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3 22:47:39

아날레나 베어보크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775C4 0%, #4b92db 20%, #4b92db 80%, #2775C4)"
{{{#!wiki style="margin: 0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25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파일:벨기에 국기.svg 폴 앙리 스파크 파일:브라질 국기.svg 오스왈도 아라냐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호세 아르세 파일:호주 국기.svg 허버트 에바트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파일:필리핀 국기.svg 카를로스 로물로 파일:이란 국기(1964-1980).svg 나스롤라 엔테잠 파일:멕시코 국기.svg 루이스 파딜라 네르보 파일:캐나다 국기.svg 레스터 피어슨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파일:인도 국기.svg 비자야 락슈미 판디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엘코 판 클레펜스 파일:칠레 국기.svg 호세 마사 페르난데스 파일:칠레 국기.svg 루데신도 오르테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파일:태국 국기.svg 완 와이타야콘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레슬리 먼로 파일:레바논 국기.svg 샤를 말리크 파일:페루 국기.svg 빅토르 안드레스 벨라운데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프레더릭 볼런드 파일:튀니지 국기.svg 몽기 슬림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무하마드 자파룰라 칸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카를로스 소사 로드리게스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파일:가나 국기.svg 알렉스 퀘이슨새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민토레 판파니 파일:아프가니스탄 왕국 국기(1931-1973).svg 압둘 라만 파즈와크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코르넬리우 머네스쿠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에밀리오 아레날레스 과탈란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앤지 브룩스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에드바르 함브로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아담 말릭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파일:폴란드 국기.svg 스타니스와프 트레프친스키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레오폴도 베니테스 파일:알제리 국기.svg 압델라지즈 부테플리카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가스통 토른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해밀턴 셜리 아메라싱게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국기.svg 라자르 모이소프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인달레시오 리에바토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살림 아흐메드 살림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파일:독일 국기.svg 뤼디거 폰 베흐마르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스마트 키타니 파일:헝가리 국기.svg 홀러이 임레 파일:파나마 국기.svg 호르헤 일루에카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파일:잠비아 국기.svg 폴 루사카 파일:스페인 국기.svg 하이메 데 피니에스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후마윤 라시드 초우두리 파일:동독 국기.svg 페터 플로린
제45대 제46대 제47대 제48대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단테 카푸토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조지프 난벤 가르바 파일:몰타 국기.svg 귀도 데마르코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미르 시하비
제49대 제50대 제51대 제52대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스토얀 가네프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루디 인새널리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아마라 에시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디오고 프레이타스 도 아마랄
제53대 제54대 제55대 제56대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라잘리 이스마일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헨나디 우도벤코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디디에르 오페르티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테오벤 구리랍
제57대 제58대 제59대 제60대
파일:핀란드 국기.svg 하리 홀케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승수 파일:체코 국기.svg 얀 카반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줄리언 헌티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파일:가봉 국기.svg 장 핑 파일:스웨덴 국기.svg 얀 엘리아손 파일:바레인 국기.svg 하야 라셰드 알할리파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스르잔 케림
제65대 제66대 제67대 제68대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미겔 데스코토 브로크만 파일:리비아 국기.svg 알리 트레키 파일:스위스 국기.svg 요제프 다이스 파일:카타르 국기.svg 나시르 엘나세르
제69대 제70대 제71대 제72대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부크 예레미치 파일:앤티가 바부다 국기.svg 존 윌리엄 애시 파일:우간다 국기.svg 샘 쿠테사 파일:덴마크 국기.svg 모겐스 뤼케토프트
제73대 제74대 제75대 제76대
파일:피지 국기.svg 피터 톰슨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미로슬라우 라이차크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마리아 페르난도 에스피노사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티자니 무하마드반데
제77대 제78대 제79대 제80대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볼칸 보즈크르 파일:몰디브 국기.svg 압둘라 샤히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쾨뢰시 처버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데니스 프랜시스
제81대 제82대
파일:카메룬 국기.svg 필레몬 양 파일:독일 국기.svg 아날레나 베어보크 }}}
유엔 사무총장}}}}}}}}}}}}

파일:동맹 90/녹색당 로고.svg 동맹 90/녹색당 공동 연방의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유타 디트푸르트
토마스 에버만
제2대
안톄 폴메르
루드거 폴메르
제3대
군다 뢰스텔
위르겐 트리틴
제4대
군다 뢰스텔
프리츠 쿤
제5대
클라우디아 로트
프리츠 쿤
제6대
앙겔리카 베어
라인하르트 뷔티코퍼
제7대
클라우디아 로트
라인하르트 뷔티코퍼
제8대
클라우디아 로트
쳄 외츠데미르
제9대
지모네 페터
쳄 외츠데미르
제10대
아날레나 베어보크
로베르트 하베크
제11대
리카르다 랑
오미드 누리푸어
제12대
프란치스카 브란트너
펠릭스 바나샤크
당헌 성평등 조항에 의거하여 모든 공동대표는 남녀 한 쌍으로 구성
}}}}}}}}} ||
<colbgcolor=#707070><colcolor=#ffffff> 독일연방공화국 제16대 외무장관
아날레나 샤를로테 알마 배어보크
Annalena Charlotte Alma Baerbock
파일:AW_210224_100_0250bFINAL-scaled-e1618701968532.jpg
출생 1980년 12월 15일 ([age(1980-12-15)]세)
서독 니더작센하노버
재임기간 제16대 외무장관
2021년 12월 8일 ~ 2025년 5월 6일
제80대 UN 총회 의장
2025년 9월 9일 ~ 현재
서명
파일:아날레나 베어보크 서명.svg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1]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707070><colcolor=#fff> 배우자 Daniel Holefleisch (2007 ~ )
국적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학력 함부르크 대학교 (정치학 / 학사)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법학 / 석사)
종교 기독교 (개신교)[3]
소속 정당

의원 선수 4 (하원)
의원 대수 18, 19, 20, 21
지역구 브란덴부르크 비례[4] }}}}}}}}}

1. 개요2. 생애3. 활동4. 논란
4.1. 허위 경력 논란4.2. 소득 신고 누락4.3. 표절 논란4.4. 360도 논란
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독일의 정치인.

정치적으로는 녹색당 내 우파이며, 전국 정치 기준으로는 급진적 중도, 온건 사회자유주의에 가까운 성향이라고 평가받는다.[5] 녹색 자유주의자로도 볼 수 있다.

2. 생애

1980년 서독 하노버에서 태어났다. 16살때 교환학생으로서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로 간 적이 있으며 어릴때 꽤 유망한 트램펄린 체조 선수였다고 한다.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정치학을 전공했다. 2005년 런던 정치경제대학교에서 국제공법 석사 학위를 취득했고, 이후 녹색당에 입당해 엘레자베트 슈뢰터 유럽의원 곁에서 일했다.

3. 활동

2009년 총선에 처음으로 도전했으나 당선권에 들어가지 못했으며, 2013년 처음으로 원내에 입성했다. 2017년에도 재선에 성공했는데, 녹색당이 그간 군소 정당이었던 탓에 세 차례 다 비례대표로 도전했다. 2017년 총선 직후 녹색당이 기민·기사련, 자유민주당과의 연정 협상에 들어가자, 베어보크는 녹색당 측의 협상팀 임원으로 참가했으나 별 성과를 보이지 못 하고 협상은 결렬되었다.

2018년 1월 27일 하노버에서 열린 전당대회에 출마해 로베르트 하베크와 공동으로 새 당대표로 선출되었다. 이후 녹색당이 사회민주당을 제치고 범진보진영 지지율 1위를 찍을 정도로 지지율이 상승했으며, 2019년 유럽의회 선거에서 기민련 다음으로 2위 성적을 기록하는 등 당의 상승세를 주도하면서 차기 총리로도 거론되고 있다.

다만 유럽의회 선거 직후 잠시 1위를 찍었던 지지율이 최근에는 조금 떨어져 기민련에 뒤지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범보수(기민련-대안당)와 자유민주당의 합계 지지율이 범진보(사민당-녹색당-좌파당)보다 높은 경우가 많아 실제 총리직을 거며쥘 수 있을지는 미지수.

2020년 들어서 자유민주당의 지지율이 5%에서 약보합세인 상황이기에, 자민당의 원내진입 실패를 가정하면 적적녹 연정이 가능하긴 하다. 튀링겐 지방선거의 결과도 자민당+기민련+대안이 과반이 넘었지만 실제 주총리 선거에서는 당연하다시피 독일을 위한 대안은 배제하고 나머지 정당들의 비율로 결정했다. 그 계산대로면 기민/기사련+자민당의 지지율과 좌파 3당의 지지율은 거의 비슷하다.

물론 독일은 좌우 대연정까지도 있었던만큼 크게 중요하지 않은 문제로 볼 수 있지만, 바로 아랫동네녹색당우파 세력과 손잡고 연정을 구성한 것을 비판하면서 우리는 절대 그럴 일 없다고 못 박았다는 점을 보면, 결국 좌파가 과반이 되지 못 할 경우 집권은 물 건너간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다만 2017년 총선 전후로, 대연정을 안 하겠다던 사민당도 결국 도로 대연정을 구성한 만큼, 이 발언도 번복되지 않으리란 보장은 없다.

한편, 최근에 기민련+사민당 지지율 합이 과반에 미치지 못해 기민련이 정권 유지를 위해 녹색당을 끌어안을 수도 있다. 물론 녹색당 대신 대안당을 통해서 정권 유지와 순수 우파 정권을 구성할 수도 있지만 기민련의 당 방침 상, 극우 성향인 대안당과의 연대는 금기하고 있어 현실성은 매우 떨어진다. 이는 튀링겐 주에서 자민당 지역위원장 토마스 켐머리히가 총리 후보로 당선됐을때 기민련과 대안당의 몰표가 결과에 지대한 영향력을 발휘한 것을 두고 기민련과 대안당이 손 잡았다며 나라 전체가 그야말로 발칵 뒤집어졌던 사례에 기인한 것이다. 그렇기에 만약 기민련 수뇌부가 갑자기 스탠스를 바꿔 독일을 위한 대안과 손잡는 일이 발생한다면 중도나 중도우파 유권자들은 이에 경악하여 오히려 중도좌파를 지지할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녹색당도 일단 범좌파 정권을 구성하려면 사민당과 좌파당의 협력이 필요한데, 문제는 이로써 과반이 안 될 경우엔 기민련이나 자민당 이들 중 하나를 포용해야 한다. 그러나 앞선 튀링겐 주의 사례에서 보여지듯이 둘 다 극좌 성향의 좌파당과의 협력은 거부하고 있어, 결국 범좌파가 과반이 안 될 경우 순수 좌파 정권은 실현될 수 없단 것이다.

2021년 들어 당의 지지율이 계속 상승세를 타고 있어서 총선 결과 기민련-기사련 연합을 꺾고 제1당이 될 경우 이들과 녹흑연정을 꾸리고[6] 제1당의 당수로서 베어보크가 총리가 되는 시나리오 또한 불가능하지는 않다. 만약 제2당이 될 경우, 녹색당 출신의 최대 정계 거물이었던 요슈카 피셔에 이어 두번째로 녹색당 출신 독일 부총리가 될 수도 있다.

2021년 9월 26일에 치러질 제20대 독일 연방하원 선거에서 총리 후보로 선출되었다.[7]

하지만 녹색당이 CDU/CSU의 지지율을 넘어서며 정점을 찍은 날로부터 들어오기 시작한 논문 표절 논란 등 검증의 칼날을 피하지 못하고, 본인도 연속해 설화를 일으키면서 지지율이 하락해 지금은 다시 녹색당의 지지율이 10% 중후반, 3위권으로 내려와 총리직에 오르기는 어려운 상황이 됐다.

다만 그 반사이익으로 지지율 1위에 오른 사민당올라프 숄츠 부총리가 녹색당을 연정 1순위 대상자로 점찍고, CDU/CSU 역시 연정 구성을 위해선 녹색당이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 된만큼 차기 내각에서 독일 부총리 등 요직에 오를 가능성은 제법 높아진 편이다.

11월 23일 타결된 사민-녹색-자민 3당간 연정 타결 내용에 따라 12월 8일, 숄츠 내각 공식 출범과 함께 독일 역사상 최초의 여성 외무장관이 되었다. 다만, 예상밖으로 부총리 자리는 베어보크가 아닌 로베르트 하베크 공동대표에게 돌아갔다.

2022년 5월 10일, 독일 정부 장관 중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처음으로 우크라이나에 방문하였다.

2025년 1월, 프랑스 유럽외교부장관 장노엘 바로와 함께 아사드 정권이 축출된 시리아를 방문하였다. 과도정부 실권자인 아메드 알샤라를 함께 만났는데 건설적인 관계 구축 의지를 밝히고 평화적인 정권 이양을 촉구했을 것으로 보인다.#[8]

이후 유엔총회 의장으로 취임하였다.

4. 논란

Anybody who claims to be an ememy of Baerbock is my friend.
(누구든지 베어보크의 적을 자칭하는 사람은 내 친구이다.)
제프리 삭스(Jeffrey Sachs), 미국 경제 학자이며 대외 정치 평론가

4.1. 허위 경력 논란

정당 홈페이지에 허위 경력을 기재했다는 사실이 밝혀져 논란이 되었다. 배어복이 독일의 유명 싱크탱크 ‘독일 마셜 펀드'의 회원이라고 소개돼있지만 허위인 것으로 드러났다.

배어보크는 “정확하지 못하고 부주의했다”며 공식 사과했다.

2025년 6월 2일 제 80대 유엔 총회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4.2. 소득 신고 누락

배어복은 독일 국회의원의 부수입 소득 신고 규정을 어기고 이를 누락했다가 뒤늦게 신고를 했다는 점이 밝혀져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4.3. 표절 논란

배어복의 저서 '지금-우리나라를 새롭게 바꿀 방안'에서 29차례에 걸쳐 표절된 부분이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오스트리아 미디어학자인 슈테판 베버는 배어복의 책이 16명이 작성한 글에서 29차례에 걸쳐 표절된 부분이 발견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미디어 감시 누리 사이트 '표절감정'도 배어복의 의 표절 사실을 지적하며, 윤리적 실수이며, 저작권 위반에 해당한다고 비판했다.

배어복은 이와 관련, 풍케미디어그룹과의 인터뷰에서 "출간한 저서는 박사학위 논문이 아니다", "아무도 책을 혼자 쓰지는 않는다. 여러 아이디어가 담겼을 뿐 아니라 감사하게도 지원을 받았다. 공개된 출처에서 사실들을 사용했다는 것을 잘 의식하고 있고, 이 책은 전문가의 참조 문헌이 아니어서 각주가 없다."라고 변명했다.

녹색당도 배어복의 표절 논란을 적극 방어했다. 당 대변인은 표절 논란이 “개성에 대해 저격”하려는 시도라고 비난했다.

하지만 '디 차이트' 등 독일의 권위있는 언론들은 녹색당이 너무 기본적인 실수를 넘했다며 비판했다.

4.4. 360도 논란

제59차 뮌헨 안보회의(Münchner Sicherheitskonferenz)
"푸틴이 360도 바꾸지 아니하면 불가능합니다."(If he doesn’t change by 360 degrees, no,)
알다시피 360도는 제자리다. 러시아를 비롯한 2, 3 세계 진영들에서는 밈(아날레나 '360' 베어보크)이 되어 훌륭한 조소거리가 되는 중.

5. 여담

결혼해서 두 딸이 있으나, 이혼했다.

6. 둘러보기

파일:브란덴부르크 주장.svg 브란덴부르크 제21대 연방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56구 57구 58구 59구 60구
괴츠 프뢰밍 하네스 그나우크 - 레네 슈프링어 아르네 라우에
61구 62구 63구 64구 65구
올라프 숄츠 슈테펜 코트레 라이너 갈라 라르스 쉬스케 비르기트 베신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우베 파일러 크누트 아브라함 자스키아 루트비히 제바스티안 슈타이네케
비례 1 비례 2 비례 2
아날레나 베어보크[1] 미하엘 켈너 안드레아 뤼프케
비례 1 비례 2 비례 3
크리스티안 괴르케 이자벨라 판드레 크리스틴 빌나트
비례 2 비례 3 비례 4
마야 발슈타인 슈테판 치어케 조냐 아이히베데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니더작센 · 라인란트팔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바덴뷔르템베르크 · 바이에른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1] 2025년 6월 30일 의원직 사퇴, 안드레아 뤼프케 의원직 승계
}}}}}}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자유주의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주요 이념 고전적 자유주의(신자유주의) · 문화적 자유주의 · 중도주의 · 질서자유주의
연관 이념 공화주의 · 국민자유주의* · 녹색 자유주의(Grüne) · 사회자유주의 · 자유주의 페미니즘(개인주의 페미니즘) · 자유지상주의
과거 이념 급진주의 · 계몽주의 · 라이시테주의
연관 개념 시장경제 · 자유국제주의 · 자유보수주의 · 진보주의 · 흑적금 국기단
주요 정당 1차대전 이전 독일국민협회 · 독일 인민당(1868년) · 독일 자유사상당 · 독일 자유사상인민당 · 독일 진보당 · 자유사상가 연합 · 자유주의연합 · 진보인민당
바이마르 공화국 독일 국가당 · 독일 민주당 · 독일 인민당
전후 독일 동맹 90/녹색당 · 자유민주당
인물 구스타프 슈트레제만 · 기도 베스터벨레 · 랄프 다렌도르프 · 루돌프 폰 베니히센 · 루돌프 피르호 · 막스 베버 · 발터 라테나우 · 발터 셸 · 발터 오이켄 · 빌헬름 뢰프케 · 아날레나 베어보크 · 알렉산더 뤼스토 · 에두아르드 라스커 · 칼헤르만 훌락 · 크리스티안 린트너 · 테오도르 몸젠 · 테오도어 호이스 · 프리드리히 나우만 · 한스디트리히 겐셔
언론 디 차이트 · 쥐트도이체 차이퉁 ·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
단체 프리드리히 나우만 자유재단 · 하인리히 뵐 재단(Grüne)
기타 제하임 서클(SPD)
독일 정치 관련 문서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 독일에서 보수자유주의라는 용어는 사용되지 않으며, 독일에서 우파자유주의(Rechtsliberalismus)는 국민자유주의(Nationalliberalismus)와 동의어이다.

파일:노란색 깃발.svg 자유주의/분파
}}}}}}}}}

[1] 외무장관 취임 이전 공식계정(아카이브 상태)[2] 현재 공식계정[3] 매우 기독교적인 가정에서 자랐기 때문에 종교를 진지하게 믿었으나 현재는 멀어진 상태라고 말했다.[4] 포츠담·포츠담미텔마르크 2구·텔토플레밍 2구에 출마했으나, 올라프 숄츠에게 밀려 낙선한 후 비례대표로 구제받았다.[5] Karnitschnig, Matthew (27 January 2018). "German Greens Elect New Leadership Duo". Politico website. Retrieved 15 January 2018.[6]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에서 녹흑연정으로 녹색당의 유일한 3선 주총리 빈프리트 크레치만을 배출한 바 있다. 이 외에도 헤센 주에서는 흑녹연정 형태로 기민당과 연합하기도 했다.[7] 녹색당 연방위원회의 결정. 물론 공식적인 절차는 6월 11일~13일에 열릴 전당대회에서 밟을 예정이다.##[8] YTN에서는 언급하지 않았는데, 링크의 영상을 보면 알샤라가 베어보크와의 악수를 회피하고 프랑스 유럽외교부장관 장노엘 바로하고만 악수한다. 이슬람 원리주의자답게 여자와는 악수를 하지 않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