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4 22:53:01

게릭 올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08f,#00d8ff> 제1회
(1927)
제2회
(1932)
제3회
(1937)
제4회
(1949)
제5회
(1955)
레프 오보린
파일:소련 국기.svg
알렉산드르 유닌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야코프 자크
파일:소련 국기.svg
벨라 다비도비치 파일:소련 국기.svg
할리나 체르니-스테판스카 파일:폴란드 국기.svg
아담 하라셰비츠
파일:폴란드 국기.svg
<rowcolor=#00008f,#00d8ff> 제6회
(1960)
제7회
(1965)
제8회
(1970)
제9회
(1975)
제10회
(1980)
마우리치오 폴리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르타 아르헤리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게릭 올슨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티안 지메르만
파일:폴란드 국기.svg
당타이선
파일:베트남 국기.svg
<rowcolor=#00008f,#00d8ff> 제11회
(1985)
제12회
(1990)
제13회
(1995)
제14회
(2000)
제15회
(2005)
스타니슬라프 부닌
파일:소련 국기.svg
케빈 케너1
파일:미국 국기.svg
필리프 주시아노2
파일:프랑스 국기.svg
윤디 리
파일:중국 국기.svg
라파우 블레하츠
파일:폴란드 국기.svg
<rowcolor=#00008f,#00d8ff> 제16회
(2010)
제17회
(2015)
제18회
(2021)
제19회
(2025)
제20회
(2030)
율리아나 아브제예바
파일:러시아 국기.svg
조성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브루스 리우
파일:캐나다 국기.svg
}}}

1. 1위 없는 2위
2. 1위 없는 2위
}}}}}}
<colbgcolor=#000><colcolor=#fff> 게릭 올슨
Garrick Ohlsson
파일:external/cythumb.cyworld.com/download?fid=64222bc4203cf6178ec02bdc25c43936&name=Ohlsson-Garrick-04.jpg
본명 게릭 올로프 올슨
Garrick Olof Ohlsson
출생 1948년 4월 3일 ([age(1948-04-03)]세)
뉴욕주 화이트 플레인스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줄리아드 스쿨
주요 수상 1970년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 제1위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clearfix]

1. 개요



미국인 최초로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우승한 미국의 피아니스트. 그외에도 1966년 부조니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1위를 거두며 이름을 널리 알렸다.

하지만 현재는 인지도가 별로 없다.[1] "마르타 아르헤리치(1965년 우승)와 크리스티안 지메르만(1975년 우승) 사이에 누가 우승했는가?"라고 질문하면 대부분 모른다. 율리아나 아브제예바(2010년 우승)와 비슷하게 정말 인지도가 부족한 상황.[2] 하지만 인지도가 없다고 실력이 다른 쇼팽 콩쿠르 우승자에 비해 떨어진다고 생각하면 안된다. 2019년 내한하여 KBS 교향악단 정기연주회에서 연주를 했는데, 라흐마니노프와 프로코피예프의 피아노 협주곡보다 더 어렵다는 브람스 피아노 협주곡 2번을 큰 체구에서 나오는 우직함으로 아무렇지도 않게 치고 대단히 호평받았다. 미국 Arabesque 레코드에서 발매한 쇼팽 음반들은 쇼팽의 서정성에 대한 뛰어난 해석과 특유의 자신감 있는 타건으로 호평받고 있다.


[1] 오히려 이 때 2위를 했던 우치다 미츠코가 이지적인 연주로 더 명성을 쌓으며 저명한 피아니스트가 되었다. 특히 우치다는 모차르트와 슈베르트에서 매우 높은 평가를 받아 이 부분의 본좌로 여기는 이들이 많다.[2] 그나마 2020년대 tonebase 등의 유튜브 채널에 출연하여 인지도를 조금이나마 높이고 있다. 사실 아르헤리치와 지메르만이 인지도가 너무 높은 게 문제라고 볼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