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12 17:00:11

한글 기본 자모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45%; min-height:2em"
{{{#!folding [ 현대 한글 ]
{{{#!wiki style="margin:-5px 0 -5px
<colbgcolor=#eee,#000>기본 자모
자음(14개) · · · · · · · · · · · · ·
모음(10개) · · · · · · · · ·
기타 자모
자​음<colbgcolor=#eee,#000>겹자음(5개) · · · ·
겹받침(11개) · · · · · · · · · ·
겹모음(11개) · · · · · · · ·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45%; min-height:2em"
{{{#!folding [ 옛한글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문서가 없는 옛한글 자모는 옛한글/자모 문서 참고
  • 일부 자모는 옛한글 글꼴이 필요함
<colbgcolor=#eee,#000>기본 자모 · · ·
중국어 표기용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ᄼ · ᄾ · ᅎ · ᅐ · ᅔ · ᅕ)
기타한글 초성 채움 문자
겹자모
초​성<colbgcolor=#eee,#000>각자​병서 · · 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ᄽ · ᄿ · ᅏ · ᅑ) · · ·
합용​병서ㅂ계 합용병서(ㅲ · ㅳ · ㅄ · ㅶ · ㅷ)
ㅅ계 합용병서(ㅺ · ㅼ · ㅽ · ㅾ)
ㅄ계 합용병서(ㅴ · ㅵ · ᄤ · ᄥ · ᄦ · ꥲ)
연서 · 훈민정음의 순경음(ㆄ · ㅸ · ㅹ · ㅱ)
중성 · · · · · (ᆖ) · (ᆢ) ·
종성 · · }}}}}}}}}}}}

<colbgcolor=#ddd,#222> 이름 리을비읍
분류 겹받침
음성 하단 참고

1. 개요2. 용례3. 음성

[clearfix]

1. 개요

현대 한글의 겹받침 중 하나.

2. 용례

쓰이는 단어로는 (동사) 밟다, (형용사) 떫다, 넓다, 얇다, 엷다[1], 짧다, 섧다[2], (수사/관형사) 여덟이 있다.

명사나 동사에서는 보기 드문 겹받침이지만 형용사에서는 꽤 많다. 그런데 형용사에 -다랗다, -직하다 접미사가 붙은 경우에는 ㄼ으로 적지 않고 ㄹ로 적으니 주의해야 한다. '널따랗다', '널찍하다', '얄따랗다', '얄찍하다', '짤따랗다'가 옳은 표기이다. 뒷자음도 된소리로 적어줘야 하는 건 덤. 겹받침의 끝소리인 ㅂ이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소리 나는 대로 적는 것인데, ㄼ로 적는 것이 더 일관성 있고 뒷자음이 된소리가 되는 것이 ㅂ이 나타난다고 볼 수 있음에도 저 형태로 정해졌다. 그 외에도 '떨떠름하다', '얄팍하다', '짤막하다'도 '떫다', '얇다', '짧다'에서 유래했지만 앞의 이유로 '떨떠름하다', '얄팍하다', '짤막하다'가 됐다. 넙치도 한자어인 광어처럼 넓어서 넓치인 듯하지만 넙치라고 적는다. 그런 것들만 빼면 넓죽하다, 넓적다리 등은 ㅂ 소리가 나므로 ㄼ으로 적는 게 맞다. '넓직하다'는 틀리고 '넓죽하다'는 맞다니… 북한에서는 -다랗다의 경우 ㄼ으로 적어주지만 -직하다는 ㄼ이 아닌 ㄹ로 적고 -찍하다가 아닌 -직하다를 쓴다. 이래저래 사람을 헷갈리게 만드는 겹받침이다.

아마 과 함께 한국어와 한글을 처음 배우는 사람이 제일 먼저 접하는 겹받침일 듯하다. 언어를 배울 땐 보통 숫자부터 배우기 마련인데, 숫자 중 하나인 '여덟'이 떡하니 ㄼ을 쓰고 있으니. 그런데 '여덟'의 경우 수사라서 모음 어미가 붙여져 활용될 일도 없고, 숫자인 만큼 조사가 붙여질 일도 별로 없어서 모음이 붙여져 발음될 일이 생각보다 그렇게 많지 않다. 그래서 그런지 현대에 들어 '열여덟이다'를 [열려덜비다]가 아닌 [열려더리다]라고 발음하는 사람이 많아졌다. 이 들어간 닭과 비슷한 경우. 저 발음이 인정되면 ㄼ은 용언에서만 쓰이게 된다.

3. 음성

  • ɭp̚
    • 뒤 자음 탈락 (설측음화): [ɭ] (밟다와 일부 넓-을 제외한 모든 ㄼ, 여)
    • 앞 자음 탈락 (불파음화): [p̚] (다)
  • 형식 형태소의 첫 모음 앞: [ɭ.b] (홍시가 었다.)
  • 격음화: [ɭ.pʰ](히다)
  • 자음동화: [m](냐?)

, , 과 마찬가지로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의 발음은 [ㄹ]이며 후행 자음은 ㅂ에 의하여 경음화가 된다. 따라서 위의 예의 발음들은 [떨따], [열따], [널따], [짤따], [여덜]이 된다. 자음 앞/어말에서 뒤엣것의 대표음으로 소리가 나는 , , 이 특이한 예.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이어지면 평범하게 [ㄹ] 뒤에 [ㅂ] 소리가 이어진다.

그런 이유로 '짧니?'는 유음화로 [짤리]가 되는 게 원칙이지만, 요즘엔 그렇게 말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 [짬니]나 혹은 매개모음 '-으-'를 넣어서 [짤브니]라고 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짤]을 발음하는 도중 입술을 다물어 발음하는 사람도 꽤 있다. 자매품으로 '짧냐?'도 있다. 이런 현상을 피하기 위해 일부러 '짧아?'로 발음하는 사람도 있다.

단, '밟다'는 예외다. '밟다'는 자음 앞에서 [ㅂ] 소리가 나서 [밥따]라고 발음해야 한다. 그러나 요즘에는 [발따]로 발음하는 사람이 상당히 많은데 이는 비표준 발음이므로 [밥따]라고 발음해야 한다.

'넓'도 /넙/으로 발음하는 일부 예외가 존재한다. '넓다'가 '넙다'일 때의 흔적으로 보인다. 이 경우는 넓적하다[넙쩌카다], 넓죽하다[넙쭈카다], 넓둥글다[넙뚱굴다]가 있다. 이 중 넓적하다 외에는 잘 안 쓰인다.

아예 음성적으로 ㄹ과 ㅂ이 모두 발음 되는 경우도 있는데, 특히 "밟다", "짧다"에서는 꽤 높은 비율로 /ㄼ/으로 실현된다고 한다. [3] 2021년 발음 연구에 따르면 무려 68.5%에서 ㄹ과 ㅂ이 모두 발음되고 있다고 한다. [4]


[1] 앞의 얇다와 일부 뜻이 비슷하다.[2] '서럽다'와 같은 말.[3] 출처 : ‘ㄺ’, ‘ㄼ’의 발음 실현 양상과 원인 분석[4] 출처 : 유음으로 시작하는 어간말 자음군 발음의 변이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