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9 23:26:02

한글 기본 자모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45%; min-height:2em"
{{{#!folding [ 현대 한글 ]
{{{#!wiki style="margin:-5px 0 -5px
<colbgcolor=#eee,#000>기본 자모
자음(14개) · · · · · · · · · · · · ·
모음(10개) · · · · · · · · ·
기타 자모
자​음<colbgcolor=#eee,#000>겹자음(5개) · · · ·
겹받침(11개) · · · · · · · · · ·
겹모음(11개) · · · · · · · ·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45%; min-height:2em"
{{{#!folding [ 옛한글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문서가 없는 옛한글 자모는 옛한글/자모 문서 참고
  • 일부 자모는 옛한글 글꼴이 필요함
<colbgcolor=#eee,#000>기본 자모 · · ·
중국어 표기용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ᄼ · ᄾ · ᅎ · ᅐ · ᅔ · ᅕ)
기타한글 초성 채움 문자
겹자모
초​성<colbgcolor=#eee,#000>각자​병서 · · 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ᄽ · ᄿ · ᅏ · ᅑ) · · ·
합용​병서ㅂ계 합용병서(ㅲ · ㅳ · ㅄ · ㅶ · ㅷ)
ㅅ계 합용병서(ㅺ · ㅼ · ㅽ · ㅾ)
ㅄ계 합용병서(ㅴ · ㅵ · ᄤ · ᄥ · ᄦ · ꥲ)
연서 · 훈민정음의 순경음(ㆄ · ㅸ · ㅹ · ㅱ)
중성 · · · · · (ᆖ) · (ᆢ) ·
종성 · · }}}}}}}}}}}}

<colbgcolor=#ddd,#222> 이름 리을미음
분류 겹받침
음성 <colbgcolor=#e7e7e7,#181818> 종성 m[1]
종성+형식 형태소의 첫 모음 앞 ɭ.m[2]

1. 개요2. 발음3. 표기4. 참고

1. 개요

현대 한글의 겹받침 가운데 하나이다. 유일하게 유성 받침만으로 이루어졌다. 쓰이는 단어로는 '', '젊다', '짊어지다', '곪다', '굶다', '닮다', '삶다' '옮다' 등이 있다.

2. 발음

발음은 /ㅁ/. 뒤에 모음이 오면 /ㄹ/을 낸 뒤에 뒷모음에 /ㅁ/ 소리를 낸다. 하지만 //과 마찬가지로 /ㄹ/과 /ㅁ/을 한꺼번에, 마치 /rm/ 소리나 /lm/ 소리를 내듯이 발음하는 사람들도 있다. '삶'을 발음해보자. 표준 발음이면 /삼/과 같은 발음이어야 한다(뒤에 모음이 없는 경우). 다르게 읽으면 /ㄹ/과 /ㅁ/을 한꺼번에 읽는 것이다. '' 역시 표준 발음은 /남/이겠지만 대개 /narm/이나 /nalm/으로 읽는 것으로 보인다.

3. 표기

'ㄹ' 받침 뒤에는 매개모음이 안 붙고, 명사형 '-'도 'ㄹ' 받침의 탈락 조건이 아니므로('ㄴ'이나 'ㅂ', 'ㅅ', 또는 'ㅗ', 종성 'ㄹ'로 시작하는 어미가 탈락 조건) 한국어에서 '-' 명사형(음슴체)을 만들 때 용언 어간이 'ㄹ' 받침으로 끝나면 설령 'ㄹ' 받침이 활용 과정에서 사라져도 'ㄹ' 받침이 탈락하지 않고 'ㅁ' 명사형은 'ㄻ' 받침으로 쓴다. 이 방식으로 볼 수 있는 'ㄻ' 꼴에는 '앎(알다+ㅁ)', '돎(돌다+ㅁ)', '팖(팔다+ㅁ)', '놂(놀다+ㅁ)' 등이 있다.

사실 '삶' 역시 '살다+ㅁ'으로 만들어진 단어이지만 '살다'의 파생형에서 벗어나 개별 명사로서의 활용이 굳어진 사례. 특히 '팔다(sell)'는 온라인 게임 같은 데서 '팜'으로 잘못 쓰는 일이 많지만 '팖'이 옳고, '팜'은 '파다(dig)'의 명사형이다. 한글 '팜'을 닮은 한자 '(역마을 참)'으로 쓰는 것도 '팖'을 '팜'으로 잘못 쓴 데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또, '부풀다'의 명사형으로 '부품'을 쓰는 일이 많으나 '부풂'이 옳다.

시스템 한계로 맞춤법에서 어긋나게 쓸 수밖에 없기도 했다. '둥글다'의 ㅁ 명사형은 '둥긂'(둥글- + -ㅁ)이지만 KS X 1001 완성형에는 '긂'이라는 글자가 수록돼 있지 않아 KS X 1001 범위 밖의 한글 조합을 지원하지 않는 시스템으로는 '둥글ㅁ'처럼 써지는 문제가 있어 올바른 표기인 '둥긂'을 쓰지 못하고 어쩔 수 없이 '둥글음', '둥금' 등으로 썼다. '칢'이 없어서 '거칠다'의 명사형 '거칢'도 저런 시스템으로 쓸 수 없다.

4. 참고

'ㄹ' 뒤에서 매개 모음 '으'가 나타나지 않는 양상은 용언 어간과 용언 어미의 결합에서는 규칙적이나, 용언 어근과 파생 접미사의 결합에서는 다소 불규칙하다. 이를 테면, '멋진 을 잘 .'에서는 전자인 파생 명사 '삶'과 후자인 동사의 명사형 '삶'이 모두 위 양상에 따르나, '차가운 얼음이 꽁꽁 .'의 전자인 파생 명사 '얼음'의 어간 '얼-'이 'ㄹ'로 끝났음에도 뒤에 매개모음이 있는 '-음'이 붙었음을 알 수 있다. 후자인 동사의 명사형 '얾'에서는 위 양상이 실현된다. '놀음'도 '놀다'의 파생 명사인데, 아예 소리대로 '노름'·'어름'으로 쓰기도 한다. '가물다'의 명사형은 '가묾'이고, 파생명사는 'ㄹ'이 없는 '가뭄'이다.

'깨닮'을 치면 꽤 나오는데, 'ㄹ' 특수 규칙을 확대 해석해 'ㄷ' 불규칙 활용 밖에 그것까지 더한 결과로 보인다('깨닫-' + '-음' → '깨닮', 관련 내용은 어미 문서와 매개모음 문서에 있다).


[1] [2] 을 살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