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한강의 교량들을 이 문서에 기재하였다.2. 목록
자전거, 개인형 이동장치 통행이 가능한 교량은 비고에 표기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보도에서 끌고 가거나 인근 교량으로 우회해야 한다.한강의 교량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 하류 | 하성미개통 - 일산 - | ← 상류 | 북한강 |
남한강 | ||||
북한강 | 남한강 | 중랑천 | 청계천 | 경안천 | 탄천 | 양재천 | 안양천 | 도림천 | }}}}}}}}} |
[1] 강동구는 고덕대교를, 구리시는 구리대교를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 그래서 이름이 고덕토평대교(가칭)로 됐다.2023년 4월 25일 크랩 유튜브에 올라온 영상.[2] 퇴계원 방향은 1991년, 판교 방향은 2002년 개통[3] 2014년 11월 21일 개통, 단, 강변북로 및 올림픽대로 접속 램프는 2015년 개통[4] 과거 일제강점기에 개통된 다리로, 노후가 계속되어 1994년 철거 후, 1997년 다시 건설에 들어가서 2003년 임시 개통 후, 2005년에 완공되었다.[5] 원래 하저터널로 통과하나 하저터널 통과 지점이 천호대교 바로 한가운데 밑이라 하저터널로 천호대교를 건너는 것에 해당한다.[6] 수위 조절용 보인 잠실보가 있다.[7] 붕괴로 인한 재건축[8] 2001년에 새 다리를 개통 후, 기존의 도로는 보수공사를 하여, 2004년에 재개통하였다.[9] 일제강점기에 한강 위에 최초의 인도교로 건설되었으나, 여러차례 파괴된 후, 1954년 완전 복구되었다. 이후, 확장공사에 들어가서 1981년에 신교를 만들어 왕복 8차로로 개통되었다.[남단] 한강 남쪽 둔치를 따라 건설된 다리.[11] 1900년 단선으로 개통 이후, 1912년, 1944년 선로를 늘렸으나, 한국전쟁 이후 1951년 단선, 1957년 복선을 거쳐 1969년 복복선으로 운행하였고, 이후 1992년 3복선화되었다.[12] 1970년 개통된 이후, 2000년 하류 쪽으로 새로운 교량을 개통한 이후, 기존의 교량을 철거하고 2005년 다시 개통되었다.[13] 1983년 개통된 이후, 성수대교 붕괴 사고에 따라 실시한 한강 교량 정밀 점검에서 붕괴 가능성이 높게 제기되어, 1997년 전면 재시공에 착수한 뒤 1999년에 재개통되었다.[14] 1965년에 처음 개통하였고, 1982년 상류 쪽에 하나 더 교량을 개통하였다. 이후 보강에 들어가, 2000년에 구교를 재개통하고 2002년 신교를 재개통하였다.[15] 1978년 구교가 개통된 이후, 1995년 하류쪽 신교, 2000년 상류쪽 신교가 개통되었다.[16] 수위 조절용 보인 신곡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