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6 16:11:22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초성체에 대한 내용은 ㅎㄷㄷ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한자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글 기본 자모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45%; min-height:2em"
{{{#!folding [ 현대 한글 ]
{{{#!wiki style="margin:-5px 0 -5px"
<colbgcolor=#eee,#000>현대 한글 기본 자모
단자음(14개) · · · · · · · · · · · · ·
단모음(10개) · · · · · · · · ·
현대 한글 겹자모
자​음<colbgcolor=#eee,#000>쌍자음(5개) · · · ·
겹받침(11개) · · · · · · · · · ·
이중모음(11개) · · · · · · · ·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45%; min-height:2em"
{{{#!folding [ 옛한글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문서가 없는 옛한글 자모는 옛한글/자모 문서 참고
※ 일부 자모는 옛한글 글꼴이 필요함
<colbgcolor=#eee,#000>기본 자모 · · · (아래아)
중국어 표기용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ᄼ · ᄾ · ᅎ · ᅐ · ᅔ · ᅕ)
기타한글 초성 채움 문자
겹자모
초​성<colbgcolor=#eee,#000>각자​병서 · · 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ᄽ · ᄿ · ᅏ · ᅑ) · · ·
합용​병서ㅂ계 합용병서(ㅲ · ᄠ · ㅄ · ㅶ · ᄩ)
ㅅ계 합용병서(ㅺ · ㅼ · ㅽ · ㅾ)
ㅄ계 합용병서(ㅴ · ㅵ)
연서 · 훈민정음의 순경음(ㆄ · ㅸ · ㅹ · ㅱ)
중성 · · (ᆖ) · (ᆢ) ·
종성 · · }}}}}}}}}
}}}


1. 한글 자모의 일종2. 인터넷 및 SNS등에서 축약어로 사용되는 ㄷ3. 기타

1. 한글 자모의 일종

<colbgcolor=#ddd,#292929> 이름 디귿(디읃)
분류 자음(예사소리)
음성 <colbgcolor=#e7e7e7,#363636> 어두 t (d̥)
어중 d
종성
종성+모음앞 d
d͡ʑ
s[1]
ɕ[2]
자음동화 n
ȵ
경음화
(된소리되기)
격음화
(거센소리되기)

t͡ɕʰ
[clearfix]
한글 자모의 세 번째 글자. ㄴ에 획을 가한 형태이다. 남한에서는 디귿이라고 표기한다. ㄷ 받침이 붙은 단어는 모음 조사가 붙었을 때 /ㄷ/으로 발음해야한다.(예: 굳은 [구든]). 글자의 이름인 디귿에서만 모음 조사가 붙었을 때 받침은 /ㄷ/이 아닌 /ㅅ/ 소리를 낸다.(예: 디귿을 [디그들](X), [디그슬](O)). '읃'이 아니라 '귿'인 이유는 훈몽자회 문서 참고. 북한에서는 디읃이라고 읽는다. 목젖으로 콧길을 막고 혀끝을 치조에 대어 입길을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파열음이다. 일부 사람들은 ㄷ을 쓸 때 히라가나 와 비슷하게 쓰기도 한다.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에서 을 가획하여 만들었고, 획 하나를 더하면 이 된다.

된소리 버전으로 이 있다. 쌍디귿 이라 읽고 'ㄷ'발음과 비교해 기식이 적은 파열음이다. 북한에서는 된디읃이라 부른다. 조선어 신철자법 제정 당시에는 띠ᄋ\ᅳퟍ[3]으로 불렀다.

ㅅ이 종성에서의 지위를 잃을 때 표기는 ㅅ이, 발음은 ㄷ이 우위를 차지했는데, 외래어 표기법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처럼 일부 외래어에서 비공식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번호판에서 ㄷ이 들어간 글자[4]는 모두 자가용 차량에만 쓰인다.

2. 인터넷 및 SNS등에서 축약어로 사용되는 ㄷ

대표적으로 ㄷㄷ가 있으며 덜덜이라 읽고 뭔가 대단해 보인다는 감정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 또는 이란 표현으로도 쓰이고 ㅎㄷㄷ(후덜덜)에서 ㅎ이 탈락되어 파생된 것으로 보인다.

3. 기타

  • 과학탐구 시험에서는 ㄷ이 마지막 선지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런 <보기>를 가지는 문제가 시험의 대다수를 차지한다.

[1] 글자의 이름인 '디귿'에 모음 조사가 붙을 때만. (예) 디귿을[디그\] 발음힌다.[2] 글자의 이름인 '디귿'에 모음 조사가 붙어서 구개음화가 일어날 때만. (예) 디귿이[디그\] 쓰기 어렵다.[3] 으+ㄸ 받침. 나눔바른고딕 옛한글, 나눔명조 옛한글(이 둘은 여기서 다운 가능), 함초롬체 LVT(아래아 한글 문서 참고) 중 하나가 설치되어 있으면 이 부분이 제대로 보인다.[4] 다, 더, 도, 두. 과거에는 드도 있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