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기본 자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45%;" {{{#!folding [ 현대 한글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 <colbgcolor=#eee,#000> 기본 자모 | ||||||||
자음(14개) | ㄱ · ㄴ · ㄷ · ㄹ · ㅁ · ㅂ · ㅅ · ㅇ · ㅈ · ㅊ · ㅋ · ㅌ · ㅍ · ㅎ | ||||||||
모음(10개) | ㅏ · ㅑ · ㅓ · ㅕ · ㅗ · ㅛ · ㅜ · ㅠ · ㅡ · ㅣ | ||||||||
기타 자모 | |||||||||
자음 | 겹자음(5개) | ㄲ · ㄸ · ㅃ · ㅆ · ㅉ | |||||||
겹받침(11개) | ㄳ · ㄵ · ㄶ · ㄺ · ㄻ · ㄼ · ㄽ · ㄾ · ㄿ · ㅀ · ㅄ | ||||||||
겹모음(11개) | ㅐ · ㅒ · ㅔ · ㅖ · ㅘ · ㅙ · ㅚ · ㅝ · ㅞ · ㅟ · ㅢ |
- [ 옛한글 ]
- ||<tablewidth=100%><-3><width=1000> · 개별 문서가 없는 옛한글은 옛한글/자모 문서 참고
· 일부 자모는 옛한글 글꼴이 필요함 ||기본 자모 ㅿ · ㆁ · ㆆ · ㆍ 중국어 표기용 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ᄼ · ᄾ · ᅎ · ᅐ · ᅔ · ᅕ) 기타 한글 초성 채움 문자 겹자모 초
성각자
병서ㅥ · ᄴ · 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ᄽ · ᄿ · ᅏ · ᅑ) · ㆀ · ㆅ · ꥼ 합용
병서ㅂ계 합용병서(ㅲ · ㅳ · ㅄ · ㅶ · ㅷ)
ㅅ계 합용병서(ㅺ · ㅼ · ㅽ · ㅾ)
ㅄ계 합용병서(ㅴ · ㅵ · ᄤ · ᄥ · ᄦ · ꥲ)연서 ᄛ · 훈민정음의 순경음(ㆄ · ㅸ · ㅹ · ㅱ) 중성 ힱ · ᆃ · ㆉ · ᆍ · ㆌ · ᆜ(ᆖ) · ᆝ(ᆢ) · ㆎ 종성 ᇑ · ㅭ · ᇚ
1. 개요
ㅕ | ||
<colbgcolor=#ddd,#222> 이름 | 여 | |
분류 | 이중모음 | |
음성 | jʌ̹ ~ jə |
한글 자모의 열여덟 번째 글자. '여'라고 읽는다. 국제음성기호로는 [jʌ̹]이다. 다만 ㅓ와 마찬가지로, [jə] 등으로도 발음된다.
구어체에서 ㅟ와 ㅓ가 합쳐 줄어든 소리인 [ɥʌ̹]를 표기할 때도 ㅕ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예: 사귀어 → 사겨) 다만 정식 표기법은 아니니 주의할 것.
2. 본문
현행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상으로는 yeo,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으로는 yŏ, 예일 표기법으로는 ye이다.훈몽자회에서는 余(여)와 동일한 음가라고 설명하고 있다. 한편, 훈민정음에서는 ㅓ와 마찬가지로 ㆍ와 ㅣ를 결합한 음성모음이라고 한다(ㆍ가 두 번 결합되었다).
한국어의 키릴 문자 표기 중 콘체비치 표기법(러시아어 실용 표기법)에서는 ё로 전사한다. 지명의 첫소리에 올 때에는 Йо로 표기한다.
몽골어에서 ё가 한국어의 ㅕ와 같은 음이다.
남부 방언에서는 'ㅕ'가 'ㅐ' 내지 'ㅔ'로 발음되는 일이 잦다. 주로 동남 방언 화자인 김영삼의 "갱재를 살립시더", 허구연의 '누헨진, 깅강헨, 기멘수, 고앵민, 고앵표, 궈낵, 구보낵, 뭉보갱, 뭉갱찬, 흐갱민, 베나구 등등'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서남 방언과 제주 방언에서도 이런 현상을 찾을 수 있다. 개그콘서트의 달인에도 이를 활용한 개그가 있었다.[1] 이외에도 [jɯ] ~ [jɤ]로 발음되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