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8 09:47:49

아레나 록


록 음악의 역사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EEE,#333> 로큰롤 척 베리 · 엘비스 프레슬리 · 리틀 리처드 · 버디 홀리 · 제리 리 루이스
서프 록 더 벤처스 · 섀도우즈 · 듀언 에디 · 딕 데일 · 비치 보이스
브리티시 인베이전 비틀즈 · 롤링 스톤스 · 더 후 · 애니멀스 · 킹크스 · 크림 · 좀비스 · 스몰 페이시스 · 야드버즈
포크 록 밥 딜런 · 비틀즈 · 버즈 · 사이먼 앤 가펑클 · 마마스 앤 파파스 · 조니 미첼 · 닐 영 · 러빈 스푼풀 · 레드 제플린 · 팀 버클리
사이키델릭 록 비틀즈 · 도어즈 · 버즈 · 지미 헨드릭스 · 핑크 플로이드 · 제퍼슨 에어플레인 · 재니스 조플린 · 아이언 버터플라이 · 팀 버클리
네오 사이키델리아 플레이밍 립스 · 프라이멀 스크림 · 스피리추얼라이즈드 · 애니멀 콜렉티브 · MGMT · 테임 임팔라
크라우트록 · 노이! · 아몬 뒬 II · 파우스트 · 포폴 부
베를린 스쿨 탠저린 드림 · 클라우스 슐체
익스페리멘탈 록 벨벳 언더그라운드 · 프랭크 자파 · 캡틴 비프하트 · 디스 히트 · 스완스 · 팀 버클리
노이즈 록 벨벳 언더그라운드 · 소닉 유스 · 하다카노 라리즈 · 후시츠샤
노 웨이브 글렌 브랑카 · 스완스 · 소닉 유스
개러지 록 소닉스 · 러브 · 서틴스 플로어 엘리베이터스 · 더 킹스멘 · 스투지스
루츠 록 블루스 록 애니멀스 · 롤링 스톤스 · 에릭 클랩튼 · 레드 제플린 · 크림 · 야드버즈 · 피터 그린 · 로리 갤러거 · 다이어 스트레이츠 · 재니스 조플린
하트랜드 록 닐 영 · 브루스 스프링스틴 · 톰 페티
컨트리 록 더 밴드 ·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 롤링 스톤스 · 이글스 · 듀언 올맨
서던 록 레너드 스키너드 · 올맨 브라더스 밴드
하드 록 더 후 · 롤링 스톤스 · 지미 헨드릭스(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 · 크림 · 레드 제플린 · 딥 퍼플 · AC/DC · 에어로스미스 · · 키스 · 밴 헤일런 · 스콜피온즈 · 건즈 앤 로지스
어덜트 오리엔티드 포리너 · 저니 · 토토 · 데프 레파드 · 빌리 스콰이어 · 보스턴
아트 록 비틀즈데이비드 보위벨벳 언더그라운드비치 보이스록시 뮤직프랭크 자파토킹 헤즈라디오헤드세인트 빈센트
프로그레시브 록 무디 블루스 · 킹 크림슨 · 핑크 플로이드 · 제네시스 · 예스 · 에머슨 레이크 앤 파머 · 제쓰로 툴(프로그레시브 포크) · 일렉트릭 라이트 오케스트라
글램 록 티렉스 · 데이비드 보위 · 록시 뮤직 · 루 리드 · 게리 글리터 · 뉴욕 돌스
팝 록 비틀즈 · 비치 보이스 · 폴 매카트니빌리 조엘U2 · 플리트우드 맥더 폴리스 · 폴 사이먼 · 시카고 · 오아시스 · 트레인 · · 콜드플레이 · 원리퍼블릭켈리 클락슨해리 스타일스
소프트 록 비틀즈 · 존 레논 · 폴 매카트니 · 카펜터즈 · 비 지스 · 아바 · 플리트우드 맥 · 듀란 듀란 · 로드 스튜어트 · 피터 가브리엘 ·
파워 팝 배드핑거 · 빅 스타 · 라즈베리스 · 칩 트릭 · 위저 · 틴에이지 팬클럽
피아노 록 제리 리 루이스 · 리틀 리처드 · 엘튼 존 · 빌리 조엘 · 벤 폴즈
쟁글 팝 버즈콕스 · 스미스 · R.E.M. · 벨 앤 세바스찬 · 더 페인스 오브 빙 퓨어 앳 하트
아레나 록 레드 제플린저니U2본 조비보스턴건즈 앤 로지스
헤비 메탈 아이언 버터플라이 · 레드 제플린 · 블랙 사바스 · 딥 퍼플 · 오지 오스본
NWOBHM 주다스 프리스트 · 아이언 메이든 · 데프 레파드 · 색슨 · 베놈 · 모터헤드
글램 메탈 (팝 메탈) 데프 레파드 · 머틀리 크루 · 밴 헤일런 · 본 조비 · 유럽 · 미스터 빅 · 스콜피온즈 · 신데렐라 · 키스 · 포이즌 · 하노이 록스 · 스키드로우
파워 메탈 헬로윈 · 블라인드 가디언 · 스트라토바리우스 · 감마레이 · 랩소디 · 앙그라 · 아반타시아 · 에드가이 · 카멜롯 · 드래곤포스 · 소나타 악티카
익스트림 메탈 스래시 메탈 메탈리카 · 메가데스 · 슬레이어 · 앤스랙스
블랙 메탈 메이헴 · 다크스론 · 버줌 · 엠페러 · 임모탈
데스 메탈 데스 · 카르카스 · 모비드 엔젤 · 오비츄어리
고딕 메탈 마이 다잉 브라이드 · 파라다이스 로스트 · 시어터 오브 트래저디 · 라크리모사
둠 메탈 캔들메스 · 커씨드럴
프로그레시브 메탈 드림 시어터 · 러시 · · 크림슨 글로리 · 더 마스 볼타 · 퀸즈라이크 · 비트윈 더 베리드 앤 미 · 섀도우 갤러리
익스트림 프로그레시브 메탈 메슈가(Djent) · 오페스 · 고지라
멜로딕 데스 메탈 인 플레임스 · 앳 더 게이츠 · 다크 트랭퀼리티 · 아치 에너미 · 칠드런 오브 보덤
네오 클래시컬 메탈 레인보우 · 리치 블랙모어 · 잉베이 말름스틴 · 아텐션
그루브 메탈 판테라 · 램 오브 갓
심포닉 메탈 나이트위시 · 다크무어 · 세리온 · 크레이들 오브 필스
얼터너티브 메탈 Alter Bridge · 헤일스톰 ·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
뉴 메탈 Korn · 림프 비즈킷 · 머드베인 · 린킨 파크 · 시스템 오브 어 다운 · 파파 로치 · 슬립낫 · 데프톤즈 · 드라우닝 풀
펑크 록 라몬즈 · 섹스 피스톨즈 · 더 클래시
하드코어 펑크 블랙 플래그 · 마이너 스렛 · 데드 케네디스 · 미스피츠 · 배드 브레인스
그라인드코어 네이팜 데스 · 애널 컨트
메탈코어 불렛 포 마이 발렌타인 · 브링 미 더 호라이즌 · 컨버지 · 어벤지드 세븐폴드 · 딜린저 이스케이프 플랜
포스트 하드코어 빅 블랙 · 허스커 두 · 미니트맨 · 푸가지
팝 펑크 버즈콕스 · 그린 데이 · 에이브릴 라빈 · Sum 41 · 오프스프링 · 블링크-182 · mgk · 뉴 파운드 글로리 · 심플 플랜
이모 Sunny Day Real Estate · 마이 케미컬 로맨스 · 폴 아웃 보이 · 파라모어 · 지미 잇 월드
포스트 펑크 조이 디비전 · 퍼블릭 이미지 리미티드 · 와이어 · 유투 · 텔레비전 · 갱 오브 포 · 페어 우부
고딕 록 바우하우스 · 수지 앤 더 밴시스 · 더 큐어
포스트 펑크 리바이벌 스트록스 · 인터폴 · 프란츠 퍼디난드 · 예예예스 · 악틱 몽키즈
뉴웨이브 듀란 듀란 · 티어스 포 피어스 · 펫 샵 보이즈 · 엘비스 코스텔로 · 블론디 · 더 폴리스 · 토킹 헤즈 · XTC · 카스
신스팝 크라프트베르크 · 게리 뉴먼 · 티어스 포 피어스 · 디페시 모드 · 펫 샵 보이즈 · 뉴 오더
얼터너티브 록 쟁글팝 더 스미스 · 알이엠 · 필리스 · 아즈텍 카메라
노이즈 팝 지저스 앤 메리 체인 · 마이 블러디 밸런타인 · 요 라 텡고 · 페이브먼트
드림 팝 콕토 트윈즈 · 스피리추얼라이즈드 · 갤럭시 500 · 러시 · 매지 스타 · 비치 하우스
슈게이즈 마이 블러디 밸런타인 · 라이드 · 슬로다이브 · 버브
그런지 너바나 · 펄 잼 · 사운드가든 · 앨리스 인 체인스 · 스톤 템플 파일럿츠
포스트 그런지 니켈백 · 크리드 · 도트리 · 푸 파이터즈 · 쓰리 데이즈 그레이스
브릿팝 오아시스 · 블러 · 펄프 · 스웨이드 · 매닉 스트리트 프리처스 · 슈퍼 퍼리 애니멀즈 · 버브
포스트 브릿팝 콜드플레이 · 트래비스 · · 스노우 패트롤
인디 록 더 스미스 · 알이엠 · 픽시즈 · 리플레이스먼츠 · 모데스트 마우스 · 빌트 투 스필 · 요 라 텡고 · 더 디스멤버먼트 플랜 · 아케이드 파이어
슬래커 록 비트 해프닝 · 다이노소어 주니어 · 페이브먼트 · 가이디드 바이 보이시즈
레드 핫 칠리 페퍼스 · 스매싱 펌킨스 · 라디오헤드 · 뮤즈 · 이매진 드래곤스
포스트 록 스완스 · 갓스피드 유! 블랙 엠퍼러 · 슬린트 · 토터즈 · 시규어 로스 · 톡 톡 · 바크 사이코시스
가스펠 메탈 · 바이킹 메탈 · 스토너 록 · 일렉트로닉 록 · 댄스 록 · 라가 록 · 일본 록 · 매스 록 · 스페이스 록 · 슬로코어 · 하이퍼 록 }}}}}}}}}
<colbgcolor=#1d2e28><colcolor=#ece2c6> 아레나 록
Arena Rock
기원 장르 하드 록, 헤비메탈, 프로그레시브 록, 팝 록
지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등장 시기 1960년대 후반
전성기 1970년대 초반 ~ 1980년대 후반
사용 악기 보컬, 일렉트릭 기타, 드럼, 베이스, 키보드, 신디사이저, 이펙트 장비
파생 장르 글램 메탈
관련 장르 하드 록, 팝 록, 프로그레시브 록, AOR, 클래식 록
대표 아티스트 레드 제플린, , U2, 저니, 보스턴, REO 스피드왜건, 포리너, 본 조비, 건즈 앤 로지스, 스틱스, AC/DC, 킹크스 후기, 핑크 플로이드

1. 개요2. 상세3. 역사4. 특징5. 관련 음악가6. 관련 장르7. 참고서적 및 자료

1. 개요


아레나 록의 대표 곡인 본 조비의 "Livin' on a Prayer"

1970년대 초반에서 1980년대 후반까지 록 씬에서 광범위하게 등장했던 상업적인 록 음악의 형태를 뜻한다.

2. 상세

아레나 록(Arena Rock), 또는 코퍼레이트 록(Corporate Rock)이라 불리는 이 음악 흐름은 1970년대 중반부터 본격화된, 대규모 공연장(아레나)을 중심 무대로 상정한 록 음악 스타일이다. 이 장르는 장대한 사운드, 선명한 멜로디 라인, 집단적 감정의 고조, 그리고 무엇보다도 라이브 공연에서의 극대 효과를 염두에 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아레나 록은 음악적 장르라기보다는 공연 스타일과 사운드 기획 방식의 총합이라 할 수 있다. 그 기저에는 하드 록팝 록의 융합, 그리고 프로그레시브 록의 서사성과 스케일 감이 결합되어 있으며, 이는 FM 라디오 시대의 AOR같은 '앨범 중심 청취'와도 맞물려 록 음악이 개인의 방에서 듣는 음악에서 집단적 열광의 공간으로 전환되는 계기를 제공했다.

사운드는 웅장한 리듬 기타, 시원한 코러스와 후렴, 그리고 전통적인 곡 구조(도입–전개–클라이맥스)를 따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드럼과 기타의 밀도감 있는 배치, 멜로디 중심의 키보드/신디사이저 사용, 가창력 중심의 보컬 스타일은 라이브에서 수천 명의 청중에게 직접 울리는 사운드 설계를 전제로 만들어진 것이다.

이는 당대의 오디오 기술 발전과도 관련이 깊다. 70년대 중반부터 PA 시스템과 앰프, 조명 기술이 급속도로 발달하며, 이전까지는 불가능했던 야외 스타디움 규모의 콘서트가 가능해졌고, 록 밴드들은 그에 맞는 '스케일의 음악'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아레나 록은 바로 이 기술적·상업적 조건 위에서 등장한 대중 록의 공연 중심화 현상을 대표한다.

1980년대에 들어서 아레나 록은 록 음악이 산업적 규모와 대중적 감수성 모두에서 절정에 달한 양식으로 발전한다. ‘아레나’라는 이름 그대로, 대형 스타디움과 실내 경기장에서 수만 명을 대상으로 공연할 수 있는 사운드 구조와 퍼포먼스를 지향했다. 거대한 후렴구, 서정적 발라드, 영웅적인 기타 솔로, 파워풀한 보컬, 그리고 무엇보다 집단적 합창이 가능한 구성이 특징이며, 이 시기 록 음악이 단순히 듣는 것이 아닌 함께 부르고 소비하는 시청각적 체험으로 자리 잡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기술적으로는 리버브가 강하게 걸린 드럼, 멀티트랙 기타, 풍부한 키보드와 신디사이저 활용이 대중적 접근성을 높였다. MTV와의 시너지를 통해 록 밴드의 이미지 마케팅도 본격화되었으며, 이로 인해 록 음악은 비주얼 중심의 대중문화 산업 안에서 중심축으로 자리잡았다.

그에 따라 비판 담론도 적지 않았다. 1970년대 후반 펑크 록, 1980년대로도 이어지는 포스트 펑크 흐름은 아레나 록을 "기계적이고 무정형한 대형 록 산업의 화신", "영혼 없는 쇼비즈니스"로 비판했으며, 특히 DIY 정신을 중시한 인디 록 문화에서는 아레나 록을 부정적 상징으로 간주하기도 했다.

그러나 한편으론, 아레나 록은 청중과의 직접 소통, 공연의 감정적 확장, 라이브 중심 음악문화의 전개, 그리고 1980년대의 MTV 시대 록의 전환점으로 기능했다. 아레나 록은 후일 글램 메탈팝 록 등의 대형 투어 체제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21세기에는 U2콜드플레이푸 파이터스 등 슈퍼밴드의 공연 연출에도 그 유산이 명확히 드러난다. 대중문화의 측면에서는 록 음악의 ‘공공 집회화’와 ‘집단 경험화’를 이룬 중요한 흐름으로 남는다.

즉, 이들은 라이브 중심의 대중문화를 주도하며 록 음악을 스타디움 규모의 체험으로 확장시키면서 대중음악계에 대형 공연이라는 산업을 확정시킨다. 그렇게 현대 공연 문화까지 이 아레나적 미학의 연장선상에 놓여 있다고 볼 수 있다.

3. 역사

아레나 록의 기원은 1960년대 중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특히 비틀즈가 1965년 뉴욕 셰이 스타디움에서 펼친 스타디움 콘서트는, 수만 명의 관중을 대상으로 한 대형 공연의 선례로 기록되며 아레나 록의 공연 문화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이후 1970년대에 접어들며 대형 공연장을 기반으로 한 상업적 공연 시스템이 확산되자, 미국영국의 여러 록 밴드들이 이를 본격적으로 도입하면서 아레나 록의 틀이 잡혀가기 시작했다.

이 흐름의 중심에는 레드 제플린이 있었다. 레드 제플린은 1970년대 초반 미국 시장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얻으며, 대형 스타디움 투어와 화려한 무대 연출, 그리고 로버트 플랜트지미 페이지의 강렬한 무대 존재감을 통해 아레나 공연의 전형을 구축했다. 그들의 성공은 대형 공연을 기반으로 한 록 음악의 상업적 가능성을 증명했고, 이후 키스, 에어로스미스, 보스턴, 스틱스 등 수많은 밴드들이 이와 유사한 공연 전략을 도입하며, 197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아레나 록이라는 개념이 본격적으로 형성되었다.

아레나 록은 이후 핑크 플로이드, 등 일부 프로그레시브 록 혹은 장르 혼합형 밴드들에 의해 더욱 시각적이고 극적인 형태로 발전하기도 했다. 이들은 대형 무대와 스토리텔링, 조명·레이저·영상 등을 결합한 무대 예술로 아레나 록의 미학을 확장시켰다.

비틀즈 이후 록 음악은 대중화되었지만, 비틀즈를 필두로 롤링 스톤스, 레드 제플린 등의 당대 거물이 아닌 이상, 주로 청년층 중심이던 이 1970년대 초반 아레나 록의 형성과 함께 본격적으로 전 세대를 아우르는 주류 대중문화로 자리매김한다.

아레나 록의 등장은 대형 공연미디어 전략을 통해 전 세계가 '동시에' 향유하는 대중 장르로 자리잡는 데 기여했다. 이후 록은 본격적으로 상업적 공연 산업과 결합하며 1970년대 중반 아레나 록 운동 부터는 은 기존 대중음악 시장에서 더욱 강한 존재감을 드러내며, 1980년대에는 R&B 다음가는 인기를 구가하는 주요 장르로 자리잡았다. 이 과정에서 록은 스펙타클한 공연과 멜로디 중심의 사운드를 결합해 팝 음악의 장르적 영역과도 융합되었다.

1980년대에는 U2, 본 조비, 건즈 앤 로지스 등 밴드들이 음악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사운드로 글로벌한 인기를 얻으며 록 음악의 대중화에 크게 기여했다. 이러한 흐름은 2000년대 초까지 이어졌으며, 록은 오랜 기간 동안 R&B와 함께 주류 대중음악 시장을 형성하는 핵심 장르로 자리매김했다.

하지만 이 같은 상업적 기획 중심의 접근은 1980년대 후반부터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본 조비 같은 밴드는 '아이돌화된 밴드'라는 비판을 받았고, 일부 보수적인 록 팬들 사이에서는 아레나 록이 예술성과 창의성보다 외형과 대중성에만 치중한다는 비난이 제기되었다.

1990년대 초반, 너바나의 《Nevermind》를 필두로 그런지얼터너티브 록이 주류로 부상하면서, 아레나 록은 음악 산업 내에서 급속히 영향력을 상실하게 된다. 당시 록 팬덤은 보다 내면적이고 반상업적인 사운드에 열광했으며, 이는 건즈 앤 로지스포리너 등 일부 기존 밴드를 제외하면 아레나 록이 명맥을 유지하기 어려운 결정적 전환점이 되었다.

4. 특징

아레나 록(Arena Rock)은 1970년대부터 대형 스타디움이나 실내 아레나 공연장을 중심으로 발전한 록 음악의 한 흐름이다. 이 장르는 대규모 관객을 상대로 한 라이브 공연에 최적화된 파워풀하고 직관적인 사운드, 화려한 무대 연출, 대중적인 멜로디를 특징으로 한다. 음악적으로는 하드 록이나 팝 록에 기반을 두며, 강한 리프와 앤섬(anthem) 스타일의 후렴구, 합창 가능한 코러스가 자주 활용된다.

아레나 록은 상업적인 성공과 대중적 접근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하며, 이는 1980년대의 글램 메탈 형성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화려한 외모, 의상, 스타일을 내세운 밴드들이 MTV 시대와 맞물려 대중문화의 주류로 부상했다.

아레나 록은 프로그레시브 록이나 하드 록처럼 순수한 음악적 스타일이라기보다는, 음악가들의 공연 방식, 무대 연출, 관객과의 상호작용, 상업적 지향성 등에서 나타나는 일련의 태도와 전략을 가리키는 총칭적 개념에 가깝다. 특히 대형 공연장을 무대로 한 대중성 중심의 음악과 화려한 무대 효과, 직관적인 곡 구조 등이 특징이며, 이러한 요소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밴드들이 주로 아레나 록으로 분류된다.

음악적으로는 파워 팝, 팝 록, 혹은 글램 메탈의 성향을 띤 대중 친화적인 하드 록 사운드가 중심을 이룬다. 따라서 아레나 록은 단순히 공연 방식뿐 아니라, 일정 부분 음악적 스타일을 가리키는 용어로도 사용된다.

한편, 핑크 플로이드처럼 음악적으로는 거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케일 큰 공연 연출과 시청각적 퍼포먼스로 인해 아레나 록의 선구자로 언급되기도 한다. 특히 1970년대 중반 이후, 벽을 쌓고 허무는 무대나 모형 비행기를 충돌시키는 연출 등은 아레나 공연의 연출적 전범으로 평가된다.[1] 이러한 접근은 후일 글램 메탈과 MTV 세대의 공연 미학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도 있다.

아레나 록은 공연의 스펙터클과 관객의 참여를 중시하는 점에서, 내향적이고 자기몰입적인 슈게이징(Shoegazing) 스타일과는 대조적인 위치에 있다고 볼 수 있다.

5. 관련 음악가

6. 관련 장르


7. 참고서적 및 자료

  • Campbell, M. - Popular Music in America. Cengage Learning. (2021, 5th edition)
  • David Szatmary - Rockin’ in Time: A Social History of Rock and Roll (8th edition, Pearson, 2014)
  • Benjamin Halligan, Robert Edgar, and Kirsty Fairclough, eds. - The Arena Concert: Music, Media and Mass Entertainment (Bloomsbury, 2015).
  • David Brackett - Categorizing Sound: Genre and Twentieth-Century Popular Music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6)

[1] 이는 밴드 리더 로저 워터스가 건축학을 전공한 것과도 무관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