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 위의 사진에 보이는 테이블 마운틴처럼 생긴 지형은 전부 용암이 굳은 것이다.
1. 개요
Сибирские траппы|Siberian Traps러시아의 시베리아 지방에 위치한 범람 현무암 지대. 사화산[1]이자 시생누대의 시작 이후 지구 역사상 두 번째로 강력한 분화 기록이 있는 초화산이다.[2]
위의 지도만 보더라도 얼마나 큰 화산 활동이 있었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그 넓은 러시아 영토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서쪽으로 우랄산맥, 동쪽으로 야쿠츠크, 남쪽으로 카자흐스탄, 북쪽으로는 그냥 땅끝까지이다. 위도와 경도상으론 북위 50도에서 75도, 동경 60도에서 120도이며 면적만 해도 대략 180만 ㎢이다. 단순 비교를 위해 설명하자면 남한과 북한을 합친 한반도의 총면적이 22만 ㎢이니 한반도의 약 8.18배 정도이다. 대충 인도 아대륙 정도의 면적이다.
Traps 이라고 부르는 것은 영어 함정을 뜻하는 게 아니고 스위스에서 계단(stairs)을 뜻하는 단어 Trappa 에서 나온 명칭이다.
2. 페름기 대폭발
이 지형은 약 2억 5,100만여 년 전 시베리아에서 화산 대분화로 생성되었으며 중국 쓰촨성의 어메이산 트랩과 함께 페름기 대멸종의 양대 유력 용의자이다.2.1. 폭발 원인
기본적으로 해령과 분화 구조가 흡사한 원리이다. 초대륙 판게아의 형성으로 두꺼운 초대륙 내부의 맨틀은 지각이 광활하게 펼쳐져 있어 일반적인 대륙 지각보다 열의 발산이 적다. 그로 인해 초대륙 밑의 맨틀의 온도가 서서히 상승하며, 내부 맨틀의 온도도 더욱 더 상승한다. 결국 맨틀 하부층까지의 온도를 올려서 뜨거운 온도로 인해 온도 전달이 잘 되어 거대한 초플룸을 형성한다.외핵 상층부까지의 온도 변화로 인해 초플룸이 형성된 맨틀 부분은 주위의 맨틀 부분보다 높은 온도를 가지는데 이러한 온도 차이 때문에 요동치게 되어 위로 상승한다. 이는 곧 거의 중대형 국가급 크기의 초화산 활동을 유발한다.
결국 초대륙 판게아의 광활하고 두꺼운 대륙 지각 때문에 대륙 지각 밑부분의 맨틀에 열이 쌓여서 더 뜨거워지고, 뜨거운 맨틀의 부위가 지나치게 커져 하부 맨틀과 외핵 상층부까지 건드려 온도 차이로 붕 떠오르면서 판게아 형성 이후 거의 2천만 년 동안 쌓여온 엄청난 에너지가 폭발했던 것이다.
앞으로 먼 미래에도 판게아와 같은 초대륙이 형성되어 두툼하고 광활한 대륙 지각이 1천만 년 이상 유지된다면 초대륙 밑 맨틀의 온도는 계속 상승할 것이고, 어느 순간 임계점을 넘어 에너지를 발산하면서 시베리안 트랩 같은 대규모 화산폭발이 일어날 수 있다.
2.2. 폭발 규모
추정 현무암 분출량은 650만 ㎦인데 이는 미국 전역을 높이 600m 두께로, 아니면 지구 전역을 10m 두께로 덮을 양이다. 저 정도로 용암이 많이 분출된 것은 대분화 시작 후 최소 수천 년 동안이나 용암을 분출했기 때문이다. 분화 자체는 100만 년 동안 지속[3]되었다고 알려져 있다.더군다나 당시 대륙은 흔히 판게아로 불리는 하나의 거대한 대륙이었는데, 그로 인해 지구 전역에서 연쇄 반응이 일어났을 것이다.[4] 화산재로 인해 지표면에 도달하는 태양광이 차단되어 기온이 내려가고, 대량의 용암과 유독 가스의 분출이 오랜 세월 동안 계속된 것이다. 시베리아 대지에서 이산화황과 이산화탄소 수십억 톤이 배출되었다. 이산화황은 태양광을 차단해 기온을 낮추고, 이산화탄소는 열을 가둬 기온을 상승시키면서 기온이 오르락내리락을 반복했다. 그 결과, 매우 급격하고 들쭉날쭉한 기후 변화를 불러일으켰다.
3. 푸토라나 고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문화유산 | ||
| 1990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역사 지구와 관련 기념물군 Исторический центр Санкт-Петербурга и связанные с ним группы памятников | 1990년 키지 포고스트 Кижский погост | 1990년 모스크바의 크렘린 궁전과 붉은 광장 Московский Кремль и Красная Площадь | |
| 1992년 노브고로드 역사 기념물군과 주변 건축물 Исторические памятники Великого Новгорода и окрестностей | 1992년 솔로베츠키 제도 문화 역사 유적군 Историко-культурный комплекс Соловецких островов | 1992년 블라디미르와 수즈달의 백색 기념물군 Белокаменные памятники Владимира и Суздаля | |
| 1993년 세르기예프 포사드의 트로이체 세르기예프 수도원 고고 유적 Архитектурный ансамбль Троице-Сергиевой лавры в городе Сергиев Посад | 1994년 콜로멘스코예의 예수 승천 교회 Церковь Вознесения в Коломенском | 2000년 카잔 크렘린 역사 건축물 Историко-архитектурный комплекс Казанского Кремля | |
| 2000년 페라폰토프 수도원 유적 Ансамбль Ферапонтова монастыря | 2000년 쿠로니아 모래톱 Куршская коса́ | 2003년 데르벤트의 성채, 고대 도시, 요새 건물 Цитадель, Старый город и крепостные сооружения Дербента | |
| 2004년 노보데비치 수도원 Ансамбль Новодевичьего монастыря | 2005년 야로슬라블 역사지구 Исторический центр Ярославля | 2005년 스트루베 측지 아크 Геодезическая дуга Струве | |
| 2014년 볼가르 역사 고고 유적군 Булгарский историко-археолог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 2017년 도시 섬인 스비야시스크에 있는 성모 승천 대성당과 수도원 Успенский собор и монастырь острова-града Свияжск | 2019년 프스코프 학파의 성당 건축물 Храмы псковской архитектурной школы | |
| 2021년 오네가 호수와 백해의 암각화 Петроглифы Онежского озера и Белого моря | 2023년 카잔연방대학교 천문대 Астрономические обсерватории Казанского федеральн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 2024년 케노제로 호수 문화경관 Культурный ландшафт Кенозерья | |
| 2025년 슐간타시 동굴의 암벽화 Наскальные рисунки пещеры Шульган-Таш | |||
| <rowcolor=#fff> 자연유산 | |||
| 1995년 코미 원시림 Девственные леса Коми | 1996년 바이칼 호 Озеро Байкал | 1996년 캄차카 화산군 Вулканы Камчатки | |
| 1998년 알타이 황금 산맥 Золотые горы Алтая | 1999년 캅카스 서부 지역 Западный Кавказ | 2001년 시호테알린 산맥 중부 지역 Центральный Сихотэ-Алинь | |
| 2003년 우브스 누르 분지 Убсунурская котловина | 2004년 브란겔랴 섬의 자연 보호 지역 Природный комплекс заповедника Остров Врангеля | 2010년 푸토라나 고원 Плато Путорана | |
| 2012년 레나 석주 자연공원 Природный парк "Ленские столбы" | 2017년 다우리아 경관 Ландшафты Даурии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 | 유네스코 세계유산 UNESCO World Heritage | |
| <colbgcolor=#000><colcolor=#FFF> 이름 | 한국어 | 푸토라나 고원 | |
| 러시아어 | Плато Путорана | ||
| 영어 | Putorana Plateau | ||
| 프랑스어 | Plateau de Putorana | ||
| 국가·위치 |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 ||
| 등재유형 | 자연유산 | ||
| 지정번호 | 1234rev | ||
| 등재연도 | 2010년 | ||
| 등재기준 | (vii)[5], (ix)[6] | }}} | |
4. 기타
페름기 대멸종을 일으켰는데도 불구하고 대중적으로는 백악기 대멸종에 비해 인지도에서 밀린다.[7] 인지도가 낮은 가장 큰 이유는 백악기 대멸종보다 훨씬 옛날이라는 점이다. 초대륙만 보더라도 대중적으로 거의 유일하게 인지도가 있는 판게아 다음으로 인지도가 높은 로디니아조차 인지도가 매우 적어 지질학자나 생물학자, 관련 분야 덕후가 아니면 대부분 모르는데 그 옛날의 페름기 대멸종이 대중에게 쉽게 와닿을 리가 없다. 이 페름기 대멸종도 오르도비스기 대멸종 같은 이보다 훨씬 더 이전에 있었던 대멸종에 비하면 인지도가 높은 편이다. 그리고 백악기 대멸종은 비조류 공룡의 멸종이라는 대중에게 어필하기 좋은 타이틀을 갖고 있기 때문에 더 인지도가 앞서는 면이 있다.[1] 엄밀히 말하면 2억 5000만 년 전에 분화하고 나서 판이 이동하며 오랜 시간 굳어졌기 때문에 오늘날에 와서는 '화산이었던 땅' 정도이며 2025년 기준으로 분출이 아예 없다고 보면 된다.[2] 1위는 놀랍게도 프랑스 정도 크기인 솔로몬 제도 동쪽의 온통-자바 고원이고, 3위는 데칸고원이다.[3] 지하 100km에서 분출했다고 한다. 지각 두께가 35km 정도이니 간단히 말해 지각이 찢어진 것이다.[4] 이 연쇄 반응이 맨 처음 시작된 곳으로 중국 쓰촨성의 어메이산 트랩이 지목된다. 2억 6,000만년 전에 어메이산 트랩이 분출을 시작하였고, 그로부터 800만년 후 시베리아 트랩도 분출하기 시작하였다.[5] 최상의 자연 현상이나 뛰어난 자연미와 미학적 중요성을 지닌 지역을 포함할 것[6] 육상, 민물, 해안 및 해양 생태계와 동·식물 군락의 진화 및 발전에 있어 생태학적, 생물학적 주요 진행 과정을 입증하는 대표적 사례일 것[7] 인지도에서 밀릴 뿐 상술했듯이 생물이 멸종된 정도는 K-Pg 대멸종(백악기 대멸종)에 비해 페름기 대멸종이 넘사벽이다. 멸종한 생물량 규모뿐만이 아니라 멸종한 종의 수 역시 페름기 말 대멸종이 K-Pg 대멸종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