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일연방공화국 연방부총리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12529,#e0e0e0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fff> 초대 | 제2대 | 제3대 | |
| 프란츠 블뤼허 |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 에리히 멘데 | ||
| <rowcolor=#fff> 제4대 | 제5대 | 제6대 | ||
| 한스크리스토프 제봄 | 빌리 브란트 | 발터 셸 | ||
| <rowcolor=#fff> 제7대 | 제8대 | 제9대 | ||
| 한스디트리히 겐셔 | 에곤 프랑케 | 한스디트리히 겐셔 | ||
| <rowcolor=#fff>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 위르겐 묄레만 | 클라우스 킨켈 | 요슈카 피셔 | ||
| <rowcolor=#fff>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 프란츠 뮌터페링 |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 기도 베스터벨레 | ||
| <rowcolor=#fff>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
| 필리프 뢰슬러 | 지그마어 가브리엘 | 올라프 숄츠 | ||
| <rowcolor=#fff> 제19대 | 제20대 | |||
| 로베르트 하베크 | 라르스 클링바일 | |||
| 독일 총리 | ||||
| <colbgcolor=#707070><colcolor=#fff> 독일연방공화국 제7·9대 연방부총리 한스디트리히 겐셔 Hans-Dietrich Genscher | |
| | |
| 출생 | 1927년 3월 21일 |
| 바이마르 공화국 프로이센 자유주 라이데부르크 | |
| 사망 | 2016년 3월 31일 (향년 89세) |
|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바흐트베르크 | |
| 국적 | |
| 배우자 | 루이제 슈바이처 (1958년 결혼 - 1966년 이혼) 바바라 겐셔 (1969년 결혼) |
| 학력 | 마르틴 루터 할레비텐베르크 대학교(경제학 / 학사) 라이프치히 대학교 (법학 / 학사) |
| 직업 | 정치인, 변호사 |
| 소속 |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
| 경력 | 제5-13대 연방의회 의원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비례대표) 제7대 내무부장관 (빌리 브란트 내각) 제7대 연방부총리 겸 제6대 외무부장관 (헬무트 슈미트 내각) 자유민주당 대표 제9대 연방부총리 겸 제8대 외무부장관 (헬무트 콜 내각) 유럽안보협력기구 의장 |
| 서명 | |
1. 개요
독일의 정치인. 독일 부총리와 자유민주당 당수직을 역임하였다.2. 생애
한스디트리히 겐셔는 변호사인 쿠르트 겐셔와 농민의 딸인 힐다 크레이메의 아들로 태어났다. 제2차 세계대전 말기에 참전하였으며, 그는 전시에 공군 보조병을 복무하였고 하르츠 산맥에서 제국 노동 서비스로 일하였다. 1945년 1월, 그는 또한 그의 설명에 따르면 무장친위대의 강제 모집을 피하기 위해 독일 국방군에 자원했다. 전쟁이 끝날 무렵 영국군에 포로로 잡혔다. 1945년 7월 석방 후 그는 건설 노동자로 일했다. 1945년 12월부터 그는 할레에 있는 프리드리히 니체 고등학교에 다녔고, 1946년 3월에 대학 보충 입학 시험에 합격했다. 1946/47년 겨울에 그는 결핵 에 걸려 중병에 걸려 요양소에서 3개월을 보내야 했다. 겐셔는 그 후 10년 동안 당시 불치병이었던 이 병을 앓았고 반복적으로 장기 입원을 해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46년부터 1949년까지 그는 마르틴 루터 할레비텐베르크 대학교와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해 변호사가 되었다. 1952년 8월 20일, 겐셔는 서베를린을 거쳐 독일연방공화국으로 도망쳐 브레멘 고등법원 관할 한자 고등법원의 국선변호사로 일하였고 1956년까지 그는 상법과 세법을 전문으로 하는 로펌에 일하였다.소련군정 치하에서 대학교에 다니면서 동독 자유민주당에 입당했다가 1952년 서독으로 넘어와 독일 자유민주당에 입당했다.1969~1974년 빌리 브란트 내각의 내무부장관으로 있었는데, 그의 임기는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이스라엘 선수들이 인질로 잡힌 뮌헨 올림픽 참사와 겹쳤다.[1] 빌리 브란트가 사임한 뒤 헬무트 슈미트 내각이 들어서자 겐셔는 외무장관 겸 부총리로 임명되었다, 그 후 헬무트 콜내각이 들어서자 그는 직을 유지하였다. 외무장관으로서 그는 동서 간 화해 정책을 옹호하고 적극적 데탕트 , 소련과의 동서 대화 지속, EC 통합을 위한 전략을 추진하였다. 특히 1987년부터 겐셔는 소련의 노력에 대한 서방의 대응으로 "적극적 데탕트 정책"을 옹호했고, 1990년 동독의 마르쿠스 메켈 총리와 독일 재통일을 위한 협상을 하였다. 겐셔는 독일 재통일의 외부적 측면을 다룬 2+4 회담 의 첫 번째(본), 두 번째(베를린), 세 번째(파리) 외무장관 회의에 참석했다. 1992년 5월 18일, 65세 생일 몇 주 후, 겐셔는 본인의 요청으로 독일 정부에서 사임했다. 당시 겐셔는 유럽에서 가장 오랫동안 외무장관을 지낸 인물이었다. 이후 정계에 은퇴한 겐셔는 조용히 살다가 2016년 3월 31일 심혈관계 기능 부전으로 생을 마감하였다.
3. 여담
- 1970년대 초 독일민주공화국(동독)이 탈동자의 국적을 일제정리하기 전까지 서류상으로는 동독 시민으로 남아있었다고 한다.#
- 1984년 7월, 그는 1979년 이란 혁명 이후 이란의 수도 테헤란을 방문한 최초의 서유럽 외무장관이 되었다.
4. 둘러보기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초대 테오도어 호이스 | 제2대 프란츠 블뤼허 | 제3대 토마스 델러 | 제4대 라인홀트 마이어 |
| 제5대 에리히 멘데 | 제6대 발터 셸 | 제7대 한스디트리히 겐셔 | 제8대 마르틴 방게만 | |
| 제9대 오토 그라프 람프스도르프 | 제10대 클라우스 킹켈 | 제11대 볼프강 게르하르트 | 제12대 기도 베스터벨레 | |
| 제13대 필리프 뢰슬러 | 제14대 크리스티안 린트너 | 제15대 크리스티안 뒤르 |
| 독일 자유주의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주요 이념 | 고전적 자유주의(신자유주의) · 문화적 자유주의 · 중도주의 · 질서자유주의 | ||
| 연관 이념 | 공화주의 · 국민자유주의* · 녹색 자유주의(Grüne) · 사회자유주의 · 자유주의 페미니즘(개인주의 페미니즘) · 자유지상주의 | |||
| 과거 이념 | 급진주의 · 계몽주의 · 라이시테주의 | |||
| 연관 개념 | 시장경제 · 자유국제주의 · 자유보수주의 · 진보주의 · 흑적금 국기단 | |||
| 주요 정당 | 1차대전 이전 | 독일국민협회 · 독일 인민당(1868년) · 독일 자유사상당 · 독일 자유사상인민당 · 독일 진보당 · 자유사상가 연합 · 자유주의연합 · 진보인민당 | ||
| 바이마르 공화국 | 독일 국가당 · 독일 민주당 · 독일 인민당 | |||
| 전후 독일 | 동맹 90/녹색당 · 자유민주당 | |||
| 인물 | 구스타프 슈트레제만 · 기도 베스터벨레 · 랄프 다렌도르프 · 루돌프 폰 베니히센 · 루돌프 피르호 · 막스 베버 · 발터 라테나우 · 발터 셸 · 발터 오이켄 · 빌헬름 뢰프케 · 아날레나 베어보크 · 알렉산더 뤼스토 · 에두아르드 라스커 · 칼헤르만 훌락 · 크리스티안 린트너 · 테오도르 몸젠 · 테오도어 호이스 · 프리드리히 나우만 · 한스디트리히 겐셔 | |||
| 언론 | 디 차이트 · 쥐트도이체 차이퉁 ·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 | |||
| 단체 | 프리드리히 나우만 자유재단 · 하인리히 뵐 재단(Grüne) | |||
| 기타 | 제하임 서클(SPD) | |||
| 독일 정치 관련 문서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 독일에서 보수자유주의라는 용어는 사용되지 않으며, 독일에서 우파자유주의(Rechtsliberalismus)는 국민자유주의(Nationalliberalismus)와 동의어이다. | }}}}}}}}} | |||
|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5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2003년 11월 독일의 공영TV인 ZDF가 독일 국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독일인 1백인을 발표한 명단이다. | ||||
| TOP 10 |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 콘라트 아데나워 | 마르틴 루터 | 카를 마르크스 | 한스, 조피 숄 남매 | 빌리 브란트 |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 오토 폰 비스마르크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
| 11위~100위 | |||||
| <rowcolor=#fff>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 아돌프 콜핑 | 루트비히 판 베토벤 | 헬무트 콜 | 로베르트 보쉬 | 다니엘 퀴블뵈크 | |
| <rowcolor=#fff>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 콘라트 추제 | 요제프 켄테니히 | 알베르트 슈바이처 | 카를하인츠 뵘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 |
| <rowcolor=#fff>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 헬무트 슈미트 | 레진 힐데브란트 | 알리체 슈바르처 | 토마스 고트샤크 | 허버트 그로네메이어 | |
| <rowcolor=#fff>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 미하엘 슈마허 |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 | 귄터 야우흐 | 디터 볼렌 | |
| <rowcolor=#fff>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 얀 울리히 | 슈테피 그라프 | 사무엘 하네만 | 디트리히 본회퍼 | 보리스 베커 | |
| <rowcolor=#fff> 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 프란츠 베켄바워 | 오스카 쉰들러 | 네나 | 한스디트리히 겐셔 | 하인츠 뤼만 | |
| <rowcolor=#fff> 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 하랄트 슈미트 | 프리드리히 대왕 | 임마누엘 칸트 | 패트릭 린드너 | 하르트무트 엥겔 | |
| <rowcolor=#fff> 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 힐데가르트 폰 빙엔 | 하이노 |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 | 클라우스 폰 슈타우펜베르크 | 마를레네 디트리히 | |
| <rowcolor=#fff> 51위 | 52위 | 53위 | 54위 | 55위 | |
| 로베르트 코흐 | 요슈카 피셔 | 카를 마이 | 로리오 |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 |
| <rowcolor=#fff> 56위 | 57위 | 58위 | 59위 | 60위 | |
| 루디 푈러 | 하인츠 에르하르트 | 로이 블랙 | 하인츠하랄트 프렌첸 | 볼프강 아펠 | |
| <rowcolor=#fff> 61위 | 62위 | 63위 | 64위 | 65위 | |
| 알렉산더 폰 훔볼트 | 피터 크라우스 | 베르너 폰 브라운 | 덕 노비츠키 | 캄피노 | |
| <rowcolor=#fff> 66위 | 67위 | 68위 | 69위 | 70위 | |
|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 | 세바스티안 크나이프 | 프리드리히 실러 | 리하르트 바그너 | 카타리나 비트 | |
| <rowcolor=#fff> 71위 | 72위 | 73위 | 74위 | 75위 | |
| 프리츠 발터 | 니콜 | 프리드리히 폰 보델슈윙흐 | 오토 릴리엔탈 | 마리온 돈호프 | |
| <rowcolor=#fff> 76위 | 77위 | 78위 | 79위 | 80위 | |
| 토마스 만 | 헤르만 헤세 | 로미 슈나이더 | 스벤 하나발트 | 바이에른의 엘리자베트 여공작 | |
| <rowcolor=#fff> 81위 | 82위 | 83위 | 84위 | 85위 | |
| 빌리 밀로위치 | 게르하르트 슈뢰더 | 요제프 보이스 | 프리드리히 니체 | 루디 두치크 | |
| <rowcolor=#fff> 86위 | 87위 | 88위 | 89위 | 90위 | |
| 카를 레만 | 베아테 우제 | 트뤼머프라우 |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 헬무트 란 | |
| <rowcolor=#fff> 91위 | 92위 | 93위 | 94위 | 95위 | |
| 알브레히트 뒤러 | 막스 슈멜링 | 카를 벤츠 | 프리드리히 2세 | 라인하르트 메이 | |
| <rowcolor=#fff> 96위 | 97위 | 98위 | 99위 | 100위 | |
| 하인리히 하이네 | 게오르크 엘저 | 콘라드 두덴 | 제임스 라스트 | 우베 젤러 | |
| 출처 | |||||
|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
[1] 2014년에 그는 실패한 인질 구출 시도를 자신의 경력에서 최악의 시기로 묘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