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1 21:55:28

무신


1. 육십갑자의 마흔다섯째
1.1. 개요1.2. 사건1.3. 무신일()
2. 3. 진말한초의 인물 무신4.
4.1. 드라마4.2. 만화4.3. 각종 매체의 무신4.4. 격투 대회
5. 6. '무슨'의 남부 방언

1. 육십갑자의 마흔다섯째

육십갑자 | 六十甲子
[ 펼치기 · 접기 ]
#!if st =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calc((100% - 36px)/10)\""
#!wiki 
[[갑자#s-1|甲子 갑자]]
#!wiki 
[[을축|乙丑 을축]]
#!wiki 
[[병인#s-1|丙寅 병인]]
#!wiki 
[[정묘#s-1|丁卯 정묘]]
#!wiki 
[[무진(간지)|戊辰 무진]]
#!wiki 
[[기사(간지)|己巳 기사]]
#!wiki 
[[경오|庚午 경오]]
#!wiki 
[[신미#s-2|辛未 신미]]
#!wiki 
[[임신(간지)|壬申 임신]]
#!wiki 
[[계유|癸酉 계유]]
#!wiki 
[[갑술|甲戌 갑술]]
#!wiki 
[[을해|乙亥 을해]]
#!wiki 
[[병자#s-1|丙子 병자]]
#!wiki 
[[정축|丁丑 정축]]
#!wiki 
[[무인(간지)|戊寅 무인]]
#!wiki 
[[기묘#s-1|己卯 기묘]]
#!wiki 
[[경진#s-1|庚辰 경진]]
#!wiki 
[[신사(간지)|辛巳 신사]]
#!wiki 
[[임오|壬午 임오]]
#!wiki 
[[계미|癸未 계미]]
#!wiki 
[[갑신|甲申 갑신]]
#!wiki 
[[을유|乙酉 을유]]
#!wiki 
[[병술|丙戌 병술]]
#!wiki 
[[정해#s-1|丁亥 정해]]
#!wiki 
[[무자#s-1|戊子 무자]]
#!wiki 
[[기축#s-1|己丑 기축]]
#!wiki 
[[경인#s-1|庚寅 경인]]
#!wiki 
[[신묘#s-1|辛卯 신묘]]
#!wiki 
[[임진|壬辰 임진]]
#!wiki 
[[계사|癸巳 계사]]
#!wiki 
[[갑오|甲午 갑오]]
#!wiki 
[[을미|乙未 을미]]
#!wiki 
[[병신(간지)|丙申 병신]]
#!wiki 
[[정유#s-1|丁酉 정유]]
#!wiki 
[[무술|戊戌 무술]]
#!wiki 
[[기해#s-1|己亥 기해]]
#!wiki 
[[경자#s-1|庚子 경자]]
#!wiki 
[[신축#s-3|辛丑 신축]]
#!wiki 
[[임인|壬寅 임인]]
#!wiki 
[[계묘|癸卯 계묘]]
#!wiki 
[[갑진|甲辰 갑진]]
#!wiki 
[[을사|乙巳 을사]]
#!wiki 
[[병오|丙午 병오]]
#!wiki 
[[정미#s-1|丁未 정미]]
#!wiki 
[[무신#s-1|戊申 무신]]
#!wiki 
[[기유|己酉 기유]]
#!wiki 
[[경술|庚戌 경술]]
#!wiki 
[[신해|辛亥 신해]]
#!wiki 
[[임자#s-2|壬子 임자]]
#!wiki 
[[계축|癸丑 계축]]
#!wiki 
[[갑인|甲寅 갑인]]
#!wiki 
[[을묘|乙卯 을묘]]
#!wiki 
[[병진#s-1|丙辰 병진]]
#!wiki 
[[정사#s-3|丁巳 정사]]
#!wiki 
[[무오|戊午 무오]]
#!wiki 
[[기미#s-3|己未 기미]]
#!wiki 
[[경신#s-1|庚申 경신]]
#!wiki 
[[신유#s-1|辛酉 신유]]
#!wiki 
[[임술|壬戌 임술]]
#!wiki 
[[계해|癸亥 계해]]

1.1. 개요

천간황색을 상징하며, 지지원숭이를 상징한다. 무신년은 황금 원숭이의 해이다. 서기 연도를 60으로 나눴을 때 나머지가 48인 해가 해당된다.

1.2. 사건

1.3. 무신일()

무신일(戊申日)일진이 무신인 날로, 육십갑자의 45번째 날을 말한다.
  • 무신일(戊申日) 연도별 날짜 보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

무반직에 있는 신하, 즉 장군, 장교 등의 무관(군관), 군인들을 뜻한다. 문관, 문신과 대비된다. 고려 왕조 중기에 이들이 쿠데타를 일으킨 군사정변무신정변, 무신들이 세운 군사정권무신정권이다.

3. 진말한초의 인물 무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무신(초한쟁패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신(초한쟁패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신(초한쟁패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무술, 무예, 군사, 전략 전술 등 무(武)를 상징하는 신을 의미하는 말[2], 혹은 이러한 분야에서 매우 뛰어난 실력을 갖췄거나 큰 업적을 이룬 자에게 붙이는 호칭이다. 무협물에서 별호로 쓰이기도 한다.

비슷한 표현으로 군신, 투신, 전신 등이 있다.

4.1. 드라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무신(드라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신(드라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신(드라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만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무신(무협 만화)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신(무협 만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신(무협 만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각종 매체의 무신

4.4. 격투 대회

태권도의 격투기로서의 가능성을 세계에 떨치겠다는 목적으로 2009년 6월 장충체육관에서 열렸다. 태권도의 이종격투기 진출의 가능성을 점쳐본 대회. 하지만 최고의 흥행으로 예상된 두 경기가 취소되고 그중 한 경기는 다음 이벤트인 7월 26일까지 연기됐다. 올림픽에서 보는 것과는 다른 태권도라 재미는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태권도 파이터 중 승리한 사람은 한 명뿐이다...

5.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무신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신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신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무슨'의 남부 방언


[1] 무신정변을 뜻하는 무신란(亂)과는 다른 한문.[2] 사전에는 무인의 운을 지켜주는 신이라고 나와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