2.5버전에서 라이덴 쇼군에 이어 두 번째로 원소폭발 90pt짜리 캐릭터인 야에 미코가 나옴으로써 최대 피해량 증가를 얻는 파티를 구성할 수 있게 되었다.[35] 라이덴 쇼군과 야에 미코(에너지 90pt), 에너지 80pt 캐릭터 2명을 편성한 경우.[36] 1레벨 공격력이 46에 90레벨 기준 608인 5성 무기보다 높다.[37] 둘 중 누가 지느러미를 사용하냐는 성유물 세팅 유무에 달려있긴 하지만, 돌파 스탯이 원충인 라이덴에게 지느러미를, 다른 파티에도 사용해야 해서 높은 원충이 요구되는 향릉에게 어획을 주는 것이 낫긴 하다.
3.3. 교환 획득
3.3.1. 왕실의 장창
외형 변화 전
| |||||
몬드를 지배했던 옛 귀족이 매우 아끼던 창. 과거엔 빛을 보지 못했지만, 여전히 뾰족하기 그지없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4 ~ 565 | ||||
추가 능력치 | 공격력 6.0% ~ 27.6% | ||||
무기 스킬 | 집중 공격으로 피해를 줄 때마다 치명타 확률이 8/10/12/14/16% 증가한다. 최대 중첩수: 5회. 공격 시 치명타가 발생하면 모든 집중 효과가 사라진다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획득 경로 | 스타라이트 교환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왕실의 장창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공격력 | |
0 | 1 | 44 | 6.0% | ||
20 | 119 | 10.6% | |||
1 | 144 | ||||
40 | 226 | 15.5% | |||
2 | 252 | ||||
50 | 283 | 17.9% | |||
3 | 319 | ||||
60 | 361 | 20.3% | |||
4 | 387 | ||||
70 | 429 | 22.7% | |||
5 | 455 | ||||
80 | 497 | 25.1% | |||
6 | 523 | ||||
90 | 565 | 27.6%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4성=inline, 아이템이름=왕실의 장창, 돌파1이름=안개구름 속의 흑연단, 돌파2이름=안개구름 속의 수은단, 돌파3이름=안개구름 속의 금단, 돌파4이름=안개구름 속의 전환, 상급1이름=안개꽃 가루, 상급2이름=안개풀 주머니, 상급3이름=안개 등심, 일반1이름=신병의 휘장, 일반2이름=사관의 휘장, 일반3이름=위관의 휘장, )] | |
|
왕실 무기는 제례 무기의 팔레트 스왑이지만, 제례 무기에 장병기가 없어 왕실의 장창 혼자 독자적인 디자인을 보유하고 있다.[39] 이는 몬드에서 창은 귀족과 거리가 먼 '검투사나 평민이나 쓰는 천한 무기'였기 때문이다. 설정상 제례 시리즈는 몬드의 잊혀진 옛 귀족의 전통, 왕실 시리즈는 로렌스 가문을 비춘 귀족의 부패함을 담고 있는데, 창에 대한 귀족들의 멸시에도 불구하고[40] 이 장창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꽤 재미있는 서사를 지닌 무기다. 무엇보다 이 무기의 제작을 의뢰했던 사람은 과거 한 귀족 청년이었다는 점에서 더더욱 아이러니함이 돋보인다. '달빛 아래에서만 창을 휘둘렀다'는 언급을 보면, 정황상 창의 주인은 과거 1,000년 전 몬드 귀족의 사생아였던 에버하트인 것으로 추정되며, 그의 목적은 부패한 귀족 사회를 청산하는 것이었다.
로자리아가 캐릭터 플레이 영상과 데인 여담에서 사용하는 무기이기도 하다.
[38] 초기부터 플레이 한 유저라면 흑암, 왕실 시리즈 혹은 4성 캐릭터 확정 교환을 위해 스타라이트를 인연으로 교환하지 않고 존버하면 가능하나,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은 유저는 여전히 어렵다.[39] 만일 제례창이 출시된다면 역으로 왕실의 장창 디자인에서 색만 바꿔 출시할 가능성이 높다.[40] 제례 시리즈에는 제례 창만 없으며, 왕실의 장창에도 창은 검투사나 평민이나 사용하는 천한 무기라며 대놓고 깔보는 풍조가 드러나 있다. 실제로 필드에서 발견 가능한 모든 나라의 일반 병사들은 장병기를 사용하지만, 유일하게 몬드의 병사들만이 한손검을 사용하고 있다.
3.3.2. 흑암창
외형 변화 전
| |||||
흑암과 운철로 주조한 병기, 검은 칼날의 차가운 빛 속에서 핏빛이 보이는 것만 같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2 ~ 510 | ||||
추가 능력치 | 치명타 피해 12.0% ~ 55.1% | ||||
무기 스킬 | 승승장구 적을 처치한 후 공격력이 12/15/18/21/24% 증가한다. 지속 시간: 30초. 최대 중첩수: 3회. 중첩 1회당 지속 시간은 독립 계산한다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획득 경로 | 스타라이트 교환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흑암창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치명타 피해 | |
0 | 1 | 42 | 12.0% | ||
20 | 109 | 21.2% | |||
1 | 135 | ||||
40 | 205 | 30.9% | |||
2 | 231 | ||||
50 | 266 | 35.7% | |||
3 | 292 | ||||
60 | 327 | 40.6% | |||
4 | 353 | ||||
70 | 388 | 45.4% | |||
5 | 414 | ||||
80 | 449 | 50.3% | |||
6 | 475 | ||||
90 | 510 | 55.1%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4성=inline, 아이템이름=흑암창, 돌파1이름=안개구름 속의 흑연단, 돌파2이름=안개구름 속의 수은단, 돌파3이름=안개구름 속의 금단, 돌파4이름=안개구름 속의 전환, 상급1이름=안개꽃 가루, 상급2이름=안개풀 주머니, 상급3이름=안개 등심, 일반1이름=신병의 휘장, 일반2이름=사관의 휘장, 일반3이름=위관의 휘장, )] | |
|
별의 낫의 팔레트 스왑이다. 이는 해당 시리즈 무기 모두가 동일한 특징으로, 프로토타입 시리즈 무기는 설정상 흑암 시리즈의 프로토타입들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41] 오랫동안 플레이 한 유저라면 흑암, 왕실 시리즈 혹은 4성 캐릭터 확정 교환을 위해 스타라이트를 인연으로 교환하지 않고 존버하면 가능하나,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은 유저는 여전히 어렵다.
3.3.3. 결투의 창
외형 변화 전
| |||||
핏빛의 날카로운 창. 과거 어느 검투사가 애지중지하던 보물이었다. 예전엔 창끝에 무수히 많은 야수와 사람의 피로 가득했었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1 ~ 454 | ||||
추가 능력치 | 치명타 확률 8.0% ~ 36.8% | ||||
무기 스킬 | 검투사 주변에 적이 2기 이상 있을 때 공격력이 16/20/24/28/32%, 방어력이 16/20/24/28/32% 증가한다. 주변에 적이 2기 미만일 때 공격력이 24/30/36/42/48% 증가한다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획득 경로 | 진주 기행 Lv.30 보상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결투의 창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치명타 확률 | |
0 | 1 | 41 | 8.0% | ||
20 | 99 | 14.1% | |||
1 | 125 | ||||
40 | 184 | 20.6% | |||
2 | 210 | ||||
50 | 238 | 23.8% | |||
3 | 264 | ||||
60 | 293 | 27.1% | |||
4 | 319 | ||||
70 | 347 | 30.3% | |||
5 | 373 | ||||
80 | 401 | 33.5% | |||
6 | 427 | ||||
90 | 454 | 36.8%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4성=inline, 아이템이름=결투의 창, 돌파1이름=칼바람 울프의 젖니, 돌파2이름=칼바람 울프의 이빨, 돌파3이름=칼바람 울프의 부서진 이빨, 돌파4이름=칼바람 울프의 그리운 고향, 상급1이름=지맥의 낡은 가지, 상급2이름=지맥의 마른 잎, 상급3이름=지맥의 새싹, 일반1이름=구라구라 꽃꿀, 일반2이름=반짝반짝 꽃꿀, 일반3이름=원소 꽃꿀, )] | |
|
기본 공격력이 41로 4성 무기 중에서는 최하치이지만 추가 능력치 수치는 최고치가 붙어서 나왔다. 덕분에 현존 무기 중에서는 반암결록 다음으로 높은 치명타 확률 옵션을 보유하게 되었다. 거기에 더해 지속 효과 역시 적을 2기 이상 상대할 때는 공격력 상승 16%, 1기를 상대할 때는 공격력 상승 24%를 받는 어마어마한 효과 덕분에 사실상 공격력이 낮은 것은 크게 체감이 될 일이 없다. 시간은 많이 걸리지만, 5재련을 한다면 1기의 적을 상대할 때 48%, 2기 이상의 적을 상대할 때도 32%라는 어마어마한 공격력 상승 효과를 누릴 수 있기 때문에 성능만큼은 훌륭하다고 평가받는다. 시간을 들여 5재련을 달성하면 1재련 화박연과 딜 포텐셜이 엇비슷해질 정도. 무기 스킬의 효과는 장비한 캐릭터가 대기 상태일 때에도 적용된다.
단점은 높은 치명타 확률에 비해 낮은 기초 공격력. 기초 공격력이 낮다는 것은 공% 옵션의 기준치가 낮다는 의미이므로 무기나 성유물 등으로 얻는 공% 옵션의 효율도 다른 무기보다 낮아지게 된다. 때문에 고유 스킬의 공% 옵션은 사실상 낮은 기초 공격력을 커버하는 정도의 효과밖에 없는 셈이고, 어느 정도 재련 단계를 올린 뒤에야 그 아쉬움이 해소된다. 즉, 한손검 반암결록과 같은 맥락으로 36.8%나 되는 높은 치명타 확률을 가진 대신 낮은 기초 공격력을 가지게 된 무기인 셈.
그러나 반암결록과 비슷한 옵션을 가졌음에도 반암결록처럼 범용성 무기로 평가받지는 못하는데, 한손검 캐릭터들과 달리 장병기 캐릭터들은 대부분 공격력 외의 스탯들을 주 스탯으로 사용하도록 출시[42]되었기 때문에 이 무기를 활용할 수 있는 장병기 딜러는 생각보다 많지 않다.
이 무기를 4성 종결 무기로 사용하는 메인딜러는 소와 사이노가 있다. 소는 돌파 스탯이 치명타 확률이고, 사이노는 돌파 스탯이 치명타 피해이기 때문에 높은 치명타 확률을 제공하는 결투의 창과 가장 잘 어울린다. 사이노는 치확 치피를 밸런스 있게 잡을 수 있고, 소는 본인의 돌파 스탯과 추가 능력치만으로 치확이 무려 60%를 상회하므로 성유물에서 치확을 신경쓰지 않고 치피만 챙겨도 준수한 스펙이 갖춰진다.
서포터들 중엔 로자리아와 운근이 사용한다. 로자리아는 본인의 치확을 파티원에게 일정 비율 나눠줄 수 있는데, 그때 결창의 치확 옵션이 유용하게 사용된다. 결창의 추가 능력치 하나만으로도 파티 전체에 5.52%의 치명타 확률을 지원할 수 있다. 운근은 장병기중 유일하게 방어력 능력치를 제공하는 결창 무기 스킬을 받을수만 있다면 이론상 버프의 고점이 가장 높다.
여담으로 영문판 이름이 데스매치로, 원문을 초월한 번역을 보여준다.
[42] HP% 세팅의 호두/종려, 원충 세팅의 라이덴/향릉 등.
3.4. 이벤트 획득
3.4.1. 날카로운 바람의 서신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4성=inline, 아이템이름=날카로운 바람의 서신, 돌파1이름=칼바람 울프의 젖니, 돌파2이름=칼바람 울프의 이빨, 돌파3이름=칼바람 울프의 부서진 이빨, 돌파4이름=칼바람 울프의 그리운 고향, 상급1이름=어두운 조각상, 상급2이름=흑야의 조각상, 상급3이름=그윽한 조각상, 일반1이름=슬라임 응축액, 일반2이름=슬라임청, 일반3이름=슬라임 원액, )] | |
|
사이노와 함께 등장한 무기라 아무래도 사이노가 써먹을 것이라 예상되었으나 정작 출시 이후 3성 무기인 백술창보다 못한 딜량을 보여주는 바람에 결국 외면받은 무기. 진사의 방추를 의식해서인지 이벤트 무기의 밸류를 너무 낮춰버렸다는 평가가 있다.
아직까지 이 무기를 제대로 사용할 수 있는 캐릭터는 없으나 신학에게 줄 페보니우스 창조차 없을 경우 원충시계 세팅을 하면서 써먹을 수는 있다. 다만 무기 스킬 원소반응 발동을 위해 캐릭터 간 교체 순서가 고정되는 문제가 있어 실전 사이클에서 상당히 귀찮아진다.
스토리는 과거 몬드의 귀족 강점기 시절, 에버하트의 하인이었던 프리실라에 대한 이야기다. 두 사람은 비밀리에 주종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에버하트의 계획[43]이 발각되자 프리실라는 봉화를 올렸으나, 정황상 에버하트와 적대하던 귀족들에게 살해당했다고 암시된다.
- 전용 재련 아이템 - 바람을 나르는 깃털
「날카로운 바람의 서신」 전용 재련 아이템. 터키석을 조각하여 만든 오래된 깃촉은 과거에 장식품이나 증표로 사용되었던 것 같다 | |
획득 경로 | 「잔 속에서 울리는 노래」 이벤트 참여 |
[43] 같은 가문 소속의 '잉베르트 어르신'이 이끌던 설산 탐사대를 고립된 장소에서 몰살시키려던 계획. 결국 성공했지만 그 과정에서 부상을 입었다.
3.5. 게임 내 획득
3.5.1. 「어획」
외형 변화 전
| |||||
먼 옛날 이나즈마에서 이름을 날리던 대도적이 애용했다는 창이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2 ~ 510 | ||||
추가 능력치 | 원소 충전 효율 10.0% ~ 45.9% | ||||
무기 스킬 | 뱃노래 원소폭발로 가하는 피해가 16/20/24/28/32% 증가하고, 원소폭발의 치명타 확률이 6/7.5/9/10.5/12% 증가한다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획득 경로 | 이나즈마 낚시 협회 교환[44]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어획」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원소 충전 효율 | |
0 | 1 | 42 | 10.0% | ||
20 | 109 | 17.7% | |||
1 | 135 | ||||
40 | 205 | 25.8% | |||
2 | 231 | ||||
50 | 266 | 29.8% | |||
3 | 292 | ||||
60 | 327 | 33.8% | |||
4 | 353 | ||||
70 | 388 | 37.9% | |||
5 | 414 | ||||
80 | 449 | 41.9% | |||
6 | 475 | ||||
90 | 510 | 45.9%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4성=inline, 아이템이름=「어획」, 돌파1이름=금석극화의 가면, 돌파2이름=금석극화의 호교, 돌파3이름=금석극화의 일각, 돌파4이름=금석극화의 귀인, 상급1이름=혼돈의 기관, 상급2이름=혼돈의 중추, 상급3이름=혼돈의 눈동자, 일반1이름=떠도는 정령 코어 껍데기, 일반2이름=떠도는 정령 코어, 일반3이름=떠도는 정령 결정화 코어, )] | |
|
근본적으로 원소 충전 효율은 원소폭발을 위한 옵션인데, 장병기 캐릭터들 중 상당수가 딜을 원소 폭발에 의존하며 원소 전투 스킬의 딜량이 상대적으로 부실한 경향이 있기 때문에 무기군에도 딱 알맞게 옵션 조정이 이루어진 셈. 궁합이 잘 맞을 캐릭터로는 향릉, 종려, 라이덴 쇼군, 로자리아 정도가 꼽히며, 특히 라이덴의 경우 굳이 전용무기를 뽑지 않아도 준수한 성능을 낼 수 있기에, 소과금 라이덴 유저들에게는 사실상 종결에 준하는 무기로 여겨진다. 옵션이 워낙 좋기 때문에 원소 폭발에 의존하는 캐릭터들에게는 확실히 탈4성급 퍼포먼스를 발휘할 수 있다.[45] 다만, 이렇게 필요로 하는 장병기 캐릭터들은 넘쳐나는데, 어획은 단 한 개만 획득가능한 무기라는 점이 아쉬운 편이다. 그나마 페보니우스 창으로 대체가 가능한 캐릭터들이 많다는 점이 위안거리일 정도.
게다가 이벤트 한정 무기인 부식의 검과 달리 이쪽은 낚시 시스템의 상시 교환 보상이므로 기존 유저는 물론 추후 유입될 신규 유저도 사용할 수 있으나, 특정 물고기를 재료로 요구하는 탓에 낚시를 엄청나게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무기와 풀 재련 재료를 모두 구입하려면 전류 나비고기가 18, 금적빛용 20, 녹빛용 20, 대포복어 40, 쓴맛대포복어 40마리까지 총 138마리나 잡아야 하는데, 낚시터 리젠 기간이 3일이나 되므로 어획을 5재련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자신의 월드에서만 낚시를 한다고 가정할 시 대략 15일 정도[46][47]는 필요하다. 친구나 아는 사람 중에 원신 유저가 있다면 월드에서 낚시를 하게 해 달라고 허락을 받은 뒤 서리를 하거나, 낚시 관련 특성을 가지고 있는 토마[48]를 보유하는 것으로 파밍 기간을 줄일 수 있다. 그나마 물고기는 딱히 지속적으로 필요한 재료도 아니고 낚시 자체도 불편함이 많은 비인기 컨텐츠라 아예 잊고 사는 유저들이 많아서, 신규 유저가 고인물들의 낚시터를 빌리는 것이 큰 어려움은 아니라는 게 위안거리다.
성능 외적으로 꼽을 수 있는 단점으로는 명칭에 지나치게 부합하는 외관 정도. 저 외관과 새파란 컬러링을 소화하는 것이 상당한 난점인데, 그나마 공격 모션이 찌르기 위주이며 요리사 컨셉 캐릭터인 향릉과는 제법 어울리는 편이다. 라이덴 쇼군은 베기 위주의 공격을 하기 때문에 다소 매칭이 안될 수 있지만 푸른 컬러링이 어느정도 어울린다. 또한 라이덴 쇼군은 평타를 쓸 일이 없고, 원소폭발을 쓰면 무기가 한손검 형태로 변경되기 때문에 볼일 자체가 적을 것이다.
무기 스토리는 이 무기의 원 주인이었던 아코 도메키 자이몬에 대한 이야기. 무녀 아사세 히비키와 함께 세이라이 섬에서 쇼군의 군대에 대항했던 일대기를 담은 파마궁의 스토리에서 이어진다. 무기 스토리에 따르면, 아코 도메키와 그의 일당은 쇼군의 군대와의 전투 도중 세이라이 섬의 봉인이 풀린 여파로 인해 금사과 제도로 좌초되었다가 우여곡절 끝에 다시 세이라이 섬으로 돌아왔는데, 봉인이 풀린 여파로 세이라이 섬은 이미 황무지가 되어 버린지라 아코 도메키는 탄식하며, 자신의 전우였던 아사세 히비키의 마지막 소원을 대신 이뤄 주기 위해 배를 타고 세이라이 섬을 다시 떠나게 되었다고 한다.
이렇듯 무기 스토리만 보자면 라이덴 쇼군에 대항했던 반란 세력 중 하나의 무기이지만 상술했듯이 라이덴 쇼군의 준종결무기로서 라이덴 쇼군에게 많이 들려주는 무기란 점은 아이러니. 또한 이 설정 덕에 어획을 입수한 상태에서 버전 2.8 금사과 제도에서의 고기마루[49] 서브 스토리를 진행하면 고기마루가 반응을 한다.[50]
- 전용 재련 아이템 - 아코의 사케마스
「어획」 전용 재련 아이템. 과거 세이라이에 군림했던 아코 도메키 일당이 즐겨 사용하던 술잔. 바닷물을 타고 낚시꾼의 낚싯바늘에 걸리게 된다… | |
획득 경로 | 이나즈마 낚시 협회 교환[51] |
[44] 전류 나비고기 6, 금적빛 용 물고기 20, 녹빛 용 물고기 20[45] 주로 비교대상이 되는 천공의 마루와는 서로 대략 엇비슷한 정도라고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다. 절연 성유물 세팅 기준으로 마루 1재와 어획 5재를 비교하면 순수 원소 폭발 DPS는 어획의 근소 우위이나 평타나 원소 전투 스킬을 얼마나 섞느냐에 따라 마루가 역전할 수 있는 구도다. 대신 원충 스탯이 마루가 9% 정도 낮고 5성 무기라 레벨업 재화도 50% 더 많이 먹는다는 단점이 있다.[46] 당연히 맵 전체의 낚시 스팟을 밤/낮까지 조정해가며 전부 턴다는 전제 하의 기간이다. 요구하는 물고기가 특정 품종으로 정해져 있고 리젠 대상은 랜덤이기 때문에 더 줄어들 수도, 늘어날 수도 있다.[47] 재료 중에서는 특히 전류 나비고기가 주범 격인데, 오로지 이나즈마의 단 한 장소에서 밤에만 3~4마리씩 출몰하기 때문에 다른 물고기를 일찍 구했어도 무조건 최소 12일 이상을 잡아먹게 만든다. 심지어 낚시 장소도 배를 타고 멀리까지 나가야 도달 가능한 난파선 잔해로 이루어진 좁은 자리인데 번개 심연 메이지와 얼음 슬라임이 있어 빙결과 감전 지옥이 펼쳐지는 곳이다. 다만 왼쪽으로 크게 돌아서 접근하면 심연 메이지와 슬라임 둘 다 잡지않고 낚시가 가능하다. 다만 메이지에게 한번 발각되면 난파선의 띄엄띄엄 있는 발판 때문에 도망갔다가 다시 접근해도 메이지가 배회하는 범위가 바뀌어 계속 발각될 수 있으므로 처음부터 안 걸리게 움직이는 게 좋다.[48] 이나즈마 지역에서 낚시 성공 시 20%의 확률로 2배의 어획량 획득.[49] 세이라이 섬에서 제작된 과거의 배로, 아코 도메키 일당의 해적선으로 쓰였다. 상술했던 봉인이 풀린 여파로 휩쓸린 후 좌초되어 박살났다가 이후 모종의 사유로 현재 여행자의 배에서 의식이 일시적으로 깃든 상태.[50] 어획을 획득하지 못한 상태일 경우, '주인의 잃어버린 무기를 도저히 찾을 수 없어 어디에 있는지 모르겠다.'고 말하며 어획을 획득한 상태일 경우, '주인의 잃어버린 무기를 찾지 못했는데 지금은 자네 손에 있군.'이라고 말한다.[51] 전류 나비고기 3, 대포 복어 10, 쓴맛 대포 복어 10
3.6. 게임 내 제작
3.6.1. 별의 낫 프로토타입
외형 변화 전
| |||||
흑암 공장에 은밀히 보관된 오래된 구겸창, 칼끝의 반짝이는 빛은 마치 밤하늘의 성긴 별과도 같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2 ~ 510 | ||||
추가 능력치 | 원소 충전 효율 10.0% ~ 45.9% | ||||
무기 스킬 | 마력의 갈증 원소전투 스킬 발동 후 일반 공격과 강공격 피해가 8/10/12/14/16% 증가한다. 지속 시간: 12초. 최대 중첩수: 2회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단조 재료 | 북대륙의 장병기 원형 × 1, 백철 × 50, 수정덩이 × 50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별의 낫 프로토타입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원소 충전 효율 | |
0 | 1 | 42 | 10.0% | ||
20 | 109 | 17.7% | |||
1 | 135 | ||||
40 | 205 | 25.8% | |||
2 | 231 | ||||
50 | 266 | 29.8% | |||
3 | 292 | ||||
60 | 327 | 33.8% | |||
4 | 353 | ||||
70 | 388 | 37.9% | |||
5 | 414 | ||||
80 | 449 | 41.9% | |||
6 | 475 | ||||
90 | 510 | 45.9%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4성=inline, 아이템이름=별의 낫 프로토타입, 돌파1이름=흑운철 한 알, 돌파2이름=흑운철 조각, 돌파3이름=흑운철 일각, 돌파4이름=흑운철 덩이, 상급1이름=약한 뼛조각, 상급2이름=단단한 뼛조각, 상급3이름=석화한 뼛조각, 일반1이름=부서진 가면, 일반2이름=오염된 가면, 일반3이름=불길한 가면, )] | |
|
페보니우스 창의 경우 치명타가 터지면 일정 확률로 원충 구슬을 뽑아낼 수 있으므로 파티 전체의 원충에 기여할 수 있지만 별의 낫은 깡원충은 더 높을지언정 원충 구슬을 뽑아내지 못한다. 이 때문에 향릉같이 어차피 치명타 확률 세팅을 해야 하는 딜포터라면 페보니우스 창이 더 낫지만 운근이나 토마처럼 딜에 거의 기여하지 않는 서포터들은 치명타 세팅이 무의미한 별의 낫도 좋은 선택이다.
디자인 자체가 고대 중국에서 자주 쓰였던 극의 형태를 하고 있는 데다, 색채와 문양도 검은색과 금색이 잘 어우러진 모습이라서 종려와 운근에게 매우 잘 어울린다는 평이 많다.
3.6.2. 유월창
외형 변화 전
| |||||
창끝이 매우 길고 끝부분이 반달 모양의 칼날로 갈라진 이국의 병기. 상로를 거쳐 리월로 전해져왔다. 조금만 연습하면 아주 뛰어난 살상력을 발휘할 수 있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4 ~ 565 | ||||
추가 능력치 | 물리 피해 보너스 7.5% ~ 34.5% | ||||
무기 스킬 | 에너지 주입 바늘 원소 입자 또는 원소 구슬 획득 후 5초 동안 일반 공격 혹은 강공격 시 적에게 추가로 공격력 20/25/30/35/40%의 피해를 준다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단조 재료 | 북대륙의 장병기 원형 × 1, 백철 × 50, 수정덩이 × 50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유월창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물리 피해 보너스 | |
0 | 1 | 44 | 7.5% | ||
20 | 119 | 13.3% | |||
1 | 144 | ||||
40 | 226 | 19.3% | |||
2 | 252 | ||||
50 | 293 | 22.4% | |||
3 | 319 | ||||
60 | 361 | 25.4% | |||
4 | 387 | ||||
70 | 429 | 28.4% | |||
5 | 455 | ||||
80 | 497 | 31.5% | |||
6 | 523 | ||||
90 | 565 | 34.5%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4성=inline, 아이템이름=유월창, 돌파1이름=고운한림의 매끄러운 모래, 돌파2이름=고운한림의 휘암, 돌파3이름=고운한림의 해골, 돌파4이름=고운한림의 신체, 상급1이름=사냥꾼의 제도, 상급2이름=특수 요원의 제도, 상급3이름=검사관의 제도, 일반1이름=보물찾기 까마귀 휘장, 일반2이름=실버 까마귀 휘장, 일반3이름=골드 까마귀 휘장, )] | |
|
3.1 기준으로 확실한 물리 데미지로 설계된 장병기 캐릭터가 없어 가치가 매우 낮은 무기다. 과거에는 향릉 및 로자리아가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 선택지다. [53] 때문에 캐릭터와 무기 모두 없어도, 유월창 단조보다는 남겨뒀다가 다른 단조 무기를 만드는 게 추천된다.
무기 스토리는 과거 로렌스 가문 집권기, 몬드에서 미모와 창술로 이름을 날렸던 죽음의 마녀에 대한 이야기다. 유월창의 주인이었던 그녀는 귀족 의적인 파르치팔을 사랑했지만 결국 헤어졌고, 제자이자 파르치팔의 배다른 동생이었던 에버하트에게 살해당했다고 암시된다.
무기의 이름인 유월창의 유월(流月)은 '흐르는 달'이라는 뜻이다. 이는 무기 자체의 달을 닮은 외형을 상징함과 동시에[54], 아이템 설명문에서 나오듯 리월(璃月)로 흘러들어온(流) 창(针)이란 의미 또한 가지고 있음을 유추해볼 수 있다.
[52] '일과'의 오타. 영어 버전 참고. https://genshin-impact.fandom.com/wiki/Crescent_Pike[53] 로자리아는 일반공격 계수가 높고, 물리 데미지를 높힐 수단이 있어 기용이 고려된다. 하지만 향릉은 메인 딜러가 적었던 서비스 초기, 변칙적으로 사용한 것에 가깝다. 비슷한 예로는 강철궁 물리 피슬과 매의 검 물리 각청이 있다.[54] 영어판은 'Crescent Pike(초승달 창)'이라는 이름으로 번역했다.
3.6.3. 용의 척추
외형 변화 전
| |||||
드래곤의 이빨로 만든 장창. 기이한 따뜻함이 느껴진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1 ~ 454 | ||||
추가 능력치 | 물리 피해 보너스 15.0% ~ 69.0% | ||||
무기 스킬 | 서리의 매장 일반 공격과 강공격이 적에게 명중 시 60/70/80/90/100%의 확률로 적의 위쪽에 영원의 얼음 결정을 생성한 후 떨궈서 공격력 80/95/110/125/140%의 범위 피해를 준다. 적이 얼음 원소의 영향을 받으면 공격력 200/240/280/320/360%의 피해를 준다. 해당 효과는 10초마다 1회 발동한다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단조 재료 | 북대륙의 장병기 원형 × 1, 성은 광석 × 50, 생명력을 흡수한 용의 이빨 × 8 | ||||
레시피 출처 | 기이한 「이빨」 발견 후 받는 「부식의 이빨」 의뢰 완료 보상으로 레시피 획득 | ||||
획득 경로 | 「부식의 이빨」 의뢰 완료 보상으로 완제품 1개 획득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용의 척추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물리 피해 보너스 | |
0 | 1 | 41 | 15.0% | ||
20 | 99 | 26.5% | |||
1 | 125 | ||||
40 | 184 | 38.7% | |||
2 | 210 | ||||
50 | 238 | 44.7% | |||
3 | 264 | ||||
60 | 293 | 50.8% | |||
4 | 319 | ||||
70 | 347 | 56.8% | |||
5 | 373 | ||||
80 | 401 | 62.9% | |||
6 | 427 | ||||
90 | 454 | 69.0%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4성=inline, 아이템이름=용의 척추, 돌파1이름=칼바람 울프의 젖니, 돌파2이름=칼바람 울프의 이빨, 돌파3이름=칼바람 울프의 부서진 이빨, 돌파4이름=칼바람 울프의 그리운 고향, 상급1이름=안개꽃 가루, 상급2이름=안개풀 주머니, 상급3이름=안개 등심, 일반1이름=신병의 휘장, 일반2이름=사관의 휘장, 일반3이름=위관의 휘장, )] | |
|
레시피는 드래곤 스파인 지역 임무의 보상으로 얻을 수 있다. 재료 중 하나인 용의 이빨은 드래곤스파인 지역에서 채취할 수 있는 특수 재료로, 특정 포인트 4곳에서 3일마다 1개씩 얻을 수 있다.위치 참고 이렇게 얻은 이빨 4개를 용의 코어에 제출하면 생명력을 흡수해서 비로소 “생명력을 흡수한 용의 이빨”이 된다.
레시피 보상 임무 과정에서 완제품 하나를 반드시 제작하도록 되어있으며 첫 제작 때는 이빨을 4개만 소비하지만 추가적인 단조는 8개씩 소비한다. 5재련 용의 척추는 총 36개의 이빨을 소비하니 리스폰 포함 약 24일 이상이 소요된다.
유월창과 동일하게 물리 공격이 주력인 장병기 캐릭터가 없다는 것이 이 무기의 가치를 크게 떨어뜨린다. 로자리아의 캐릭터 체험에서는 용의 척추를 들고있기는 한데, 실제로는 유월창 문단에서도 설명했다시피 현재 로자리아의 주 포지션은 스킬만 쓰고 빠지는 서브 딜러/서포터라서 용의 척추가 쓸모가 없다. 이후 새로운 얼음 장병기 캐릭터로 신학이 추가되긴 했지만 신학 역시 로자리아와 마찬가지로 서포터가 주 포지션이라 용의 척추를 쓸 이유가 없다.
무기 스토리는 그 이름과 요구 재료에 걸맞게, 부식의 검 - 천공의 마루에서 이어지는 악룡 두린에 대한 이야기이며, 드발린에게 목덜미를 찢기고 드래곤스파인에 떨어져 죽기 직전인 두린이 남긴 독백과 유언이다.
3.6.4. 키타인 십자창
과거 야시오리섬의 「재앙신」을 감시하던 창술 대가가 사용했던 특수한 창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4 ~ 565 | ||||
추가 능력치 | 원소 마스터리 24 ~ 110 | ||||
무기 스킬 | 명사의 거동 원소전투 스킬로 가하는 피해가 6/7.5/9/10.5/12% 증가한다. 원소전투 스킬이 명중되면, 캐릭터는 원소 에너지를 3pt 잃고, 그 후 6초 동안 2초마다 원소 에너지를 3/3.5/4/4.5/5pt 회복한다. 이 효과는 10초마다 최대 1회만 발동하며, 캐릭터가 대기 상태일 때도 발동된다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단조 재료 | 북대륙의 장병기 원형 × 1, 자수정 덩이 × 50, 백철 × 50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키타인 십자창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원소 마스터리 | |
0 | 1 | 44 | 24 | ||
20 | 119 | 42 | |||
1 | 144 | ||||
40 | 226 | 62 | |||
2 | 252 | ||||
50 | 293 | 71 | |||
3 | 319 | ||||
60 | 361 | 81 | |||
4 | 387 | ||||
70 | 429 | 91 | |||
5 | 455 | ||||
80 | 497 | 101 | |||
6 | 523 | ||||
90 | 565 | 110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4성=inline, 아이템이름=키타인 십자창, 돌파1이름=금석극화의 가면, 돌파2이름=금석극화의 호교, 돌파3이름=금석극화의 일각, 돌파4이름=금석극화의 귀인, 상급1이름=혼돈의 기관, 상급2이름=혼돈의 중추, 상급3이름=혼돈의 눈동자, 일반1이름=보물찾기 까마귀 휘장, 일반2이름=실버 까마귀 휘장, 일반3이름=골드 까마귀 휘장, )] | |
|
동 시기에 함께 추가된 카츠라기를 벤 나가마사과 동일한 무기스킬을 가졌다. 원소 스킬이 적을 적중하면 일정 원소 에너지를 소모하고 이후 약간의 시간 동안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회복시킨다. 이때 원소 에너지가 0이어도 무기 스킬이 발동되기에, 가급적 Q-E 사이클을 이용하여야 순회복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페보니우스 시리즈처럼 서포터용으로 쓸 수 있는 나가마사와 달리, 이쪽은 추가 능력치가 원소 마스터리라서 범용성이 낮은 무기이다.
풀 원소가 추가되고 난 후 토마가 발화 요원으로 쓰이게 되면서 원마세팅 토마의 4성 종결 무기로 사용된다. 추가 능력치인 원소 마스터리가 발화 파티에서는 필수적이고, 무기 스킬로 토마의 부족한 원소 충전 효율을 메꿔줄 수 있어 발군의 궁합을 보여준다. 토마의 원소 게이지는 80이지만 운명의 자리 4돌파 시 원소 에너지를 15pt 회복하고 5재련 키타인의 무기 스킬로 원소 에너지를 15pt 회복하므로 실질적으로 50의 원소 게이지를 가지게 되어 단독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된다. 토마와 상당히 잘 어울리는 룩은 덤으로 토마의 전신 일러스트와 가챠 일러스트, 캐릭터 플레이 영상에서 키타인 십자창의 2번째 돌파 버전을 들고 있다.
3.6.5. 달을 꿰뚫는 화살
외형 변화 전
| |||||
아란나라의 이야기에서 획득한 무기. 거대한 화살의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창으로 사용할 수 있다 | |||||
<colbgcolor=#F7F2E8,#1f2023> 기초 공격력 | 44 ~ 565 | ||||
추가 능력치 | 원소 마스터리 24 ~ 110 | ||||
무기 스킬 | 깊은 숲속 달 그림자 연소, 활성, 촉진, 발산, 개화, 만개 혹은 발화 발동 후, 캐릭터 주변에 최대 10초 동안 존재하는 「소생의 잎사귀」가 생성된다. 소생의 잎사귀를 습득한 캐릭터는 공격력이 16/20/24/28/32% 증가한다. 지속 시간: 12초. 해당 방식으로 20초마다 소생의 잎사귀를 최대 1개 생성한다. 캐릭터가 대기 상태일 때도 발동된다 | ||||
시리즈 종류 | [[원신/무기/한손검| [[원신/무기/양손검| [[원신/무기/장병기| [[원신/무기/법구| [[원신/무기/활| | ||||
단조 재료 | 중앙 대륙의 장병기 원형 × 1, 수정덩이 × 50, 백철 × 50 | ||||
언어별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달을 꿰뚫는 화살 - [ 단계별 능력치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돌파 단계 | 레벨 | 기초 공격력 | 원소 마스터리 | |
0 | 1 | 44 | 24 | ||
20 | 119 | 43 | |||
1 | 144 | ||||
40 | 226 | 62 | |||
2 | 252 | ||||
50 | 293 | 72 | |||
3 | 319 | ||||
60 | 361 | 81 | |||
4 | 387 | ||||
70 | 429 | 91 | |||
5 | 455 | ||||
80 | 497 | 101 | |||
6 | 523 | ||||
90 | 565 | 110 |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4성=inline, 아이템이름=달을 꿰뚫는 화살, 돌파1이름=오아시스 화원의 추억, 돌파2이름=오아시스 화원의 은혜, 돌파3이름=오아시스 화원의 애념, 돌파4이름=오아시스 화원의 진리, 상급1이름=혼돈 용기, 상급2이름=혼돈 모듈, 상급3이름=혼돈 볼트, 일반1이름=신병의 휘장, 일반2이름=사관의 휘장, 일반3이름=위관의 휘장, )] | |
|
4. 3성
4.1. 상시 기원 획득
4.1.1. 흑술창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3성=inline, 아이템이름=흑술창, 돌파1이름=흑운철 한 알, 돌파2이름=흑운철 조각, 돌파3이름=흑운철 일각, 돌파4이름=흑운철 덩이, 상급1이름=약한 뼛조각, 상급2이름=단단한 뼛조각, 상급3이름=석화한 뼛조각, 일반1이름=견고한 화살촉, 일반2이름=날카로운 화살촉, 일반3이름=역전의 화살촉, )] | |
|
하지만 이 무기의 진가는 따로 있는데, 바로 장병기 중에서 유일하게 추가 능력치가 HP인 무기이다보니 종려의 HP 세팅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추가 능력치로 HP 46.9%를 올려주는 것은 독보적인 수준으로, 심지어 호마의 지팡이 5재련보다 HP 부분에서는 더 높다.[55] 단, 흑술창은 종려를 철저한 HP 세팅을 통한 보호막 서포터로서 활용할 용도로 장착해 주는 무기인 만큼, 만약 종려의 딜링 능력을 올리고 싶다면 사용하지 않는다.
2.1버전 기준 종려의 흑술창 사용률은 43%로, 모든 무기 중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렇게 된 이유는 종려의 사용처가 탱커 겸 딜러에서 탱커 겸 서포터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원신의 파워 인플레이션이 심해지면서 적들은 더 강해졌고, 그에 따른 대미지 수용책이 필요해지자 종려의 보호막을 무식하게 올리는 방법을 택한 것. 종려를 딜 세팅해서 천성의 대미지를 아무리 강화시켜봤자 몹들의 피통이 뻥튀기 된 최근 연월에서는 이러한 대미지가 몹들에게 있어서는 그저 간지러울 뿐인 수준이 되어 딜 세팅의 효율이 굉장히 떨어졌기 때문이기도 하다. 흑술창+체체체 천암 세팅으로 HP를 5만 5천 정도로 맞춰놓으면 무적 치트 수준으로 옥홀 방패가 엄청나게 단단해진다. 리월 주간보스 황금옥 타르탈리아의 미친듯한 대미지를 자랑하는 고래 패턴을 직빵으로 맞아도 멀쩡하게 버티는 수준.
2.2 버전에서 종려와 비슷하게 장병기를 사용하는 HP비례 보호막 서포터 토마가 나와서 사용처가 늘어났다. 3.1 버전과 3.4 버전에는 캔디스와 요요도 HP 옵션을 주력으로 쓰기 때문에 사용처가 더 늘었다.
이름이 유사하듯 같은 3성 무기인 백술창과 팔레트 스왑인 무기. 이름 그대로 색상이 검고 희다는 차이만 있다.
[55] 5재련 호마의 지팡이 40%. 1재련은 20%.
4.2. 게임 내 획득
4.2.1. 미늘창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3성=inline, 아이템이름=미늘창, 돌파1이름=안개구름 속의 흑연단, 돌파2이름=안개구름 속의 수은단, 돌파3이름=안개구름 속의 금단, 돌파4이름=안개구름 속의 전환, 상급1이름=안개꽃 가루, 상급2이름=안개풀 주머니, 상급3이름=안개 등심, 일반1이름=구라구라 꽃꿀, 일반2이름=반짝반짝 꽃꿀, 일반3이름=원소 꽃꿀, )] | |
|
대략 장병기 버전 고화 프로토타입으로, 3성 무기치고는 굉장히 우수한 옵션 구성을 가지고 있다. 4성 버전이 있었으면 제법 괜찮았을 법한 무기이나, 아쉽게도 3성이라서 제대로 쓰기는 곤란하다.
그와는 별개로 비주얼적으로는 로자리아와 매우 잘 어울리는 편[56]
다른 두 3성 장병기가 팔레트 스왑인 반면 미늘창은 독자적 디자인을 갖는다.
[56] 해당 무기의 2번째 돌파 시 창날의 색이 진청색에서 검은색 + 붉은색으로 바뀌는데, 해당 부분이 로자리아의 색상 팔레트와도 일치하는 데다 로자리아의 일반 공격 모션 또한 창을 휘두르는 모션이 많아 미늘창의 디자인과도 어울리는 느낌을 준다.
4.2.2. 백술창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3~5성, 등급3성=inline, 아이템이름=백술창, 돌파1이름=고운한림의 매끄러운 모래, 돌파2이름=고운한림의 휘암, 돌파3이름=고운한림의 해골, 돌파4이름=고운한림의 신체, 상급1이름=사냥꾼의 제도, 상급2이름=특수 요원의 제도, 상급3이름=검사관의 제도, 일반1이름=신병의 휘장, 일반2이름=사관의 휘장, 일반3이름=위관의 휘장, )] | |
|
과거에는 장병기 캐릭터중에서 일반 공격을 활용하는 캐릭터가 없었다. 3성 무기를 사용할 시기인 초반엔 평타 피증이 상당히 매력적이지만 결국 조합이 갖춰지고 성유물 세팅이 완성 될 때 쯤이면 있으나 마나한 효과가 되버리는 것.
3.1 버전에서 사이노가 일반 공격 장병기 딜러로 출시되어 치명타 확률과 일반 공격 피해 보너스를 온전히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사이노에게 효율도 결투의 창 순정 바로 아래라 사이노에겐 사실상 무과금 종결무기급이다.
향릉이 가챠 일러스트에서 착용하고 있는 무기가 바로 백술창으로, 병사도 아닌 향릉[57]이 왜 제식 무기를 들고 있는지는 불명.[58]
한손검인 흘호 생선회칼처럼 보물상자를 통해서만 획득할 수 있다.
흑술창과 팔레트 스왑인 무기. 색상외에 디자인적으로 다른 점은 없다.
[57] 만민당 소속 요리사이다.[58] 다만, 제식 무기이니만큼 리월 대장간에서 상시 취급할 무기일 가능성이 높으니 창을 쓰는 향릉이 대장간에서 하나 구입해 쓰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5. 2성
5.1. 철촉창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1~2성, 등급2성=inline, 아이템이름=철촉창, 돌파1이름=라이언 투사의 족쇄, 돌파2이름=라이언 투사의 쇠사슬, 돌파3이름=라이언 투사의 수갑, 돌파4이름=라이언 투사의 이념, 상급1이름=혼돈의 장치, 상급2이름=혼돈의 회로, 상급3이름=혼돈의 노심, 일반1이름=이능 두루마리, 일반2이름=봉마의 두루마리, 일반3이름=금주의 두루마리, )] | |
|
6. 1성
6.1. 초보자의 장창
[include(틀:원신/무기 돌파 소재 1~2성, 등급1성=inline, 아이템이름=초보자의 장창, 돌파1이름=라이언 투사의 족쇄, 돌파2이름=라이언 투사의 쇠사슬, 돌파3이름=라이언 투사의 수갑, 돌파4이름=라이언 투사의 이념, 상급1이름=혼돈의 장치, 상급2이름=혼돈의 회로, 상급3이름=혼돈의 노심, 일반1이름=이능 두루마리, 일반2이름=봉마의 두루마리, 일반3이름=금주의 두루마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