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라모폰 명예의 전당 헌액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tablebgcolor=#FFF,#1f2023> | 그라모폰 명예의 전당은 예술적 탁월함, 혁신, 혹은 상상력을 통해 클래식 음악 녹음에 기여한 예술가들을 기리기 위해 만들었다. ★는 첫 발표(2012년)때 헌액된 인물들이다. ☆는 두번째 발표(2013년)때 헌액된 인물들이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지휘자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5px" | ★ |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 빌헬름 푸르트벵글러 |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 게오르그 솔티 | 클라우디오 아바도 | 존 바비롤리 | 다니엘 바렌보임 | 토머스 비첨 | 레너드 번스타인 | 피에르 불레즈 | 존 엘리엇 가디너 |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 카를로스 클라이버 | 오토 클렘페러 | 사이먼 래틀 | |||||||
☆ | 카를 뵘 | 에이드리언 볼트 | 세르주 첼리비다케 | 콜린 데이비스 |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 | 베르나르트 하이팅크 | 마리스 얀손스 | 라파엘 쿠벨릭 | 제임스 리바인 | 찰스 매케러스 | 주빈 메타 | 조지 셀 | 브루노 발터 | 구스타보 두다멜 | ||||||||
벤저민 브리튼 | 리카르도 샤이 | 크리스토퍼 호그우드 | 네빌 마리너 | 예브게니 므라빈스키 | 유진 오르만디 | 안토니오 파파노 | 트레버 피노크 | 프리츠 라이너 |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 | 마이클 틸슨 토머스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성악가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5px" | ★ | 루치아노 파바로티 | 플라시도 도밍고 | 마리아 칼라스 | 유시 비욜링 | 자네트 베이커 | 안젤라 게오르기우 | 체칠리아 바르톨리 | 엔리코 카루소 | 디트리히 피셔 디스카우 | 비르기트 닐손 | 엘리자베트 슈바르츠코프 | 조안 서덜랜드 | 조이스 디도나토 | ||||||
☆ | 몽세라 카바예 | 르네 플레밍 | 토머스 햄프슨 | 안나 네트렙코 | 레온타인 프라이스 | 브린 터펠 | 프리츠 분더리히 | ||||||||
토머스 앨렌 | 빅토리아 데 로스 앙헬레스 | 호세 카레라스 | 표도르 샬리아핀 | 캐슬린 페리어 | 시르스텐 플라그스타 | 니콜라이 갸로프 | 티토 고비 | 마릴린 혼 | 한스 호터 | 드미트리 흐보로스톱스키 | 군둘라 야노비츠 | 요나스 카우프만 | 사이먼 킨리사이드 | 엠마 커크비 | 제시 노먼 | 안네 소피 폰 오터 | 레나타 테발디 | 키리 테 카나와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피아니스트 & 오르가니스트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5px" | ★ | 글렌 굴드 | 마르타 아르헤리치 | 클라우디오 아라우 | 알프레드 브렌델 |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 머리 페라이어 | 마우리치오 폴리니 | 스뱌토슬라프 리흐테르 |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 다니엘 바렌보임 | ||||||
☆ | 블라디미르 아슈케나지 | 에밀 길렐스 | 빌헬름 켐프 |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그리고리 소콜로프 | 레이프 오베 안스네스 | ||||||||
프리드리히 굴다 | 마르크 앙드레 아믈랭 | 안젤라 휴이트 | 스테판 허프 | 예브게니 키신 | 구스타프 레온하르트 | 디누 리파티 | 라두 루푸 | 안드라스 쉬프 | 아르투르 슈나벨 | 우치다 미츠코 | 랑랑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현악기 & 관악기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 | 파블로 카잘스 | 자클린 뒤 프레 | 야샤 하이페츠 | 예후디 메뉴인 | 다비드 오이스트라흐 | 이작 펄만 |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 ||||||
☆ | 모리스 앙드레 | 줄리안 브림 | 제임스 골웨이 | 하인츠 홀리거 | 스티븐 이설리스 | 요요마 | 윈튼 마살리스 | 알브레흐트 마이어 | 안네 소피 무터 | 엠마누엘 파후드 | 장 피에르 랑팔 | 조르디 사발 | 안드레스 세고비아 | ||||||||
데니스 브레인 | 정경화 | 아르튀르 그뤼미오 | 프리츠 크라이슬러 | 기돈 크레머 | 나탄 밀스타인 | 존 윌리엄스 | }}}}}}}}} }}} |
<colbgcolor=#000,#050505><colcolor=#fff> {{{+1 알프레트 브렌델[1]트가 옳은 발음이다. 하지만 한국에선 알프레드로 알려졌다.]}}} Alfred Brendel KBE | |
출생 | 1931년 1월 5일 ([age(1931-01-05)]세) |
체코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위젠베르크 | |
국적 | [[오스트리아| ]][[틀:국기| ]][[틀:국기| ]] |
직업 | 피아니스트, 작가 |
학력 | 그라츠 음악원 |
[clearfix]
1. 개요
오스트리아의 피아니스트, 작가.2. 생애
1931년 1월 5일 체코슬로바키아 비센베르크에서 태어났다. 부모는 음악과 무관한 직업을 가졌다. 1934년 당시 유고슬라비아, 현 크로아티아 자그레브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성장했다. 6살 때부터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한 이후, 음악교육기관인 자그레브 음악원을 거쳐 오스트리아 그라츠로 이주하여 그라츠 음악원에서 음악을 공부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말기인 14세 때 전장의 참호 공사에 동원되어 유고로 돌아가야 했고, 전쟁이 끝나자 다시 그라츠 음악원으로 돌아와 음악 공부를 계속했다. 이후 에드빈 피셔 등 명 피아니스트들의 마스터 클래스에서 음악을 공부하였고, 17세 때인 1948년 그라츠에서 첫 리사이틀을 열며 피아니스트로 공식 데뷔했다.1949년 제1회 페루초 부소니 국제 콩쿠르 대회에서 4위로 입상하면서 본격적으로 이름을 날리기 시작했으며, 남미 등 세계를 다니며 연주했다. 1950년에는 첫 음반을 녹음했다. 1963년 미국 데뷔 공연을 가졌다.
1989년에는 명예 대영제국 훈장(KBE)을 수여받았다.
1992년에는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로부터 한스 폰 뷜로 메달을 받기도 하였다.
2004년에는 음악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에른스트 폰 지멘스 음악상을 수상하였다.
2008년 12월 18일 오스트리아 빈의 무지크페라인 홀에서의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함께하는 연주를 끝으로 60여년 간의 피아니스트 활동을 끝내게 되었다.
은퇴 후인 2012년 그라모폰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피아니스트 활동 외에도 <음악에 대하여>, <음악 해석의 빛과 그림자>, <피아노를 듣는 시간> 등의 책들을 내는 집필 활동을 하고 있다.
3. 연주 스타일
원래는 리스트 전문 피아니스트였으나,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 슈베르트 등의 곡도 연주하면서 다양한 작곡가의 곡을 연주하는 피아니스트로 스타일을 바꾸었다. 그럼에도 굳이 꼽자면 특히 베토벤과 그에 못지 않게 슈베르트 스페셜리스트로 보는 것이 옳다. 음반도 이 음반들이 압도적으로 유명하고 많이 팔렸다. 게다가 결정적으로 본인이 저술한 책들에서도 이 두 명을 특히나 중히 분석하고 있다.특별한 기교를 부리는 것으로 유명하기보다는 최대한 작곡가의 의도를 살려 곡을 해석하여 원곡에 맞게 충실하게 연주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4. 연주
모차르트, 론도 K. 511 |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Op.31 No.2 중 3악장 |
슈베르트, 피아노 소나타 D. 959 중 2악장 | 리스트, 피아노 소나타 |
[1] 독일어명이라 알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