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젠다리움
Legendarium
- [ 생전 출판 ]
- [ 사후 출판 ]
- ||<tablewidth=100%><#BDB76B><-5>실마릴리온
베렌과 루시엔 후린의 아이들 곤돌린의 몰락 끝나지 않은 이야기 가운데땅의 역사서
- [ 관련 문서 ]
||<-3><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color=#373a3c> ||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 | 반지의 제왕: 두 개의 탑 |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 |
반지의 제왕: 골룸 사냥 |
<colbgcolor=#000><colcolor=#fcd971>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 (2001) The Lord of the Rings: The Fellowship of the Ring | |
원판 포스터 | |
장르 | 판타지, 모험, 액션 |
감독 | 피터 잭슨 |
제작 | 피터 잭슨 팀 샌더스 베리 오스본 프랜 월시 |
각본 | 피터 잭슨 프랜 월시 |
출연 | 일라이저 우드, 이안 맥켈런, 비고 모텐슨 외 |
음악 | 하워드 쇼어 |
촬영 | 앤드류 레스니 |
제공사 | 뉴 라인 시네마 |
제작사 | WingNut Films |
수입사 | 태원엔터테인먼트 영화사 오원[확장판]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재개봉] |
배급사 | 뉴 라인 시네마 시네마 서비스 디스테이션[확장판]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재개봉] |
스트리밍 | | | |
개봉일 | 2001년 12월 19일 2002년 1월 1일[5] 2017년 1월 11일[확장판] 2021년 3월 11일 [재개봉] |
상영 시간 | 178분(2시간 58분) 228분(3시간 48분)[확장판] |
제작비 | 9,300만 달러[9] |
북미 박스오피스 | $313,364,114 (최종) |
월드 박스오피스 | $871,530,324 (최종) |
대한민국 총 관객수 | 3,870,000명 (추정)[10] |
상영 등급 | 12세 이상 관람가 |
[clearfix]
1. 개요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 첫 번째 작품. 감독 피터 잭슨이 연출을 맡은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영화이다.2. 예고편
예고편 |
초반 10분 맛보기 |
3. 등장인물
<colbgcolor=#000><colcolor=#fcd971> |
골목쟁이네 프로도 (일라이저 우드) |
<colbgcolor=#000><colcolor=#fcd971> |
간달프 (이안 맥켈런) |
<colbgcolor=#000><colcolor=#fcd971> |
아라고른 2세 (비고 모텐슨) |
<colbgcolor=#000><colcolor=#fcd971> |
아르웬 (리브 타일러) |
<colbgcolor=#000><colcolor=#fcd971> |
감지네 샘와이즈 (숀 애스틴) |
<colbgcolor=#000><colcolor=#fcd971> |
강노루 집안 메리아독 (도미닉 모나한) |
<colbgcolor=#000><colcolor=#fcd971> |
툭 집안 페레그린 (빌리 보이드) |
<colbgcolor=#000><colcolor=#fcd971> |
사루만 (크리스토퍼 리) |
<colbgcolor=#000><colcolor=#fcd971> |
보로미르 (숀 빈) |
<colbgcolor=#000><colcolor=#fcd971> |
레골라스 (올랜도 블룸) |
<colbgcolor=#000><colcolor=#fcd971> |
김리 (존 라이스-데이비스) |
<colbgcolor=#000><colcolor=#fcd971> |
갈라드리엘 (케이트 블란쳇) |
<colbgcolor=#000><colcolor=#fcd971> |
엘론드 (휴고 위빙) |
<colbgcolor=#000><colcolor=#fcd971> |
골룸 (앤디 서키스) |
<colbgcolor=#000><colcolor=#fcd971> |
할디르 (크레이그 파커) |
<colbgcolor=#000><colcolor=#fcd971> |
골목쟁이네 빌보 (이안 홈) |
<colbgcolor=#000><colcolor=#fcd971> |
이실두르 (해리 싱클레어) |
4. 사운드트랙
자세한 내용은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사운드트랙 문서 참고하십시오.5.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메타크리틱=the-lord-of-the-rings-the-fellowship-of-the-ring, 메타크리틱_critic=92, 메타크리틱_user=9.3,
로튼토마토=the_lord_of_the_rings_the_fellowship_of_the_ring, 로튼토마토_tomato=92, 로튼토마토_popcorn=95,
IMDb=tt0120737, IMDb_user=8.9,
IMDb_list=IMDb Top 250, IMDb_rank=9, ## IMDb_date=,
레터박스=the-lord-of-the-rings-the-fellowship-of-the-ring, 레터박스_user=4.4,
레터박스_list=Letterboxd Top 250, 레터박스_rank=69, ## 레터박스_date=,
왓챠=mP5mPzd, 왓챠_user=4.1,
)]
3부작의 시작점을 훌륭하게 끊음과 동시에 개봉 당시 한국에서 387만 명의 관객을 끌어모으며 사상 최대의 판타지 붐을 이끌어낸 영화. 중견 배우부터 다소 알려지지 않은 무명 배우까지 유명세에 기대지 않고 배우 본연의 이미지와 연기력을 통해 기용한 결과 주조연 모두가 캐릭터에 빙의한 듯한 연기를 펼쳤으며,
개봉 후 20년이 넘은 현재까지도 다른 판타지 영화와는 결을 달리하는 걸작으로, 사실상 오늘날까지도 판타지 블록버스터 시리즈의 1편으로 내세우다 후속작은 고사하고 흥행에 실패한 영화들이 저지른 온갖 실수(대사로 때우는 세계관, 캐릭터의 몰입감 저하, 빈약한 스토리 연출)들을 이미 해결해낸 영화다. 이는 다른 영화들과 달리 원작이 원작인데다 애초에 제작사가 3부작을 염두에 두고 만든 작품인 만큼 이야기의 완성도적 측면에서 검증된 작품이기도 했지만, 영화 연출에 있어 세계관을 설명하기보다 보여준다는 시네마적 기법을 우선하여 관객들이 스스로 상상하고 납득할 수 있게 했기 때문이다. 그 예로 프롤로그부터가 남다른데, 원작을 접하지 않은 일반 관객들에게는 다소 생소할 법한 절대반지의 탄생 배경과 그 사이에 얽힌 대전쟁을 갈라드리엘의 간결한 나레이션과 함께 보여주며 가운데땅의 세계관을 관객에게 소개한다. 이후에도 원정대원 중 여행 경험이 많은 간달프와 아라고른에게 가이드 역할을 맡김으로서 작품의 공간에 대한 묘사를 광활한 배경과 함께 자연스럽게 처리하며, 모험을 처음 겪는 프로도를 비롯한 호빗들에게 관객이 이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호빗의 삶을 완벽하게 재현한 샤이어, 요정의 숨겨진 낙원처럼 묘사되는 깊은골과 로슬로리엔, 난쟁이들의 쇠락한 도시 모리아 등에 세밀한 미술적 묘사와 OST를 더하였는데, 여기에 투입된 제작진과 감독의 노고는 단순히 영화 연출에 필요한 배경묘사로 끝나는 정도가 아니라 가히 덕업일치를 이루고자 하는 장인정신의 수준이었다. 한편 절대반지 속에 깃든 불길에 휩싸인 사우론의 눈의 환영과 나즈굴의 괴성, 어둠 속의 골룸의 그림자 등 공포영화를 연상케 하는 요소들을 집어넣어, 하이 판타지 영화 속에서 악의 세력이 이 세계에서 얼마나 실존적으로 무시무시한 존재인가를 관객에게 각인시킨다. 발로그외 오르크, 트롤, 우루크하이 등의 괴물들 또한 싱겁게 리타이어당하는 빌런이 아니라 오늘날의 블록버스터 영화와 비교해도 전혀 손색이 없는 강렬한 임팩트를 한 번씩 보여준다.
결정적으로 아홉 명이나 되는 작품의 주역인 반지 원정대의 묘사 또한 비중 배분과 각자의 캐릭터성 묘사가 훌륭하게 이루어졌으며, 이 역시 단순 소개가 아니라 캐릭터를 연구한 배우가 디테일을 더해 보여줌으로서 그 매력을 한층 부각시켰다. 네 명이나 되는 호빗도 각자의 개성을 가지고 있으며, 꼬장꼬장하지만 다정한 마법사 간달프와 후줄근한 외모 속에 왕의 운명을 감춘 인간 아라고른, 아름답고 우아한 요정 레골라스, 호쾌한 개그 캐릭터인 난쟁이 김리 등은 이후 대부분의 판타지 배경 대중매체에서 하나의 시각적 클리셰가 될 정도.
특히 시종일관 내부의 적으로 묘사되어 관객들에게 호불호가 갈렸던 보로미르의 경우 확장판까지 보게 되면 오히려 1편의 최대 수혜자이기도 하다. 작중에서 인격과 전투력, 경험까지 완벽초인으로 묘사되는 아라고른과 달리 곤도르군을 통솔하는 대장일지언정 인간에 불과한 보로미르는 작중 다른 등장인물에 비해 심적 고뇌와 반지에 대한 욕망을 자주 표출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반지의 강력한 영향력을 관객에게 실감케 하는 요소임과 동시에 원정대의 여정에 제동을 거는 내부의 적의 모습이기도 하다. 그러면서도 백성과 국가에 대한 절절한 애국심을 보여주며 이종족들 중에서 호빗들과 가장 친밀하게 지내기도 하는 등 인간미가 넘치고, 욕망을 뿌리치지 못한 실수를 만회하고자 호빗들을 지키다 장렬히 싸우다 전사함으로써 안타까움과 감동을 남겼다. 원작에서 2부 초반에 아라고른에게 발견되어 죽음을 맞이하는 것과 달리 영화판에서는 1편의 결말에서 다수의 우루크하이들과의 전투 끝에 전사하는 모습이 장렬하게 묘사된다. 또한 주인공 중 하나인 아라고른은 자신의 내적 고민[11]이었던 '왕의 귀환'을 보로미르의 죽음으로 비로소 결심하게 된다. 시리즈 전체에 감정적인 전환점 역할을 할 수 있었던 것이다.
6. 기타
간달프가 빌보 집에서 대들보에 이마를 찧는 장면은 진짜로 대들보를 못 보고 고개 돌리다 찧은 것, 그러니까 NG컷이 쓰였다고 알려졌으나, 후에 이안 맥켈런의 인터뷰에 의하면 어느 정도는 계산된 움직임이라고 밝혔다.우루크하이 군단과의 전투 장면 중 아라고른이 러츠가 던진 칼을 쳐내는데, 사실 빗겨던져야 하는 걸 실수로 직통으로 던진건데 비고 모텐슨이 순발력을 발휘해 쳐 버린 거다. 심지어 이 때 단검은 스턴트맨들에게 쓴 플라스틱 모형이 아니라 진짜 단검이라서 잘못했으면 크게 다칠 뻔한 상황이었다. 스턴트맨들도 하질 못한 걸 비고 모텐슨이 한방에 해버린 것이다.
7. 둘러보기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81818><tablebgcolor=#181818>
피터 잭슨 감독 장편 연출 작품
(다큐멘터리 제외)
||(다큐멘터리 제외)
{{{#!wiki style="margin: 2px auto 3px; max-width: 100%; color: #fff;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margin: 0 -11px -1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folding ⠀[ No. 1-25 ]⠀ |
No. 1 2019. 7. 4. | No. 2 2019. 7. 19. | No. 3 2019. 7. 24. | No. 4 2019. 9. 11. | No. 5 2019. 9. 25. |
No. 6 2019. 10. 2. | No. 7 2019. 10. 17. | No. 8 2019. 10. 30. | No. 9 2019. 11. 21. | No. 10 2019. 12. 4. |
No. 11 2019. 12. 24. | No. 12 2020. 1. 8. | No. 13 2020. 1. 22. | No. 14 2020. 2. 5. | No. 15 2020. 2. 19. |
No. 16 2020. 6. 17. | No. 17 2020. 7. 15. | No. 18 2020. 8. 5. | No. 19 2020. 8. 26. | No. 20 2020. 9. 17. |
No. 21 2020. 12. 23. | No. 22 2021. 1. 20. | No. 23 2021. 2. 24. | No. 24 2021. 3. 3. | No. 25 2021. 3. 31.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folding ⠀[ No. 26-50 ]⠀ |
No. 26 2021. 4. 15. | No. 27 2021. 5. 19. | No. 28 2021. 5. 26. | No. 29 2021. 6. 17. | No. 30 2021. 6. 30. |
No. 31 2021. 7. 14. | No. 32 2021. 7. 28. | No. 33 2021. 8. 4. | No. 34 2021. 8. 11. | No. 35 2021. 9. 1. |
No. 36 2021. 9. 29. | No. 37 2021. 10. 13. | No. 38 2021. 10. 20. | No. 39 2021. 10. 27. | No. 40 2021. 11. 10. |
No. 41 2021. 11. 24. | No. 42 2021. 12. 9. | No. 43 2021. 12. 15. | No. 44 2021. 12. 22. | No. 45 2022. 1. 12. |
No. 46 2022. 1. 26. | No. 47 2022. 2. 9. | No. 48 2022. 3. 1. | No. 49 2022. 3. 30. | No. 50 2022. 4. 13.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folding ⠀[ No. 51-75 ]⠀ |
파일:OGT55.jpg |
No. 51 2022. 5. 11. | No. 52 2022. 5. 18. | No. 53 2022. 6. 1. | No. 54 2022. 6. 15. | No. 55 2022. 6. 25. |
No. 56 2022. 6. 29. | No. 57 2022. 7. 13. | No. 58 2022. 7. 20. | No. 59 2022. 8. 3. | No. 60 2022. 8. 10. |
파일:OGT62.jpg |
No. 61 2022. 10. 12. | No. 62 2022. 10. 15. | No. 63 2022. 10. 19. | No. 64 2022. 11. 30. | No. 65 2022. 12. 21. |
No. 66 2023. 1. 4. | No. 67 2023. 1. 18. | No. 68 2023. 2. 1. | No. 69 2023. 2. 15. | No. 70 2023. 3. 1. |
No. 71 2023. 3. 8. | No. 72 2023. 3. 15. | No. 73 2023. 4. 5. | No. 74 2023. 4. 12. | No. 75 2023. 4. 26. | }}}}}}}}} {{{#!wiki style="margin: -5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folding ⠀[ No. 76-100 ]⠀ |
No. 76 2023. 4. 29. | No. 77 2023. 5. 3. | No. 78 2023. 5. 17. | No. 79 2023. 5. 24. | No. 80 2023. 5. 31. |
No. 81 2023. 6. 14. | No. 82 2023. 6. 21. | No. 83 2023. 7. 5. | No. 84 2023. 7. 19. | No. 85 2023. 7. 26. |
No. 86 2023. 8. 9. | No. 87 2023. 8. 15. | No. 88 2023. 9. 13. | No. 89 2023. 10. 4. | No. 90 2023. 10. 11. |
No. 91 2023. 10. 18. | No. 92 2023. 10. 25. | No. 93 2023. 11. 8. | No. 94 2023. 11. 22. | No. 95 2023. 12. 20. |
No. 96 2023. 12. 23. | No. 97 2023. 12. 27. | No. 98 2024. 1. 3. | No. 99 2024. 1. 24. | No. 100 2024. 1. 31. |
#######################
- ⠀[ No. 101-125 ]⠀
- ###### 5-1행 제목 ######No. 101
2024. 2. 14.No. 102
2024. 2. 22.No. 103
2024. 2. 28.No. 104
2024. 3. 6.No. 105
2024. 3. 13.No. 106
2024. 3. 20.No. 107
2024. 4. 10.No. 108
2024. 4. 13.No. 109
2024. 4. 24.No. 110
2024. 5. 22.No. 111
2024. 5. 29.No. 112
2024. 6. 5.No. 113
2024. 6. 12.No. 114
2024. 6. 26.No. 115
2024. 7. 3.No. 116
2024. 7. 11.No. 117
2024. 7. 24.No. 118
2024. 8. 7.No. 119
2024. 8. 14.No. 120
2024. 9. 4.No. 121
2024. 9. 5.No. 122
2024. 10. 1.No. 123
2024. 10. 4.No. 124
2024. 10. 23.No. 125
2024. 11. 6.
#######################
- ⠀[ No. 126-150 ]⠀
- ###### 6-1행 제목 ######
모아나 2 No. 126
2024. 11. 20.No. 127
2024. 11. 27.
#####################
- ⠀[ Re. ]⠀
- ###### Re-1행 제목 ######Re. 1
2020. 3. 25.Re. 2
2020. 6. 11.Re. 3
2020. 10. 28.Re. 4
2021. 3. 11.Re. 4
2021. 3. 18.Re. 4
2021. 3. 18.Re. 5
2021. 3. 17.Re. 6
2021. 5. 5.Re. 7
2021. 9. 9.Re. 8
2021. 9. 15.Re. 9
2021. 10. 6.Re. 10
2021. 11. 18.Re. 11
2022. 2. 24.Re. 12
2022. 4. 20.Re. 13
2022. 9. 21.파일:OGTR14.jpg Re. 14
2022. 11. 2.Re. 15
2023. 2. 8.Re. 16
2023. 4. 1.Re. 17
2023. 5. 27.Re. 18
2023. 6. 28.Re. 19
2023. 9. 9.Re. 20
2023. 11. 15.Re. 21
2023. 11. 30.Re. 22
2023. 12. 6.Re. 23
2024. 3. 27.Re. 24
2024. 5. 8.Re. 25
2024. 5. 30.Re. 26
2024. 9. 18.Re. 27
2024. 9. 25.Re. 28
2024. 10. 9.파일:OGTR30.jpg Re. 29
2024. 11. 13.Re. 30
2024. 12. 11.
######################
}}}}}} ||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역대 휴고상 시상식 | |||||||||||||||||||||||||||||||||||
최우수 드라마틱 프리젠테이션 | ||||||||||||||||||||||||||||||||||||
제48회 (2001년) | → | 제49회 (2002년) | → | 제50회[12] (2003년) | ||||||||||||||||||||||||||||||||
와호장룡 | → |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 | → | 반지의 제왕: 두 개의 탑 | ||||||||||||||||||||||||||||||||
버피 더 뱀파이어 슬레이어 "Conversations with Dead People" | ||||||||||||||||||||||||||||||||||||
역대 네뷸러상 시상식 | ||||
최우수 각본 | ||||
제37회 (2001년) | → | 제38회 (2002년) | → | 제39회 (2003년) |
와호장룡 | → |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 | → | 반지의 제왕: 두 개의 탑 |
역대 새턴상 시상식 | ||||
판타지 영화상 | ||||
제27회 (2000년) | → | 제28회 (2001년) | → | 제29회 (2002년) |
프리퀀시 | → |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 | → | 반지의 제왕: 두 개의 탑 |
}}} ||