楊 버들 양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木, 9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3획 | ||||
고등학교 | 3급 | ||||||
- | |||||||
일본어 음독 | ヨウ | ||||||
일본어 훈독 | やなぎ | ||||||
杨 | |||||||
표준 중국어 | yá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楊은 '버들 양'이라는 한자로, '버들'을 뜻한다.2. 상세
뜻을 나타내는 木(나무 목)과 소리를 나타내는 昜(볕 양)이 합쳐진 형성자이다.유니코드에는 U+694A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DAMH(木日一竹)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입니다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 |
양씨를 가진 사람들 중 일부가 해당 한자를 사용한다. 인구는 69,101명[2]이고, 본관은 청주, 중화, 남원 등이 있다.
3.4. 지명
-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楊口郡) 양구읍(楊口邑) 양구새싹로(楊口새싹路)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남산면 백양리(白楊里)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백양로(白楊路)
- 경기도 남양주시(南楊州市)
- 경기도 양주시(楊州市) 녹양로(綠楊路)
- 경기도 양평군(楊平郡)
- 경기도 의정부시 녹양동(綠楊路)
- 대양(大楊)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백양관문로(白楊關門路)
- 부산광역시 북구 백양대로(白楊大路)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동1~6가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화동(楊花洞)
- 수도권 전철 5호선 양평역(楊坪驛)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양평역(楊平驛)
- 양화대교(楊花大橋)
- 울산광역시 중구 백양로(白楊路)
- 전라남도 장흥군 장평면 녹양리(綠楊里)
- 충청남도 당진시 순성면 양유리(楊柳里)
- 충청북도 단양군 적성면 수양개유적로(垂楊介遺蹟路)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 柳(버들 류)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啺/𡃯[⿰唐昜](당나라 당)
- 𤾉[⿰白昜](밝을 당)
- 餳(엿 당)
- 糃(정미 당)
- 愓(빠를 상)
- 䵘(메진모양 새, 쬘 쇄)
- 鰑(가물치 양)
- 䵮(검붉을 양)
- 禓(길제사 양)
- 揚(날릴 양)
- 煬(녹일 양)
- 䁑(눈썹사이/날릴 양)
- 𩋬[⿰革昜](말굴레 양)
- 鍚(말이마치장 양)
- 崵(먼산 양)
- 陽(볕 양)
- 輰(수레 양)
- 𪕫[⿰鼠昜](쥐 양)
- 𥠜[⿰禾昜](쬘 양)
- 諹(칭찬할 양)
- 暘(해돋을 양)
- 場(마당 장)
- 腸(창자 장)
- 畼(곡식나지않을 창)
- 𥏫[⿰矢昜](상처 창)
- 瑒(옥잔 창, 옥이름 탕)
- 暢(화창할 창)
- 湯(끓을 탕)
- 踼(넘어질 탕)
- 蝪(땅거미 탕)
- 碭(무늬있는돌 탕)
- 䑗(방아찧을 탕)
- 偒(방탕할 탕)[3]
- 婸(음탕할 탕)
- 𠧊[⿰⿳丿吕十昜]
- 𡀻[⿰告昜]
- 𬻸[⿰中昜]
- 𭘩[⿰巾昜]
- 𬌺[⿰犭昜]
- 𬌤[⿰牛昜]
- 𣉠[⿰丘昜]
- 𬋺[⿰爵昜]
- 𫌅[⿰衤昜]
- 𦎪[⿰羊昜]
- 𮈬[⿰糸昜]
- 𧶽
- 𫌰[⿰角昜]
- 𩤟[⿰馬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