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16 17:38:45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ㅜ와 모양이 비슷한 라틴 문자에 대한 내용은 T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글 기본 자모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45%; min-height:2em"
{{{#!folding [ 현대 한글 ]
{{{#!wiki style="margin:-5px 0 -5px
<colbgcolor=#eee,#000>기본 자모
자음(14개) · · · · · · · · · · · · ·
모음(10개) · · · · · · · · ·
기타 자모
자​음<colbgcolor=#eee,#000>겹자음(5개) · · · ·
겹받침(11개) · · · · · · · · · ·
겹모음(11개) · · · · · · · ·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45%; min-height:2em"
{{{#!folding [ 옛한글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문서가 없는 옛한글 자모는 옛한글/자모 문서 참고
  • 일부 자모는 옛한글 글꼴이 필요함
<colbgcolor=#eee,#000>기본 자모 · · ·
중국어 표기용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ᄼ · ᄾ · ᅎ · ᅐ · ᅔ · ᅕ)
기타한글 초성 채움 문자
겹자모
초​성<colbgcolor=#eee,#000>각자​병서 · · 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ᄽ · ᄿ · ᅏ · ᅑ) · · ·
합용​병서ㅂ계 합용병서(ㅲ · ㅳ · ㅄ · ㅶ · ㅷ)
ㅅ계 합용병서(ㅺ · ㅼ · ㅽ · ㅾ)
ㅄ계 합용병서(ㅴ · ㅵ · ᄤ · ᄥ · ᄦ · ꥲ)
연서 · 훈민정음의 순경음(ㆄ · ㅸ · ㅹ · ㅱ)
중성 · · · · · (ᆖ) · (ᆢ) ·
종성 · · }}}}}}}}}}}}

1. 개요2. 기타

1. 개요

<colbgcolor=#ddd,#222> 이름
분류 단모음
음성 u
[clearfix]
한글 낱자 중 21번째 글자이자, 7번째 모음자이다.

훈민정음 해례본》에 따르면 를 합해 만들었고, 그 소리는 'ㅡ'에서 입을 오므려[口蹙, 구축][1] 낸다고 설명한다.

후설 원순 고모음이며, 국제음성기호로는 [u]로 나타낸다. 보통 로마자로 옮길 때는 u로 옮기지만 영어식 표기를 따라 (w)oo로, 혹은 프랑스어식 표기를 따라 ou로 옮기는 경우도 있다.

중성 모음 와 합쳐지면 , 음성 모음 와 합쳐지면 이중 모음 , 거기에 와 또 합쳐지면 이중 모음 가 된다.

이기문을 포함한 국어학자들은 고대 한국어~전기 중세 한국어에서의 ㅜ에 중설성이 강했을 것으로 보나, 이에 반대하는 의견이 많다.

2. 기타

와 마찬가지로 우는 표정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예시: ㅜ_ㅜ,ㅜ.ㅜ, ㅠㅜ, ㅜㅠ 등등

로마자 대문자 T와 거의 똑같이 생겼다. 트와이스의 노래 TT는 그래서 이모티콘 ㅜㅜ의 의미로 쓴 것이다.

QWERTY - 두벌식 자판 대응에서 ㅜ는 N에 대응된다. 접속 빈도가 매우 높은 웹사이트인 네이버가 N으로 시작하기에 거기에 들어가려다 한글 자판 상태라 ㅜ를 입력하게 되기도 한다.나무위키 들어가려다 입력하는 경우도 꽤 많다 세벌식의 경우에는 ㅜ가 B에 대응되는데, 이는 ㅜ가 단독 모음으로서 사용되는 경우만 포함되며, ㅟ, ㅝ 등 이중 모음을 조합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ㅜ는 숫자 9 자리에 위치한다.

발음이 안 좋은 사람들 몇몇은 ㅜ가 탈락돼 앞 자음을 성절 자음화시키기도 한다.
네이버 접속을 위해 주소창에 N을 입력하고 자동완성을 노리려다 한글 ㅜ가 검색이 되는 경우도 있다.

태권도 유단자 품새 중 하나인 천권의 품새선이 ㅜ이다.
[1] 그 반대는 口張이며 ㅓ, ㅏ가 그 속성을 지니고 있다고 기술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