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우리치오 폴리니의 주요 수상 및 경력 |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마우리치오 폴리니 Maurizio Pollini | |
| |
출생 | 1942년 1월 5일 |
이탈리아 왕국 롬바르디아 주 밀라노 | |
사망 | 2024년 3월 23일 (향년 82세) |
이탈리아 롬바르디아 주 밀라노 | |
국적 |
|
직업 | 피아니스트 |
학력 | 밀라노 베르디 국립음악원 (졸업) |
레이블 | 도이치 그라모폰 |
장르 | 클래식 |
주요 수상 | [ruby(제6회,ruby=1960)]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 1위 |
공식 사이트 |
1. 개요
이탈리아의 피아니스트. 건축가인 지노 폴리니의 아들로 1942년 1월 5일에 출생하여 1960년에 첫 음반을 발매하였다. 1957년 제네바 국제 콩쿠르에서 2위, 특히 1960년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는 만장일치로 우승하며 이름을 널리 알렸다. 당시 명예 심사위원장이였던 아르투르 루빈스타인이 "저 소년이 우리 심사위원들보다 더 잘 친다"라고 극찬했다는 일화는 널리 알려져 있으나, 후에 폴리니는 직접 회고하기를 실제로 루빈스타인은 '테크닉'적으로는 더 잘친다고 말했으며, 아마 다른 심사위원들에게 농담하려는 의도로 말했던 거 같은데 이 사실이 점점 과장된 것일 뿐이라고 덧붙였다.#쇼팽 콩쿨 우승 이후, 콘서트를 거의 하지 않고 약 10년 동안 피아니스트 미켈란젤리를 사사하는 등 연찬을 거듭하였다. 1971년 도이치 그라모폰에서 녹음을 발매하기 시작하여 엄청난 호평을 받기 시작하였다. 첫번째 녹음은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의 페트루시카 3악장으로 알려져 있다.
그 뒤에 발매된 쇼팽 에튀드는 완벽하고 깔끔한 테크닉으로 큰 호평을 받았는데, 철저히 악상을 지킨 교과서적인 연주로 유명하다. 쇼팽 폴로네즈도 유명하며, 베토벤 소나타 전곡을 녹음하기도 하였다. 같은 동향인 클라우디오 아바도와 친밀하여 함께 많은 콘서트와 녹음을 하였다. 두 사람 모두 공산당원이었으며, 같은 공산당원인 루이지 노노의 작품들 역시 활발히 연주하였다.
2022년 5월, 처음으로 내한해 예술의전당에서 두 차례 공연할 예정이었지만 건강 문제로 인해 2023년 4월으로 연기되었다. 하지만 이마저도 재차 취소되었다. 결국 영원히 내한공연을 가지지 못하고 2024년 3월 23일 82세의 나이로 영면에 들었다.[1]
2. 연주
"완벽한 테크닉을 가진 거장의 통찰력 있는 음악"
― Apple Music
전성기 시절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테크닉으로 유명했다. 또한 악보의 악상기호를 철저히 지키는 연주를 하며[2] 이로 인해 연주에 감정이 없다는 비판을 듣기도 했다. ― Apple Music
1960년 쇼팽 콩쿠르에서 우승하였으며 그 후에도 쇼팽의 거의 모든 곡을 녹음하는 등 쇼팽 연주로 유명하다. 특히 그의 쇼팽 에튀드 음반은 교과서처럼 여겨진다. 그러나 연주 레퍼토리는 굉장히 방대했는데 바로크 시대부터 현대 음악까지 가리지 않고 연주했으며 독주회에서 슈톡하우젠의 곡을 연주한 적도 있다.
2.1. 연주 영상
Chopin, Etude Op.25 No.11 | Schubert, Sonata D. 959 |
Webern, Variations | Stravinsky, Trois mouvements de Petrouchka |
Debussy, L'isle joyeuse | Beethoven, Sonata Op.109 |
Liszt, Sonata | Mozart, Piano Concerto K. 488 |
[1] 유족으로는 1968년에 결혼한 아내 마릴리사, 그리고 아들 다니엘이 있다 (1978년생, 지휘자).[2] 예를 들자면 쇼팽의 피아노 소나타 2번과 3악장에서 도돌이표를 모두 지킨다. 과거에도 현재도 많은 피아니스트들이 도돌이표를 건너뛰곤 한다. 이에 대한 논란은 쇼팽 피아노 소나타 2번과 쇼팽 피아노 소나타 3번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