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7 12:14:17

군자차량사업소

군자차량기지에서 넘어옴


수도권 전철 차량사업소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한국철도공사 광역전철
1호선 경의·중앙선 3호선 4호선
구로[폐]
병점[폐]
이문
시흥단[중][타][폐]
성북[주박]
용문
문산[중][폐]
시흥단[중][타][폐]
구로[배속][타]
지축[실무][중][폐]
시흥단[중][폐]
안산[주박]
창동[주박]
수인·분당선 경춘선 경강선 서해선
분당
시흥단[중][폐]
평내[중][폐] 부발
문산[중][타][폐]
시흥단[중][타][폐]
송산
서울 지하철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군자[중][폐] 군자[중][폐]
신정[중]
지축[중][폐]
수서
창동
지축[중][타][폐]
시흥단[주박]
진접
5호선 6호선 7호선 8호선
고덕[중]
방화[폐]
신내
도봉[중][타][폐]
도봉[중][폐]
천왕
모란
고덕[중][타]
방화[타][폐]
9호선 우이신설선 신림선
김포[중]
왕숙(가칭)
우이[중] 보라매
김포한강[중][타]
인천 도시철도
인천 1호선 인천 2호선
귤현[중] 운연[중]
오류[주박]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TX-A
운정[중]
수서 정비시설[임시정비]
동탄[주박]
기타 일반철도 노선
신분당선 공항철도
광교[중]
판교[주박]
용유[중]
기타 도시철도 노선
용인 경전철 의정부 경전철 김포 도시철도
용인[중] 의정부[중] 김포한강[중]
[중] 중정비 가능한 기지
[타] 타 노선의 중정비 기지
[주박] 주박용 기지 또는 주재
[폐] 폐차선이 설치되어 있어 불용차량 폐차가 가능한 기지
다른 지역 차량사업소 보기 }}}}}}}}}
군자차량사업소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2_icon.svg
다국어 표기
영어 Gunja Train Depot
한자 君子車輛事業所
주소
서울특별시 성동구 천호대로78길 58
(용답동 223-2)
시설 관리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1977년 8월 29일
노선거리표
성 수
← -.- ㎞
군자차량기지
인입선
신 답
-.- ㎞ →
파일:external/webjin.seoulmetro.co.kr/_MG_3881.jpg
기지 내에 주박 중인 1호선 차량[1]
파일:external/pds.joins.com/2015100718040460950_2.jpg
기지 내에 주박 중인 2호선 차량[2]

1. 개요2. 역사3. 배속 차량4. 사건 사고5. 기타

1. 개요

KBS 다큐멘터리 3일 | 열차 다시 살다, 서울 지하철 군자차량기지[3]

서울교통공사차량사업소,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 용답역 인근 소재.

1호선2호선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 중정비 업무를 담당한다.

이름과는 달리 군자동이 아닌 성동구 용답동송정동 사이에 있어 실 주소는 서울특별시 성동구 천호대로78길 58 (용답동 223-2)이다. 또한 군자역하고도 가깝지 않으며 1호선과 2호선 모두 군자역을 지나지 않는다. 인근에 서울교통공사의 본사[4]가 위치해 있다.

기지 구내에 용답역이 있으며, 도시철도 차량기지 최초로 기지 구내에 역이 존재하는 케이스이다.

2. 역사

서울 지하철 1호선이 개통되고 3년 후인 1977년에 완공되었다. 종전에 구로차량사업소, 신설동역 유휴공간[5]에서 검수를 했던 1호선 전동차들이 군자차량사업소로 이전하였다. 그리고 1980년 2호선이 개통되면서 당시 유일하게 두 노선을 담당하게 되었다. 다만 처음부터 넓은 공간으로 완공한 게 아니었다. 1977년 초기에는 1호선 차량을 수용할 규모로만(총 64000평 중 10000평) 1단계 완공했고 1980년에 2호선 차량 수용을 위한 2단계 확장공사로 비로소 지금과 같은 규모가 되었다.

2단계 확장공사 당시에는 무허가 판자촌을 철거하고 부지를 수용하였다. 1980년대의 사회 발전이 우선되던 시대상이 반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6]

3. 배속 차량

4. 사건 사고

4.1. 군자차량사업소 전동차 낙서 사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군자차량사업소 전동차 낙서 사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군자차량사업소 전동차 낙서 사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군자차량사업소 전동차 낙서 사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기타

파일:군자기.png
  • 신설동역 지하 3층 유령 승강장과 연결되어 있어, 동묘앞행 1호선 열차가 기지에 입고할 때 그 승강장을 지나간다.
  • 장안동 방향의 전농천쪽으로 (골프장 근처)으로 삼각선이 있는데, 이 삼각선은 델타선으로 부르며, 다른 차량기지의 루프선 역할을 한다. 과거 골프장이 생기기 전의 부지에서는 열차 폐차 작업을 했었는데, 현재는 골프장의 간섭 때문에 해당 부지에서 크레인을 들지 못하여 바로 옆 용접궤도선에서 작업한다.
파일:서울교통공사 통합 관제센터 외부 조감도.jpg파일:서울교통공사 통합 관제센터 내부 조감도.jpg
외부 조감도 내부 조감도
* 지하 2층, 지상 7층 규모로 지어질 서울교통공사 지하철 통합관제센터가 군자차량사업소 부지 안에 건설중이며 2025년 완공예정이다. 또한 이 관제센터에서 1~9호선을 통합 관제할 예정이다.
  • (구)서울지하철공사 모터카는 최소 2010년부터 폐차선 끝에 유치 중이었고, 2021년 고철 매각되었다.
  • 과거 군자차량사업소 열차들은 GEC 초퍼를 비롯해서 대우중공업 소속 열차들이 많았다.
  • 2024년 1호선 코레일 312B08편성 전동차가 구원연결 합동훈련 목적으로 군자차량사업소로 파견을 온 적이 있었다.
  • 한양대학교 기숙사 중 제2생활관 영역에서 청계천을 향해 바라보면 군자차량사업소를 볼 수 있다. 일부 생활관 호실에서는 차량기지 입출고 열차가 움직이는 소리를 호실 내에서 들을 수 있다. 위치에 따라 다르지만 열차 소음은 상당히 작은 편이다. 주변에 소음이 없을 때 침대에 가만히 있으면 가끔씩 들을 수 있는 정도다.
  • 신답역 방면으로 성수지선 열차는 아래쪽으로 구배가 꽤 있지만, 차량기지 선로는 그렇지 않다. 하행 열차에서 용답역에서 신답역을 지날 때 확실히 느낄 수 있다.

[1] 중간에 색깔이 다른 게 껴있다.[2] 사진에 보이는 열차는 모두 폐차되었다. 맨 왼쪽에 있는 열차는 서울교통공사 광폭형 GEC 초퍼제어 전동차 추정, 왼쪽부터 서울교통공사 광폭형 GEC 초퍼제어 전동차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그리고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3] 2015년 10월 11일 방영.[4] 본래는 서울도시철도공사 사옥이었다.[5] 원래는 서울 지하철 5호선이 지나갈 예정이었으나 이후 계획이 바뀌어 1980년 지하2층에 신설동역 2호선 승강장이 들어섰으나 지하 3층은 끝내 활용하지 못하고 입출고선으로만 사용하여 사실상 버려졌다.[6] e영상역사관 > 영상관 > 분야별기록영상[7] 2006년 6월 24일, 2007년 2월 3일 방송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