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전투기가 없는 국가의 목록을 다루는 문서이다.읽기에 앞서 전투기와 공격기의 개념을 혼동하지 말아야 한다. 공격기를 전투기처럼 운용하는 나라들이 많지만 공격기는 전투기가 아니기 때문에 여기서는 보유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한다. 다만, FA-50처럼 초음속 비행이 가능한 공격기는 전투기로 분류한다.
2. 목록
공격기만 보유하고 있는 국가 | (★) 표시 |
군대 미보유국[1] | (☆) 표시 |
공항이 없는 국가 | (@) 표시 |
2.1. 아시아
2.2. 유럽
라트비아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리히텐슈타인(☆, @)
모나코(☆, @)
몬테네그로
몰도바
몰타
바티칸(☆,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마케도니아
산마리노(@): 자국 군대가 있긴 하지만 실질적으로 의장대 또는 무장경찰 수준의 무력만을 갖춘 상태다. 또한 국토가 작아서 비행장을 만들 토지 자체를 확보할 수 없는데다, 국토 전체가 이탈리아에 둘러싸여 있고 이탈리아의 보호를 받는 나라라는 점 때문에 굳이 자체적인 공군을 보유할 필요가 없다.
슬로베니아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FA-50 파이팅 이글 도입을 검토중이다.
안도라(☆, @)
알바니아
에스토니아
조지아(★)
코소보
키프로스
2.3. 아메리카
가이아나
과테말라(★)
그레나다(☆)
니카라과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연방(☆)
바베이도스
바하마
벨리즈
볼리비아
세인트 루시아(☆)
세인트 빈센트 그레나딘(☆)
수리남
아이티
엘살바도르(★)
우루과이(★)
자메이카
코스타리카(☆)
트리니다드 토바고
파나마(☆)
파라과이
2.4. 오세아니아
이 지역은 사실상 호주를 제외한 모든 국가들이 전투기를 보유하고 있지 않다. 애초에 공군은 물론이고 정규군이 있는 나라가 거의 없으며, 전투기를 도입·유지할 비용도, 필요도 없는 국가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나우루(☆)
뉴질랜드: A-4 스카이호크를 퇴역시킨 후 F-16을 도입할 계획이 있었으나 무산되었다.
마셜 제도(☆)
미크로네시아 연방(☆)
바누아투(☆)
사모아(☆)
솔로몬 제도(☆)
키리바시(☆)
통가
투발루(☆)
파푸아뉴기니
팔라우(☆)
피지
2.5. 아프리카
가나(★)
감비아(★)
기니비사우
남수단
니제르(★)
라이베리아
레소토
르완다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모리타니(★)
모리셔스(☆)
베냉
부르키나파소(★)
부룬디
세네갈(★)
세이셸
시에라리온
적도 기니(★)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지부티
차드(★)
에스와티니
카메룬
코모로
코트디부아르
토고
3. 과거 목록
멕시코: 2021년 자료를 통해 F-5 3대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몽골: MiG-21이 2011년에 퇴역한 이후[2]로 전투기 없는 국가로 지내왔으나 2019년에 MiG-29 복좌형 2대를 러시아에서 기증받았다.
필리핀: F-8, F-5가 퇴역하면서 전투기가 없는 국가로 전락했다가 FA-50 파이팅 이글을 도입하면서 전투기 미보유국에서 탈출했다.
슬로바키아: MiG-29가 퇴역하면서 모든 전투기가 퇴역했었고, L-39 훈련기만 남아있었으나 2018년 F-16V 구매 계약을 체결했고, 2024년에 기체를 인도 받음으로써 전투기 보유국으로 복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