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26 01:29:29

𢓂에서 넘어옴
무리 도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7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0획
중학교
4급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あだ, いたずら, かち,
ただ, ともがら, むだ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이체자5. 유의자6. 상대자7. 모양이 비슷한 한자8.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개요

徒는 '무리 도'라는 한자로, '무리'를 뜻한다.

2. 상세

뜻을 나타내는 (쉬엄쉬엄갈 착)과 음을 나타내는 (흙 토)가 합쳐진 한자이다. 보통 어떤 글자에 彳과 止가 같이 있으면 전서에서 辵의 형태, 해서에서는 더 나아가서 ⻍ 같은 형태로 바뀌었는데[1] 이 한자는 원형을 일부 남겼다.

폭도(暴徒), 학도병(學徒兵) 등 '무리'란 뜻 외에도 맨~[예: 도수(徒手)], 걸어다니다[예: 도보(徒步)], 단지(only / just)[예: 무위도식(無爲徒食)] 등 뜻으로도 쓰인다. 또한 (어떤 문파나 스승의) 제자라는 뜻으로도 쓰이는데, 문도(門徒)라는 단어에서 이런 뜻으로 쓰였다. 한자 문화권의 그리스도교파가 사용하는 사도(使徒)라는 단어에서도 '(예수의 명을 받고) 파견된 제자'란 뜻으로 사용되었다.

유니코드에는 U+5F92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HOGYO(竹人土卜人)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이체자

  • 𠫠[⿱厶⿰几几](U+20AE0)
  • 𢓂[⿰彳土](U+224C2)
  • 𢔗[⿰彳⿱夭止](U+22517)
  • 𣥲[⿱⿰彡土止](U+23972)
  • 𧺔[⿺走土](U+27E94)
  • 𨑒[⿺辶土](U+28452)

5. 유의자

  • (무리 군)
  • (무리 당)
  • (무리 대)
  • (무리 등)
  • (무리 류)
  • (무리 배)
  • (무리 속)
  • (무리 제)
  • (무리 조)
  • (무리 주)
  • (무리 중)
  • (무리 축)
  • (무리 휘)

6. 상대자

7. 모양이 비슷한 한자

8.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그래서 이체자로 𨑒(유니코드 U+28452)도 있다.[2] 跿(뛸 도)의 동자[3] (앓을 도)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