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3 23:51:37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이모티콘에 대한 내용은 ㅠ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이모티콘:
ㅠㅠ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토막글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한글 기본 자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45%;"
{{{#!folding [ 현대 한글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colbgcolor=#eee,#000> 기본 자모
자음(14개) · · · · · · · · · · · · ·
모음(10개) · · · · · · · · ·
기타 자모
자음 겹자음(5개) · · · ·
겹받침(11개) · · · · · · · · · ·
겹모음(11개) · · · · · · · · · ·
}}}}}}}}}
[ 옛한글 ]
||<tablewidth=100%><-3><width=1000> · 개별 문서가 없는 옛한글은 옛한글/자모 문서 참고
· 일부 자모는 옛한글 글꼴이 필요함
||
기본 자모 · · ·
중국어 표기용 ᄼ · ᄾ · ᅎ · ᅐ · ᅔ · ᅕ
겹자모

각자
병서
· · ᄽ · ᄿ · ᅏ · ᅑ · · ·
합용
병서
ㅳ · ㅄ · ㅶ · ㅷ
ㅺ · ㅼ · ㅽ
ㅴ · ㅵ
연서 · ㆄ · ㅸ · ㅹ · ㅱ
중성 · · · · · (ᆖ) · (ᆢ) ·
종성 · ·
}}} ||

<colbgcolor=#ddd,#222> 이름 위아래우, 쌍우, ᄋᆍ
분류 이중모음
음성 wu
1. 개요2. ' ᆍ' 발음


1. 개요

ᆍ 는 옛한글 모음의 하나이다. 드물게 사용됐던 이중 모음인데 장모음은 아니다. 중세 국어엔 장음이 없었기 때문이다.

2. ' ᆍ' 발음

'무'를 입술을 붙이지 않고 발음하면 된다. TTS에서 언어를 영어로 해놓고 'wu'를 치면 들을 수 있다. 한글 표기에서 자모를 음절로 모아 쓸 때 [w]를 표기하는 반모음이 모음조화에 따라 'ㅗ'와 'ㅜ'로 갈리는 것을 감안하면(예: 와 [wɐ], 워 [wʌ]), 'ᄋᆍ'는 [wu]에 해당하는 표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훈민정음의 순경음을 쓰면 'ᄝᅮ'로도 표기할 수 있다.

같은 글자를 두 번 병기한 점으로는 각자 병서라 할 수 있겠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